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1189B1 -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189B1
KR102371189B1 KR1020150017294A KR20150017294A KR102371189B1 KR 102371189 B1 KR102371189 B1 KR 102371189B1 KR 1020150017294 A KR1020150017294 A KR 1020150017294A KR 20150017294 A KR20150017294 A KR 20150017294A KR 102371189 B1 KR102371189 B1 KR 10237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art
electrode
fuse
upp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3735A (en
Inventor
이원준
변상원
곽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19,308 priority Critical patent/US9741997B2/en
Priority to CN201510573906.7A priority patent/CN105576184B/en
Priority to EP15185578.0A priority patent/EP3018734B1/en
Publication of KR2016005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18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내부 및 셀 외부에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으로 인한 셀 내부의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중 어느 하나에 퓨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inside a cell due to a short circuit by providing fuses inside and outside the cell.
In one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one fuse unit is formed.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secondary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rechargeable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recharged. In the case of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aged in a pack form, it is used in sm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amcorders. , a large-capacity battery in a battery pack unit with dozens of battery packs connected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 hybrid vehicle.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전극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 a square shape, and a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lyte formed by interposing an insulator, which is an insulato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cap assembly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in a case.

한편, 이차 전지는 과도한 열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이 분해되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발화되거나 폭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차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xcessive heat is generated or the electrolyte solution is decompos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rease and cause ignition or explosion.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afety.

본 발명의 목적은 셀 내부 및 셀 외부에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으로 인한 셀 내부의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inside the cell due to a short circuit by providing a fuse inside and outside the c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중 어느 하나에 퓨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One fuse unit may be formed.

상기 제1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1 상측 몸체부와 제1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first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first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first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몸체부; 및 상기 전극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n electrode bod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first fuse un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body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case.

상기 제2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2 상측 몸체부와 제2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second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second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second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집전판 및 제2 집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집전판에는 제3 퓨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 second collector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llector plate A third fuse un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상기 제3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use part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3 퓨즈부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use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third fuse unit.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며 단락홀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단락홀에 형성되는 반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sealing the case and having a shorting hole, wherein the cap assembly includes an inverting plate formed in the shorting hol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version plate has a downward convex round portion; and an edge portion fixed to the cap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반전되어 상기 제2 단자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The inversion plate may be invert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greater than a set pressur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version pl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셀 내부의 집전판과 셀 외부의 전극 단자에 각각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시 셀 외부의 퓨즈를 먼저 동작시킬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 in each of the current collector plate inside the cell and the electrode terminal outside the cell, so that the fuse outside the cell can be operated firs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단락 발생으로 인하여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셀 외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셀 내부에 발생되는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rk generated inside the cell due to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can be generated outside the cell,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occurring inside the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집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도 2의 A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rea A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of FIG. 2 .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corresponding to region A of FIG. 2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집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region A of FIG.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of FIG. 2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1 and 2 ,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 a first current collector 20 , a second current collector 30 , a case 40 and and a cap assembly (50).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1 전극판(11), 세퍼레이터(13), 제2 전극판(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전극판(11)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판(12)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by winding or overlapping a laminat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 the separator 13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r a film shape. Her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may act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may act as a cathode.

상기 제1 전극판(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전극 무지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무지부(11a)는 제1 전극판(11)과, 제1 전극판(11)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판(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is formed by coat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a transition metal oxide o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an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is an area where the first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part 11a.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a serves as a passage for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is not limited.

상기 제2 전극판(12)은 니켈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전극 무지부(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 무지부(12a)는 제2 전극판(12)과, 제2 전극판(12)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전극판(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is formed by coat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graphite or carbon on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nickel or copper, and is a second region where the second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and an electrode uncoated region 12a.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2a serves as a passage for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is not limited.

상기와 같은 제1 전극판(11) 및 제2 전극판(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판(11)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판(12)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may act a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may act as an anode.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제1 전극판(11)과 제2 전극판(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eparator 1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to prevent short circuit and enable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and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poly It may consist of a composite film of ethylene and polypropylene.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separator 13 is not limited.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0)의 양측 단부에는 제1 전극판(11)과 제2 전극판(1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집전판(20)과 제2 집전판(30)이 결합된다.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s described above,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are provided. are combined

상기 제1 집전판(2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1 전극 무지부(11a)와 접촉됨으로써, 제1 전극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집전판(20)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 제1 연장부(23), 제1 단자홀(24), 퓨즈홀(25) 및 퓨즈 돌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reby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 is connected to 2 and 5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21 , a first extension part 23 , a first terminal hole 24 , a fuse hole 25 , and a fuse protrusion. (26)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연결부(21)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와 캡 조립체(5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1)는 제1 단자홀(24)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단자 영역(St)과, 퓨즈홀(25)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퓨즈 영역(Sf)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1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ap assembly 5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includes a first terminal region St providing a reg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hole 24 is formed, and a fuse region Sf providing a region in which the fuse hole 25 is formed. can be divided into

상기 제1 연장부(23)는 제1 연결부(21)에 대하여 절곡되고 제1 연결부(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전극 무지부(11a)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1)와 제1 연장부(23)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C' 라고 하기로 하며, 제1 연결부(21)와 제1 연장부(23)는 모서리부(C)를 중심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art 23 is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part 21 ,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connector part 21 ,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11a . Here,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 meet is referred to as 'C',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 form the corner portion (C). It can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상기 제1 단자홀(24)은 제1 연결부(21)의 일측, 즉 제1 단자 영역(St)에 형성되며, 제1 연결부(21) 중 캡 조립체(50)의 제1 전극 단자(52)가 끼워져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 영역(St)은 제1 연결부(21) 중 모서리(C)와 멀리 이격되게 위치한다.The first terminal hole 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 that is, in the first terminal area St, and among the first connection parts 21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of the cap assembly 50 . It provides a space to be inserted and combined. Here, the first terminal area St is located far apart from the edge C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는 전해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0)의 상부 영역, 즉 제1 연결부(21)의 퓨즈 영역(Sf)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형성된 퓨즈 영역(Sf)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해액이 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퓨즈 영역(Sf)은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제1 단자홀(24)에 결합되는 제1 전극 단자(52)와 중첩하지 않도록 제1 연결부(21) 중 모서리부(C)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다.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trusion 26 ar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at is, the fuse region Sf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This is because the electrolyte may be ignited by heat generated in the fuse region Sf in which 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trusion 26 are formed. Here, the fuse region Sf is a corner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so that 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trusion 26 do not overlap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hole 24 . It is located in the area adjacent to part (C).

또한, 상기 퓨즈홀(25)은 제1 연결부(21)를 관통하는 홀 대신 제1 연결부(21)에서 다른 부분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홀(25)은,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이차 전지(100)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홀(25)은 과충전시 유발된 단락을 이용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시켜 전류의 흐름을 미리 차단함으로써, 발화 및 폭발의 위험과 같은 위험한 상황까지 이르기 전에 이차 전지(100)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se hole 25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instead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 The fuse hole 25 functions as a fuse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the region where the fuse hole 25 is formed by heat generated when a large current flows due to a short circuit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 Here, the short circuit is caused by contacting the inversion plate 60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over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can be Accordingly, the fuse hole 25 melts the area in which the fuse hole 25 is formed using a short circuit induced during overcharging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in advanc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before reaching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risk of ignition and explosion. (100) It is possible to stop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peration.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 영역(Sf)의 단부에서 전극 조립체(10) 방향으로 퓨즈 영역(Sf)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히 절곡되고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의 좌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 근처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이 외부 충격에 의해 저항력이 낮아 이차 전지(100)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형성된 퓨즈 영역(Sf)을 제2 퓨즈부(27)라 명명하기로 한다.
The fuse protrusion 26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fuse region Sf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from the end of the fuse region Sf. At least one fuse protrusion 26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use hole 25 . The fuse protrusion 26 is formed in a bent shape near the fuse hole 25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gion where the fuse hole 25 is formed. Accordingly, the fuse protrusion 26 prevents bending or damage due to an external shock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0 does not short-circuit because the area in which the fuse hole 25 is formed has low resistance to external shock. can Hereinafter, the fuse region Sf in which 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trusion 26 are formed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fuse unit 27 .

상기 제2 집전판(30)은 니켈 또는 구리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타측 단부로 돌출된 제2 전극 무지부(12a)와 접촉됨으로써, 제2 전극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집전판(30)은 제2 연결부(31), 제2 연장부(33), 제2 단자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nickel or copper,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2a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reby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3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31 , a second extension part 33 , and a second terminal hole 34 .

상기 제2 집전판(3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제1 집전판(20)의 구성 중 퓨즈홀(25) 및 퓨즈 돌기(26)와 대응되는 퓨즈홀 및 퓨즈 돌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집전판(20)이 퓨즈 기능을 하는 퓨즈홀(25)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집전판(20)이 니켈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집전판(30) 보다 용융점이 낮아 퓨즈 기능을 실현시키기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집전판(20)에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를 형성시키지 않고, 제2 집전판(30)에 퓨즈홀(미도시)과 퓨즈 돌기(미도시)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may not have a fuse hole and a fuse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jection 26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shown in FIG. 4 . . This is becau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has a fuse hole 25 serving as a fuse. Also, for example,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made of aluminum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made of nickel or copper, so it is easier to realize the fuse function. Meanwhile, only the fuse hole (not shown) and the fuse protrusion (not shown) are formed i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30 without forming the fuse hole 25 and the fuse protrusion 26 i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It is also possible to do

상기 케이스(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및 제2 집전판(30)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케이스(40)와 캡 조립체(50)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고 있으므로 개구부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캡 조립체(50)의 둘레 부분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한편, 케이스(40)의 내면은 절연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및 캡 조립체(50)와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0)는 하나의 극성,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case 40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aluminum, an aluminum alloy, or nickel-plated steel,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can be inserted and seated. It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ing therein. In FIG. 2 , since the case 40 and the cap assembly 50 are shown in a coupled state, the opening is not shown, bu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ap assembly 50 is a substantially open part. Mean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40 is insulated to be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first collector plate 20 , the second collector plate 30 , and the cap assembly 50 . Here, the case 40 may act as one polarity, for example, an anode.

상기 캡 조립체(50)는 케이스(40)에 결합된다. 상기 캡 조립체(50)는 구체적으로 캡 플레이트(51), 제1 전극 단자(52), 제2 전극 단자(53), 가스켓(54), 제1 단자 플레이트(55) 및 제2 단자 플레이트(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50)는 마개(57), 벤트 플레이트(58), 상부 절연부재(59a), 연결판(59b), 반전 플레이트(60) 및 하부 절연부재(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p assembly 50 is coupled to the case 40 . Specifically, the cap assembly 50 includes a cap plate 51 , a first electrode terminal 52 , a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 a gasket 54 , a first terminal plate 55 , and a second terminal plate 56 .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ap assembly 5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57 , a vent plate 58 , an upper insulating member 59a , a connecting plate 59b , an inversion plate 60 , and a lower insulating member 61 . there is.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의 개구를 밀봉하며, 케이스(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The cap plate 51 seals the opening of the case 40 ,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40 . Here, the cap plate 51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case 40 .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1 집전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cap plate 5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1 상측 몸체부(52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및 제1 퓨즈부(52c)를 포함한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may be formed in a column shape, the first upper body portion 52a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51 , and the first lower portion positioned under the cap plate 51 . It includes a body part 52b and a first fuse part 52c.

상기 제1 상측 몸체부(52a)는 케이스(40)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55)에 리벳팅 결합되어 제1 전극 단자(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52a1)가 형성된다.The first upper body portion 52a is rive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55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40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from coming out of the cap plate 51 . 1 ) is formed.

상기 제1 하측 몸체부(52b)는 케이스(40)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11)에 연결되고, 제1 전극 단자(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플랜지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1 집전판(20)의 제1 단자홀(2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body portion 52b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located inside the case 40 , and a flange is form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does not come off from the cap plate 51 . . In addition, some of the pillars positioned below the flange of the first lower body portion 52b are fit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24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Her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51 .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와 제1 하측 몸체부(52b)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퓨즈부(52c)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1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 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홈이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퓨즈부(52c)는 제1 집전판(20)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큰 홀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제2 퓨즈부(27)보다 더 작은 퓨즈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use part 52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part 52a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52b. The first fuse part 52c is electrically strong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52a or the first lower body part 52b,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52a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52b. The thickness is formed relatively thin so that the resistance is large. In addition, the first fuse part 52c may include any one of a first upper body part 52a or a first lower body part 52b, or a first upper body part 52a and a first lower body part 52b.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greater. The thickness o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use part 52c may vary depending on the fuse capacity required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short-circui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use part 52c may include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52a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52b,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52a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52b. Grooves or holes may be formed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greater. The first fuse unit 52c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second fuse unit 27 form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That is, the first fuse unit 52c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second fuse unit 27 , or a relatively larger hole or groov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second fuse unit 27 . It may be formed to have a fuse capacity.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52c)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100), 즉 셀 내부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더 빨리 용융되어 제1 전극 단자(52)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가 용융시 발생되는 불꽃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fuse unit 52c functions as a fuse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by heat generat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a large current flows. Here, the short circuit is a high voltage disconnection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econdary battery or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overcharging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become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inverted It can be caused by contacting the plate 60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 Accordingly, the first fuse unit 52c melts faster than the secondary battery 100 , ie, the second fuse unit 27 formed inside the cell, using a short circuit to separat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from the outside of the cell. By generating an arching in the cell, the risk of an abnormal explosion due to a spark generated when the second fuse unit 27 inside the cell is melted can be prevented.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제1 퓨즈부(52c)를 감싸거나 덮으며, 가스켓(54) 및 전기적 절연 또는 도전성 연결판(59b)에 접촉할 수 있으로써, 인서트 몰딩 파트 M이 외부 충격에 대항하여 제1 퓨즈부(52c)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100)가 원하지 않는 외부 충격에 노출되었을 때, 제1 퓨즈부(52c)가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수지, 플라스틱, 또는 그 등가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료들이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인서트 몰딩 파트 M의 강도는 가스켓(54) 및/또는 전기적 절연 또는 도전성 연결판(59b)의 강도와 같거나 또는 높을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The insert molding part M surrounds or covers the first fuse part 52c, and can contact the gasket 54 and the electrically insulating or conductive connecting plate 59b, so that the insert molding part M is prevented from external impact against external impact. 1 The strength of the fuse unit 52c may be reinforc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exposed to an undesired external impact, the first fuse unit 52c is not easily blown. The insert molding part M may be a resin, a plastic, or an equivalent thereof, and the materials thereof are not limited herein. Moreover, the strength of the insert molding part M may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gasket 54 and/or the electrically insulating or conductive connecting plate 59b. In addition, the insert molding part M may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2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제1 전극 단자(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제1 퓨즈부(52c)없이 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51)와 절연된다.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passe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cap plate 5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30 . Sinc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is formed in a column shape without the first fuse part 52c and is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51 .

상기 가스켓(54)은 절연성 재질로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가스켓(54)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The gasket 54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and the cap plate 51 to for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 It seals between each and the cap plate 51 . The gasket 54 prevents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or prevents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55)는 제1 전극 단자(52)의 상부 기둥과 리벳팅 결합되어 제1 전극 단자(52)를 캡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The first terminal plate 55 is riveted with the upper pillar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to fix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to the cap plate 51 .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제2 전극 단자(53)의 상부 기둥과 리벳팅 결합되어 제2 전극 단자(53)를 캡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이격된 외측, 즉 상부 절연부재(59a) 위에서 제2 전극 단자(5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단락홀(51c)을 덮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제2 전극 단자(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전 플레이트(60)와 접촉하여 단락을 유발시킨다. 상기 단락이 유발되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열이 발생하며, 이때 제1 퓨즈부(52c) 또는 제2 퓨즈부(27)는 퓨즈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The second terminal plate 56 is riveted with the upper pillar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to fix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to the cap plate 51 .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is formed to fit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on the out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cap plate 51, that is, on the upper insulating member 59a, and extends to cover the shorting hole 51c. .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 In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 heat is generated due to a high voltage disconnection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econdary battery or overcharging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If possible, it contacts the inverting plate 60 convexly protruding upward to cause a short circuit. When the short circuit is induced, a large current flows and heat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first fuse unit 52c or the second fuse unit 27 functions as a fus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

상기 마개(57)는 캡 플레이트(51)의 전해액 주입구(51a)를 밀봉하며, 벤트 플레이트(58)는 캡 플레이트(51)의 벤트홀(51b)에 설치되며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치(58a)를 포함한다. The stopper 57 seals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51a of the cap plate 51 , and the vent plate 58 is installed in the vent hole 51b of the cap plate 51 and is formed to be opened at a set pressure. (58a).

상기 상부 절연부재(59a)는 제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부 절연부재(59a)는 제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를 절연시킨다.The upper insulating member 59a is form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and the cap plate 51 ,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plate 51 and the gasket 54 . The upper insulating member 59a insulate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from the cap plate 51 .

상기 연결판(59b)은 제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너트(55)를 통해서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연결판(59b)은 제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connecting plate 59b is form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and the cap plate 51 ,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plate 51 and the gasket 54 through the nut 55 . The connecting plate 59b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and the cap plate 51 .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의 단락홀(51c)에서 상부 절연부재(59a)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캡 플레이트(51)에 고정된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반전되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The inversion plate 6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insulating member 59a and the cap plate 51 in the short circuit hole 51c of the cap plate 51 . The inversion plate 60 includes a downward convex round portion and an edge portion fixed to the cap plate 51 . When the inversion plate 6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econdary battery, heat is generated due to a high voltage disconnection or overcharging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become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It may be inverted and protrude upward convexly. Here, the inversion plate 60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cap plate 51 .

상기 하부 절연부재(61)는 제1 집전판(20) 및 제2 집전판(30)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The lower insulating member 61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20 and 30 and the cap plate 51 to prevent unnecessary short circui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제1 퓨즈부(52c) 를 갖는 제1 전극 단자(52)와 제2 퓨즈부(27)를 갖는 제1 집전판(20)을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시에는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보다 셀 외부의 제1 전극 단자(52)에 구비된 제1 퓨즈부(52c)를 먼저 동작시켜 단락 발생시 제1 전극 단자(52)를 분리시키면서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셀 외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hav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52 having a first fuse unit 52c and a second fuse unit 27 . ),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he first fuse unit 52c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outside the cell is operated earlier than the second fuse unit 27 inside the cell, so tha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 52), the flame generated inside the cell can be generated outside the cel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단락 발생시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occurring inside the cell when a short circuit occurs.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도 2의 A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corresponding to region A of FIG. 2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도 2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전극 단자(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52c) 의 길이만 달라질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전극 단자(2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252b)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fuse part 52c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is different. has the same role. Accordingly, th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first fuse unit 252b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52 will be focused on. to explai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 단자(252)는 퓨즈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퓨즈부(252b)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전극 단자(252)는 전극 몸체부(252a) 및 제1 퓨즈부(252b)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캡 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결합된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리벳팅 결합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상부 양측부에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리벳팅 결합시 제1 전극 단자(2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252a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의 일단(즉, 하단)으로부터 케이스(4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퓨즈부(252b)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2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52 includes a first fuse unit 252b performing a fuse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52 includes an electrode body part 252a and a first fuse part 252b. The electrode body 252a protrudes outside the cap plate 51 and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255 . The electrode body 252a is rive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25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 body 252a has protrusions 252a 1 formed on both upper sides thereof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52 does not come off from the cap plate 51 when it is rive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255 . The first fuse unit 252b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of the case 40 from one end (ie,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body unit 252a. Here, the first fuse part 252b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electrode body part 252a. Also, the first fuse unit 252b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electrode body unit 252a. The thickness o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use unit 252b may vary depending on the fuse capacity required when the secondary battery 200 is short-circuited.

또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제1 집전판(20)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큰 홀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제2 퓨즈부(27)보다 더 작은 퓨즈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fuse unit 252b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second fuse unit 27 form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That is, the first fuse unit 252b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second fuse unit 27 , or a relatively larger hole or groov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second fuse unit 27 . It may be formed to have a fuse capacity.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이차 전지(2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100), 즉 셀 내부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더 빨리 용융되어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에서 용융시 발생되는 불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fuse unit 252b functions as a fuse for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by heat generat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secondary battery 200 and a large current flows. Here, the short circuit is a high voltage disconnection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econdary battery or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overcharging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become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inverted It can be caused by contacting the plate 60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 Accordingly, the first fuse unit 252b melts faster than the secondary battery 100 , that is, the second fuse unit 27 formed inside the cell using a short circuit to block current, and thus the second fuse unit inside the cell In (27), it is possible to prevent sparks generated during melting, and the risk of abnormal explosion due to this can be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도 2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전극 단자(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52c)가 제2 전극 단자(53)에 형성되고, 제1 집전판(20)에 제2 퓨즈부(27)가 형성되지 않는 것만 달라질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2 전극 단자(53)에 형성된 제1 퓨즈부(53c) 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0 shown in FIG. 2 , the first fuse part 52c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2 is provided with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 53)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except that the second fuse unit 27 is not form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20 . Accordingly, th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first fuse part 53c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will be focused on to explai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a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0 , a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30 , a case 40 , and a cap assembly ( 50).

상기 캡 조립체(50)는 케이스(4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55) 및 제2 단자 플레이트(56)에 결합된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를 포함한다.The cap assembly 50 includes a first electrode terminal 52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protruding outside the case 40 and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55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 do.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2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passe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cap plate 5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30 .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2 상측 몸체부(53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측 몸체부(53b) 및 제1 퓨즈부(53c)를 포함한다.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may be formed in a column shape, a second upper body portion 53a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51 , and a second lower portion positioned under the cap plate 51 . It includes a body part 53b and a first fuse part 53c.

상기 제2 상측 몸체부(53a)는 케이스(40)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56)에 리벳팅 결합되어 제2 전극 단자(53)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53a1)가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is riveted to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40 to prevent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cap plate 51 . 1 ) is formed.

상기 제2 하측 몸체부(53b)는 케이스(4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12)에 연결되고, 제2 전극 단자(53)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플랜지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2 집전판(30)의 제2 단자홀(3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와 절연된다.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located inside the case 40 , and a flang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does not come off from the cap plate 51 . . In addition, some of the pillars positioned below the flange of the second lower body portion 53b are fitted into the second terminal holes 34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30 . Her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is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51 .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와 제2 하측 몸체부(53b)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퓨즈부(53c)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1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 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홈이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보다 전기 저항이 큰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를 구성하는 구리보다 전기 저항이 큰 물질로 구성된 클래드 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use part 53c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The first fuse part 53c has electricity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The thickness is formed relatively thin so that the resistance is large. In addition, the first fuse part 53c may include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greater. The thickness o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use part 53c may vary depending on the fuse capacity required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short-circui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use part 53c may include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Grooves or holes may be formed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greater. Also, the first fuse part 53c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having a high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For example, the first fuse part 53c may be formed of a clad metal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ectrical resistance greater than that of copper constituting the second upper body part 53a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53b.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53c)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300), 즉 제2 전극 단자(53)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fuse unit 53c functions as a fuse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by heat generat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a large current flows. Here, the short circuit is a high voltage disconnection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econdary battery or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overcharging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become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inverted It can be caused by contacting the plate 60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56 . Accordingly, the first fuse unit 53c generates an arching outside the cell while separating the secondary battery 300,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3 using a short circuit,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cell. can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7A to 7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이차 전지(300)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300 illustrated in FIGS. 7A to 7B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Therefore, since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판(11) 및 제2 전극판(12)에 각각 연결된 제1 전극탭(17) 및 제2 전극탭(19)은 캡 플레이트(51)와 전극 조립체(1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전극 리드(17a) 및 제2 전극 리드(19a)를 통하여 각각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A to 7B , the first electrode tab 17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9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is positioned between the cap plate 51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53 through the first electrode lead 17a and the second electrode lead 19a, respectively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상기 제1 전극 단자(352)는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1 상측 몸체부(352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및 제1 퓨즈부(3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및 제1 하측 몸체부(3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및 제1 하측 몸체부(3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이차 전지(3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단락을 이용해 신속하게 용융되어 제1 전극 단자(352)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includes a first upper body portion 352a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51 , a first lower body portion 352b positioned under the cap plate 51 , and a first and a fuse unit 352c. The first fuse part 352c is more electrically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352a or the first lower body part 352b,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352a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352b. The thickness is formed relatively thin so that the resistance is large. In addition, the first fuse part 352c may include any one of a first upper body part 352a or a first lower body part 352b, or a first upper body part 352a and a first lower body part 352b.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greater.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secondary battery 300 and a large current flows, the first fuse unit 352c functions as a fuse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by heat generated. Accordingly, the first fuse unit 352c is rapidly melted using a short circuit to generate an arching outside the cell while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bnormal explosion inside the cell. can

상기 제2 전극 단자(353)는 제1 전극 단자(3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전극 단자(353)는 제1 전극 단자(352)의 제1 퓨즈부(352c)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53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53 , the first fuse part 352c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may not be formed.

한편, 이러한 전기 자동차용 이차 전지(300)는 이차 전지의 관통이나 압괴 시 캡 플레이트(51) 및 케이스(40)가 극성을 갖지 않아야 안전하기 때문에,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353)는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353)는 가스켓(54)에 의해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ary battery 300 for an electric vehicle is safe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penetrated or crushed, the cap plate 51 and the case 40 must not have a polarity, s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53 may be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51 . To this e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52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53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51 by the gasket 54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10: 전극 조립체 17: 제1 전극탭
17a: 제1 전극 리드 19: 제2 전극탭
19a: 제2 전극 리드 20: 제1 집전판
25: 퓨즈홀 26: 퓨즈 돌기
27: 제2 퓨즈부 30: 제2 집전판
40: 케이스 50: 캡 조립체
51: 캡 플레이트 52, 252, 352: 제1 전극 단자
52a, 352a: 제1 상측 몸체부 52b, 352b: 제1 하측 몸체부
52c, 53c, 252b, 352c: 제1 퓨즈부 53, 353: 제2 전극 단자
53a: 제2 상측 몸체부 53b: 제1 하측 몸체부
54: 가스켓 55, 255: 제1 단자 플레이트
56: 제2 단자 플레이트 57: 마개
58: 벤트 플레이트 59a: 상부 절연부재
59b: 연결판 60: 반전 플레이트
61: 하부 절연부재 100, 200, 300: 이차 전지
252a: 전극몸체부
10: electrode assembly 17: first electrode tab
17a: first electrode lead 19: second electrode tab
19a: second electrode lead 20: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5: fuse hole 26: fuse protrusion
27: second fuse unit 30: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40: case 50: cap assembly
51: cap plates 52, 252, 352: first electrode terminal
52a, 352a: first upper body part 52b, 352b: first lower body part
52c, 53c, 252b, 352c: first fuse unit 53, 353: second electrode terminal
53a: second upper body part 53b: first lower body part
54: gasket 55, 255: first terminal plate
56: second terminal plate 57: stopper
58: vent plate 59a: upper insulating member
59b: connecting plate 60: inverting plate
61: lower insulating member 100, 200, 300: secondary battery
252a: electrode body part

Claims (20)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1 상측 몸체부와 제1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first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first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first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use part has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use part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use part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인서트 몰딩 파트에 의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use part is surrounded by an insert mold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2 상측 몸체부와 제2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퓨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is
a second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second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second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nd a second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high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second upper body part or the second lower body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집전판 및 제2 집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집전판에는 제3 퓨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llector plate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fuse unit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is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rd fuse par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3 퓨즈부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fuse unit is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third fuse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며 단락홀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단락홀에 형성되는 반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sealing the case and having a shorting hole,
and the cap assembly includes an inversion plate formed in the shorting ho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길이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height of the first fuse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cap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round part convex downward; and
and a rim part fixed to the cap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반전되어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invert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becomes greater than a set pressure, and the inversion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퓨즈부는 인서트 몰딩 파트에 의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fuse part is surrounded by an insert molding part.
KR1020150017294A 2014-11-05 2015-02-04 Rechargeable battery Active KR102371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19,308 US9741997B2 (en) 2014-11-05 2015-08-05 Rechargeable battery
CN201510573906.7A CN105576184B (en) 2014-11-05 2015-09-10 rechargeable battery
EP15185578.0A EP3018734B1 (en) 2014-11-05 2015-09-17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85 2014-11-05
KR20140153085 2014-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35A KR20160053735A (en) 2016-05-13
KR102371189B1 true KR102371189B1 (en) 2022-03-07

Family

ID=5602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294A Active KR102371189B1 (en) 2014-11-05 2015-02-04 Rechargeable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1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8976B2 (en) * 2016-11-08 2019-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ssembled battery
CN107871841B (en) * 2017-10-19 2024-10-29 长沙锂安能电子科技有限公司 Built-in double-function protection device for battery and battery
KR102571488B1 (en) * 2018-02-14 2023-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20210129998A (en) * 2020-04-21 2021-10-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05B1 (en) 2011-07-07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101702988B1 (en) 2013-04-17 2017-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88B1 (en) * 2013-04-17 2017-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05B1 (en) 2011-07-07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101702988B1 (en) 2013-04-17 2017-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35A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010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042808B1 (en) Secondary battery
KR101233601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with fuse region
US8758929B2 (en) Secondary battery
KR102272264B1 (en) Battery module having short connecting part
KR101666257B1 (en) Rechargeable battery for supressing arc occurance
KR101264579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With Fuse Portion
KR101264534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nit
EP301873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17750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675618B1 (en) Secondary battery
KR101666256B1 (en) Secondary battery
KR20150092682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61018A (en) Secondary battery
KR102371189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11993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KR101715955B1 (en) Secondary b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