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2483B1 -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 Google Patents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83B1
KR102372483B1 KR1020210154226A KR20210154226A KR102372483B1 KR 102372483 B1 KR102372483 B1 KR 102372483B1 KR 1020210154226 A KR1020210154226 A KR 1020210154226A KR 20210154226 A KR20210154226 A KR 20210154226A KR 102372483 B1 KR102372483 B1 KR 10237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osed
flow path
safety helmet
portable safe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규
Original Assignee
전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규 filed Critical 전병규
Priority to KR102021015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83B1/ko
Priority to PCT/KR2022/006450 priority patent/WO202308553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4Adjusta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로 형성되며, 내면이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턱끈;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 에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제1 에어주입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판은 상기 바디의 노출된 외면에 서로 갭을 두고 부착되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Inflatable potable helmet}
본 발명은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에어를 주입하거나 빼내어 부피를 변경시킬 수 있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스키, 자전거, 래프팅,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오토바이 등과 같은 레포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대응하여 반구 형상을 갖는 바디와, 바디에 결합되는 턱끈을 포함한다. 바디는 연질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한다.
바디는 착용자의 후두부뿐만 아니라 측두부도 감싸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안전모는 탈착 후, 휴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바디의 경우, 외부충격이 반복되면, 바디가 파손되고, 바디의 완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42000호(2001.07.12)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튜브 형태의 안전모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모는 에어를 빼내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나, 외피가 연질이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날카로운 물건에 안전모가 찢어질 위험이 매우 크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42000호(2001.07.12)
본 발명은, 탈착 후, 부피를 크게 줄여,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외력에 대해 강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로 형성되며, 내면이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턱끈과,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 에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제1 에어주입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판은 상기 바디의 노출된 외면에 서로 갭을 두고 부착되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에어유로에 배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에어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내벽에 배치되는 도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필름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전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에어유로와 구획되는 제2 에어유로와 상기 제2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제2 에어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오목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되, 확장시 복원력을 갖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에어유로로 유입되는 에어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에어유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성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복수개의 LE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LED모듈의 조사방향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판은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이며, 상기 갭은 상기 보강판의 폭의 1/10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 주름부와 제2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름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주름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조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임부재와 상기 제2 조임부재는 각각 신축 가능한 끈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주름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 일체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어유로와 연통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에어유로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튜브 형태의 연질의 바디에서 에어를 빼내, 접거나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바디의 노출된 외면에 복수 개의 보강판이 갭을 두고 배치되어, 외부 충격에도 연질의 바디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바디와 보강판을 투명소재로 형성하고, 바디의 내부에 발광부를 구비하여,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발광부의 복수의 LED모듈의 조사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어, 바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후면부에 밴드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두상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디의 크기를 조절하되, 제2 에어유로에 에어를 주입함에 따라 밴드의 복원력을 조절하여, 바디의 크기를 보다 넓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과도하게 밴드가 착용자의 머리를 조이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평면도로서, 내부에 주입된 에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것으로 보강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연결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돌출부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는, 튜브 형태의 바디(100)와, 바디(100)에 연결되는 턱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를 유지한다. 바디(100)는 합성고무, 폴리에테르, 및 강화폴리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의 내부에 에어가 차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하여 완충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바디(100)의 내부에서 에어가 빠지면, 바디(100)가 수축한다. 수축된 바디(100)는 부피가 크게 줄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디(100)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더욱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와 복수 개의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10)는 착용 시, 착용자의 전두를 덮는 부분이다. 후면부(120)는 착용 시, 착용자의 후두를 덮는 부분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연결부(13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를 연결한다. 연결부(130)는 착용 시, 착용자의 머리의 측두와 정수리 부위를 덮는 부분이다.
복수 개의 연결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착용자의 머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통기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턱끈(200)은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평면도로서, 내부에 주입된 에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것으로 보강판(3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연결부(130)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0)는 내부에 제1 에어유로(101)와, 제1 에어유로(101)와 연통되는 제1 에어주입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유로(101)는 바디(10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에어주입구(103)는 후면부(1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에어주입구(103)로 에어가 주입되면, 주입된 에어는 후면부(120)를 걸쳐 복수 개의 연결부(130)에 공급된다. 연결부(130)에 공급된 에어는 전면부(110)에 공급된다.
바디(10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한 외부 충격에 쉽게 훼손될 수 있다. 특히, 날카로운 물건에 바디(100)가 찢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작은 보강판(300)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보강판(300)은, 착용 시, 노출되는 바디(100)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보강판(300)은 접착제를 통해 바디(1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보강판(300)은 서로 일정한 갭(G)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보강판(300)과 보강판(300) 사이의 갭(G)의 크기(W2)는 보강판(300)의 폭(W1)의 1/10이하일 수 있다. 보강판(300)과 보강판(300) 사이에 이처럼 갭(G)이 있기 때문에, 바디(100)에서 공기를 뺀 상태에서, 바디(100)를 접을 때, 보강판(300)이 방해가 되지 않고, 바디(10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300)은 바디(100)의 외면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보강판(300)은 외부 충격에도 안전하게 버틸수 있도록 충분한 경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300)은 정사각형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정사각형의 보강판(300)은 갭(G)을 최소화하여, 바디(100)의 보호영역을 최대한 넓히면서도, 바디(10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강판(300)을 평평한 판상부재로 예시하였으나, 바디(100)의 굴곡진 부분에는 곡면을 포함하는 보강판(3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보강판(300) 중, 외부 충격에 취약한 연결부(130)의 보강판(300)의 두께를 전면부(110)나 후면부(120)에 배치된 보강판(3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내측면에는 내피(106)가 부착될 수 있다. 내피(106)는 착용자의 머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의 돌출부(122)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디(100)는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바디(10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면부(120)는 오목부(121)와, 오목부(121)를 걸쳐 배치되는 탄성밴드(500)와, 오목부(121)에 배치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21)는 후면부(12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돌출부(122)는 오목부(121)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122)는 바디(1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122)의 내부에는 제2 에어유로(1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어유로(102)는 제1 에어유로(101)와 구획되는 바디(100)의 내부공간이다. 그리고 돌출부(122)는 제2 에어유로(102)와 연통하는 제2 에어주입구(104)를 포함한다. 탄성밴드(500)는 오목부(121)의 일측에서 돌출부(122)를 관통하여 오목부(121)의 타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탄성밴드(500)는 제2 에어유로(10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오목부(121)의 일측과 돌출부(122) 사이에 탄성밴드(500)의 일부가 배치되고, 오목부(121)의 타측과 돌출부(122) 사이에 탄성밴드(500)의 일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돌출부(122)의 내부에 탄성밴드(500)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밴드(500)는 확장 시 복원력을 갖는 부재이다.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때, 탄성밴드(50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돌출부(122)와 제2 에어유로(102)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돌출부(122)는 탄성밴드(500)로 인하여, 주름진 상태로 수축되어 있다.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대응하여, 탄성밴드(500)가 확장될 수 있다. 탄성밴드(500)가 확장되면, 탄성밴드(50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바디(100)가 착용자의 머리를 조여, 바디(100)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의 밀착감을 높일 수 있다.
착용자의 머리, 특히, 착용자의 머리의 측두가 바디(100)의 크기 보다 많이 큰 경우에도, 탄성밴드(500)가 확장되기 때문에, 착모가 가능하나, 탄성밴드(500)가 착용자의 머리를 조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에어주입구(104)를 통해, 제2 에어유로(102)에 공기를 주입하면, 돌출부(122)가 확장된다. 돌출부(122)가 확장되면서, 돌출부(122)의 외부에 배치된 탄성밴드(50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2 에어유로(102)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밴드(500A)만을 확장 시킨다. 이처럼, 돌출부(122)가 확장하면, 후면부(120)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디(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에 대응하여, 바디(100)의 크기를 늘리지만, 돌출부(122)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밴드(500)의 복원력은 제2 에어유로(102)의 내부의 공압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밴드(500)가 늘어남에 따라 착용자의 머리를 조이는 힘을 크게 경감하여, 착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0)는 제1 주름부(107)와 제2 주름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름부(107)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임부재(600)가 배치된다. 제2 주름부(108)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조임부재(700)가 배치된다. 제1 조임부재(600)와 제2 조임부재(700)는 각각 신축 가능한 끈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주름부(108)는 제1 주름부(107)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주름부(107)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가 가볍기 때문에, 착용 중, 바람에 의해 바디(100)가 사용자의 머리에서 벗겨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조임부재(600)와 제2 조임부재(700)는 바디(100)와 착용자의 머리의 밀착성과 안착성을 높이고 이를 조절하여, 안전모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된 발광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디(100)는 내부에 발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0)에서 조사된 빛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야간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발광부(400)는, LED모듈(410)과, LED모듈(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30)와, 제어부(430)와 LED모듈(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20)는 탈착 가능한 배터리, 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자가 충전하는 자가충전모듈일 수 있다.
LED모듈(410)에서 조사된 빛이 바디(100)의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바디(100) 및 보강판(300)은 각각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에어유로(101)를 형성하는 바디(100)의 내면에는 도광필름(105)이 부착될 수 있다. 전면부(110)의 내면, 후면부(120)의 내면 및 연결부(13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도광필름(105)이 부착된다.
LED모듈(410)에서 조사된 빛은 도광필름(105)에서 그 일부가 반사되어 진행될 수 있다. 발광부(400)는 바디(100)의 후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후면부(120) 측에서 조사된 빛은 도광필름(105)에 반사되어 연결부(130) 및 전면부(110)로 전달되어, 바디(100)의 전영역으로 빛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발광부(400)가 후면에 배치되지만, 발광부(400)에 조사된 빛이 도광필름(105)을 통해 바디(100)의 전영역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안전모의 야간시인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바디(100)의 측면부에는 발광부(400)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는 제어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400)는 돌출부(122)와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바디(1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LED모듈(410)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LED모듈(410)은 각각의 빛의 조사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대체적으로 바디(100)의 전영역으로 빛이 확장되도록 빛의 조사방향을 다양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LED모듈(410)의 각각 조사방향이 상이하면, 바디(1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는 에어 펌프(800)를 통해 바디(10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펌프(800)는 바디(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에어 펌프(800)는 제1 에어유로(101)와 연통된다. 이러한 에어 펌프(800)는 홀(810)과 홀(810)을 덮는 캡(8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820)을 열러 홀(810)을 개방하고 제1 에어주입구(103)를 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에어 펌프(800)를 반복적으로 누르면 에어 펌프(800)를 통해 바디(10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01: 제1 에어유로
102: 제2 에어유로
103: 제1 에어주입구
104: 제2 에어주입구
105: 도광필름
110: 전면부
120: 후면부
121: 오목부
122: 돌출부
130: 연결부
200: 턱끈
300: 보강판
400: 발광부
410: LED모듈
420: 배터리
430: 제어부
440: 스위치
500: 탄성밴드
600: 제1 조임부재
700: 제2 조임부재
800: 에어 펌프

Claims (7)

  1. 전면부와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로 형성되며, 내면이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턱끈;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 에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제1 에어주입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판은 상기 바디의 노출된 외면에 서로 갭을 두고 부착되되,
    상기 후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에어유로에 배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에어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의 내벽에 배치되는 도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필름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전면부로 전달하며,
    상기 후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에어유로와 구획되는 제2 에어유로와 상기 제2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제2 에어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오목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되, 확장시 복원력을 갖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에어유로로 유입되는 에어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에어유로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이 조절되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개의 LE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LED모듈의 조사방향은 모두 상이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판은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이며,
    상기 갭은 상기 보강판의 폭의 1/10이하인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 주름부와 제2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름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주름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조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임부재와 상기 제2 조임부재는 각각 신축 가능한 끈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주름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일체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어유로와 연통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에어유로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하는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KR1020210154226A 2021-11-10 2021-11-10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Active KR10237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26A KR102372483B1 (ko) 2021-11-10 2021-11-10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PCT/KR2022/006450 WO2023085539A1 (ko) 2021-11-10 2022-05-06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26A KR102372483B1 (ko) 2021-11-10 2021-11-10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483B1 true KR102372483B1 (ko) 2022-03-08

Family

ID=8081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226A Active KR102372483B1 (ko) 2021-11-10 2021-11-10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2483B1 (ko)
WO (1) WO20230855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539A1 (ko) * 2021-11-10 2023-05-19 전병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KR20240128366A (ko) 2023-02-17 2024-08-26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접이식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000A (ko) 1998-03-18 2001-05-25 조셉 제이. 스위니 기판 온도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7023459A (ja) * 2005-07-13 2007-02-01 Tanizawa Seisakusho Ltd 発光性ヘルメット
KR101996761B1 (ko) * 2018-10-23 2019-07-04 안이도 휴대용 헬멧
KR20210108071A (ko) * 2020-02-25 2021-09-02 김재욱 공기주입식 휴대용 안전헬멧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909A (ja) * 1997-12-26 1999-07-13 Hatsuo Fujiwara エアバッグ付きヘルメットと、このヘルメットに使用できるエアバッグ
KR20110009405U (ko) * 2010-03-29 2011-10-06 정수진 자외선 차단용 복면
KR102372483B1 (ko) * 2021-11-10 2022-03-08 전병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000A (ko) 1998-03-18 2001-05-25 조셉 제이. 스위니 기판 온도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7023459A (ja) * 2005-07-13 2007-02-01 Tanizawa Seisakusho Ltd 発光性ヘルメット
KR101996761B1 (ko) * 2018-10-23 2019-07-04 안이도 휴대용 헬멧
KR20210108071A (ko) * 2020-02-25 2021-09-02 김재욱 공기주입식 휴대용 안전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539A1 (ko) * 2021-11-10 2023-05-19 전병규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KR20240128366A (ko) 2023-02-17 2024-08-26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접이식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539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483B1 (ko)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US6681408B2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safety helmet
US4264987A (en) Goggles
US3896496A (en) Interchangeable lens ski goggle
US3934271A (en) Protective helmet
US5014365A (en) Gas-fitted protective helmet
US5129109A (en) Swim goggles with inflatable air gasket seal
US3590388A (en) Athletic helmet
US20190216157A1 (en) Protective helmet
KR100323188B1 (ko) 풀페이스형 헬멧
US3710393A (en) Headgear
US3934290A (en) Swimming system
US11812809B2 (en) Helmet with extended portions configured to protect squamous temporal bones of a wearer
US3394406A (en) Waterproof bathing cap
US20030200598A1 (en) Helmet pack
JPH0314605A (ja) 防護着
CN100496651C (zh) 用于覆盖眼睛的装置
KR102197046B1 (ko) 재난 보호용 헬멧
CN209171492U (zh) 一种简易可折叠救生头盔
WO2023055983A1 (en) Helmet with extended portions configured to protect squamous temporal bones of a wearer
KR20230068096A (ko) 스마트 에어 헬멧
WO20110472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 helmet with head covering
WO2009146478A1 (en) Protective headgear
CN2909309Y (zh) 运动护目镜
GB2540143A (en) A headwea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