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397B1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rakin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2397B1 KR102372397B1 KR1020170110023A KR20170110023A KR102372397B1 KR 102372397 B1 KR102372397 B1 KR 102372397B1 KR 1020170110023 A KR1020170110023 A KR 1020170110023A KR 20170110023 A KR20170110023 A KR 20170110023A KR 102372397 B1 KR102372397 B1 KR 102372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pressure
- unit
- cylinder
- control
- flow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89—Repartition of braking force, e.g. friction braking versus regenera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의 가압에 의해 유압을 생성하는 제1실린더부와, 제1실린더부의 유압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부와, 제2실린더부에 의해 유압이 증폭되는 제3실린더부와, 제2실린더부를 전기적으로 구동시키는 전기구동부와, 제1실린더부와 제2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부와, 유압조절부와 연결되어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저장부를 포함하여, 페달 답력과 비상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ing system, wherein the first cylinder unit generates hydraulic pressure by pressing a pedal, the second cylinder unit transmit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cylinder unit, and the second cylinder unit amplifies the hydraulic pressure by the second cylinder unit. 3 cylinder unit, an electric driving unit for electrically driving the second cylinder unit,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ylinder unit and the second cylinder unit to adjust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pressure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to store hydraulic pressure Including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stably secure pedal effort and emergency braking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부스터의 오류 발생시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페달시뮬레이터가 삭제되더라도 안정적인 페달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raking system capable of smoothly braking when an error occurs in an electric booster and providing a stable pedal effort even when the pedal simulator is deleted.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동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을 감속하거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서 마찰력을 발생한다. In general, a vehicle brake system generates friction by pushing a brake pad to decelerate a driving vehicle or maintain a parked state.
한편, 회생제동은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가 제동시에 발전기 기능을 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On the other hand, regenerative braking is a technology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by charging a battery by a motor driving a vehicle functioning as a generator during braking in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이때 구동 모터의 회생제동량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과 반드시 비례하여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부족한 부분을 기존 마찰제동이 수행해야한다. 그리고, 회생제동양이 일정하지 않는 것과 같이 마찰 제동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에 비례해서 증감하는 것이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 이와 무관하게 증감을 해야 하는 능동 제동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증감은 운전자가 느끼지 못하는 변동이어야 하며 운전자는 기존 차량과 동일 또는 유사한 페달 답력을 느껴야 한다. 이것을 마찰제동의 회생제동 협조제어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regenerative braking of the driving motor does not necessarily operat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driver pressing the brake pedal, the existing friction braking has to perform the remaining insufficient part. Also, as the amount of regenerative braking is not constant, friction braking does not increase or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driver pressing the brake pedal, so in some cases, active braking that increases or decreases regardless of this is required. In addition, this increase/decrease should be a fluctuation that the driver does not feel, and the driver should feel the same or similar pedal effort as the existing vehicle. This can be called the regenerative braking cooperative control function of friction braking.
정리하면 페달 시뮬레이터를 갖지 않는 전동부스터로 이러한 회생제동 협조제어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 정의가 필요하다. In summary, in order to respond to such regenerative braking cooperative control with an electric booster that does not have a pedal simulator, the following function definition is required.
첫째, 회생제동이 수행되는 구간 내에서 변동하는 제동압(마찰제동을 발생시키는 제동압)은 운전자에 전달되어서는 안된다.First, the braking pressure (braking pressure that generates friction braking) that varies within the section where regenerative braking is performed should not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둘째, 회생제동이 수행되는 구간 내에서도 페달 시뮬레이터 없이 기존 페달 답력을 운전자에 전달해야 한다.Second, even within the section where regenerative braking is performed, the existing pedal effort must be delivered to the driver without a pedal simulator.
첫째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마스터 실린더를 가압하는 부품과 운전자가 밟는 페달과 연결된 부품 사이 일정 간극을 두어 일정 간극 구간 동안 페달력이 제동력에 기구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페달력이 1차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생성시키고 이것이 다시 제동모터와 연결된 2차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으로 전달하는 전달계에 있어서, 일정 구간(회생제동 구간)동안 1차 마스터 실린더에 유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효스트로크 구간을 의도적으로 증가시키는 설계를 한다.In order to satisfy the first condition, a certain gap is placed between the part that pressurizes the master cylinder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pedal that the driver steps on so that the pedal force is not mechanically transmitted to the braking force during a certain gap sec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driver's pedal force generate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rimary master cylinder and this is again transferred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ary master cylinder connected to the braking motor,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primary master cylinder for a certain period (regenerative braking period)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occurring, design to intentionally increase the invalid stroke section.
둘째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1차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보통의 제동장치가 갖는 페달 답력과 유사한 페달 답력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게 되면, 제동 모터(전동부스터) 오류 발생시 1차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만으로 비상제동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In order to satisfy the second con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of the primary master cylinder is increased to realize a pedal effort similar to that of a normal brake device. However, if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emergency braking only with the pressure of the primary master cylinder when a braking motor (electric booster) error occu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5845호(2011.06.16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제동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5845 (published on June 16, 2011, title of the invention: vehicle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부스터의 오류 발생시 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페달시뮬레이터가 삭제되더라도 안정적인 페달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braking device capable of smoothly braking when an error occurs in an electric booster and providing a stable pedal effort even when the pedal simulator is deleted.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페달의 가압에 의해 유압을 생성하는 제1실린더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유압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부; 상기 제2실린더부에 의해 유압이 증폭되는 제3실린더부; 상기 제2실린더부를 전기적으로 구동시키는 전기구동부; 상기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2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부; 및 상기 유압조절부와 연결되어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ak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ylinder unit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by pressing a pedal; a second cylinder unit that transmit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cylinder unit; a third cylinder part in which hydraulic pressure is amplified by the second cylinder part; an electric driving unit for electrically driving the second cylinder unit;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ylinder unit and the second cylinder unit to adjust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pressure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to store hydraulic pressure.
상기 유압조절부는 조절유로가 형성되는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조절유로로 안내하는 제1연결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부와 상기 조절유로 사이로 유압을 안내하는 제2연결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압저장부와 상기 조절유로 사이로 유압을 안내하는 저장연결부; 및 상기 조절유로에 내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저장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제공하는 조절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ydraulic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body in which a control flow path is formed;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first cylinder part to the control flow path;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between the second cylinder part and the control flow path; a storage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between the hydraulic pressure storage part and the control flow path; and a control valve part built in the control flow path and selectively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torag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상기 조절밸브부는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조절유로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연결부를 개폐하는 밸브피스톤부; 상기 조절유로에 내장되고, 상기 밸브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부; 및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피스톤부를 우회하여 유압을 안내하는 밸브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valve unit may include a valve piston unit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nnection unit while moving in the control flow path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a valve spring part built into the control passag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piston part; and a valv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ontrol bod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flow path, and guiding hydraulic pressure by bypassing the valve piston.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피스톤부는 상기 저장연결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실린더부와 상기 유압저장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not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valve piston part opens the storag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econd cylinder part and the hydraulic pressure storage part are connected.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밸브피스톤부는 이동되어 상기 저장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밸브유로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2실린더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valve piston part is moved to close the storage connection part, and the valve flow path part is opened to connect the first cylinder part and the second cylinder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제1실린더부의 스프링력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페달 답력과 비상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The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ecure the pedal effort and the emergency braking force even without increasing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cylind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유압조절부의 밸브피스톤가 이동되는 구간 동안 회생제동 협조제어가 가능하다.The brak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generative braking cooperative control while the valve piston of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mo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유압조절부가 저장연결부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유압조절부가 저장연결부를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 의한 비상제동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opens a storage connection unit in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ydraulic control unit closes the storage connection unit in the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braking force by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는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와, 제3실린더부(30)와, 전기구동부(40)와, 유압조절부(50)와, 유압저장부(6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제1실린더부(10)는 페달(100)의 가압에 의해 유압을 생성한다. 일 예로, 운전자는 제동을 위해 발로 페달(100)을 밟을 수 있고, 제1실린더부(10)는 페달(100)이 가압됨에 따라 내장된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제1실린더부(10)는 오일이 저장되는 페달관부와, 페달(100)과 연동되어 페달관부에 저장되는 오일을 가압하는 페달가압부와, 페달가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페달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복원부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제2실린더부(20)는 제1실린더부(10)의 유압을 전달한다. 일 예로,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는 유압이동유로부(200)를 통해 연결되어 유압이 이동될 수 있다. The
제3실린더부(30)는 제2실린더부(20)에 의해 유압이 증폭되고, 전기구동부(40)는 제2실린더부(20)를 전기적으로 구동시킨다. 일 예로, 제3실린더부(30)는 제2실린더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터관과, 제2실린더부(20)와 연동되어 마스터관 내부 유압을 증폭시키는 마스터실린더와, 마스터실린더를 탄성 지지하는 마스터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부(20)는 제1실린더부(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부(20)는 전기구동부(40)의 모터 구동시 스크류 결합에 의한 직선 이동으로 마스터실린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유압조절부(50)는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유압을 조절한다. 일 예로, 유압조절부(50)는 유압이동유로부(200)에 형성되어 유압 이동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The hydraulic
유압저장부(60)는 유압조절부(50)와 연결되어 유압을 저장한다. 일 예로, 유압저장부(60)는 제1실린더부(10)에 장착되고, 제1실린더부(10)에서 증폭된 유압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The hydrauli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유압조절부가 저장연결부를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유압조절부가 저장연결부를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부(50)는 조절몸체부(51)와, 제1연결부(52)와, 제2연결부(53)와, 저장연결부(54)와, 조절밸브부(55)를 포함한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ydraulic control unit opens the storage connection in the brak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losed. 1 to 3 , the
조절몸체부(51)는 내부에 조절유로(59)가 형성된다. 일 예로, 조절몸체부(51)는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조절몸체부(51)의 길이방향으로 조절유로(59)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유로(59)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591)와, 제1유로(591)와 연통되는 제2유로(5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591)는 제2유로(592)보다 내부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단턱(5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유로(591)는 제2유로(592) 보다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연결부(52)는 조절몸체부(51)에 형성되고, 제1실린더부(10)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유로(59)로 안내한다. 일 예로, 제1연결부(52)는 조절몸체부(5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조절유로(59)의 제1유로(591)와 연통되고, 유압이동유로부(200)를 통해 제1실린더부(1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제2연결부(53)는 조절몸체부(51)에 형성되고, 제2실린더부(20)와 조절유로(59) 사이로 유압을 안내한다. 일 예로, 제2연결부(53)는 조절몸체부(51)의 하부에 형성되고, 조절유로(59)의 제2유로(592)와 연통되며, 유압이동유로부(200)를 통해 제2실린더부(2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저장연결부(54)는 조절몸체부(51)에 형성되고, 유압저장부(60)와 조절유로(59) 사이로 유압을 안내한다. 일 예로, 저장연결부(54)는 조절몸체부(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절유로(59)의 제1유로(591)와 연통되고, 저장유로부(300)를 통해 유압저장부(6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조절밸브부(55)는 조절유로(59)에 내장되고, 제1연결부(52)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제2연결부(53)와 저장연결부(54)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제공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밸브부(55)는 밸브피스톤부(551)와, 밸브스프링부(552)와, 밸브유로부(553)를 포함한다.The
밸브피스톤부(551)는 제1연결부(52)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조절유로(59)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저장연결부(54)를 개폐한다. 일 예로, 밸브피스톤부(551)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당한 두께를 가지며, 제1유로(591)를 따라 이동되면서 저장연결부(54)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피스톤부(551)는 제1유로(591)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밸브스프링부(552)는 조절유로(59)에 내장되고, 밸브피스톤부(551)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밸브스프링부(552)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고, 단턱(58)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 밸브피스톤부(55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밸브유로부(553)는 조절몸체부(51)의 내측에 형성되고, 조절유로(59)와 연통된다. 밸브유로부(553)는 밸브피스톤부(551)를 우회하여 유압을 안내한다. 일 예로, 밸브유로부(553)는 저장연결부(54)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유입부(553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은 조절몸체부(51)에 형성되는 우회유로부(5532)를 지나, 유출부(55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5531)는 제1유로(591)와 연통되고, 유출부(5533)는 제2유로(592)와 연통될 수 있다. 밸브피스톤부(551)가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피스톤부(551)가 유입부(5531)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피스톤부(551)가 이동되어 단턱(58)에 걸리면 유입부(5531)는 개방될 수 있다.The valve
한편, 제1연결부(52)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밸브피스톤부(551)는 저장연결부(54)를 개방하고 밸브유로부(553)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제2실린더부(20)와 유압저장부(60)는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when hydraulic pressure is not supplied through the
그리고, 제1연결부(52)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밸브피스톤부(551)는 이동되어 저장연결부(54)를 폐쇄한다. 이때, 밸브유로부(553)는 개방되어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는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실린더부(10)에서 생성된 유압은 제2실린더부(20)에 도달하여 제2실린더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And,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 의한 비상제동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 방식은 페달 답력 확보를 위해 제1실린더부(10)에 대한 스프링력이 증가된 경우 비상 제동력을 나타내고,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1)가 적용된 상태에서 비상 제동력을 나타낸다.4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braking force by a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conventional method indicates emergency braking force when the spring force on the
이러한 그래프를 통해, 제1실린더부(10)의 스프링력을 강화시키지 않더라도 페달 답력을 확보하고, 전기구동부(40) 오류시 제동압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피스톤부(551)가 단턱(58)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때 밸브스프링부(552)에 가압이 증가하지 않고 밸브유로부(553)를 통해 유압이 전달되므로, 스프링력에 의한 손실을 줄여 비상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graph,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edal effort even if the spring force of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of the vehicl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운전자가 페달(100)을 밟지 않으면(도 2 참조), 밸브스프링부(552)에 의해 밸브피스톤부(551)는 유입부(5531)를 폐쇄하고, 저장연결부(54)를 개방한다. 이로 인해, 제2실린더부(20)와 유압저장부(60)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If the driver does not step on the pedal 100 (see FIG. 2 ), the
상기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100)을 밟으면(도 3 참조), 제1실린더부(10)에서 생성된 유압에 의해 밸브피스톤부(551)가 단턱(58)까지 이동되어 저장연결부(54)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제2실린더부(20)와 유압저장부(60)간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리고 밸브유로부(553)는 개방되어 제1실린더부(10)와 제2실린더부(20)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driver steps on the
이때, 운전자가 느끼는 페달 답력은 제1실린더부(10)의 스프링력과 습동저항, 밸브스프링부(552)의 스프링력과 밸브피스톤부(551)의 습동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dal effort felt by the driver may include a spring force and sliding resistance of the
한편, 밸브피스톤부(551)가 이동되는 구간까지가 회생제동 협조제어가 가능한 구간이다. 이러한 구간에서는 전기구동부(40)가 직접 제2실린더부(20)를 구동시키게 되고, 제3실린더부(30)의 위치 변화는 제1실린더부(10)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간 이후부터는 제1실린더부(10)의 유압이 제2실린더부(20)의 구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운전자의 페달력이 제동압을 형성시키는데 관여하므로, 밸브스프링부(552)의 스프링력이 제한적이더라도 페달 답력 확보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up to the section in whic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는 제1실린더부(10)의 스프링력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페달 답력과 비상 제동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는 유압조절부(50)의 밸브피스톤(551)가 이동되는 구간 동안 회생제동 협조제어가 가능하다.I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제1실린더부 20 : 제2실린더부
30 : 제3실린더부 40 : 전기구동부
50 : 유압조절부 51 : 조절몸체부
52 : 제1연결부 53 : 제2연결부
54 : 저장연결부 55 : 조절밸브부
59 : 조절유로 60 : 유압저장부
551 : 밸브피스톤부 552 : 밸브스프링부
553 : 밸브유로부10: first cylinder part 20: second cylinder part
30: third cylinder part 40: electric driving part
50: hydraulic control unit 51: control body unit
52: first connection part 53: second connection part
54: storage connection part 55: control valve part
59: control flow path 60: hydraulic storage unit
551: valve piston part 552: valve spring part
553: valve passage part
Claims (5)
상기 제1실린더부의 유압을 전달하는 제2실린더부;
상기 제2실린더부에 의해 유압이 증폭되는 제3실린더부;
상기 제2실린더부를 전기적으로 구동시키는 전기구동부;
상기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2실린더부를 연결하는 유압이동유로부;
상기 유압이동유로부에 형성되는 유압조절부; 및
상기 유압조절부와 연결되어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조절부는 운전자의 페달력에 따라 페달 답력과 비상 제동력을 확보하도록 유압 이동 방향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a first cylinder unit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by pressing the pedal;
a second cylinder unit that transmit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cylinder unit;
a third cylinder part in which hydraulic pressure is amplified by the second cylinder part;
an electric driving unit for electrically driving the second cylinder unit;
a hydraulic flow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cylinder part and the second cylinder part;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formed in the hydraulic flow passage unit; and
Includes; a hydraulic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to store th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control unit adjusts the hydraulic pressure movement direction to secure the pedal effort and the emergency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driver's pedal force.
조절유로가 형성되는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조절유로로 안내하는 제1연결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부와 상기 조절유로 사이로 유압을 안내하는 제2연결부;
상기 조절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압저장부와 상기 조절유로 사이로 유압을 안내하는 저장연결부; 및
상기 조절유로에 내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저장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제공하는 조절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aulic control unit
a control body in which a control passage is formed;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first cylinder part to the control flow path;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between the second cylinder part and the control flow path;
a storage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control body part and guiding the hydraulic pressure between the hydraulic pressure storage part and the control flow path; and
and a control valve part built in the control flow path and selectively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torag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조절유로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연결부를 개폐하는 밸브피스톤부;
상기 조절유로에 내장되고, 상기 밸브피스톤부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스프링부; 및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피스톤부를 우회하여 유압을 안내하는 밸브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valve unit
a valve piston part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nnection part while moving in the control flow path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a valve spring part built into the control passag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piston part; and
and a valv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ontrol bod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flow path, and guiding hydraulic pressure by bypassing the valve piston.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피스톤부는 상기 저장연결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실린더부와 상기 유압저장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If hydraulic pressure is not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valve piston part opens the storag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econd cylinder part and the hydraulic storage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밸브피스톤부는 이동되어 상기 저장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밸브유로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2실린더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valve piston part is moved to close the storage connection part, and the valve flow path part is opened, so that the first cylinder part and the second cylinder part ar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023A KR102372397B1 (en) | 2017-08-30 | 2017-08-30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023A KR102372397B1 (en) | 2017-08-30 | 2017-08-30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774A KR20190023774A (en) | 2019-03-08 |
KR102372397B1 true KR102372397B1 (en) | 2022-03-08 |
Family
ID=6580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023A Active KR102372397B1 (en) | 2017-08-30 | 2017-08-30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23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8335B1 (en) * | 2019-09-24 | 2024-12-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uction valve for electronic brak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90839A (en) * | 2007-10-10 | 2009-04-30 | Nissin Kogyo Co Ltd | Brake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909B1 (en) * | 2013-11-21 | 2020-05-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Electronic hydraulic brake system |
-
2017
- 2017-08-30 KR KR1020170110023A patent/KR1023723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90839A (en) * | 2007-10-10 | 2009-04-30 | Nissin Kogyo Co Ltd | Brake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774A (en) | 2019-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26238B2 (en) | Braking operation device | |
JP5095707B2 (en) | Regenerative braking actuator device | |
US6439674B1 (en) | Vehicle braking apparatus and vehicle braking method | |
JP5891145B2 (en) | Brake control device | |
JP6317804B2 (en) | Brake system for vehicles with electric brake booster | |
US7748791B2 (en) | Combination secondary master cylinder and brake pedal compliance device for automotive braking system | |
US20110024242A1 (en) |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 |
US20150001917A1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facilitate adjustment of braking hysteresis | |
US20150001916A1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produce braking force in case of loss of electric power | |
US9162655B2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improve durability and maneuvering feeling | |
US20150001918A1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in motion of brake pedal | |
US9688259B2 (en) | Vehicle braking system with booster arrangement | |
CN102256843A (en) |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50000266A1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improve mountability | |
CN101229807A (en) | Devices for creating brake pedal resistance | |
JP2006347539A (en) | Anti-lock brake system | |
KR20130086440A (en) | Pre-fill system to improve brake feeling and method for flux increase beginning thereof | |
US20150001915A1 (en) | Brake system for vehicle designed to produce braking force with minimized delay | |
KR102372397B1 (en)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440010B1 (en) | Pressure control valve for vehicle | |
US9969374B2 (en) | Control and delivery of hydraulic fluid in vehicle braking system | |
KR102372394B1 (en)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576317B1 (en) | Braking device for vehicle | |
KR101326808B1 (en) | Exhaust blake control device of vehicle | |
JP2008265431A (en) | Master cylinder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