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2503B1 -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 Google Patents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03B1
KR102372503B1 KR1020210007284A KR20210007284A KR102372503B1 KR 102372503 B1 KR102372503 B1 KR 102372503B1 KR 1020210007284 A KR1020210007284 A KR 1020210007284A KR 20210007284 A KR20210007284 A KR 20210007284A KR 102372503 B1 KR102372503 B1 KR 10237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gnature
app
mobile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061A (ko
Inventor
어준선
송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to US17/153,9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12233B1/en
Priority to EP21743671.6A priority patent/EP4094173A4/en
Priority to PCT/KR2021/000828 priority patent/WO2021150032A1/en
Priority to KR1020210084363A priority patent/KR20210095093A/ko
Publication of KR2021009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72Signcrypting, i.e. digital signing and encrypt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명확인값을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암호화한 서명과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응답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검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METHOD FOR PROVIDING AUTHENTIFICATION SERVICE BY USING DECENTRALIZED IDENTITY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관리하고 불법적인 활동을 감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술로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 조합을 이용하는 단일 요소 인증 방식, 카드 및 비밀번호 등과 같이 2가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이중 요소 인증 방식, 양측 간에 공유되고 있는 비밀키를 이용하는 공유 비밀키 방식, 및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여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용자 정보가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소유하고 있는 서버가 많아질수록 서버 해킹에 의한 사용자 정보 유출 위험도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가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 있어서 사용자 정보 제공에 대한 이력 관리가 어렵고, 사용자 정보의 변경시 여러 서버에서 일일이 변경해야 하며, 사용자 아이디 도용에 대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각각의 서버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별도로 모두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각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에 가입 시마다 사용자 정보를 반복해서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서버를 이용한 중앙집중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을 사용하여 다수의 참가자가 일련의 동기화된 원장을 공동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해킹 등에 의한 위험성이 없으나 분산원장의 데이터들이 모든 참가자들에게 공개되므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개인 정보를 암호화, 일 예로, 개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분산원장에 등록하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에도,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아이디를 발급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아이디의 발급 없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별도의 정보 요청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타 단말 -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을 통해 전송되면,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되, 상기 DID 앱이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전송한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면,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i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폴링을 통해 상기 DID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만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주거나,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DID 인증 서버에 있어서,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DID 앱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타 단말 -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되, 상기 DID 앱이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전송한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DID 인증 서버에 있어서,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DID 앱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면,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i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폴링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만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주거나,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아이디의 발급 없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별도의 정보 요청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DID 인증 서버(100)는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110)와 메모리(11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ID 인증 서버(1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스,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 세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 데이터그램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D 인증 서버(100)를 기반으로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모르는 상태에서 DID 인증 서버(100)가 DID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사용자는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DID 앱(10)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DID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의 DID 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DID를 생성하여 주며, 사용자의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DID,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사용자 DID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의 사용자 DID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VC(verifiable credential)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블록체인 노드들에 의해 분산 원장을 공유하며, 블록체인 노드들에 의한 분산 합의에 의해 검증된 트랜잭션들을 블록으로 구성하여 분산 원장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자 DID가 생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타 단말(20)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응되는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사용자가 사용자 DID가 필요한 가입 서비스, 인증 서비스, 거래 서비스 등과 같은 DID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타 단말(20)은 사용자가 선택한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S1)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타 단말(20)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단말이며,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모바일 단말, PC(personal computer), 랩탑, 태블릿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타 단말(20)로부터의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알지 못하므로 사용자 DID 없이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S2)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서명확인값은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매번 다르게 하기 위하여 불규칙하게 생성한 값으로, 논스(nonce),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규칙하게 생성된 임의의 값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DID를 알지 못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사용자 타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DID 서비스가 회원가입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이름, 전화번호 등과 같이 요구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서명확인값과 동시에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을 전송할 때,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사용하여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 타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서명확인값이 DID 인증 서버(100)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S3)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DID 인증 서버(100)는 DID 인증 웹 페이지를 통해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S4)하여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S5)하여 사용자 타 단말(20)이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을 통해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을 이용하여 사용자 타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S6)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QR 코드를 해석하여 서명확인값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확인값을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을 생성(S7)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DID 인증 서버(100)로 전송(S8)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DID 인증 서버(100)의 사용자 서명 유효성 확인 작업을 위해 서명확인값을 추가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QR 코드를 해석한 결과, 서명확인값 이외에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에 더하여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추가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로부터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퍼블릭 키를 요청(S9)하여 리졸버 서버(4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요청(S10)하여 획득(S11)하면, 리졸버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S12)할 수 있다.
이어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을 복호화하여 획득한 서명확인값과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사용자 서명과 함께 전송받은 서명확인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S13)하고,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S14)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타 단말(20)로 제공(S15)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어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D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DID 인증 서버(1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지만,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ID 인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여,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한 다음,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타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타 단말(20)로부터의 DID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명확인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DID 인증 서버(100)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D 인증 서버(100)를 기반으로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다른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한 설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모르는 상태에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나, 이하의 도 3을 참조한 방법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DID를 알고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사용자 타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로그인하거나 사용자 DID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DID 앱(10)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DID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의 DID 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DID를 생성하여 주며, 사용자의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자 DID가 생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타 단말(20)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응되는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사용자가 사용자 DID가 필요한 가입 서비스, 인증 서비스, 거래 서비스 등과 같은 DID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타 단말(20)은 사용자가 선택한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S21)할 수 있다.
사용자 타 단말(20)로부터의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을 생성하고, 사용자 타 단말(20)로 서명확인값과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전송(S22)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DID 서비스가 회원가입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이름, 전화번호 등과 같이 요구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서명확인값과 동시에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과 사용자 DID를 전송할 때,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사용하여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 타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서명확인값과 사용자 DID가 DID 인증 서버(100)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S23)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DID 인증 서버(100)는 DID 인증 웹 페이지를 통해 푸쉬로 전달되는 사용자 DID와 서명확인값을 획득한 후,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 전송(S24)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이 DID 인증 웹 페이지의 푸쉬를 통해 DID와 서명확인값을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DID 인증 서버(100)는 DID 인증 웹 페이지를 통해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타 단말(20)로 전송하여 사용자 타 단말이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을 통해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을 이용하여 사용자 타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QR 코드를 해석하여 서명확인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의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확인값을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을 생성(S25)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DID 인증 서버(100)로 전송(S26)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DID 인증 서버(100)의 사용자 서명 유효성 확인 작업을 위해 서명확인값을 추가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서명확인값 이외에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에 더하여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추가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퍼블릭 키를 요청(S27)하여 리졸버 서버(4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요청(S28)하여 획득(S29)하면, 리졸버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S30)할 수 있다.
이어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을 복호화하여 획득한 서명확인값과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사용자 서명과 함께 전송받은 서명확인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S31)하고,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S32)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타 단말(20)로 제공(S33)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어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D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DID 인증 서버(1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지만,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ID 인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여,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한 다음,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타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타 단말(20)로부터의 DID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한 서명확인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DID 인증 서버(100)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D 인증 서버(100)를 기반으로 DID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또 다른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 및 도 3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사용자가 사용자 타 단말 대신에 사용자가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DID 서비스를 요청할 때, DID 인증 서버(100)가 DID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사용자는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DID 앱(10)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DID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의 DID 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DID를 생성하여 주며, 사용자의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DID,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사용자 DID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의 사용자 DID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VC(verifiable credential)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블록체인 노드들에 의해 분산 원장을 공유하며, 블록체인 노드들에 의한 분산 합의에 의해 검증된 트랜잭션들을 블록으로 구성하여 분산 원장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자 DID가 생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응되는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사용자가 사용자 DID가 필요한 가입 서비스, 인증 서비스, 거래 서비스 등과 같은 DID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은 사용자가 선택한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S41)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부터의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을 생성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서명확인값을 전송(S42)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명확인값만을 전송하거나,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DID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DID 서비스가 회원가입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이름, 전화번호 등과 같이 요구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서명확인값과 동시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는 URL 스킴(scheme)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서명확인값을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 전송(S43)하여 줄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의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확인값을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을 생성(S44)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DID 인증 서버(100)로 전송(S45)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서명확인값 이외에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에 더하여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DID 인증 서버(100)의 사용자 서명 유효성 확인 작업을 위해 서명확인값을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은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추가하여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퍼블릭 키를 요청(S46)하여 리졸버 서버(4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요청(S47)하여 획득(S48)하면, 리졸버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S49)할 수 있다.
이어서,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을 복호화하여 획득한 서명확인값과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사용자 서명과 함께 전송받은 서명확인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S50)하고,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S51)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제공(S52)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어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D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DID 인증 서버(1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지만,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ID 인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40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부터 퍼블릭 키를 획득하여,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한 다음,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ID 인증 서버(1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할 때, DID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DID 인증 서버(100)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통해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나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10)으로 하여금 서명 확인값과 사용자 DID를 DID 인증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하여금 HTTP 폴링을 통해 DID 인증 서버(100)로부터 서명 확인값과 사용자 DID나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전송방법 외에도, 사용자 모바일 DID 앱(10)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바로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전송할 때는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URL 스킴(scheme)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전송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11)으로 하여금 사용자 서명과 사용자 DID를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DID 앱,
11: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서비스 웹 페이지나 서비스 앱,
20: 사용자 타 단말,
100: DID 인증 서버,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200: 블록체인 네트워크,
300: 서비스 제공 서버,
400: 리졸버 서버

Claims (30)

  1.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타 단말 -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을 통해 전송되면,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되, 상기 DID 앱이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전송한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면, DID 인증 서버가,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DID 인증 서버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i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DID 인증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폴링을 통해 상기 DID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ID 인증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만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주거나,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DID 인증 서버에 있어서,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DID 앱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타 단말 -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는 다른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DID 인증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확인값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여 주되, 상기 DID 앱이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에 대한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타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명확인값이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타 단말에 전송한 경우,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타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서명확인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전송되면,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4.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DID 인증 서버에 있어서,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DID 앱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서비스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 DID를 등록한 DID 앱이 설치된 단말임 - 로부터의 DID 서비스에 대한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서명확인값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상기 서명확인값을 전송하면,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가 수신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한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퍼블릭 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퍼블릭 키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검증하도록 한 다음, 상기 DID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DID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DID 인증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DID 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DID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서명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가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상기 서명확인값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와 함께 VC(verifiable credential) 또는 VP(verifiable presentation)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HTTP 폴링(Polling)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DID 인증 웹 페이지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DID 인증 웹 페이지의 HTTP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URL 스킴(sche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iii)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상기 DID 앱으로 하여금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HTTP 폴링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서명 확인값과 상기 사용자 DID나 상기 사용자 서명과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생성한 상기 서명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HTTP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명확인값만을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여 주거나, 상기 서명확인값과 함께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인증 서버.
KR1020210007284A 2020-01-22 2021-01-19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Active KR10237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53,926 US11012233B1 (en) 2020-01-22 2021-01-21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service by using decentralized identity and server using the same
EP21743671.6A EP4094173A4 (en) 2020-01-22 2021-01-21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SERVICE USING DECENTRALIZED IDENTITY AND SERVERS THEREFOR
PCT/KR2021/000828 WO2021150032A1 (en) 2020-01-22 2021-01-21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service by using decentralized identity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0210084363A KR20210095093A (ko) 2020-01-22 2021-06-28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8950 2020-01-22
KR1020200008950 2020-0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363A Division KR20210095093A (ko) 2020-01-22 2021-06-28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061A KR20210095061A (ko) 2021-07-30
KR102372503B1 true KR102372503B1 (ko) 2022-03-11

Family

ID=7714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84A Active KR102372503B1 (ko) 2020-01-22 2021-01-19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265B1 (ko) * 2021-09-06 2023-08-2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주행 환경에서 블록체인 및 관제서버 기반의 차량간 메시지 전송방법
KR102612463B1 (ko) * 2021-11-24 2023-12-11 (주)드림시큐리티 분산 id 기반 검증 크리덴셜 관리 및 디바이스 검증 방법 및 장치
KR20230099049A (ko) * 2021-12-27 2023-07-04 (주)이스톰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CN115987499B (zh) * 2022-12-20 2024-08-02 蚂蚁区块链科技(上海)有限公司 生成用户的私钥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292B1 (ko) * 2018-03-30 2021-02-1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061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5093A (ko)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CN110537346B (zh) 安全去中心化域名系统
US10541991B2 (en) Method for OAuth service through blockchain network, and termi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372503B1 (ko)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EP23513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token-based authentication
KR102177848B1 (ko) 액세스 요청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9237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2009510644A (ja) 安全な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構成
WO2018021708A1 (ko) 공개키 기반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04270338A (zh) 一种电子身份注册及认证登录的方法及其系统
KR10225208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4960738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CN111275419A (zh) 一种区块链钱包签名确权方法、装置及系统
KR102160892B1 (ko) 공개키 기반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6240102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鍵管理装置、認証鍵管理方法および認証鍵管理プログラム
KR102062851B1 (ko) 토큰 관리 데몬을 이용한 싱글 사인 온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284876B1 (ko) 생체 인식 기반의 통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18556B1 (ko)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6714551B2 (ja) 認証鍵共有システム及び端末間鍵コピー方法
CN114500074B (zh) 单点系统安全访问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20190114421A (ko)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90114424A (ko)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09936522B (zh) 设备认证方法及设备认证系统
KR20200062098A (ko)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11277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