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1279B1 -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279B1
KR102371279B1 KR1020190130203A KR20190130203A KR102371279B1 KR 102371279 B1 KR102371279 B1 KR 102371279B1 KR 1020190130203 A KR1020190130203 A KR 1020190130203A KR 20190130203 A KR20190130203 A KR 20190130203A KR 102371279 B1 KR102371279 B1 KR 10237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upply pipe
vehicle
base
injection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469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19013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2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사용이 가능하고 차량의 하부를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가 차량의 하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캐스터들과, 베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프레임과,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 세척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하부세척분사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apparatus for washing car bottom}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사용이 가능하고 차량의 하부를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한 가정당 한 대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고, 대중교통의 대부분을 자동차가 차지함에 따라, 경정비나 주유소와 같은 자동차 관련 사업들이 다양하게 창출되고 있다.
주 5일제 근무의 안착으로 인해 여가를 즐기기 위한 각종 취미생활, 레저 및 여행에 따른 자동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겨울철 도로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살포되는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 여름 휴가철 바닷가 주변에 산재된 염분은 자동차의 하부 부식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비포장 도로, 공사 현장, 산악도로, 진흙길 주행으로 자동차 하부에 부착된 먼지나 흙 등 각종 오염물질 또한 자동차의 하부 부식 및 출력감소의 원인이다.
이와 같이, 염분과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자동차의 하부가 부식되면서 자동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자동차의 하부를 세차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하부 세차 방식은 주로 지면에 매립하여 고정 설치된 세차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고정식 하부 세차 장치의 경우 자동차 하부 전체를 세차하는데 한계가 있고, 세차장치를 매립시켜 설치함에 따라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며, 세차작업시 자동차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046호에는 자동차용 하부 세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세차장치는 이동식으로 구성되어 상술한 고정식 세차장치의 문제점을 다소 해소할 수는 있으나, 이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차면적이 좁아 세차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노즐을 계속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세차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046호: 자동차용 하부 세차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사용이 가능하고 차량의 하부 전체를 빠른 시간 내에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차량의 하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캐스터들과;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 세척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하부세척분사관;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에 물과 증기 및 공기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선택공급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휠 내측을 세척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휠세척분사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을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롤링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차량의 하부를 용이하게 세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 전체를 빠른 시간 내에 골고루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10)는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가 차량의 하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베이스부(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캐스터들(20)과, 베이스부(11)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프레임(30)과, 베이스부(11)에 설치되어 차량(1)의 하부 세척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하부세척분사관(40)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1)는 사각의 액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이스부(11)의 내측에는 사각의 공간(13)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의 사각 공간(13)에 하부세척분사관(40)이 설치된다.
캐스터들(20)은 베이스부(11)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총 4개의 캐스터(20)가 설치된다. 캐스터(20)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부(11)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20)에 의해 베이스부(11)는 차량의 하부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핸들프레임(30)은 베이스부(11)의 일측에 설치된다.
핸들프레임(30)은 베이스부(11)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바들(11)과, 세로바들(11)을 연결하는 가로바(35)로 이루어진다. 가로바(35)에는 본 발명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세척분사관(40)은 베이스부(11)에 설치된다. 하부세척분사관(4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세척분사관(40)은 베이스의 내측의 사각 공간(13)에 3개가 나란히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각 하부세척분사관(40)에는 다수의 노즐(45)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세척분사관(4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하부세척분사관(40)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노즐(45)을 통해 상방으로 분출된다.
세척수와 같은 물 외에도 공기나 증기를 하부세척분사관(4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선택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체선택공급부는 물과 증기 및 공기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하부세척분사관(4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선택공급부는 베이스부(11)에 설치되어 하부세척분사관(40)과 연결되는 메인공급관(50)과, 메인공급관(50)과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51)과, 메인공급관(50)과 연결되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관(53)과, 메인공급관(50)과 연결되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공급관(55)과, 에어공급관(51)에 설치되는 제 1밸브(52)와, 세척수공급관(53)에 설치되는 제 2밸브(54)와, 증기공급관(55)에 설치되는 제 3밸브(56)를 구비한다.
에어공급관(51)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세척수공급관(53)은 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기와 연결되고, 증기공급관은 증기를 고압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연결된다.
베이스부(11)에 설치된 하부세척분사관들(40)은 메인공급관(40)과 연결된다. 메인공급관(40)으로 유입된 유체는 다수로 분기되어 하부세척부사관들(40)로 공급된다.
상술한 유체선택공급부에 의해 사용자는 차량의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거나,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증기를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로 휠세척분사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휠세척분사유닛(60)은 베이스부(11)에 설치되어 차량의 휠(5) 내측을 세척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한다. 휠세척분사유닛(60)은 차량의 휠(5)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베이스부(11)에 4개의 휠세척분사유닛(60)이 설치된다.
휠세척분사유닛(60)은 베이스부(11)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몸체(61)와, 돌출몸체(61)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65)로 이루어진다.
돌출몸체(61)는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몸체(61)는 차량의 하부에 걸리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몸체(61)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출몸체(61)는 메인공급관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공급관을 통해 공기, 세척수, 증기 중 어느 하나의 유체가 돌출몸체(6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65)은 돌출몸체(61)에 다수가 설치된다. 노즐(65)은 차량의 휠(5) 내측을 향할 수 있도록 돌출몸체(61)의 일측에 설치된다. 돌출몸체(61)로 유입된 세척수 등의 유체는 노즐(65)을 통해 휠(5)의 내측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휠(5)의 내측에 묻은 이물질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부세척분사관을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롤링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링수단은 하부세척분사관(40)에 결합되는 피니언(70)과, 피니언(70)과 치합되어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75)과, 랙(75)을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하부세척분사관(4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보스(80)와, 메인공급관(50)과 하부세척분사관(40)을 연결하는 로터리조인트(85)를 구비한다.
하부세척분사관(40)의 일측은 베이스부(11)의 내부로 연장된다. 베이스부(110의 내부로 연장된 부위의 하부세척분사관(40)에 피니언(70)이 결합된다.
랙(75)은 베이스부(1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77)에 설치된다. 랙(75)은 가이드레일(77)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랙(75)의 일측에는 액츄에이터가 연결되어 랙(75)을 좌우로 왕복이동시킨다. 액츄에이터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거나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보스(80)는 베이스부(1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하부세척분사관(4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하부세척분사관(40)은 로터리조인트(85)에 의해 메인공급관(50)과 연결된다. 로터리조인트(85)는 고정부위와 회전부위를 연결하는 통상적인 기구이다.
상술한 롤링수단에 의해 하부세척분사관(40)은 좌우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므로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로 회전을 계속하면서 유체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베이스부 20: 캐스터
30: 핸들프레임 40: 하부세척분사관
50: 메인공급관

Claims (4)

  1. 삭제
  2. 사각의 액자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차량의 하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캐스터들과;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사각 공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 세척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하부세척분사관과;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에 물과 증기 및 공기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선택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선택공급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세척분사관과 연결되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과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과 연결되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과 연결되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공급관과, 상기 에어공급관에 설치되는 제 1밸브와,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제 2밸브와, 상기 증기공급관에 설치되는 제 3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을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롤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을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보스와, 상기 메인공급관과 상기 하부세척분사관을 연결하는 로터리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휠 내측을 세척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휠세척분사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4. 삭제
KR1020190130203A 2019-10-18 2019-10-18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Active KR10237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03A KR102371279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03A KR102371279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69A KR20210046469A (ko) 2021-04-28
KR102371279B1 true KR102371279B1 (ko) 2022-03-04

Family

ID=7572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203A Active KR102371279B1 (ko) 2019-10-18 2019-10-18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7413B (zh) * 2022-10-26 2024-12-20 凡贝环境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车辆清洗设备及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03Y1 (ko) * 2002-10-30 2003-02-11 김은희 자동세륜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7855C (en) * 1988-01-13 1993-05-18 George L. Joyal Under carriage car washer
KR200421046Y1 (ko) 2006-04-05 2006-07-10 신채우 자동차용 하부 세차 장치
KR101386802B1 (ko) * 2012-08-20 2014-04-21 한림기계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의 세척수 고압분사장치
KR20180001595U (ko) * 2016-11-21 2018-05-30 윤경남 이동식 자전거 세차 정비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03Y1 (ko) * 2002-10-30 2003-02-11 김은희 자동세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69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0520A (zh) 一种交通道路围栏清洗设备
KR100852714B1 (ko) 터널 자동세척장치
KR20180135697A (ko) 공기중의 먼지 제거용 미스트 분사 차량
KR102371279B1 (ko) 차량의 하부 세차장치
CN208021413U (zh) 一种混凝土车清洗装置
CN110284446A (zh) 一种城市道路高压清洗系统
JP2002294648A (ja) 壁面清掃車
JP2019069703A (ja) 洗車機
JP5641863B2 (ja) 冷却塔ルーバの洗浄装置
KR101359129B1 (ko) 자동차 예비세척장치
KR102635839B1 (ko) 농기계 세척시스템
CN208915135U (zh) 一种建筑工地洗车台
CN207274636U (zh) 大型车辆的洗车装置
KR200421046Y1 (ko) 자동차용 하부 세차 장치
US9555776B2 (en) Portable undercarriage washer for vehicles
JP6264263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6274084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CN106149598B (zh) 一种小型道路养护清洗车
CN207933950U (zh) 一种新型节能道路护栏清洗车
KR101816481B1 (ko) 터널 세척장치
KR101722884B1 (ko) 브러시 세척이 가능한 세륜기
CN213538786U (zh) 一种隧道清扫装置
KR200202605Y1 (ko) 차륜 세척장치
CN219969636U (zh) 一种建筑工地用渣土车车轮清洗装置
CN214985262U (zh) 一种家庭轿车智能洗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