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2206B1 - 호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06B1
KR102372206B1 KR1020200172249A KR20200172249A KR102372206B1 KR 102372206 B1 KR102372206 B1 KR 102372206B1 KR 1020200172249 A KR1020200172249 A KR 1020200172249A KR 20200172249 A KR20200172249 A KR 20200172249A KR 102372206 B1 KR102372206 B1 KR 10237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ole
fixing device
fix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주
강민서
김은솔
Original Assignee
박미주
강민서
김은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주, 강민서, 김은솔 filed Critical 박미주
Priority to KR102020017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가 호스 삽입구 및 고정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폴대에 의한 길이조절과 볼 조인트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도 정밀한 방향제어가 가능해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유체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호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는 다단으로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와, 상기 폴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호스가 삽입 고정되는 호스 삽입구와, 상기 폴대의 하단과 그 상단이 볼 조인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으로 다수 개의 지지다리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고정장치{HOSE FIXING DEVICE}
개시된 내용은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 사용시 호스가 유압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호스 고정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호스(hose)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게 고무나 비닐 또는 직물재로 제조되는 것으로 내부로 유체나 기체 등이 유동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호스는 다양한 크기와 길이로 제조되며 각종 산업분야와 일반 가정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호스는 물이 공급되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간단한 설겆이에서부터 가축과 농작물에 대한 급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공급될 지점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반드시 호스의 단부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호스를 손으로 잡거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혼자 작업할 경우 한 손으로 호스를 잡아야 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호스 위에 무거운 돌과 같은 중량체를 올려놓고 호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임시적인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물이 정확한 위치에 공급되지 못하고 토출되는 유압의 정도에 따라 호스의 위치가 유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01798호(2009년06월02일)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2619호(2019년06월19일)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8743호(2012년12월24일)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상태에서도 정밀한 방향제어가 가능한 호스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다단으로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와, 상기 폴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호스가 삽입 고정되는 호스 삽입구와, 상기 폴대의 하단과 그 상단이 볼 조인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으로 다수 개의 지지다리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호스 고정장치에 의하면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가 호스 삽입구 및 고정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폴대에 의한 길이조절과 볼 조인트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도 정밀한 방향제어가 가능해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유체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의 작동도.
도 5 및 도 6은 개시된 내용3 일 실는4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작동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폴대(10)가 구비된다. 이 폴대(10)는 고정된 호스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단으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폴대(10)는 두 개 이상의 선형의 막대가 인,출입되며 그 길이가 조절되는데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형상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폴대(10)의 상단에는 호스 삽입구(20)가 구비된다. 이 호스 삽입구(20)는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의 단부 측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호스 삽입구(20) 중앙에는 소구경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호스 삽입구(20)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롤러부(22)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대구경 호스의 이동정도에 따라 롤러부(22)의 위치가 내측으로 이동되며 대구경 호스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즉, 비교적 소구경으로 형성된 호스는 삽입홈(21)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해 줌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홈(21) 상측은 절개되어 있으며 절개된 측으로 호스를 위치시킨 후 가압해 주면 삽입홈(21)을 기준으로 호스 삽입구(20)가 벌어지면서 호스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 삽입구(20)는 자체탄성을 갖는 합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롤러부(22)는 편심 회전됨으로써 양측 롤러부(22) 내에 비교적 대구경으로 형성된 호스를 위치시킨 다음 호스를 내측으로 잡아당기거나 외측으로 밀어주면 롤러부(22)가 편심 회전되면서 호스를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호스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폴대(10)의 하단에는 고정부(30)가 회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고정부(30)는 호스 고정장치(1)가 지면 또는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하는 역할과, 호스 고정장치(1)에 고정된 호스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30)는 전술한 폴대(10)의 하단과 볼 조인트(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으로 다수 개의 지지다리(32)가 연장 형성된다. 전술한 볼 조인트(31)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해 지자디리가 고정 거치된 상태에서도 호스가 정확한 위치를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다리(3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삼각대와 유사한 것으로 관절운동 가능한 형태로 제조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지지다리(32) 단부가 수평이 유지되게 변형된 상태에서 호스 고정장치(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할 수도 있고, 소정 위치에 움켜쥐듯 고정되는 상태로 변형됨으로써 호스 고정장치(1)가 대야 또는 선반과 같은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지지다리(32) 단부에는 각각 중량체(33)가 구비됨에 따라 호스 고정장치(1)가 지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유압에 의해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고정부(30) 일측에는 거치클립(40)이 더 구비된다. 이 거치클립(40)은 전술한 고정부(30)의 지지다리(32)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다리(32)로 고정되기 어려운 위치나, 고정다리 만으로 고정력이 약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클립(40)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와 형상 및 설치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고정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소구경 호스를 호스 삽입구(20)의 삽입홀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해 고정해준다. 그런 다음,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세 개의 지지다리(32)를 동일 형상으로 변형시킨 뒤에 호스 고정장치(1)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된 호스의 단부가 물이 공급될 위치로 정확하게 향할 수 있도록 폴대(10)를 통해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해주고 볼 조인트(31)를 통해 각도를 조절해준다. 그런 다음, 호스에 물을 공급해 주는데, 이때 지지다리(32)에 각각 중량체(33)가 구비되어 있어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호스 고정장치(1)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대구경 호스를 양측 롤러부(22) 사이에 위치시킨 뒤에 롤러부(22)가 편심 회전되도록 호스를 잡아당겨 호스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그런 다음, 고정부(30)의 지지다리(32)가 대야 측벽 일측에 고정되도록 그 형상을 변형시켜준다. 이때 필요에 따라 거치클립(40)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고정된 호스의 단부가 물이 공급될 위치로 정확하게 향할 수 있도록 폴대(10)를 통해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해주고 볼 조인트(31)를 통해 각도를 조절해준다. 그런 다음, 호스에 물을 공급해 준다.
이상에서와 같은 호스 고정장치에 의하면 유체가 공급되는 호스가 호스 삽입구 및 고정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폴대에 의한 길이조절과 볼 조인트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도 정밀한 방향제어가 가능해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유체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호스 고정장치
10 : 폴대
20 : 호스 삽입구
21 : 삽입홈
22 : 롤러부
30 : 고정부
31 : 볼 조인트
32 : 지지다리
33 : 중량체
40 : 거치클립

Claims (5)

  1. 다단으로 길이조절 가능한 폴대;
    상기 폴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호스가 삽입 고정되는 호스 삽입구; 및
    상기 폴대의 하단과 그 상단이 볼 조인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으로 다수 개의 지지다리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호스 삽입구의 중앙에는 소구경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롤러부가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대구경 호스의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위치가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대구경 호스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가압 여부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되되 변형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발휘되며, 상기 지지다리 단부에는 각각 중량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일측에는 가압 여부에 따라 선택적 고정력이 발휘되는 거치클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2249A 2020-12-10 2020-12-10 호스 고정장치 Active KR10237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49A KR102372206B1 (ko) 2020-12-10 2020-12-10 호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49A KR102372206B1 (ko) 2020-12-10 2020-12-10 호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06B1 true KR102372206B1 (ko) 2022-03-10

Family

ID=8081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49A Active KR102372206B1 (ko) 2020-12-10 2020-12-10 호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60Y1 (ko) * 2005-02-19 2005-05-16 백남진 낚시용 각도조절 받침대
KR20090000366U (ko) * 2007-07-10 2009-01-14 김정화 낚싯대용 받침대
KR100901798B1 (ko)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KR101036264B1 (ko) *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101043071B1 (ko) * 2009-02-06 2011-06-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스 지지장치
KR20120008743U (ko) 2011-06-13 2012-12-24 정말분 농작물 재배용 물분사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고정대
KR20140121307A (ko) * 2013-04-07 2014-10-15 권순동 유연한 삼각대 다리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거치 삼각대
KR101992619B1 (ko) 2019-03-04 2019-06-25 (주)지여이앤씨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60Y1 (ko) * 2005-02-19 2005-05-16 백남진 낚시용 각도조절 받침대
KR20090000366U (ko) * 2007-07-10 2009-01-14 김정화 낚싯대용 받침대
KR100901798B1 (ko)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KR101043071B1 (ko) * 2009-02-06 2011-06-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스 지지장치
KR101036264B1 (ko) *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20120008743U (ko) 2011-06-13 2012-12-24 정말분 농작물 재배용 물분사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고정대
KR20140121307A (ko) * 2013-04-07 2014-10-15 권순동 유연한 삼각대 다리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거치 삼각대
KR101992619B1 (ko) 2019-03-04 2019-06-25 (주)지여이앤씨 이동식 소방호스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892B1 (en) Water hose support apparatus
WO2007149411A3 (en) Adjustable hose clip
KR102372206B1 (ko) 호스 고정장치
US10154630B2 (en) Self-contained plant watering apparatus system
CN209583516U (zh) 一种城市管廊施工用顶撑装置
US20120256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grease gun
US20090056216A1 (en) Stand for plants or the like
ITAN20070005U1 (it) Attacco rapido per staffe che sorreggono elementi tubolari
US20190021280A1 (en) Multi-side dog wash and method of use
US9737050B2 (en) Multi-side dog wash and method of use
JP2005304991A (ja) 三面突っ張り構造
US20090272857A1 (en) Faucet-supported hose retaining apparatus
KR200317155Y1 (ko) 비닐하우스용 액상물 살포장치
US11806851B2 (en) Multiconfigurational support tool
JP3251521U (ja) 散水ノズルスタンド、簡易シャワー設備
CN214593338U (zh) 一种便于田间喷灌管道开关的辅助装置
CN222787474U (zh) 一种长度可调的窗帘杆
CN222791038U (zh) 一种管道焊接的定位机构
GB2508931A (en) Construction line clamp
CN216813134U (zh) 一种园林浇灌管道支撑装置
CN219692458U (zh) 一种水利管道支撑架
CN211145593U (zh) 一种浮球式排污管道支架
CN204878172U (zh) 多节伸缩杆定位结构
RU161862U1 (ru) Кустодержатель универсальный
CN206754760U (zh) 一种异形伸缩自锁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