KR102372781B1 -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 Google Patents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2781B1 KR102372781B1 KR1020200064006A KR20200064006A KR102372781B1 KR 102372781 B1 KR102372781 B1 KR 102372781B1 KR 1020200064006 A KR1020200064006 A KR 1020200064006A KR 20200064006 A KR20200064006 A KR 20200064006A KR 102372781 B1 KR102372781 B1 KR 1023727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support
- coupled
- pallet
- right en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2—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in the sid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구애됨이 없이 적재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팔레트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간 전후에 직교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직교하게 결합된 제1,2지지부재의 상면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게 결합하는 상판부재와 좌우 및 전후의 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좌우 및 전후의 프레임부재의 4모서리에 각각 결합하는 모서리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팔레트(100)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외측부(111)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를 밀어 상승시켜주게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푸쉬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afely move or transport cargo by ensuring that the loading state is always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cargo being loaded, and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it can be used to load cargo larger than the standard of the pallet It relates to a lifting support device of the loaded cargo for a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of the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orthogonally coupled to a second support member that is orthogon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 2 A pallet having a top plat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and a corner member coupl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110,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 100), and a support member 20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of the frame member, and a push means 300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 to push and raise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 등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support device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type of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so that it can be safely transported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loaded cargo. It's about support.
종래의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로는, 직교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와,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상면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좌·우단에 중간을 결합하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상단에 하면 중간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외·내측부를 구비하는 상프레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좌우의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전단 또는 후단에 중간을 결합하는 수직프레임판부와 수직프레임판부의 상단에 상면 중간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외·내측부분을 구비하는 상측프레임부와 상기 상내측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천공되는 상측체결공들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전·후단에 중간을 결합하는 제2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2프레임부재들의 서로 맞물리게 되는 전·후단과 좌·우단에 의해 형성되는 4모서리에 각각 결합하는 모서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는 상외측부의 상면 외단에서 수평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정단면이 ""형태로 되는 지지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부재는 상내측부분의 측단면이 판형태로 되며, 상외측부분 상면 내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지지편부에 대응하게 상외측부분의 상면 외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수평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측단면이 ""형태로 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프레임부재(특허출원 제10-2020-0041388호)가 있다.As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for stably maintaining a loaded state of carg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orthogonally coupl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t left and right intervals; , The left and right first frame members formed including a vertical plate coupling the middle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 upper frame portion having an upper outer and inner portio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 A vertical frame plate portion coupling the middle to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n upper frame portion having an upper outer and inner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plate portion and an upper frame portion having an upper outer and inn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econd frame member formed by having upper fastening holes perforated by a In the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consisting of a corner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ends, the first frame member extend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upper outer end of the upper outer part so that the front end face is " The second frame memb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piece in the shape of a “plate” in the side end of the upper inner portion, a support protrusion horizontally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portion, and the first frame member It extend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par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iece of There is a frame member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41388 No. 10-2020-0041388)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tha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eviously applied by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iece in the form of ".
그런데, 선출원 팔레트의 ""형태로 되는 지지편은 제1,2프레임부재의 상외측부의 상면 외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므로, 팔레트에 화물을 적재할 때에는 지지편들 사이의 면적 보다 큰 화물은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팔레트의 규격을 다양하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 "Since the support piece in the form is integrally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members, when loading cargo on a pallet, a cargo larger than the area between the support pieces cannot be loaded on the pall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andard of
또한, 지지편의 수직부를 높게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팔레트에 화물을 적재할 때에는 물론 하역할 때에도 장애가 되기 때문에 높게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지지편이 적재된 화물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는 범위가 화물의 높이에 비하면 극히 제한적이므로 화물의 높이에 따라 적재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vertical part of the support piece is formed high, there is a limit to forming it high because it becomes an obstacle when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n the pallet. Since it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height of
본 발명은 선출원 발명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팔레트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of the prior application, and its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loading state of the loaded cargo is always stably maintained so that the cargo can be safely moved or transpo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llet size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ing support device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that can also be used to load larger cargoes.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간 전후에 직교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직교하게 결합된 제1,2지지부재의 상면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게 결합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좌·우단 또는 제2지지부재의 전·후단에 중간을 결합하며 상·하 외측부를 구비하는 좌우 또는 전후 프레임부재와 상기 좌우 또는 전후 프레임부재들의 서로 맞물리게 되는 전·후단과 좌·우단에 의해 형성되는 4모서리에 각각 결합하는 모서리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팔레트와,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와 상기 상외측부의 전·후면들 내면 상측부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과 상기 걸이편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과 하면의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좌·우의 결합공을 구비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몸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게 상외측부의 하편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체결공과 단부가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앙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결합공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체결공에 체결하는 지지볼트를 구비하여 되는 푸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 등에 구애됨이 없이 적재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팔레트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that is orthogon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left and righ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orthogonally coupled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and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having upper and lower outer parts by coupling the middle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 pallet having a corner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bod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outer parts on the inner surface A side section having a hook piece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 a hook piec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front and rear lower ends of the body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and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drill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surface this " A support member in the form of a ", a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hole punch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and outer par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and the end ar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oil spring It passes through the ball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sh means provided with a support bolt for fastening to the fastening hole to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connecting hole. Provided is a lifting support device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that can be safely moved or transported and, if necessary, can be used to load cargo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ll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와 상기 상외측부에 결합하면 걸이편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구성되고, 상기 푸쉬수단은 하단은 상기 하외측부에 결속되며 상단은 체결공을 상향관통하여 상외측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고정관체와 내경은 상기 고정관체의 외면 지름에 대응하고 외경은 체결공의 내면 지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내부로 고정관체가 삽입되게 형성되며 상단은 체결공을 상향관통하여 지지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는 승강관체와 상기 체결공의 하면에 걸어지게 승강관체의 하단 외주에 빙둘러 돌출되는 걸림부와 하단은 상기 하외측부에 상단은 지지부재의 하면에 각각 접지되게 고정관체와 승강관체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승강관체와 지지부재를 상승시켜 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a hook piec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when combined with the upper and outer portions. " "configured to be in the shape, the lower end of the push means is bound to the lower outer part, and the upper end penetrates upward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the inner diameter and the fixed tu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outer part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tube, and the outer diameter is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tube,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tub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b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up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tube is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The locking part and the lower end protruding around the lower outer portion are mounted across the inside of the fixed tube body and the lifting tube body so that the upper end is grou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including a coil spring that raises the lifting tube and the support member It provides a lifting support device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와 상기 상외측부에 결합하면 걸이편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구성되고, 상기 푸쉬수단은 하단이 상기 하외측부의 상면에 천공되는 결속공을 통해 하외측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에 결속되는 고정로드와 상단이 체결공을 상향관통하여 상외측부의 상부로 노출되어 지지부재의 하면 좌·우단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가스쇼크업소버로 구성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a hook piece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when combined with the upper and outer portions. " "configured to be in the form of, the push means has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side through a binding hole punch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outer side part, and the fixed rod and the upper end which are bound to the floor through the fastening hole upwards to the upper outer part To provide a lifting-type support device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tha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and is composed of a gas shock absorber, including a lifting cylinder fix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는, 화물의 적재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주므로 항상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화물의 규격에 따라 제작하지 않아도 팔레트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The elevating support device for the loaded cargo for the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intains the loading state of the cargo in a stable manner so that it can be safely transported at all times, as well as the pallet even if it is no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cargo.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be used to load cargo that is larger than the standard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가 적용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팔레트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a,b는 도 3a,b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a,b는 도 5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a,b는 도 8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to which a lifting-type support device of loaded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llet of Figure 1 separated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separation of the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excerpt of a part of Figure 3a;
4A and 4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artially excerpted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3A and B;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separation of the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5
7a and 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artially excerpted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separation of the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portion of FIG.
10A and 10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artially excerpted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of the loaded cargo for a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가 적용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팔레트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to which a lifting support device for loaded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llet of FIG. 1 separated.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가 적용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100)는, 제1지지부재(10)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간 전후에 직교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부재(20)와, 상기 직교하게 결합된 제1,2지지부재의 상면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게 결합하는 상판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좌·우단에 중간을 결합하는 좌우의 프레임부재(40)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전·후단에 중간을 결합하는 전후 프레임부재(50) 및 상기 좌우와 전후의 프레임부재들의 서로 맞물리게 되는 전·후단과 좌·우단에 의해 형성되는 4모서리에 각각 결합하는 모서리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와 동일하며, 상기 제1,2지지부재와 상판부재 및 좌우와 전후의 프레임부재들과 모서리부재의 각 구조는 물론 조립하는 상태도 그대로 전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또한, 좌우의 프레임부재(40)는 수직프레임판(41)과 상기 수직프레임판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부설되는 상외·내측부와 상기 상외측부의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 등을 구비하여 되는 상프레임부(42)와 상기 수직프레임판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부설되는 하외·내측부 등을 구비하는 하프레임부(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후의 프레임부재(50)는 수직프레임판부(51)와 상기 수직프레임판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부설되는 상외·내측부분과 상기 상내측부분의 하면에 돌출되는 상고정돌기 등을 구비하여 되는 상측프레임부(52)와 상기 수직프레임판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부설되는 하외·내측부분과 상기 하외측부분 상면에 돌출되는 하고정돌기를 구비하여 되는 하측프레임부(5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다만, 선출원 발명은 좌우 및 전후 프레임부재(40)(50)의 각 상외측부와 상외측부분에 각각 ""형태로 되는 지지편부와 지지편을 각각 고정설치하여 팔레트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상기 좌우 및 전후 프레임부재들의 상외측부 및 상외측부분(이하, "좌우 또는 전후의 프레임부재의 상외측부"라고 한다)의 구조를 변경하여 적재된 화물의 지지장치를 승강식으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도 3a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a,b는 도 3a,b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cerpted and enlarged extension of the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excerpt and enlarged view of Figure 3a, Figures 4a, b are the second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excerpts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팔레트(100)의 좌우 또는 전후 프레임부재(110)들의 상·하외측부(111)(114)들 중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는 상기 상외측부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밀어 상승시켜주는 푸쉬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lif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지지부재(200)는, 측단면이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면(211)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20)을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게 알루미늄으로 압출형성되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구성된다.The
또한, 지지부재(200)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다음 하면의 좌·우단부에 천공되어 푸쉬수단(300)이 몸체부(210)에 삽입되게 하는 좌·우의 결합공(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푸쉬수단(300)은, 코일스프링(310)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게 체결되는 지지볼트(320)와, 상기 코일스프링이 수용되는 지지관체(3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push means 300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프레임부재(110)의 상외측부(111)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좌·우의 결합공(230)에 대응하게 상기 상외측부의 하면 좌·우단부에 체결공(112)을 각각 천공하고, 상기 결합공의 상측에는 내경이 결합공의 지름에 대응하게 형성된 지지관체(330)가 위치하게 몸체부(210)에 삽입한 다음 상기 결합공을 통해 코일스프링(310)을 몸체부(210)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관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200)를 상기 상외측부의 개방된 좌·우단 중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편(220)의 상면이 상기 상외측부의 전·후면들 내면 상측부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된 걸이편(113)들의 하면에 걸어지게 결합한다.When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이렇게 결합하여 결합공(230)과 체결공(112)이 수직선상에서 상하 일치하게 한 상태에서 하방에서 체결공(112)에 지지볼트(320)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체결하면, 상기 지지볼트의 단부가 코일스프링(310)의 중앙과 결합공(230)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공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지지관체(330)에 수용되게 조립된다.In this way, when the
따라서, 지지부재(200)와 코일스프링(310)은 지지볼트(320)에 의해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은 내경이 결합공(230)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지관체(330)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와 코일스프링은 승강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재(200)는, 코일스프링(310)의 탄성에 의해 상승되어 있게 되므로 팔레트(100)에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면 사이의 규격에 대응하게 화물(A)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반대로 지지부재(20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팔레트(100)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기 위해 적층을 하면, 그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200)가 코일스프링(31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이 상외측부(111)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게 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규격보다 큰 화물(A)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if the
이때, 지지부재(200)의 상면이 상외측부(111)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게 되는 것은, 상기 지지부재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지지볼트(320)의 상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 내면에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되는 정도의 길이로 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fact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7a,b는 도 5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ed and enlarged extension of a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portion of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excerpts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며 팔레트(100)의 좌우 또는 전후의 프레임부재(110)들 상외측부(111)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밀어 상승시켜주는 푸쉬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 A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푸쉬수단(300)이 지지부재(200)를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높게 상승시켜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화물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in the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이를 위해, 푸쉬수단(300)은 하단이 프레임부재(110)의 하외측부(114) 상면에 천공되는 결속공(115)을 통해 상기 하외측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에 밀착하게 결속되며 상단은 상외측부(111)의 하면에 천공된 체결공(112)을 상향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고정관체(301)와, 내경은 상기 고정관체의 외면 지름에 대응하고 외경은 체결공의 내면 지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내부로 고정관체가 삽입되게 형성되며 상단은 체결공을 상향관통하여 지지부재(200)의 하면 좌·우단부에 고정되는 승강관체(302)와, 상기 체결공의 하면에 걸어지게 승강관체의 하단 외주에 빙둘러 돌출되는 걸림부(312)와, 하단은 하외측부(114)의 내부 바닥에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 좌·우단부에 각각 접지되게 고정관체(301)와 승강관체(302)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승강관체와 지지부재를 함께 상승시켜 주게 되는 코일스프링(3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ush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portion through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고정관체(301)와 승강관체(302)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승강관체가 완전히 상승하였을 때 그 하단의 걸림부(312)가 체결공(112)의 하면에 걸어지게 됨과 동시에 하단의 내면이 고정관체(301)의 상단 외면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관체와 승강관체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승강작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In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tube body is completely raised by the elasticity of the
이때, 승강관체(302)와 함께 상승한 지지부재(200)의 상면은 상외측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승강관체의 상단 사이의 길이에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를 합친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팔레트(100)에는 상승한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면 사이의 규격에 대응하여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높이가 높은 화물(A)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반대로 지지부재(20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팔레트(100)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기 위해 적층을 하면, 그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200)가 코일스프링(31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관체(302)가 함께 하강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이 상외측부(111)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게 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규격보다 큰 화물(A)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if the
도 8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를 발췌 분리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일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a,b는 도 8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의 각기 다른 사용예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ed and enlarged extension of a lifting ty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and enlarged portion of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excerpts and enlarged examples of each different use of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측단면이 대략 ""형태로 되며 팔레트(100)의 좌우 또는 전후의 프레임부재(110)들 상외측부(111)에 수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밀어 상승시켜주는 푸쉬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2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 A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푸쉬수단(300)이 지지부재(200)를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높게 상승시켜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화물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ush means 300 elevates the
다만, 푸쉬수단(300)이 하단을 프레임부재(110)의 하외측부(114) 상면에 천공되는 결속공(115)을 통해 상기 하외측부의 내부로 삽입하여 바닥에 밀착되게 결속하는 고정로드(331)와, 상단을 상외측부(111)의 하면에 천공된 체결공(112)을 상향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어 지지부재(200)의 하면 좌·우단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33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쇼크업소버 바람직하게는 가스쇼크업소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push means 300 inserts the lower end into the lower outer portion through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지지장치는, 승강실린더(332)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승강실린더가 완전히 상승하였을 때 그 하단부는 체결공(11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실린더와 고정로드(331)는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승강작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In the eleva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vating cylinder is completely rais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gas filled in the elevating
이때, 승강실린더(332)와 함께 상승한 지지부재(200)의 상면은 상외측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단 사이의 길이에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를 합친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팔레트(100)에는 상승한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면 사이의 규격에 대응하여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높이가 높은 화물(A)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반대로 지지부재(20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팔레트(100)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기 위해 적층을 하면, 그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200)가 승강실린더(332)를 하강시키므로 그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가 압축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이 상외측부(111)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놓이게 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규격보다 큰 화물(A)을 적재하거나 상기 팔레트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if the
한편, 푸쉬수단(300)으로 사용되는 가스쇼크업소버의 내부에 충전되는 가스의 팽착력은, 스스로 지지부재(200)를 밀어올려 상승시켜 주는 정도로 강하게 하는 것 보다는 상기 지지부재를 인위적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하강시켜 줄 수 있는 정도의 저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force of the gas filled in the gas shock absorber used as the push means 300 artificially increases the force of the support member rather than strengthening it to the extent that it pushes up the
따라서, 저압으로 하는 경우에 지지부재(200)를 상승시켜 줄 때에는 인위적으로 지지부재(200)를 들어올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를 잡아서 들어올리는 것 보다는 지지부재의 중간 또는 좌·우단부에 손잡이(201)를 부설하여 들어올리게 한다.Therefore, when raising the
한편, 상기에서는 푸쉬수단(300)이 지지부재(200)의 하면 좌·우단부에 위치하게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팔레트(100)의 규격이 커짐에 따라 중간부에도 더 설치하는 등 그 개수를 증가하여도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push means 300 is installed o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는,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 등에 구애됨이 없이 적재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팔레트의 규격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등의 장점도 있다.The elevating support device of the loaded cargo for the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ensure that the loading state is always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loaded cargo, so that the cargo can be safely moved or transported. At the same time,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allowing it to be used to load cargo that is larger than the standard of the pallet if necessary.
100 ; 팔레트 110 : 프레임부재
112 : 체결공 113 : 걸이편
115 : 결속공 200 ; 승강부재
210 : 몸체부 220 : 걸림부
230 : 결합공 300 ; 푸쉬수단
301 : 고정관체 302 : 승강관체
310 : 코일스프링 312 : 걸림부
320 : 지지볼트 330 : 지지관체
331 : 고정로드 332 : 실린더100 ; Pallet 110: Frame member
112: fastening hole 113: hook piece
115: binding
210: body 220: hooking part
230:
301: fixed tube body 302: elevating tube body
310: coil spring 312: locking part
320: support bolt 330: support pipe
331: fixed rod 332: cylinder
Claims (5)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상외측부(111)의 하면 길이방향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체결공(112)과, 상기 상외측부(111)의 폭방향 전·후면들 내면 상측부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00)는,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상외측부(111)에 결합하면 걸이편(113)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210)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20)과, 상기 체결공(112)에 대응하게 몸체부(210)의 하면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좌·우의 결합공(230)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구성되고;
상기 푸쉬수단(300)은, 상기 결합공(230)을 통해 몸체부(210)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00)를 상승시켜주는 코일스프링(310)과, 단부가 상기 코일스프링(310)의 중앙과 결합공(230)을 관통하여 결합공(23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체결공(112)에 체결하는 지지볼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A second support member orthogon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 upper plat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orthogon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rranged at left and right intervals,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110 and the frame member 110 having upper and lower outer portions 111 and 114 ) The pallet 100 having a corner member coupled to the four corners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 and a push means (300)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s (110) to push and lift the support member (200).
The frame member 110 includes a fastening hole 112 punch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outer parts 111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ok piece 113 protruding to face;
The support member 200, the body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10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113 when coupled to the upper and outer portion 111. A side cross-section including a locking piece 220 protruding horizontally at the bottom and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230 punch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210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 112. " "consisting of being in the form;
The push means 300 includes a coil spring 310 inserted into the body 210 through the coupling hole 230 to raise the support member 200 , and an end of the coil spring 310 is at the center And through the coupling hole 230 to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coupling hole 230 of the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bolt 320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2 Elevating support device.
상기 푸쉬수단(300)은, 내경이 상기 결합공(230)의 지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결합공(2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몸체부(210)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230)을 통해 몸체부(210)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310)이 수용되는 지지관체(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sh means 300,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23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210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upling hole 230, the coupling hole 230 Elevating support of the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ipe body 330 in which the coil spring 310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0 is accommodated.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상외측부(111)의 하면 길이방향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체결공(112)과, 상기 상외측부(111)의 폭방향 전·후면들 내면 상측부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00)는,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상외측부(111)에 결합하면 걸이편(113)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210)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20)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구성되고;
상기 푸쉬수단(300)은, 하단은 상기 하외측부(114)에 결속되며 상단은 체결공(112)을 상향관통하여 상외측부(111)의 상부로 노출되는 고정관체(301)와, 내경은 상기 고정관체(301)의 외면 지름에 대응하고 외경은 체결공(112)의 내면 지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내부로 고정관체(301)가 삽입되게 형성되며 상단은 체결공(112)을 상향관통하여 지지부재(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승강관체(302)와, 상기 체결공(112)의 하면에 걸어지게 승강관체(302)의 하단 외주에 빙둘러 돌출되는 걸림부(312)와, 하단은 상기 하외측부(114)에 상단은 지지부재(200)의 하면에 각각 접지되게 고정관체(301)와 승강관체(302)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승강관체(302)와 지지부재(200)를 상승시켜 주는 코일스프링(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A second support member orthogon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 upper plat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orthogon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rranged at left and right intervals,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110 and the frame member 110 having upper and lower outer portions 111 and 114 ) The pallet 100 having a corner member coupled to the four corners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 and a push means (300)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s (110) to push and lift the support member (200).
The frame member 110 includes a fastening hole 112 punch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outer parts 111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ok piece 113 that protrudes to face:
The support member 200, the body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10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113 when coupled to the upper and outer portion 111. The side section including the hooking piece 220 protruding horizontally at the bottom is " "consisting of being in the form;
The push means 300 has a fixed tube body 301 whose lower end is bound to the lower outer portion 114 and the upper end penetrates upwar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2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outer portion 111, and the inner diameter i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tube body 301 and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112, the fixed tube body 30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112 upward. The elevating pipe body 302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mber 200, the engaging portion 312 protruding around the lower periphery of the elevating pipe body 302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112, and the lower end is the The upper end of the lower outer part 114 is mounted across the inside of the fixed tube body 301 and the lifting tube body 302 to be grou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respectively, and the lifting tube body 302 and the support member 200 are raised. Elevating support device of the loaded cargo for the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 spring (310) to make it.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상외측부(111)의 하면 길이방향 좌·우단부에 천공되는 체결공(112)과, 상기 상외측부(111)의 폭방향 전·후면들 내면 상측부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13) 및 상기 하외측부(114)의 상면에 천공되는 결속공(1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00)는, 4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상외측부(111)에 결합하면 걸이편(113)의 하면에 걸어지게 몸체부(210)의 전·후면 하단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20)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형태로 되게 구성되고;
상기 푸쉬수단(300)은, 하단이 상기 결속공(115)을 통해 하외측부(1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에 결속되는 고정로드(331)와, 상단이 체결공(112)을 상향관통하여 상외측부(111)의 상부로 노출되어 지지부재(200)의 하면 좌·우단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332)를 포함하여 가스쇼크업소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용 적재된 화물의 승강식 지지장치.A second support member orthogon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 upper plat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orthogon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rranged at left and right intervals,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r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frame members 110 and the frame member 110 having upper and lower outer portions 111 and 114 ) The pallet 100 having a corner member coupled to the four corners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 and a push means (300)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s (110) to push and lift the support member (200).
The frame member 110 includes a fastening hole 112 punch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outer part 111 ,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outer parts 111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ok piece 113 protruding to face and a binding hole 115 punch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outer side portion 114:
The support member 200, the body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10 to be hu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iece 113 when coupled to the upper and outer portion 111. The side section including the hooking piece 220 protruding horizontally at the bottom is " "consisting of being in the form;
The push means 300 has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portion 114 through the binding hole 115 and a fixed rod 331 bound to the floor, and the upper end penetrates upwar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2 ,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gas shock absorber, including a lifting cylinder 332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outer part 111 and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pport member 200 Elevating suppor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4006A KR102372781B1 (en) | 2020-05-28 | 2020-05-28 |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
JP2021084512A JP7211598B2 (en) | 2020-05-20 | 2021-05-19 | Loaded cargo support device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4006A KR102372781B1 (en) | 2020-05-28 | 2020-05-28 |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7188A KR20210147188A (en) | 2021-12-07 |
KR102372781B1 true KR102372781B1 (en) | 2022-03-10 |
Family
ID=7886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4006A Active KR102372781B1 (en) | 2020-05-20 | 2020-05-28 |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278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609356D0 (en) * | 1986-04-17 | 1986-05-21 | Westland Plc | Automated transportation system |
JPH0595831U (en) * | 1992-06-02 | 1993-12-27 | 村田機械株式会社 | Pallet for rolled goods |
JP3066324U (en) * | 1999-08-03 | 2000-02-18 | 日鐵商事株式會社 | Pallets for transporting goods |
KR20140112975A (en) * | 2013-03-15 | 2014-09-24 | (주)알포터 | Partially replaceable pallet |
-
2020
- 2020-05-28 KR KR1020200064006A patent/KR10237278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7188A (en) | 202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705424B2 (en) | Pallet rack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tems on a pallet rack system - Patents.com | |
US4841880A (en) | Skeleton four-way pallet | |
CN205675401U (en) | Pallet Rack System | |
US9032884B2 (en) | Pallet | |
KR102372781B1 (en) | Elevated support unit for loaded cargo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 | |
US2916152A (en) | Shipping rack for wire coils | |
US5201427A (en) | Rack for stacking and maintaining stacked articles under compression | |
US20180141705A1 (en) | Pallet for carrying goods | |
KR101448219B1 (en) | Assembly of Extensible Boom with High Strength for Ladder Truck | |
CN112061449A (en) | Goods shelf for container and container goods loading method | |
KR200490368Y1 (en) | Safety palate for freight transport | |
KR102386197B1 (en) | A support device for cargo loaded onto a prefabricated aluminum palette | |
JP7211598B2 (en) | Loaded cargo support device for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 |
KR102386199B1 (en) | Device for supporting cargo on prefabricated aluminum pallets | |
KR200493804Y1 (en) | Pipe for reinforcing support device for vertical wall | |
US10676238B2 (en) | Anti-sagging devices and assemblies for racking pallets | |
KR102734001B1 (en) | Support for pallet | |
CN217805902U (en) | Recyclable metal tray for composite material pultrusion plate transportation | |
JP2007320572A (en) | Pallet | |
EP2927147B1 (en) |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big-bag | |
JP3242970U (en) | nesting rack | |
CN221795699U (en) | Vehicle transport rack for container and container | |
JP7361768B2 (en) | container construct | |
JP3245169U (en) | Nesting racks and long structures for storage that combine nesting racks | |
KR200157554Y1 (en) | Pal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