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189B1 -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1189B1 KR102371189B1 KR1020150017294A KR20150017294A KR102371189B1 KR 102371189 B1 KR102371189 B1 KR 102371189B1 KR 1020150017294 A KR1020150017294 A KR 1020150017294A KR 20150017294 A KR20150017294 A KR 20150017294A KR 102371189 B1 KR102371189 B1 KR 102371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ody part
- electrode
- fuse
- uppe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내부 및 셀 외부에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으로 인한 셀 내부의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중 어느 하나에 퓨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inside a cell due to a short circuit by providing fuses inside and outside the cell.
In one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one fuse unit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rechargeable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recharged. In the case of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aged in a pack form, it is used in sm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amcorders. , a large-capacity battery in a battery pack unit with dozens of battery packs connected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 hybrid vehicle.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전극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 a square shape, and a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lyte formed by interposing an insulator, which is an insulato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cap assembly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in a case.
한편, 이차 전지는 과도한 열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이 분해되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발화되거나 폭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차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xcessive heat is generated or the electrolyte solution is decompos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rease and cause ignition or explosion.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afety.
본 발명의 목적은 셀 내부 및 셀 외부에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으로 인한 셀 내부의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inside the cell due to a short circuit by providing a fuse inside and outside the c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중 어느 하나에 퓨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One fuse unit may be formed.
상기 제1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1 상측 몸체부와 제1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first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first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first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fuse part may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몸체부; 및 상기 전극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n electrode bod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first fuse un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body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case.
상기 제2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2 상측 몸체부와 제2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퓨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second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second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second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use part may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집전판 및 제2 집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집전판에는 제3 퓨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 second collector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llector plate A third fuse un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상기 제3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use part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3 퓨즈부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use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third fuse unit.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며 단락홀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단락홀에 형성되는 반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sealing the case and having a shorting hole, wherein the cap assembly includes an inverting plate formed in the shorting hol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version plate has a downward convex round portion; and an edge portion fixed to the cap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반전되어 상기 제2 단자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The inversion plate may be invert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greater than a set pressur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version pl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셀 내부의 집전판과 셀 외부의 전극 단자에 각각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시 셀 외부의 퓨즈를 먼저 동작시킬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 in each of the current collector plate inside the cell and the electrode terminal outside the cell, so that the fuse outside the cell can be operated firs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단락 발생으로 인하여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셀 외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셀 내부에 발생되는 비정상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rk generated inside the cell due to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can be generated outside the cell,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abnormal destruction occurring inside the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집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도 2의 A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rea A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of FIG. 2 .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corresponding to region A of FIG. 2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집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region A of FIG.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of FIG. 2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1 and 2 , a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1 전극판(11), 세퍼레이터(13), 제2 전극판(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전극판(11)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판(12)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 전극판(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전극 무지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무지부(11a)는 제1 전극판(11)과, 제1 전극판(11)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판(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상기 제2 전극판(12)은 니켈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전극 무지부(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 무지부(12a)는 제2 전극판(12)과, 제2 전극판(12)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전극판(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상기와 같은 제1 전극판(11) 및 제2 전극판(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판(11)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판(12)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제1 전극판(11)과 제2 전극판(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0)의 양측 단부에는 제1 전극판(11)과 제2 전극판(1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집전판(20)과 제2 집전판(30)이 결합된다.
At both ends of the
상기 제1 집전판(2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1 전극 무지부(11a)와 접촉됨으로써, 제1 전극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집전판(20)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 제1 연장부(23), 제1 단자홀(24), 퓨즈홀(25) 및 퓨즈 돌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 연결부(21)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와 캡 조립체(5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1)는 제1 단자홀(24)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단자 영역(St)과, 퓨즈홀(25)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퓨즈 영역(Sf)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연장부(23)는 제1 연결부(21)에 대하여 절곡되고 제1 연결부(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전극 무지부(11a)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1)와 제1 연장부(23)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C' 라고 하기로 하며, 제1 연결부(21)와 제1 연장부(23)는 모서리부(C)를 중심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The
상기 제1 단자홀(24)은 제1 연결부(21)의 일측, 즉 제1 단자 영역(St)에 형성되며, 제1 연결부(21) 중 캡 조립체(50)의 제1 전극 단자(52)가 끼워져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 영역(St)은 제1 연결부(21) 중 모서리(C)와 멀리 이격되게 위치한다.The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는 전해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0)의 상부 영역, 즉 제1 연결부(21)의 퓨즈 영역(Sf)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형성된 퓨즈 영역(Sf)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해액이 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퓨즈 영역(Sf)은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제1 단자홀(24)에 결합되는 제1 전극 단자(52)와 중첩하지 않도록 제1 연결부(21) 중 모서리부(C)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다.The
또한, 상기 퓨즈홀(25)은 제1 연결부(21)를 관통하는 홀 대신 제1 연결부(21)에서 다른 부분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홀(25)은,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이차 전지(100)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홀(25)은 과충전시 유발된 단락을 이용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을 용융시켜 전류의 흐름을 미리 차단함으로써, 발화 및 폭발의 위험과 같은 위험한 상황까지 이르기 전에 이차 전지(100)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 영역(Sf)의 단부에서 전극 조립체(10) 방향으로 퓨즈 영역(Sf)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히 절곡되고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의 좌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 근처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 돌기(26)는 퓨즈홀(25)이 형성된 영역이 외부 충격에 의해 저항력이 낮아 이차 전지(100)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가 형성된 퓨즈 영역(Sf)을 제2 퓨즈부(27)라 명명하기로 한다.
The
상기 제2 집전판(30)은 니켈 또는 구리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의 타측 단부로 돌출된 제2 전극 무지부(12a)와 접촉됨으로써, 제2 전극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집전판(30)은 제2 연결부(31), 제2 연장부(33), 제2 단자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 집전판(3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제1 집전판(20)의 구성 중 퓨즈홀(25) 및 퓨즈 돌기(26)와 대응되는 퓨즈홀 및 퓨즈 돌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집전판(20)이 퓨즈 기능을 하는 퓨즈홀(25)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집전판(20)이 니켈 또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집전판(30) 보다 용융점이 낮아 퓨즈 기능을 실현시키기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집전판(20)에 퓨즈홀(25)과 퓨즈 돌기(26)를 형성시키지 않고, 제2 집전판(30)에 퓨즈홀(미도시)과 퓨즈 돌기(미도시)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상기 케이스(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및 제2 집전판(30)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케이스(40)와 캡 조립체(50)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고 있으므로 개구부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캡 조립체(50)의 둘레 부분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한편, 케이스(40)의 내면은 절연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및 캡 조립체(50)와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0)는 하나의 극성,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캡 조립체(50)는 케이스(40)에 결합된다. 상기 캡 조립체(50)는 구체적으로 캡 플레이트(51), 제1 전극 단자(52), 제2 전극 단자(53), 가스켓(54), 제1 단자 플레이트(55) 및 제2 단자 플레이트(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50)는 마개(57), 벤트 플레이트(58), 상부 절연부재(59a), 연결판(59b), 반전 플레이트(60) 및 하부 절연부재(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의 개구를 밀봉하며, 케이스(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플레이트(51)는 케이스(4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1 집전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1 상측 몸체부(52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및 제1 퓨즈부(52c)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 상측 몸체부(52a)는 케이스(40)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55)에 리벳팅 결합되어 제1 전극 단자(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52a1)가 형성된다.The first
상기 제1 하측 몸체부(52b)는 케이스(40)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11)에 연결되고, 제1 전극 단자(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플랜지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1 집전판(20)의 제1 단자홀(2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단자(52)는 캡 플레이트(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와 제1 하측 몸체부(52b)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퓨즈부(52c)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1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52a) 및 제1 하측 몸체부(52b) 중 어느 하나 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홈이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퓨즈부(52c)는 제1 집전판(20)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큰 홀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제2 퓨즈부(27)보다 더 작은 퓨즈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퓨즈부(52c)는,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52c)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100), 즉 셀 내부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더 빨리 용융되어 제1 전극 단자(52)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가 용융시 발생되는 불꽃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제1 퓨즈부(52c)를 감싸거나 덮으며, 가스켓(54) 및 전기적 절연 또는 도전성 연결판(59b)에 접촉할 수 있으로써, 인서트 몰딩 파트 M이 외부 충격에 대항하여 제1 퓨즈부(52c)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100)가 원하지 않는 외부 충격에 노출되었을 때, 제1 퓨즈부(52c)가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수지, 플라스틱, 또는 그 등가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료들이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인서트 몰딩 파트 M의 강도는 가스켓(54) 및/또는 전기적 절연 또는 도전성 연결판(59b)의 강도와 같거나 또는 높을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몰딩 파트 M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The insert molding part M surrounds or covers the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2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제1 전극 단자(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제1 퓨즈부(52c)없이 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51)와 절연된다.The
상기 가스켓(54)은 절연성 재질로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가스켓(54)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The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55)는 제1 전극 단자(52)의 상부 기둥과 리벳팅 결합되어 제1 전극 단자(52)를 캡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The first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제2 전극 단자(53)의 상부 기둥과 리벳팅 결합되어 제2 전극 단자(53)를 캡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이격된 외측, 즉 상부 절연부재(59a) 위에서 제2 전극 단자(5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단락홀(51c)을 덮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제2 전극 단자(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 단자 플레이트(56)는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전 플레이트(60)와 접촉하여 단락을 유발시킨다. 상기 단락이 유발되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열이 발생하며, 이때 제1 퓨즈부(52c) 또는 제2 퓨즈부(27)는 퓨즈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The second
상기 마개(57)는 캡 플레이트(51)의 전해액 주입구(51a)를 밀봉하며, 벤트 플레이트(58)는 캡 플레이트(51)의 벤트홀(51b)에 설치되며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치(58a)를 포함한다. The
상기 상부 절연부재(59a)는 제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부 절연부재(59a)는 제2 전극 단자(53)와 캡 플레이트(51)를 절연시킨다.The upper insulating
상기 연결판(59b)은 제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너트(55)를 통해서 캡 플레이트(51)와 가스켓(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연결판(59b)은 제1 전극 단자(52)와 캡 플레이트(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connecting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의 단락홀(51c)에서 상부 절연부재(59a)와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캡 플레이트(51)에 고정된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반전되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60)는 캡 플레이트(5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The
상기 하부 절연부재(61)는 제1 집전판(20) 및 제2 집전판(30) 각각과 캡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The lower insulat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제1 퓨즈부(52c) 를 갖는 제1 전극 단자(52)와 제2 퓨즈부(27)를 갖는 제1 집전판(20)을 구비함으로써, 단락 발생시에는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보다 셀 외부의 제1 전극 단자(52)에 구비된 제1 퓨즈부(52c)를 먼저 동작시켜 단락 발생시 제1 전극 단자(52)를 분리시키면서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셀 외부에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단락 발생시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파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도 2의 A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corresponding to region A of FIG. 2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도 2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전극 단자(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52c) 의 길이만 달라질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1 전극 단자(2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252b)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 단자(252)는 퓨즈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퓨즈부(252b)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전극 단자(252)는 전극 몸체부(252a) 및 제1 퓨즈부(252b)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캡 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결합된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리벳팅 결합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몸체부(252a)는 상부 양측부에 제1 단자 플레이트(255)에 리벳팅 결합시 제1 전극 단자(252)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252a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의 일단(즉, 하단)으로부터 케이스(4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전극 몸체부(252a)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퓨즈부(252b)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2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또한,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제1 집전판(20)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제2 퓨즈부(27)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큰 홀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제2 퓨즈부(27)보다 더 작은 퓨즈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fuse unit 252b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이차 전지(2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252b)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100), 즉 셀 내부에 형성된 제2 퓨즈부(27)보다 더 빨리 용융되어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셀 내부의 제2 퓨즈부(27)에서 용융시 발생되는 불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fuse unit 252b functions as a fuse for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by melting by heat generat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도 2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전극 단자(52)에 형성된 제1 퓨즈부(52c)가 제2 전극 단자(53)에 형성되고, 제1 집전판(20)에 제2 퓨즈부(27)가 형성되지 않는 것만 달라질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2 전극 단자(53)에 형성된 제1 퓨즈부(53c) 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전극 조립체(10), 제1 집전판(20), 제2 집전판(30), 케이스(40) 및 캡 조립체(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a
상기 캡 조립체(50)는 케이스(4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55) 및 제2 단자 플레이트(56)에 결합된 제1 전극 단자(52) 및 제2 전극 단자(53)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2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2 상측 몸체부(53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측 몸체부(53b) 및 제1 퓨즈부(53c)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 상측 몸체부(53a)는 케이스(40)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56)에 리벳팅 결합되어 제2 전극 단자(53)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돌기부(53a1)가 형성된다.The second
상기 제2 하측 몸체부(53b)는 케이스(4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12)에 연결되고, 제2 전극 단자(53)가 캡 플레이트(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플랜지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2 집전판(30)의 제2 단자홀(3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 단자(53)는 캡 플레이트(51)와 절연된다.
The second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와 제2 하측 몸체부(53b)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퓨즈부(53c)의 두께 또는 단면적은 이차 전지(100)의 단락시 요구되는 퓨즈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또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 중 어느 하나 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홈이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보다 전기 저항이 큰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제2 상측 몸체부(53a) 및 제2 하측 몸체부(53b)를 구성하는 구리보다 전기 저항이 큰 물질로 구성된 클래드 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퓨즈부(53c)는, 이차 전지(1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은 외부의 이차 전지와의 연결 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단선이나, 이차 전지(100) 내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되는 경우, 반전 플레이트(60)와 제2 단자 플레이트(5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53c)는 단락을 이용해 이차 전지(300), 즉 제2 전극 단자(53)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7A to 7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이차 전지(300)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판(11) 및 제2 전극판(12)에 각각 연결된 제1 전극탭(17) 및 제2 전극탭(19)은 캡 플레이트(51)와 전극 조립체(1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전극 리드(17a) 및 제2 전극 리드(19a)를 통하여 각각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A to 7B , the
상기 제1 전극 단자(352)는 캡 플레이트(51)의 상부로 노출된 제1 상측 몸체부(352a)와, 캡 플레이트(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및 제1 퓨즈부(3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및 제1 하측 몸체부(3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또는 제1 하측 몸체부(352b), 또는 제1 상측 몸체부(352a) 및 제1 하측 몸체부(352b) 중 어느 하나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이차 전지(300)에 단락이 발생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퓨즈부(352c)는 단락을 이용해 신속하게 용융되어 제1 전극 단자(352)를 분리시키면서 셀 외부에서 불꽃(arching)을 발생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비정상적인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전극 단자(353)는 제1 전극 단자(3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전극 단자(353)는 제1 전극 단자(352)의 제1 퓨즈부(352c)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한편, 이러한 전기 자동차용 이차 전지(300)는 이차 전지의 관통이나 압괴 시 캡 플레이트(51) 및 케이스(40)가 극성을 갖지 않아야 안전하기 때문에,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353)는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극 단자(352) 및 제2 전극 단자(353)는 가스켓(54)에 의해 캡 플레이트(51)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10: 전극 조립체 17: 제1 전극탭
17a: 제1 전극 리드 19: 제2 전극탭
19a: 제2 전극 리드 20: 제1 집전판
25: 퓨즈홀 26: 퓨즈 돌기
27: 제2 퓨즈부 30: 제2 집전판
40: 케이스 50: 캡 조립체
51: 캡 플레이트 52, 252, 352: 제1 전극 단자
52a, 352a: 제1 상측 몸체부 52b, 352b: 제1 하측 몸체부
52c, 53c, 252b, 352c: 제1 퓨즈부 53, 353: 제2 전극 단자
53a: 제2 상측 몸체부 53b: 제1 하측 몸체부
54: 가스켓 55, 255: 제1 단자 플레이트
56: 제2 단자 플레이트 57: 마개
58: 벤트 플레이트 59a: 상부 절연부재
59b: 연결판 60: 반전 플레이트
61: 하부 절연부재 100, 200, 300: 이차 전지
252a: 전극몸체부10: electrode assembly 17: first electrode tab
17a: first electrode lead 19: second electrode tab
19a: second electrode lead 20: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25: fuse hole 26: fuse protrusion
27: second fuse unit 30: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40: case 50: cap assembly
51:
52a, 352a: first
52c, 53c, 252b, 352c:
53a: second
54:
56: second terminal plate 57: stopper
58:
59b: connecting plate 60: inverting plate
61: lower insulating
252a: electrode body part
Claims (20)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1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1 상측 몸체부와 제1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퓨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first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first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 first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use part has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use part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또는 제1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1 상측 몸체부 및 제1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use part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art, the first lower body part, or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part.
상기 제1 퓨즈부는 인서트 몰딩 파트에 의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fuse part is surrounded by an insert molding part.
상기 제2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상측 몸체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 제2 전극판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몸체부; 및
상기 제2 상측 몸체부와 제2 하측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퓨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is
a second upper body portion coupled to a second terminal plate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 second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nd a second fuse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high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second upper body part or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제2 퓨즈부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또는 제2 하측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상측 몸체부 및 제2 하측 몸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use part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the second lower body part, or the second upper body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part.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집전판 및 제2 집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집전판에는 제3 퓨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8. The method of claim 7,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llector plate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fuse unit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상기 제1 집전판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전극판과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is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상기 제3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rd fuse par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3 퓨즈부보다 전기 저항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fuse unit is formed to have a greater electrical resistance than the third fuse unit.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며 단락홀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단락홀에 형성되는 반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sealing the case and having a shorting hole,
and the cap assembly includes an inversion plate formed in the shorting hole.
상기 제1 퓨즈부는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길이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height of the first fuse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cap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round part convex downward; and
and a rim part fixed to the cap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반전되어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invert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becomes greater than a set pressure, and the inversion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late.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version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상기 제2 퓨즈부는 인서트 몰딩 파트에 의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fuse part is surrounded by an insert mold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19,308 US9741997B2 (en) | 2014-11-05 | 2015-08-05 | Rechargeable battery |
CN201510573906.7A CN105576184B (en) | 2014-11-05 | 2015-09-10 | rechargeable battery |
EP15185578.0A EP3018734B1 (en) | 2014-11-05 | 2015-09-17 | Rechargeable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085 | 2014-11-05 | ||
KR20140153085 | 2014-11-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3735A KR20160053735A (en) | 2016-05-13 |
KR102371189B1 true KR102371189B1 (en) | 2022-03-07 |
Family
ID=5602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294A Active KR102371189B1 (en) | 2014-11-05 | 2015-02-04 | Rechargeable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118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28976B2 (en) * | 2016-11-08 | 2019-06-1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Assembled battery |
CN107871841B (en) * | 2017-10-19 | 2024-10-29 | 长沙锂安能电子科技有限公司 | Built-in double-function protection device for battery and battery |
KR102571488B1 (en) * | 2018-02-14 | 2023-08-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20210129998A (en) * | 2020-04-21 | 2021-10-2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205B1 (en) | 2011-07-07 | 2016-1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KR101702988B1 (en) | 2013-04-17 | 2017-0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288B1 (en) * | 2013-04-17 | 2017-01-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
-
2015
- 2015-02-04 KR KR1020150017294A patent/KR1023711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205B1 (en) | 2011-07-07 | 2016-1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KR101702988B1 (en) | 2013-04-17 | 2017-0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3735A (en) | 2016-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6010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042808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33601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with fuse region | |
US8758929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272264B1 (en) | Battery module having short connecting part | |
KR101666257B1 (en) | Rechargeable battery for supressing arc occurance | |
KR101264579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With Fuse Portion | |
KR101264534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nit | |
EP3018734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2177504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675618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666256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50092682A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30061018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371189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711993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 |
KR101715955B1 (en) | Secondary b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