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0942B1 -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 Google Patents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942B1
KR102370942B1 KR1020170118014A KR20170118014A KR102370942B1 KR 102370942 B1 KR102370942 B1 KR 102370942B1 KR 1020170118014 A KR1020170118014 A KR 1020170118014A KR 20170118014 A KR20170118014 A KR 20170118014A KR 102370942 B1 KR102370942 B1 KR 10237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cleaner
adapter
housing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0500A (en
Inventor
곽승윤
최원섭
한주호
서용교
윤성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942B1/en
Priority to US15/990,045 priority patent/US10865748B2/en
Priority to DE102018208969.8A priority patent/DE102018208969B4/en
Priority to CN201810603598.1A priority patent/CN109505718B/en
Publication of KR2019003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94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02M35/0203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by using clamps, catches, locks or the like, e.g. for disposable plug-in filte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02M35/02425Support structures increasing the stability or stiffness of the filte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4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e.g. welding, glueing or moulding
    • B01D2265/05Special adapters for the connection of filters or parts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7/00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filter in relation to the gas stream
    • B01D2277/20Inclined, i.e. forming an angle of between 0° and 9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intak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r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100)은 도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내보내는 필터(80)가 상향경사배열로 장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한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 내부공간에서 필터(80)의 흔들림을 필터 구속력으로 차단시켜주는 필터 픽서(filter fixer)(20), 내부공간에서 필터(80)를 가압하여 필터 고정력을 형성시켜주는 필터 어댑터(filter adapter)(40)가 포함된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1)를 적용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및 분리 조작으로 필터(80)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정비 편리성을 부여하고, 특히 기존의 볼트나 스프링의 삭제에 의한 구조 단순화와 중량과 금형비 및 제조 원가 절감으로 필터(80)가 원형필터로 적용됨으로써 큰 투과면적과 높은 흡압 성능이 요구되는 고성능차량에 적합한 특징을 갖는다.In the intak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er body 10, the air cleaner cover 30, and the filter in the interior space are formed in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filter 80 that purifies and discharges the introduced air is mounted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A filter fixer 20 that blocks the shaking of the 80 with filter binding force, and a filter adapter 40 that pressurizes the filter 80 in the inner space to form a filter fixing force. By applying the adapter filter fixing method air cleaner (1), it giv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n which the filter 80 is attached and detached by fitting and detaching the filter adapter 40, an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removing the existing bolts or springs. As the filter 80 is applied as a circular filter due to reduction in weight, mold cost and manufacturing cost, it ha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high-performance vehicles requiring a large permeation area and high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Description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 및 흡기 시스템{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댑터를 이용한 필터고정구조로 원형필터이면서도 볼트나 스프링이 삭제된 고성능차량에 적합한 에어클리너를 적용한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ake system to which an air cleaner suitable for a high-performance vehicle in which bolts or springs are removed while being a circular filter with a filter fixing structure using an adapter.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시스템(Intake System)은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원형필터가 내장된 에어클리너로 외기를 깨끗한 신기로 전환해 엔진에 공급한다.In general, the intake system of a vehicle is an air cleaner with a built-in round filter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converts the outside air into clean fresh air and supplies it to the engine.

이를 위해 상기 에어클리너는 볼트체결구조의 볼트고정방식 또는 스프링지지구조의 스프링고정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오염된 원형필터를 신품 원형필터로 교체할 수 있는 필터교체방식 에어클리너로 구현된다.To this end, the air cleaner is implemented as a filter replacement type air cleaner that can replace a contaminated round filter with a new round filter by applying a bolt fixing method of a bolt fastening structure or a spring fixing method of a spring support structure.

일례로 상기 볼트고정방식은 에어클리너 바디로 수용된 원형필터를 별물의 어댑터와 함께 에어클리너 바디의 볼팅 좌면부로 위치 세팅한 후 볼트 체결로 원형필터를 조립하고 반면 에어클리너 커버 분리와 볼트 해제 및 어댑터 제거로 원형필터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고정방식은 에어클리너 커버로 에어클리너 바디에 밀어 넣어진 원형필터의 필터 고정부와 에어클리너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 부착부에 결합된 스프링의 스프링 체결로 원형필터를 조립하고 반면 에어클리너 커버 분리와 스프링 체결 해제로 원형필터를 분리하는 방식이다.For example, in the bolt fixing method, the circular filter accommodated in the air cleaner body is positioned on the bolted seat surface of the air cleaner body together with an adapter of a separate product, and then the circular filter is assembled by fastening the bolts. This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circular filter with For example, in the spring fixing method, the circular filter is assembled by the spring fastening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filter fixing part of the circular filter pushed into the air cleaner body with the air cleaner cover and the spring attachment part formed on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body. It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circular filter by removing the cleaner cover and releasing the spring.

그러므로 에어클리너는 낮은 정화율의 오염 필터를 높은 정화율의 신품 필터로 교체할 수 있고, 흡기시스템은 에어클리너의 최적 공기정화성능으로 깨끗한 신기를 엔진에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cleaner can replace the polluting filter with a low purification rate with a new filter with a high purification rate, and the intake system can supply clean fresh air to the engine with the optimal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air cleaner.

일본특허공개공보 2001-293310(2001.10.23)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293310 (October 23, 2001)

하지만 상기 볼트고정방식 에어클리너는 어댑터 및 볼팅 구조의 추가에 따른 에어클리너 구조 복잡성 증대 및 금형비 상승을 가져오고, 어댑터와 볼트에 의한 부품수량 증대 및 제조 원가 상승을 가져오며, 특히 원형필터의 조립 및 분리시 어댑터 끼움 후 볼트와 너트의 나사 체결을 필요로 함으로써 정비공수추가 및 작업성 어려움으로 AS성을 불리하게 한다.However, the bolt fixing type air cleaner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air cleaner structure and increases the mold cost due to the addition of the adapter and bolting structure,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by the adapter and the bolt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 particular, the assembly and When disassembling, it is necessary to screw the bolt and nut after inserting the adapter, which makes the AS property unfavorable due to the addition of maintenance man-hours and difficulty in workability.

또한 상기 스프링고정방식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 내측 스프링 지지구조 추가에 따른 금형 복잡성 증대 및 금형비 상승을 가져오고, 에어클리너 바디의 스프링 지지 구조 및 원형 필터 측 별도 구조의 추가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중량 상승을 가져오며, 특히 필터 정비시 에어클리너 바디의 내측에 깊숙이 위치한 스프링 체결 구조의 시인성 부족에 따른 정비 어려움으로 AS성을 불리하게 한다.In addition, the spring-fixed air cleaner increases the mold complexity and increases the mold cost due to the addition of the inner spring support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and increases the cost and weight due to the addition of the spring support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body and the separate structure on the circular filter side. In particular, during filter maintenance, the AS property is disadvantageous due to maintenance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visibility of the spring fastening structure located deep inside the air cleaner body.

한편 사각필터 적용 에어클리너인 경우 클램프 구조의 필터교체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클램프 구조는 에어클리너 바디로 수용된 사각필터의 좌면을 에어클리너 커버로 눌러준 상태에서 클램프 체결로 사각필터를 조립하고 반면 에어클리너 커버 분리와 클램프 해제로 사각필터를 분리함으로써 사각 필터 교체시 클램프를 이용한 조작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각필터 적용 에어클리너는 원형필터 대비 투과면적이 작으면서 흡압 성능도 떨어짐으로써 고성능차량의 흡기 시스템에 적합한 에어클리너 성능 충족이 불가능 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ir cleaner applying a square filter, the filter replacement method of the clamp structure is applied, and the clamp structure assembles the square filter by clamping the seat surface of the square filter accommodated as the air cleaner body with the air cleaner cover, and on the other hand, the air cleaner By separating the square filter by removing the cleaner cover and releasing the clamp,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using the clamp when replacing the square filter. However, the square filter applied air cleaner has a smaller permeation area and lower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compared to a round filter, so it is impossible to meet the air cleaner performance suitable for the intake system of a high-performance vehicle.

그러므로 고성능차량의 흡기 시스템에 적합한 원형필터 적용 에어클리너도 클램프 구조와 같은 편리성을 갖는 필터교체방식에 대한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filter replacement method with the same convenience as a clamp structure for an air cleaner with a circular filter suitable for the intake system of a high-performance vehicle.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필터 구속력으로 필터를 경사 상태로 내장한 에어클리너 바디에 대한 필터 어댑터의 끼움 조작으로 필터 고정력이 형성됨으로써 필터에 대한 정비 편리성을 부여하고, 특히 고성능차량의 요구 성능을 큰 투과면적과 높은 흡압 성능으로 충족하는 원형필터의 외란에 대한 안정성이 볼트나 스프링 적용 없이 필터 구속력과 필터 고정력으로 부여됨으로써 구조 단순화와 중량 저감은 물론 금형비와 제조 원가도 크게 절감되는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 및 흡기 시스템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aintenance convenience to the filter by forming the filter fixing force by fitting the filter adapter to the air cleaner body in which the filter is built in an inclined state with the filter restraining force, and in particular, for high-performance vehicles. An adapter that not only simplifies structure and reduces weight, but also greatly reduces mold cost and manufacturing cost, as the stability against disturbance of a round filter that meets the required performance with large permeation area and high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is provided with filter binding force and filter holding force without applying bolts or spring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an intake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클리너는 서로 결합되어 덕트 인렛의 유입 공기를 호스 아웃렛의 배출공기로 정화하는 필터의 탈장착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커버 클램프로 잠금 및 분리되는 에어클리너 바디와 에어클리너 커버;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필터의 흔들림이 차단되는 필터 구속력을 형성하는 필터 픽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탈장착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필터 고정력을 형성하는 필터 어댑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filter that purifies the inlet air of the duct inlet to the exhaust air of the hose outlet, and the air that is locked and separated by a cover clamp Cleaner body and air cleaner cover; a filter fixer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seat the filter and to form a filter binding force that blocks the shaking of the filter; and a filter adapt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and forms a filter fixing force to which the filter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는 하드 우레탄의 프레임 구조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원형 필터이다.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가 분리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탈장착된다.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 고정력이 형성되도록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is a circular filter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 frame structure of hard urethane. The filter adapt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from the air cleaner body from which the air cleaner cover is separated. The filter adapter is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the filter fixing force is formed by pressing the filt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호스 아웃렛에 위치된 앞쪽이 들어 올려지면서 뒤쪽이 내려간 상향경사배열로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 픽서는 상기 상향경사배열이 유지되도록 상기 필터 구속력으로 상기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서 상기 필터 고정력을 형성해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in which the front is raised and the rear is lowered at the hose outlet, and the filter fixer uses the filter binding force to maintain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and the filter adapter forms the filter fixing force at the rear of the filt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 픽서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서 상기 필터 어댑터의 끼움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어댑터 가이드부재, 상기 필터의 앞뒤 및 좌우쪽에서 상기 필터 구속력을 형성해주는 필터 구속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와 상기 필터 구속부재는 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 고정력을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fixer is composed of an adapter guide member inclined to guide the fitting path of the filter adapter from the rear of the filter, and a filter constraining member that forms the filter restraining force from the front, back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the adapter guide member and the filter constraining member are formed in the air cleaner body; The filter adapter forms the filter fixing force while being fitted to the adapter guide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 구속부재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 위치된 필터 받침부재, 상기 필터의 앞쪽에 위치된 필터 안착부재, 상기 필터의 좌우쪽에 위치된 필터 위치부재, 상기 필터의 위쪽에서 상기 필터 구속력을 형성해주는 필터 누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받침부재와 상기 필터 안착부재 및 상기 필터 위치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반면 상기 필터 누름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에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constraining member includes a filter supporting memb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lter, a filter mounting member located at the front of the filter, a filter positioning member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and the filter above the filter. It is composed of a filter pressing member forming a binding force, and the filter supporting member, the filter seating member, and the filter positioning member are formed on the air cleaner body, while the filter pressing member is formed on the air cleaner cov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 받침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필터 받침부재와 상기 필터 안착부재는 상기 상향경사배열의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과 앞쪽을 각각 받쳐주고, 상기 필터 위치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좌,우측 필터 홀더가 상기 상향경사배열의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좌우쪽을 각각 받쳐주며, 상기 필터 누름부재는 어댑터 푸셔로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기 필터 어댑터의 위쪽부위를 눌려주면서 상기 어댑터 푸셔와 마주보도록 돌출된 필터 푸셔로 상기 필터의 앞쪽 위치에서 위쪽부위를 눌려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support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 filter seat member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and the filter support member and the filter seat member are in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The filter position member supports the rear and the front side of the filter,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filter holders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in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respectively, , The filter pressing memb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adapter inserted into the adapter guide member with the adapter pusher while pressing the upper portion from the front position of the filter with the filter pusher protruding to face the adapter push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 고정력을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 면에 가하는 가압력으로 형성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어댑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 부위와 접촉하는 필터 고정리브, 상기 어댑터 바디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의 좌,우측 삽입채널에 각각 끼워져 상기 어댑터 바디의 위치를 구속해주는 좌,우측 삽입돌기로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lter adapter includes an adapter body formed by a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while being fitted to the adapter guide member to apply the filter fixing force to the adapter body, protruding from the adapter body and fitted to the adapter guide member. It consists of a filter fixing rib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filter, and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at intervals from the adapter body and fitted into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channels of the adapter guide member, respectively,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adapter bod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와 상기 호스 아웃렛의 연결부위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를 연결한 필터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플랜지에는 필터 스트랩이 끼워져 상기 필터 플랜지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의 결합면은 하우징 스트랩으로 밀폐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하우징 스트랩이 끼워지는 스트랩 채널이 파여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filter flang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lter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lter and the hose outlet, and a filter strap is fitted to the filter flange to maintain airtightness to the filter flange makes it A coupling surface of the air cleaner body and the air cleaner cover is sealed with a housing strap to maintain airtightness to the inner space, and a strap channel into which the housing strap is fitted is dug in the coupling surfa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는 서로 융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호스 하우징과 덕트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하우징은 상기 호스 아웃렛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덕트 인렛과 바닥면을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ir cleaner body includes a hose housing and a duct housing that are fused to each other to form the inner space, the hose housing forms the hose outlet and is coupled to the air cleaner cover, and the duct housing includes: The duct inlet and the bottom surface are form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은 신기를 내보내는 호스 아웃렛을 갖춘 호스 하우징과 외기가 도입되는 덕트 인렛을 갖춘 덕트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 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호스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클리너 커버, 앞쪽이 올라가고 뒤쪽이 내려간 상향경사배열로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신기로 전환하는 원통형상의 필터, 상기 필터가 지지되는 필터 구속력을 형성하는 필터 픽서,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필터 고정력을 형성하는 필터 어댑터,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우징 스트랩,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를 잠거 주는 커버 클램프, 상기 필터와 상기 호스 하우징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기밀을 유지하는 필터 스트랩로 구성된 에어클리너; 상기 외기가 흐르는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를 흐르는 상기 외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흡기 쉴드; 상기 신기가 흐르는 흡기 호스;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t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ir cleaner body in which a hose housing having a hose outlet for discharging fresh air and a duct housing having a duct inle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hose An air cleaner cover coupled to a housing to form the inner space, a cylindrical filter mounted in the inner space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with the front side up and the back side dow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ir and convert it into the new air, the filter is supported A filter fixer that forms a filter binding force that becomes an air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body, a cover clamp for locking the air cleaner cover, and a filter strap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lter and the hose housing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filter; an intake duc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 intake shield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duct; an intake hose through which the fresh air flow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외기가 흐르는 덕트 바디에 상기 외기가 빠져나가는 연결 후크와 고정 후크를 갖추고, 상기 연결 후크는 상기 덕트 인렛의 주위를 감싼 연결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호스 하우징에서 돌출된 포지션 돌기에 끼워져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호스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고정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take duc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ok and a fixing hook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exits to the duct body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d the connection hook is fitted into a connection connector wrapped around the duct inlet to fit the intake duct and the duc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housing is fixed, and the fix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hose housing to fix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intake duct and the hose housing.

이러한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은 어댑터 필터고정구조로 원형필터를 탈/장착하는 에어클리너가 적용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The int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by applying an air cleaner for removing/installing a circular filter with an adapter filter fixing structure.

첫째 성능개선으로서, 이는 원형필터의 투과면적 증대에 따른 흡압 성능이 사각필터 대비 약 1kPa 이상으로 개선됨에 기인된다. 둘째 정비성 개선으로서, 이는 기존 볼트고정방식 에어클리너 대비 볼팅 작업성 삭제로 기인된다. 셋째 원가절감으로서, 이는 기존 볼트고정방식 에어클리너의 볼크/너트 또는 기존 스프링고정방식 에어클리너의 필터와 스프링의 지지 및 체결구조 삭제에 따른 원가 절감에 기인된다. 넷째 양산성 개선으로서, 이는 기존 볼트고정방식 에어클리너나 기존 스프링고정방식 에어클리너 대비 원형 필터 상/하단에 적용되었던 별물 구조 삭제 및 에어클리너측 너트 삽입 삭제에 기인된다. 다섯째 고성능차량 적합성으로서, 이는 사각필터 대비 큰 투과면적과 높은 흡압 성능을 갖는 원형필터로 고성능차량에서 요구하는 흡기 시스템의 성능 충족이 가능함에 기인된다.First, as a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i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circular filter to about 1 kPa or more compared to the square filt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transmission area. The second improvement in maintainability is due to the deletion of bolting work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bolt-fixed air cleaner. Third, as cost reduction, this is due to cost reduction due to the deletion of the bolt/nut of the existing bolt-fixed air cleaner or the filter and spring support and fastening structure of the existing spring-fixed air cleaner. Fourth, as an improvement in mass production, this is due to the deletion of the separate structure applied to the upper/lower part of the circular filter and the insertion of the nut on the air cleaner side compared to the existing bolt fixing type air cleaner or the existing spring fixing type air cleaner. Fifth, as for suitability for high-performance vehicl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performance of the intake system required by high-performance vehicles with a round filter having a larger transmission area and high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compared to a square fil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바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커버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어댑터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고정력 형상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내부기밀을 위한 필터 스트랩(filter strap)의 적용 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리너에 적용된 실린더 형상의 원형타입 필터의 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제조 공정의 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가 적용된 흡기 시스템의 예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 시스템의 흡기덕트의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덕트와 에어클리너의 조립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덕트와 에어클리너의 조립 단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cleaner body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leaner cover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apter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ilter fixing force shap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filter strap for internal airtightness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of a cylinder-shaped circular type filter applied to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filter, FIG. 10 is an example of an intake system to which an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ake duct of an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assembly view of the intake duct and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and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illustrative drawings, and since these embodiments are example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에어클리너(1)의 사시도와 A-A 단면도로서, 에어클리너(1)는 에어클리너 바디(10)와 필터 픽서(filter fixer)(20), 에어클리너 커버(30), 필터 어댑터(filter adapter)(40), 하우징 스트랩(housing strap)(50), 커버 클램프(60), 필터 스트랩(filter strap)(70) 및 필터(80)를 포함한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of the air cleaner 1, wherein the air cleaner 1 includes an air cleaner body 10, a filter fixer 20, an air cleaner cover 30, and a filter adapter. a filter adapter 40 , a housing strap 50 , a cover clamp 60 , a filter strap 70 and a filter 80 .

상기 에어클리너(1)는 커버 클램프(60)로 고정된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결합으로 사각입방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클리너(1)는 하우징 스트랩(50)으로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필터 스트랩(70)으로 필터(80)의 주위에 대한 기밀을 형성한다.The air cleaner 1 is formed as a square cube by combining the air cleaner body 10 fixed with the cover clamp 6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 In addition, the air cleaner (1)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with the housing strap (50), and seals the airtightness around the filter (80) with the filter strap (70). to form

특히 상기 에어클리너(1)는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된 필터(80)에 대한 필터 픽서(20)의 구속구조로 필터 구속력을 형성함과 더불어 필터 어댑터(40)의 끼움구조로 필터 고정력을 형성함으로써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로 구현된다. 더구나 상기 에어클리너(1)는 하드 우레탄을 사용한 필터(80)가 적용됨으로써 필터(80)는 하드 우레탄의 프레임 구조(예 도 8의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로 강건성 유지와 함께 플라스틱과 같은 씰링 성능을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air cleaner 1 forms a filter constraint with the constraint structure of the filter fixer 20 with respect to the filter 8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and the filter adapter By forming the filter fixing force with the fitting structure of (40), it is implemented as an adapter filter fixing method air cleaner. Moreover, the filter 80 using hard urethane is applied to the air cleaner 1, so that the filter 80 has a frame structure of hard urethane (eg,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in FIG. 8), while maintaining robustness. Forms sealing performance like plastic.

도 1의 에어클리너 조립 외관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30)는 필터(80)의 수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스트랩(50)은 서로 결합된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 클램프(60)는 에어클리너 바디(10)에 구비되어 에어클리너 커버(30)의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해 젖힘 조작된다.1,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form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80, and the housing strap 50 is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between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 and the cover clamp 60 is provided on the air cleaner body 10 and is operated by bending to fix or separate the air cleaner cover 30 . .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10)는 프레임 형상의 호스 하우징(10-1)과 용기 형상의 덕트 하우징(10-2)으로 구분되고, 상기 호스 하우징(10-1)이 상기 덕트 하우징(10-2)에 융착(예, 초음파 융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바닥면을 갖는 내부공간으로 필터(80)가 수용된다.Specifically, the air cleaner body 10 is divided into a frame-shaped hose housing 10-1 and a container-shaped duct housing 10-2, and the hose housing 10-1 is the duct housing 10- 2) is fused (eg, ultrasonically fused) and integrated to accommodate the filter 80 into an internal space having a bottom surface.

일례로 상기 호스 하우징(10-1)에는 필터(80)를 거친 공기가 에어클리너(1)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호스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된 호스 아웃렛(11)이 구비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10-2)에는 외부에서 에어클리너(1)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들어오도록 덕트 하우징(10-2)을 소정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절개한 덕트 인렛(13)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호스 하우징(10-1)에는 필터(80)를 호스 아웃렛(11)쪽으로 위치시키도록 호스 아웃렛(11)의 위치에서 호스 하우징(10-1)의 내부로 돌출된 필터 플랜지(11A)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10-2)에는 외부 기기(예, 엔진 룸 차체)와 체결되는 마운팅 보스(17)가 적어도 2개소 위치에서 덕트 하우징(10-2)의 외부로 돌출된다.For example, in the hose housing 10-1, there is a hose outlet 1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se housing 10-1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80 escapes from the inner space of the air cleaner 1 to the outside. is provided, and the duct housing 10-2 has a duct inlet 13 in which the duct housing 10-2 i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air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air cleaner 1 from the outside. provided In particular, the hose housing 10-1 has a filter flange 11A protruding from the position of the hose outlet 11 to the inside of the hose housing 10-1 to position the filter 80 toward the hose outlet 11. The duct housing 10-2 has a mounting boss 17 that is fastened to an external device (eg, an engine room body)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uct housing 10-2 at at least two positions.

또한 상기 호스 하우징(10-1)과 상기 덕트 하우징(10-2)의 각각에는 안쪽면으로 내측 리브(15)를 바깥쪽면으로 외측 리브(16)를 다수로 형성하여 하우징 강성을 강화하여 준다. 특히 상기 호스 하우징(10-1)에는 호스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기기(예, 흡기 덕트)와 고정되는 고정 커넥터(19)가 덕트 인렛(13)의 위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10-2)에는 덕트 인렛(13)의 주위를 사각형상으로 감싸도록 덕트 하우징(10-2)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기기(예, 흡기 덕트)와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18)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hose housing 10-1 and the duct housing 10-2, a plurality of inner ribs 1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outer ribs 1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strengthen the housing rigidity. In particular, in the hose housing 10-1, a fixing connector 19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se housing 10-1 and is fixed to an external device (eg, an intake duct) is provided above the duct inlet 13, The duct housing 10-2 has a connector 18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uct housing 10-2 to surround the duct inlet 13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n intake duct). is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30)는 에어클리너 바디(10)의 호스 아웃렛(11)쪽으로 들어 올려진 필터(80)의 상부 부위가 수용되도록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에어클리너 바디(10)의 호스 하우징(10-1)과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80)의 상부 부위쪽으로 필터 푸셔(pusher)(25B)가 돌출되어 필터(80)의 상부 부위를 눌러준다.Specifically, the air cleaner cover 30 has a container shape to accommodate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80 lifted toward the hose outlet 11 of the air cleaner body 10 , and the hose of the air cleaner body 10 . In the state coupled to the housing 10 - 1 , a filter pusher 25B protrude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80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80 .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스트랩(50)은 탄성재(예, 고무)로 이루어져 에어클리너 바디(10)의 호스 아웃렛(11)과 에어클리너 커버(30)가 맞닿은 결합면에 구비되고, 커버 클램프(60)의 가압력을 이용한 압착 변형으로 결합면을 밀봉함으로써 수분이나 이물질의 내부공간 침투를 차단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커버 클램프(60)는 에어클리너 커버(30)의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한 젖힘 조작이 가능하도록 에어클리너 바디(10)에 힌지 결합되고 4개소 위치에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housing strap 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g, rubber) and is provided on the coupling surface where the hose outlet 11 of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abut, and the cover clamp 60 By sealing the bonding surface by compression deformation using the pressing force of In addition, the cover clamp 60 is hinged to the air cleaner body 10 and provided at four positions so that a bending operation for fixing or separating the air cleaner cover 30 is possible.

도 2의 에어클리너 조립 단면을 참조하면, 호스 하우징(10-1)과 덕트 하우징(10-2) 및 에어클리너 커버(30)의 하우징 연계구조, 필터(80)에 대한 필터 픽서(20)와 필터 어댑터(40)의 필터 연계구조가 예시된다.Referring to the air cleaner assembly cross section of FIG. 2 , the housing linkage structure of the hose housing 10-1, the duct housing 10-2,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the filter fixer 20 for the filter 80 and The filter linkage of the filter adapter 40 is illustrated.

상기 하우징 연계 구조의 경우, 상기 호스 하우징(10-1)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의 스트랩 플랜지(12a)로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스트랩 플랜지(32a)와 결합되고 더불어 융착 플랜지(12b)로 덕트 하우징(10-2)의 융착 테두리(14)와 융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호스 하우징(10-1)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스트랩 플랜지(32a)와 연결되는 하우징 바디의 상부 테두리를 상기 스트랩 플랜지(12a)로 형성하고, 덕트 하우징(10-2)의 융착 테두리(14)와 융착되는 하우징 바디의 하부 테두리를 상기 융착 플랜지(12b)로 형성한다.In the case of the housing connection structure, the hose housing 10-1 is a strap flange 12a of the housing body forming an inner space, and is coupled to the strap flange 32a of the air cleaner cover 30, and a fusion flange 12b ) is fused with the fusion rim 14 of the duct housing 10-2. To this end, the hose housing 10-1 forms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body connected to the strap flange 32a of the air cleaner cover 30 as the strap flange 12a, and the duct housing 10-2 The fusion rim 14 and the lower rim of the housing body to be fused are formed as the fusion flange 12b.

상기 필터 연계구조의 경우, 상기 필터(80)는 호스 하우징(10-1)의 필터 플랜지(11A)에 필터 스트랩(70)과 함께 결합되어 예각의 필터 조립 각(Kc)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에어클리너(1)에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조립 각(Kc)은 필터 플랜지(11A)로 위치된 필터(80)의 전방 고정 플랜지(85)쪽이 들어 올려지고 후방 고정 플랜지(87)쪽이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필터(80)가 상향경사배열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y-y는 필터(80)의 원형단면 중심을 잇는 필터가상 축선을 x-x는 y-y에 대한 가상 수평선을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80)의 앞뒤와 위아래 및 좌우쪽 방향은 필터(80)의 전장길이(즉, 축방향)에서 호스 하우징(10-1)의 호스 아웃렛(112)쪽을 앞쪽 방향으로 필터 어댑터(40)의 가압력을 받는 쪽을 뒤쪽 방향으로 하고, 필터(80)의 전장길이 축중심에 대해 한쪽을 좌측방향으로 하면 반대쪽을 우측방향으로 하며, 필터(80)의 단면에 대해 에어클리너 커버(30)와 접촉되는 부위를 위쪽 방향으로 에어클리너 바디(20)와 접촉되는 부위를 아래쪽 방향으로 정의한다.In the case of the filter linkage structure, the filter 80 is coupled with the filter strap 70 to the filter flange 11A of the hose housing 10-1, and the filter 80 is tilted at an acute filter assembly angle Kc. It is assembled to the cleaner (1). In this case, the filter assembly angle Kc is determined by lifting the front fixing flange 85 side of the filter 80 positioned as the filter flange 11A and lowering the rear fixing flange 87 side to the bottom of the filter 80. is assembled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In addition, y-y denotes an imaginary filter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filter 80, and x-x denotes a imaginary horizontal line for y-y, respectively. And the front, back, up,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lter 80 are the filter adapter ( The side receiving the pressing force of 40) is in the rear direction, and when one side is turn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ull length axis of the filter (80), the other side is to the right side,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is applie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ilter (80). ) is defined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ir cleaner body 20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ir cleaner body 20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필터 픽서(20)는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경로를 안내하는 어댑터 가이드부재(21)와 필터(80)의 앞뒤 및 좌우쪽으로 위치된 필터구속부재에 의한 구속구조로 필터(80)의 필터 프레임(83)의 좌우측면과 함께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에 대한 필터 구속력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필터구속부재는 필터 받침부재(22), 필터 안착부재(23), 필터 위치부재(24) 및 필터 누름부재(2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 어댑터(40)는 예각의 어댑터 가이드 각(W)을 형성한 어댑터 가이드부재(21)로 삽입되는 끼움구조로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 어댑터(40)는 예각의 필터쐐기 각(Kb)을 형성한 쐐기 형상의 어댑터 바디(41)가 필터 받침부재(22)의 필터받침 각(Ka)과 직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를 가압함으로써 필터 고정력을 형성 한다.The filter fixer 20 has a constraint structure by the adapter guide member 21 for guiding the fitting path of the filter adapter 40 and the filter constraining members positioned in the front, back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80.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frame 83, a filter binding force is formed for the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In this case, the filter constraining member includes a filter supporting member 22 , a filter mounting member 23 , a filter positioning member 24 , and a filter pressing member 25 . In addition, the filter adapter 40 is positioned on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in a fitting structure to be inserted into the adapter guide member 21 having an acute angle adapter guide angle W. As shown in FIG. The filter adapter 40 is a filter 80 in a state in which a wedge-shaped adapter body 41 having an acute filter wedge angle Kb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filter support angle Ka of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 ) by pressing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fixing force.

특히 상기 필터받침 각(Ka)은 필터 받침부재(22)와 필터 안착부재(23)를 동일선상으로 이어주고, 필터 받침부재(22)와 어댑터 가이드부재(21)와 둔각을 형성하면서 필터 어댑터(40)와 직각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받침 각(Ka)은 필터 받침부재(22)가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를 직각으로 받쳐주면서 필터 안착부재(23)가 필터(80)의 전방 고정 플랜지(85)를 직각으로 받쳐줌으로써 필터 조립 각(Kc)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에어클리너(1)에 조립된 필터(80)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또한 필터(80)의 좌우측면부위는 필터 위치부재(24)가 필터 프레임(83)의 좌우측면에 위치됨으로써 필터 구속력으로 고정된다.In particular, the filter support angle Ka connects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and the filter seating member 23 on the same line, and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and the adapter guide member 21 while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filter adapter ( 40) and form a right angle. Therefore, the filter support angle Ka is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supporting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at a right angle while the filter seating member 23 is the front fixing flange 85 of the filter 80. By supporting the at right angles, the filter 80 assembled to the air cleaner 1 is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inclined at the filter assembly angle Kc.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filter 80 are fixed by the filter binding force by the filter positioning member 24 being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filter frame 83 .

그리고 상기 어댑터 가이드 각(W)은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및 분리조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쐐기 각(Kb)은 어댑터 가이드부재(21)와 후방 고정 플랜지(87)의 사이에서 필터(80)를 가압하도록 작용한다.In addition, the adapter guide angle W serves to stably maintain the fitted state of the filter adapter 40 while facilitating the insertion and separation of the filter adapter 40 . And the filter wedge angle Kb acts to press the filter 80 between the adapter guide member 21 and the rear fixing flange 87 .

도 3의 호스 하우징(10-1)과 덕트 하우징(10-2)이 융착 결합된 사시도를 참조하면, 도 2의 어댑터 가이드부재(21)와 필터 받침부재(22), 필터 안착부재(23), 필터 위치부재(24)의 상세 구조가 예시된다.Referring to the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hose housing 10-1 and the duct housing 10-2 of FIG. 3 are fusion-bonded, the adapter guide member 21,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and the filter mounting member 23 of FIG.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lter positioning member 24 is illustrated.

구체적으로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21)는 호스 하우징(10-1)의 내벽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형성한 어댑터 가이더(21A), 덕트 하우징(10-2)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형성한 어댑터 서포터(21B)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어댑터 가이더(21A)와 상기 어댑터 서포터(21B)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 가이더(21A)에는 경사면의 좌측위치로 좌측 삽입채널(21A-1)을 경사면의 우측위치로 우측 삽입채널(21A-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삽입채널(21A-1,21A-2)의 각각이 어댑터 바디(41)의 좌,우측 삽입돌기(45A,45B)(도 5 참조)와 결합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위치와 함께 삽입 방향을 잡아준다.Specifically, the adapter guide member 21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dapter guider 21A and the duct housing 10-2, which protrude lateral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se housing 10-1 to form an inclined surface. Since the adapter supporter 21B is formed, the adapter guider 21A and the adapter supporter 2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adapter guider 21A, a left insertion channel 21A-1 is formed as a left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and a right insertion channel 21A-2 is formed as a right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channels 21A-1 are formed in the adapter guider 21A. , 21A-2) is coupled with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45A and 45B (see FIG. 5) of the adapter body 41 to hold the insertion direction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filter adapter 40.

특히 상기 어댑터 가이더(21A)와 상기 어댑터 서포터(21B)의 경사면을 이어주는 경사면 가상라인은 상기 어댑터 가이드 각(W)을 형성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가 호스 하우징(10-1)의 어댑터 가이더(21A)에서 밀어 넣어져 덕트 하우징(10-2)의 어댑터 서포터(21B)에 위치되도록 작용 한다. 특히 상기 어댑터 가이드 각(W)으로 형성된 상기 경사면 가상라인은 필터 받침부재(22)에 직각으로 받쳐진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대해 어댑터끼움 각으로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끼움 각은 필터 어댑터(40)의 끼움시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대한 어댑터 바디(41)의 가압으로 필터 고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쐐기 각(Kb)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imaginary inclined line connecti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adapter guider 21A and the adapter supporter 21B forms the adapter guide angle W, so that the filter adapter 40 is connected to the adapter guider 21A of the hose housing 10-1. ) and acts to be positioned on the adapter supporter 21B of the duct housing 10-2. In particular, the inclined plane virtual line formed by the adapter guide angle W forms an insertion space at an adapter fitt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supported at a right angle to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The adapter fitting angle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filter wedge angle (Kb) so that a filter fixing force can be formed by pressing the adapter body 41 against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when the filter adapter 40 is fitted. is formed

그러므로 상기 어댑터 가이더(21A)와 상기 어댑터 서포터(21B)는 상기 어댑터 가이드 각(W)을 형성하는 가상라인으로 필터 어댑터(40)의 삽입 경로를 어댑터 가이더(21A)에서 어댑터 서포터(21B)로 안내해줌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끼움과 빠짐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Therefore, the adapter guider 21A and the adapter supporter 21B guide the insertion path of the filter adapter 40 from the adapter guider 21A to the adapter supporter 21B with a virtual line forming the adapter guide angle W. By giving the filter adapter 40, it is easy to insert and remove the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받침부재(22)는 덕트 하우징(10-2)의 바닥면에서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를 직각으로 받쳐주고 동시에 상기 필터 안착부재(23)는 덕트 하우징(10-2)의 내벽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필터(80)의 전방 고정 플랜지(85)를 직각으로 받쳐줌으로써 필터(80)가 상기 필터 조립 각(Kc)으로 기울어져 에어클리너(1)에 조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특히 상기 필터 받침부재(22)는 덕트 하우징(10-2)의 폭 중간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받침 각(Ka)을 둔각으로 형성하도록 수직 형상의 어댑터 서포터(21B)에 대해 수평형상을 이루어 어댑터 서포터(21B)와 덕트 하우징(10-2)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안착부재(23)는 호스 하우징(10-1)의 필터 플랜지(11A)의 아래쪽 위치에서 덕트 하우징(10-2)의 내벽에 형성된 내측 리브(15)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특히 서로 간격을 둔 다수개의 배열로 형성됨으로써 필터(80)의 정비시 필요한 전방 고정 플랜지(85)의 받침 상태 유지 작용과 함께 덕트 하우징(10-2)의 동강성을 증대하는 작용을 한다.Specifically, the filter supporting member 22 supports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at a right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ct housing 10-2, and at the same time, the filter mounting member 23 is connected to the duct housing 10 -2)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to support the front fixing flange 85 of the filter 80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filter 80 is tilted at the filter assembly angle Kc and assembled to the air cleaner 1 keeps it stable in In particular,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of the duct housing 10-2, and has a horizontal sha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dapter supporter 21B to form the filter support angle Ka as an obtuse angle. The adapter supporter 21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uct housing 10-2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filter seating member 23 is formed by extending the inner rib 15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duct housing 10-2 from the lower position of the filter flange 11A of the hose housing 10-1, and in particular, mutually By being formed in a plurality of arrays spaced apart, it acts to increase the dynamic rigidity of the duct housing 10 - 2 together with the maintenance of the support state of the front fixing flange 85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the filter 80 .

그러므로 상기 필터 받침부재(22)와 상기 필터 안착부재(23)는 상기 필터받침 각(Ka)을 가상라인으로 하여 동일선상을 이루고, 상기 가상라인은 필터(80)의 상기 필터가상 축선(y-y)과 평행을 이룬다.Therefore, the filter support member 22 and the filter seating member 23 form the same line with the filter support angle Ka as an imaginary line, and the imaginary line is the filter imaginary axis yy of the filter 80 . parallel to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위치부재(24)는 덕트 하우징(10-2)의 좌우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좌,우측 필터 홀더(filter holder)(24A,2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필터 홀더(24A,24B)의 각각은 필터 받침부재(22)와 필터 안착부재(23)로 받쳐진 필터(80)의 필터 프레임(83)의 좌우측면을 구속함으로써 필터(80)의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해주는 작용을 한다.Specifically, the filter positioning member 24 includes left and right filter holders 24A and 24B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duct housing 10-2, and the left and right filter holders 24A and 24B. Each of 24A and 24B restrain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frame 83 of the filter 80 supported by the filter supporting member 22 and the filter mounting member 23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tilting of the filter 80 works to do

도 4의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누름부재(25)는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전후방 길이방향 내벽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후방 길이방향 중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전방 길이방향은 호스 하우징(10-1)의 호스 아웃렛(11)과 밀착되는 호스 아웃렛 밀착면(31)이 형성된 부위로 정의된다.Referring to the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cover 30 of FIG. 4 , the filter pressing member 25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inner walls of the air cleaner cover 30 . In this case, the fron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cleaner cover 30 among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s is defined as a portion where the hose outlet contact surface 31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se outlet 11 of the hose housing 10-1.

특히 상기 필터 누름부재(25)는 에어클리너 커버(30)의 후방측 내벽에서 돌출된 어댑터 푸셔(pusher)(25A), 어댑터 푸셔(pusher)(25A)를 마주보는 위치로 전방측 내벽에서 돌출된 필터 푸셔(pusher)(25B)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필터 어댑터(40)는 어댑터 푸셔(25A)로 눌려지고, 필터(80)의 전방 고정 플랜지(85)부위는 필터 푸셔(25B)로 눌려진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 누름부재(25)는 커버 클램프(60)의 잠금시 에어클리너 바디(20)를 눌러주는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작용으로 외란으로부터 필터 어댑터(40)의 빠짐 현상과 필터(80)의 흔들림 형상을 차단한다.In particular, the filter pressing member 25 protrudes from the front inner wall at a position facing the adapter pusher 25A and the adapter pusher 25A protruding from the rear inner wall of the air cleaner cover 30 . It consists of a filter pusher (25B). As a result, the filter adapter 40 is pressed by the adapter pusher 25A, and the front fixing flange 85 portion of the filter 80 is pressed by the filter pusher 25B. Therefore, the filter pressing member 25 causes the filter adapter 40 to fall out from disturbance due to the action of the air cleaner cover 30 pressing the air cleaner body 20 when the cover clamp 60 is locked and the filter 80 . block the shaking shape of

도 5의 필터 어댑터(40)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어댑터(40)는 어댑터 바디(41)와 필터 고정리브(43), 좌,우측 삽입돌기(45A,45B) 및 강성리브(47)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dapter 40 of FIG. 5 , the filter adapter 40 includes an adapter body 41 , a filter fixing rib 43 ,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45A and 45B and a rigid rib 47 . is made of

구체적으로 상기 어댑터 바디(41)는 쐐기형상의 넓은 끝쪽을 상부 엔드(41A)로 좁은 끝쪽을 하부 엔드(41B)로 하고, 상부 엔드(41A)와 하부 엔드(41B)가 바닥면을 둘러싸 돌출된 외곽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하부 엔드(41B)와 상부 엔드(41A)의 두께차이로 예각의 필터쐐기 각(Kb)을 형성하여 준다. 그러므로 상기 어댑터 바디(41)의 바닥면은 하부 엔드(41B)와 상부 엔드(41A)가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내측 바닥면과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지 않는 외측 바닥면으로 구분된다.Specifically, the adapter body 41 has a wedge-shaped wide end as an upper end 41A and a narrow end as a lower end 41B, and the upper end 41A and the lower end 41B surround the bottom surface and protrude. By forming the outer edge, the filter wedge angle Kb of an acute angle is formed by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lower end 41B and the upper end 41A.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adapter body 41 is divided into an inner bottom surface in which the lower end 41B and the upper end 41A form an outer edge, and an outer bottom surface in which the outer edge is not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고정리브(43)는 상기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 엔드(41A)와 간격을 두고 소정 두께의 호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와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 고정리브(43)는 필터 어댑터(4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필터쐐기 각(Kb)에 의한 반발력으로 필터(80)가 위쪽방향(즉, 에어클리너 커버(30)쪽 방향)으로 빠지려는 현상을 차단시켜주도록 작용한다. 상기 좌,우측 삽입돌기(45A,45B)는 어댑터 바디(41)의 외측 바닥면에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어댑터 가이더(21A)의 좌,우측 삽입채널(21A-1,21A-2)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끼움과 빠짐 조작시 어댑터 바디(41)의 위치를 구속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성리브(47)는 어댑터 바디(41)의 내측 바닥면에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소정 두께로 다수개 형성되어 어댑터 바디(41)의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동강성을 증대하는 작용을 한다.Specifically, the filter fixing rib 43 protrudes in an arc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distance from the upper end 41A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o contact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 Therefore, the filter fixing rib 43 prevents the filter 80 from falling out in the upward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air cleaner cover 30) due to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filter wedge angle Kb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lter adapter 40 is fitted. works to block the phenomenon.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45A and 45B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adapter body 41, and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channels 21A-1 and 21A of the adapter guider 21A -2), thereby constraining the position of the adapter body 41 when the filter adapter 40 is inserted and removed. A plurality of rigid ribs 47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dapter body 41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adapter body 41, thereby increasing the dynamic rigidity of the filter adapter 40. works to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클리너(1)의 조립시 필터(80)가 받는 에어클리너 상면 눌림(Fa)과 흡기 필터 눌림(Fb)이 예시된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air cleaner 1 is assemble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pressed Fa and the intake filter Fb received by the filter 80 are exemplified.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클리너 상면 눌림(Fa)은 에어클리너 바디(20)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결합 후 커버 클램프(60)의 잠금시 에어클리너 커버(30)가 에어클리너 바디(20)를 눌러주고, 어댑터 푸셔(25A)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눌림으로 어댑터 바디(41)의 상부 엔드(41A)를 눌러줌으로써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에어클리너 상면 눌림(Fa)은 필터 어댑터(40)를 강하게 구속함으로써 에어클리너(1)에 가해지는 외란으로부터 필터 어댑터(40)의 빠짐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Specifically, when the air cleaner body 20 and the air cleaner cover 30 are combined, the air cleaner cover 30 presses the air cleaner body 20 when the cover clamp 60 is locked. and the adapter pusher 25A is formed by pressing the upper end 41A of the adapter body 41 by pressing the air cleaner cover 30 .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pressing Fa of the air cleaner strongly restrains the filter adapter 40 to prevent the filter adapter 40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disturbance applied to the air cleaner 1 .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 필터 눌림(Fb)은 어댑터끼움 각의 삽입공간에 어댑터 바디(41)를 끼워주고,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필터 고정리브(43)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어댑터 바디(41)를 밀어 넣어줄 때 필터 고정리브(43)가 후방 고정 플랜지(87)를 지속적으로 눌러줌으로써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흡기 필터 눌림(Fb)은 필터 어댑터(40)를 강하게 구속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빠짐 현상 방지를 강화하여 준다.Specifically, when the intake filter is pressed (Fb), the adapter body 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adapter fitting angle, and the filter fixing rib 43 is in contact with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When the body 41 is pushed in, the filter fixing rib 43 is formed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rear fixing flange 87 . As a result, the intake filter press Fb strongly restrains the filter adapter 40, thereby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the filter adapter 40 from being pulled out.

특히 필터(80)의 후방 고정 플랜지(87)는 어댑터 바디(41)의 하부 엔드(41B)가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파여진 호형상의 글로브(groove)(89)에 걸려 연계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빠짐 현상 방지를 더욱 강화하여 준다.In particular, the rear fixing flange 87 of the filter 80 is connected by hooking the lower end 41B of the adapter body 41 to an arc-shaped glove 89 dug into the rear fixing flange 87, thereby connecting the filter adapter. (40) to further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the drop-out phenomenon.

도 7의 에어클리너(1)의 기밀구조는 하우징 스트랩(50) 및 필터 스트랩(70)에 의한 예를 나타낸다.The airtight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1 of FIG. 7 shows an example using the housing strap 50 and the filter strap 70 .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스트랩(50)의 기밀구조를 참조하면, 상기 호스 하우징(10-1)은 스트랩 플랜지(12a)에 다수의 스트랩 돌기(12a-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랩 채널(12a-1)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소정 두께의 하우징 스트랩(50)은 하부부위가 스트랩 채널(12a-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부위가 에어클리너 커버(30)의 스트랩 플랜지(32a)에 형성된 스트랩 채널(32a-1)(도 4 참조)에 끼워짐으로써 안착된다. 그 결과 상기 하우징 스트랩(50)은 스트랩 채널(12a-1, 32a-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트랩 플랜지(12a,32a)를 밀폐함으로써 내부공간에 대한 기밀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스트랩 돌기(12a-2)는 화살표 모양 고정 돌기로 형성되어져 하우징 스트랩(50)에 대한 구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airtight structure of the housing strap 50, the hose housing 10-1 has a strap channel 12a-1 in which a plurality of strap protrusions 12a-2 are formed on the strap flange 1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o form Therefore, the housing strap 5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has a strap channel 32a-1 (Fig. 4), and it is seated by inserting it into the As a result, the housing strap 50 seals the strap flanges 12a and 32a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trap channels 12a-1 and 32a-1 to form an airtight seal to the internal space. In particular, since the strap protrusion 12a - 2 is formed as an arrow-shaped fixing protrusion, the binding force to the housing strap 50 can be strengthened.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스트랩(70)의 기밀구조를 참조하면, 상기 호스 하우징(10-1)은 필터 플랜지(11A)의 이중 홈 구조로 필터(80)의 밀착 플랜지(85A)와 필터 스트랩(70)을 끼워줌으로써 필터(80)를 호스 아웃렛(11)쪽으로 연결하여 준다. 그 결과 상기 필터 스트랩(70)은 필터 플랜지(11A)의 이중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 플랜지(85A)의 외경을 감싸줌으로써 필터(80)에 대한 기밀을 형성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airtight structure of the filter strap 70, the hose housing 10-1 has a double groove structure of the filter flange 11A, and the close contact flange 85A of the filter 80 and the filter strap 70 By inserting the filter 80, it connects to the hose outlet 11 side. As a result, the filter strap 70 enclo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lose contact flange 85A while being fitted into the double groove of the filter flange 11A, thereby forming an airtightness to the filter 80 .

이를 위해 상기 필터 스트랩(70)은 환형을 이루는 밀착 바디(71), 밀착 바디(71)의 한쪽면으로 돌출된 삽입 플랜지(73), 밀착 바디(71)의 외경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된 끼움 돌기(75)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밀착 바디(71)는 필터 플랜지(11A)의 이중 홈 중 바깥쪽 홈에 끼워지고, 상기 삽입 플랜지(73)는 필터 플랜지(11A)의 이중 홈 중 안쪽 홈에 끼워지며, 상기 끼움 돌기(75)는 필터 플랜지(11A)에 파여진 스트랩 슬릿(11A-1)에 끼워져 필터 스트랩(70)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준다.To this end, the filter strap 70 includes an annular contact body 71 , an insertion flange 7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tact body 71 , 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ct body 71 . (75). Therefore, the contact body 71 is fitted into the outer groove among the double grooves of the filter flange 11A, and the insertion flange 73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among the double grooves of the filter flange 11A, and the fitting protrusion ( 75 is inserted into the strap slit 11A-1 dug into the filter flange 11A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of the filter strap 70 .

한편 도 8 및 도 9는 필터(80)의 예를 나타낸다.Meanwhile, FIGS. 8 and 9 show examples of the filter 80 .

도 8의 필터 구성을 참조하면, 필터(80)는 부직포(81)와 필터 프레임(83), 밀착 플랜지(85A),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 및 글로브(8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filter configuration of FIG. 8 , the filter 80 includes a nonwoven fabric 81 , a filter frame 83 , a close contact flange 85A,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 and a glove 89 .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81)는 벌키층/중간층/조밀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부직포(81)는 일반 흡기계에 적용된 공기내 이물질을 제거용 필터와 달리 필터(80)의 내측을 Clean Side로 외측을 Dirty Side로 함으로써 조밀층이 Clean Side 방향을 벌키층이 Dirty Side 방향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 프레임(83)은 그물망(Mesh) 구조로 이루어져 부직포(81)가 필터 프레임(83)의 안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Specifically, the nonwoven fabric 81 has a three-layer structure of bulky layer/intermediate layer/dense layer. In particular, in the nonwoven fabric 81, unlike the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pplied to the general intake system, the inside of the filter 80 is the Clean Side and the outside is the Dirty Side, so that the dense layer is in the Clean Side direction and the bulky layer is in the Dirty Side direction. to form The filter frame 83 has a mesh structure to prevent the nonwoven fabric 81 from being sucked into the filter frame 83 .

구체적으로 상기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는 하드 우레탄 발포로 제조되어 필터 프레임(83)의 전후방(또는 상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 고정 플랜지(85)는 공기가 지나가기 위해 원형 홀로 개방 구조인 반면 상기 후방 고정 플랜지(87)는 공기통과를 방지하도록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를 제조하는 하드 우레탄은 플라스틱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어 프레임 작용과 함께 씰링 성능 확보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드 우레탄으로 제조된 상기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는 씰링 성능 확보 기능에 더하여 고정을 위해 별도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야 하던 기존의 소프트 우레탄 재질 전,후방 고정 플랜지 대비 별도 프레임 구조 삭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are made of hard urethane foam and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ter frame 83 . The front fixing flange 85 has an open structure with a circular hole for air to pass through, whereas the rear fixing flange 87 has a closed structure to prevent air passage. In particular, since hard urethane for manufacturing the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has the same effect as plastic, it is possible to secure sealing performance as well as frame action.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made of hard urethane have a separate frame structure compared to the existing soft urethane material that had to apply a separate frame structure for fixing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ecuring sealing performance.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이에 더해 밀착 플랜지(85A)가 상기 전방 고정 플랜지(85)에서 동심원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밀착 플랜지(85A)는 필터 스트랩(70)의 밀착 바디(71)와 밀착됨으로써 필터(80)의 기밀성능을 강화시켜 준다. 상기 글로브(89)는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의 한쪽면에 호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파여져 전체적으로 원형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후방 고정 플랜지(87)에 형성된 글로브(89)는 어댑터 바디(41)의 하부 엔드(41B)를 걸어 연계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빠짐 현상 방지 작용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flange 85A protrudes concentrically from the front fixing flange 85 , and the close contact flange 85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body 71 of the filter strap 70 , thereby providing airtight performance of the filter 80 . strengthens the The glove 89 is cut into a plurality of pieces at intervals in an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fixing flanges 85 and 87 to form a circle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glove 89 formed on the rear fixing flange 87 hooks the lower end 41B of the adapter body 41 to prevent the filter adapter 40 from falling out.

그러므로 상기 필터(80)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어 사각필터 대비 흡압 및 먼지포집 성능이 우세한 원형 필터이고, 에어클리너(1)에 예각의 필터 조립 각(Kc)으로 기울어져 장착된다.Therefore, the filter 80 is a cylindrical filter having a superior absorption pressure and dust colle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a square filter, and is mounted to the air cleaner 1 at an acute angle Kc.

도 9의 필터 제조 공정을 참조하면, 필터 제조 공정은 S10의 페이퍼 절곡공정, S20의 우레탄도포 조립공정, S30의 제품탈착 조립공정, S40의 버 제거 조립공정 및 S50의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완료공정으로 수행된다.Referring to the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of FIG. 9 , the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the paper bending process of S10, the urethane coating assembly process of S20, the product desorption assembly process of S30, the deburring assembly process of S40, and the completion process of inspection and packaging of S50. is performed with

일례로 상기 페이퍼 절곡공정은 S11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메디아(MEDIA)에 대한 메디아 절곡단계, S12의 절곡된 메디아를 설계 형상에 맞춰 잘라내는 커팅단계, S13의 설계 형상으로 잘라낸 메디아에 이형제를 코팅해주는 이형제 도포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우레탄도포 조립공정은 S21의 이형제 도포된 메디아를 부직포로 삽입하는 메디아 삽입단계, S22의 삽입된 메디아에 우레탄을 코팅해주는 우레탄 도포단계, S23의 부직포(81)와 필터 프레임(83) 및 전,후방 고정 플랜지(85,87)에 대한 필터제조 금형의 몰드 조립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제품탈착 조립공정은 S31의 필터제조 금형에 대한 경화단계, S32의 필터제조 금형에 대한 상하몰드 분리단계, S33의 필터제품을 분리된 상하몰드에서 꺼내주는 탈착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버 제거 조립공정은 S41의 제조된 필터에 표시를 하는 인쇄단계, S42의 제조된 필터를 버(burr)를 제거해주는 버 제거단계, S43의 버 제거된 필터에 핫 멜트를 도포하여 필터 제품으로 만들어주는 도포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완료공정은 S51의 필터 제품을 확인하는 검사단계, S52의 검사된 필터 제품을 포장해주는 포장단계로 수행된다.For example, the paper bending process is a media bending step for the media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of S11,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bent media of S12 according to the design shape, and coating the release agent on the media cut in the design shape of S13 It is carried out in the step of applying the release agent. The urethane coating assembly process includes a media insertion step of inserting the media applied with the release agent of S21 into a nonwoven fabric, a urethane coating step of coating urethane on the inserted media of S22, the nonwoven fabric 81 and the filter frame 83 and the front of S23, It is performed as a mold assembly step of the filter manufacturing mold for the rear fixing flanges (85, 87). The product detachment and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as a curing step for the filter manufacturing mold in S31, an upper and lower mold separation step for the filter manufacturing mold in S32, and a detachment step in which the filter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molds in S33. The deburring assembly process includes a printing step of marking the filter manufactured in S41, a deburring step of removing burrs from the filter manufactured in S42, and applying hot melt to the deburred filter of S43 to form a filter product. It is carried out in the application step to make it. The completion process is performed in an inspection step of confirming the filter product of S51 and a packaging step of packaging the inspected filter product of S52.

이 경우 상기 필터 제조 공정의 각 단계는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1)에 적용되는 필터(80)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므로 필터(80)는 예시된 필터 제조 공정이외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each step of the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is an example for manufacturing the filter 80 applied to the adapter filter fixing method air cleaner 1, the filter 80 is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process other than the illustrated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한편 도 10 내지 도 13은 외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신기로 전환하는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1)가 적용되어 신기를 도시되지 않은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는 흡기 시스템(100)(Intake System)의 예를 나타낸다.Meanwhile, FIGS. 10 to 13 show an intake system 100 (Intake System) in which an adapter filter-fixed air cleaner 1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outside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is applied to supply fresh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engine, not shown. shows an exampl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 시스템(100)은 에어클리너(1)와 흡기 덕트(110), 흡기 쉴드(120) 및 흡기 호스(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intake system 100 includes an air cleaner 1 , an intake duct 110 , an intake shield 120 , and an intake hose 130 .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클리너(1)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기술된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1)와 동일하고, 유입된 외기에서 불순물을 걸러 신기로 전환한 후 내보내준다. 다만, 상기 에어클리너(1)는 흡기 덕트(110)를 통해 외기가 공급되도록 흡기 덕트(110)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 구조를 더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연결 구조는 호스 하우징(10-1)의 고정 커넥터(19)와 덕트 하우징(10-2)의 연결 커넥터(18)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air cleaner 1 is the same as the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and filters impurities from the introduced outside air, converts it to fresh air, and then sends it out. However, the air cleaner 1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intake duct 110 so that external air is supplied through the intake duct 11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fixed connector 19 of the hose housing 10-1 and a connection connector 18 of the duct housing 10-2.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 덕트(110)는 흡기 쉴드(120)를 거친 외부 공기를 에어클리너(1)의 필터(80)로 보내주는 곳으로 작용하고, 에어클리너(1)에 구비된 연결 구조로 에어클리너(1)에 연결됨으로써 에어클리너(1)와 일체화된다. 상기 흡기 쉴드(120)는 외기를 유입하여 흡기 덕트(110)로 보내주며, 특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물/먼지/눈)을 차단시켜 공기만 흡기 덕트(110)로 보내지도록 1차적으로 이물질을 차단해주도록 작용한다. 상기 흡기 호스(130)는 에어클리너(1)를 빠져나온 신기를 엔진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여 엔진 연소실로 신기가 공급되도록 작용 한다.Specifically, the intake duct 110 serves as a place to send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ake shield 120 to the filter 80 of the air cleaner 1, and has a connection structure provided in the air cleaner 1, so that the air cleaner By connecting to (1), it is integrated with the air cleaner (1). The intake shield 120 introduces outside air and sends it to the intake duct 110 , and in particular, blocks foreign substances (water/dust/snow) flowing from the outside so that only air is sent to the intake duct 110 . works to block The intake hose 130 serves as a guide for guiding the fresh air exiting the air cleaner 1 toward the engine, so that the fresh air is supplied to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그러므로 상기 흡기 시스템(100)은 외기가 흡기 쉴드(120)로 유입되어 흡기 덕트(110)를 거쳐 에어클리너(1)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오고, 상기 외기는 필터(80)로 이물질을 제거한 신기로 에어클리너(1)를 빠져나가며, 신기는 흡기 호스(130)를 통해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된다.Therefore, in the intake system 100,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take shield 120 and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air cleaner 1 through the intake duct 110, and the outside air is a new ai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with a filter 80. As it exits the air cleaner 1 , fresh air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through the intake hose 130 .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 덕트(110)는 공기가 들어오는 에어 입구(111A)와 공기가 나가는 에어 출구(111B)를 “ㄱ"자 형상으로 갖춘 덕트 바디(111), 에어 출구(111B)의 공간을 좌우로 양분하는 구획 판(112), 에어 출구(111B)의 주위를 감싸 돌출 테두리로 형성된 연결 후크(113), 덕트 바디(111)에서 돌출된 고정 후크(117), 덕트 바디(111)에서 돌출된 포지션 돌기(119)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연결 후크(113)는 덕트 하우징(10-2)의 덕트 인렛(13)과 연결된 상태에서 기밀을 형성하도록 그 둘레를 러버 씰(rubber seal)로 감싸준다.11, the intake duct 110 is a duct body 111 having an air inlet 111A in which air and an air outlet 111B in which air exits in the shape of an “L” of the air outlet 111B. A partition plate 112 dividing the space into left and right, a connection hook 113 formed as a protruding rim wrapped around the air outlet 111B, a fixing hook 117 protruding from the duct body 111, the duct body 111 and a position protrusion 119 protruding from the .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hook 113 is connected to the duct inlet 13 of the duct housing 10-2 to form an airtight periphery thereof. wrap it with

일례로 상기 연결 후크(113)는 러버 씰(rubber seal)로 감싸인 돌출 테두리를 형성한 후크 바디(114), 경사 돌기 형상(예, 화살촉 형상)으로 후크 바디(114)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후크 엔드(115)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후크 바디(114)에는 분리 슬릿(115A)을 형성하여 후크 엔드(115)를 다수개로 분할함으로써 후크 엔드(115)에 보다 강화된 탄성력을 부여하여 준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hook 113 is a hook body 114 having a protruding rim wrapped with a rubber seal, and a hook forming the tip of the hook body 114 in an inclined protrusion shape (eg, arrowhead shape). It consists of an end 115 . In this case, a separation slit 115A is formed in the hook body 114 to divide the hook end 115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reby imparting a stronger elastic force to the hook end 115 .

일례로 상기 고정 후크(117)는 연결 후크(113)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덕트 바디(111)에서 돌출된 돌출 바디로 이루어지고, 경사 돌기 형상(예, 화살촉 형상)의 후크 돌기(117A)를 돌출바디의 한쪽면으로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포지션 돌기(119)는 고정 후크(117)와 간격을 둔 위치에서 고정 후크(117)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덕트 바디(111)에서 돌출된다.For example, the fixing hook 117 is made of a protruding body protruding from the duct body 1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hook 113, and the hook protrusion 117A of an inclined protrusion shape (eg, arrowhead sha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body. For example, the position protrusion 119 protrudes from the duct body 1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fixing hook 117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hook 117 .

도 12의 흡기 덕트(110)와 에어클리너(1)의 조립공정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공정은 흡기 덕트(110)의 연결 후크(113)를 덕트 하우징(10-2)의 덕트 인렛(13)에 밀어 넣으면서 동시에 흡기 덕트(110)의 고정 후크(117)를 호스 하우징(10-1)의 고정 커넥터(19)에 밀어 넣어 줌으로써 완료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후크(113)는 덕트 인렛(13)을 감싸 테두리로 형성된 연결 커넥터(18)에 끼워짐으로써 연결 커넥터(18)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후크(117)는 호스 하우징(10-1)의 고정 커넥터(19)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커넥터(19)와 결합된다.Referring to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intake duct 110 and the air cleaner 1 of FIG. 12 , the assembling process involves connecting the connecting hook 113 of the intake duct 110 to the duct inlet 13 of the duct housing 10-2. This is completed by pushing the fixing hook 117 of the intake duct 110 into the fixing connector 19 of the hose housing 10-1 at the same time while pushing it. Then, the connection hook 11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18 by being fit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18 formed as a rim surrounding the duct inlet 13, and the fixing hook 117 is the hose housing 10-1. It is coupled with the fixed connector 19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connector 19 of the.

특히 상기 흡기 덕트(110)의 포지션 돌기(119)는 호스 하우징(10-1)의 하우징 바디 외면에 구비된 덕트 밀림 방지 패드(PAD)(예, 고무)(도시되지 않음)에 접촉됨으로써 흡기 덕트(110)의 조립시 에어클리너(1)로부터 흡기 덕트(110)가 밀려나지 않도록 작용한다. 또한 연결 후크(113)의 후크 바디(114)를 감싼 러버 씰(도시되지 않음)은 연결 커넥터(18)와 밀착됨으로써 공기가 들어가는 덕트 인렛(13)에 대한 기밀을 형성하여 준다.In particular, the position protrusion 119 of the intake duct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duct anti-skid pad (PAD) (eg, rubber)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of the hose housing 10-1, so that the intake duct is When the 110 is assembled, the intake duct 110 is not pushed out from the air cleaner 1 . In addition, a rubber seal (not shown) surrounding the hook body 114 of the connection hook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connector 18 to form an airtightness for the duct inlet 13 through which air enters.

도 13은 흡기 덕트(110)와 에어클리너(1)의 조립 단면을 통한 연결 후크(113)와 연결 커넥터(18)의 결합 및 고정 후크(117)와 고정 커넥터(19)의 결합을 나타낸다.13 shows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hook 113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18 through the assembly cross section of the intake duct 110 and the air cleaner 1 and the coupling of the fixing hook 117 and the fixing connector 19 .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후크(113)와 상기 연결 커넥터(18)의 결합은 후크 바디(114)가 연결 커넥터(18)에 끼워져 연결 커넥터(18)의 내면과 밀착되고, 후크 바디(114)의 후크 엔드(115)가 연결 커넥터(18)에서 빠져 나와 연결 커넥터(18)의 걸림 엔드(18A)에 걸어져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후크 엔드(115)와 상기 걸림 엔드(18A)는 흡기 덕트(110)와 호스 하우징(10-1)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Specifically, in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hook 113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18 , the hook body 11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18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connector 18 , and the hook end of the hook body 114 . A 115 exits from the connecting connector 18 and is hooked on the engaging end 18A of the connecting connector 18 . As a result, the hook end 115 and the locking end 18A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intake duct 110 and the hose housing 10-1.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후크(117)와 상기 고정 커넥터(19)의 결합은 고정 후크(117)가 고정 커넥터(19)에 끼워져 고정 커넥터(19)의 내면과 밀착되고, 고정 후크(117)의 후크 돌기(117A)가 고정 커넥터(19)의 한쪽면에 뚫어진 걸림 홈(19A)에 걸어져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후크 돌기(117A)와 상기 걸림 홈(19A)은 흡기 덕트(110)와 호스 하우징(10-1)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Specifically, in the coupling of the fixing hook 117 and the fixing connector 19 , the fixing hook 117 is inserted into the fixing connector 19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connector 19 , and the hook projection of the fixing hook 117 . 117A is hooked into the locking groove 19A drilled in one side of the fixed connector 19 . As a result, the hook protrusion 117A and the locking groove 19A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intake duct 110 and the hose housing 10-1.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 시스템(100)은 도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내보내는 필터(80)가 상향경사배열로 장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한 에어클리너 바디(10)와 에어클리너 커버(30), 내부공간에서 필터(80)의 흔들림을 필터 구속력으로 차단시켜주는 필터 픽서(20), 내부공간에서 필터(80)를 가압하여 필터 고정력을 형성시켜주는 필터 어댑터(40)가 포함된 어댑터 필터고정방식 에어클리너(1)를 적용함으로써 필터 어댑터(40)의 끼움 및 분리 조작으로 필터(80)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정비 편리성을 부여하고, 특히 기존의 볼트나 스프링의 삭제에 의한 구조 단순화와 중량과 금형비 및 제조 원가 절감으로 필터(80)가 원형필터로 적용됨으로써 큰 투과면적과 높은 흡압 성능이 요구되는 고성능차량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take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ir cleaner body 10 and the air cleaner cover ( 30), an adapter including a filter fixer 20 that blocks the shaking of the filter 80 in the internal space with a filter binding force, and a filter adapter 40 that presses the filter 80 in the internal space to form a filter fixing force By applying the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1), it giv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n which the filter 80 is attached and detached by fitting and detaching the filter adapter 40, an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removing the existing bolt or spring Since the filter 80 is applied as a circular filter due to reduction in weight, mold cost and manufacturing cost, it is suitable for high-performance vehicles that require a large transmission area and high pressure absorption performance.

1 : 에어클리너 10 : 에어클리너 바디
10-1 :호스 하우징 10-2 : 덕트 하우징
11 : 호스 아웃렛 11A : 필터 플랜지
11A-1 : 스트랩 슬릿 12a,32a : 스트랩 플랜지
12a-1,32a-1 : 스트랩 채널
12a-2 : 스트랩 돌기 12b : 융착 플랜지
13 : 덕트 인렛 14 : 융착 테두리
15,16 : 내,외측 리브 17 : 마운팅 보스
18 : 연결 커넥터 18A : 걸림 엔드
19 : 고정 커넥터 19A : 걸림 홈
20 : 필터 픽서(filter fixer)
21 : 어댑터 가이드부재 21A : 어댑터 가이더
21A-1,21A-2 : 좌,우측 삽입채널
21B : 어댑터 서포터 22 : 필터 받침부재
23 : 필터 안착부재 24 : 필터 위치부재
24A,24B : 좌,우측 필터 홀더(filter holder)
25 : 필터 누름부재 25A : 어댑터 푸셔(pusher)
25B : 필터 푸셔(pusher)
30 : 에어클리너 커버 31 : 호스 아웃렛 밀착면
40 : 필터 어댑터(filter adapter)
41 : 어댑터 바디 41A,41B : 상,하부 엔드
43 : 필터 고정리브 45A,45B : 좌,우측 삽입돌기
47 : 강성리브 50 : 하우징 스트랩(housing strap)
60 : 커버 클램프 70 : 필터 스트랩(filter strap)
71 : 밀착 바디 73 : 삽입 플랜지
75 : 끼움 돌기 80 : 필터
81 : 부직포 83 : 필터 프레임
85A : 밀착 플랜지 85,87 : 전,후방 고정 플랜지
89 : 글로브(groove)
100 : 흡기 시스템 110 : 흡기 덕트
111 : 덕트 바디 111A,11B : 에어 입,출구
112 : 구획 판 113 : 연결 후크
114 : 후크 바디 115 : 후크 엔드
115A : 분리 슬릿 117 : 고정 후크
117A : 후크 돌기 119 : 포지션 돌기
120 : 흡기 쉴드 130 : 흡기 호스
1: air cleaner 10: air cleaner body
10-1: Hose housing 10-2: Duct housing
11: hose outlet 11A: filter flange
11A-1: Strap slit 12a, 32a: Strap flange
12a-1,32a-1: strap channel
12a-2: strap protrusion 12b: fusion flange
13: duct inlet 14: fusion border
15, 16: inner and outer ribs 17: mounting boss
18: connecting connector 18A: jamming end
19: fixed connector 19A: locking groove
20: filter fixer
21: adapter guide member 21A: adapter guider
21A-1, 21A-2: Left and right insertion channels
21B: adapter supporter 22: filter support member
23: filter mounting member 24: filter position member
24A, 24B: left and right filter holder
25: filter pressing member 25A: adapter pusher (pusher)
25B: filter pusher
30: air cleaner cover 31: hose outlet contact surface
40: filter adapter
41: adapter body 41A, 41B: upper, lower end
43: filter fixing ribs 45A, 45B: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47: rigid rib 50: housing strap (housing strap)
60: cover clamp 70: filter strap (filter strap)
71: tight body 73: insert flange
75: fitting projection 80: filter
81: non-woven fabric 83: filter frame
85A: close flange 85,87: front and rear fixed flange
89: globe (groove)
100: intake system 110: intake duct
111: duct body 111A, 11B: air inlet, outlet
112: compartment plate 113: connecting hook
114: hook body 115: hook end
115A: separation slit 117: fixing hook
117A: hook turn 119: position turn
120: intake shield 130: intake hose

Claims (20)

서로 결합되어 덕트 인렛의 유입 공기를 호스 아웃렛의 배출공기로 정화하는 필터의 탈장착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커버 클램프로 잠금 및 분리되는 에어클리너 바디와 에어클리너 커버;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필터의 흔들림이 차단되는 필터 구속력을 형성하는 필터 픽서(filter fixer);
상기 내부공간으로 탈장착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필터 고정력을 형성하는 필터 어댑터(filter adapter);가 포함되며,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 고정력이 형성되도록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an air cleaner body and an air cleaner cover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filter that purifies the inlet air of the duct inlet to the exhaust air of the hose outlet, and is locked and separated by a cover clamp;
a filter fixer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seat the filter and to form a filter binding force that blocks shaking of the filter;
A filter adapt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and forms a filter fixing force to which the filter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ilter adapter); includes;
The filter adapter is wedge-shaped so that the filter fixing force is formed by pressing the filter.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하드 우레탄의 프레임 구조로 원통형의 원형 필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forms a cylindrical, circular filter with a frame structure of hard ureth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가 분리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adapt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from the air cleaner body from which the air cleaner cover is separat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호스 아웃렛에 위치된 앞쪽이 들어 올려지면서 뒤쪽이 내려간 상향경사배열로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 픽서는 상기 상향경사배열이 유지되도록 상기 필터 구속력으로 상기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서 상기 필터 고정력을 형성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in which the front of the hose outlet is raised while the rear is lowered, and the filter fixer is the filter by the filter binding force so that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is maintained. and the filter adapter forms the filter fixing force at the rear of the fil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픽서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서 상기 필터 어댑터의 끼움 경로를 안내하여 주는 어댑터 가이드부재, 상기 필터의 앞뒤 및 좌우쪽에서 상기 필터 구속력을 형성해주는 필터 구속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 고정력을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lter fixer is composed of an adapter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fitting path of the filter adapter from the rear of the filter, and a filter constraining member for forming the filter binding force on the front, back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The filter adapter is an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fixing force is formed while being fitted to the adapter guide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의 내벽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dapter guide member is inclined from an inner wall of the air cleaner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구속부재는 상기 필터의 뒤쪽에 위치된 필터 받침부재, 상기 필터의 앞쪽에 위치된 필터 안착부재, 상기 필터의 좌우쪽에 위치된 필터 위치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받침부재와 상기 필터 안착부재 및 상기 필터 위치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ter constrain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lter support memb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lter, a filter seat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lter, and a filter positioning member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supporting member, the filter seating member, and the filter positioning member are formed on the air cleaner bod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받침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필터 안착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필터 받침부재와 상기 필터 안착부재는 상기 상향경사배열의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과 앞쪽을 각각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lter support member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 filter seat member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and the filter support member and the filter seat member are arranged in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the rear and front of the filter, respective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위치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좌,우측 필터 홀더(filter holder)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필터 홀더는 상기 상향경사배열의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좌우쪽을 각각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lter position member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filter holders (filter holders)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the left and right filter holders in the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of the filter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구속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위쪽에서 상기 필터 구속력을 형성해주는 필터 누름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 누름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lter restrain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filter pressing member forming the filter restraining force above the filter, and the filter pressing member is formed on the air cleaner cov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누름부재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의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어댑터 푸셔(pusher)와 필터 푸셔(pusher)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 푸셔는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기 필터 어댑터의 위쪽부위를 눌려주며, 상기 필터 푸셔는 상기 필터의 앞쪽 위치에서 위쪽부위를 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filter adapter of claim 11 , wherein the filter pressing member includes an adapter pusher and a filter pusher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leaner cover to face each other, and the adapter pusher is inserted into the adapter guide member. An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and the filter pusher presses the upper part from the front position of the filt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 고정력을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 면에 가하는 가압력으로 형성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어댑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의 뒤쪽 부위와 접촉하는 필터 고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adapter bod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ter adapter is formed by a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fixing force is fitted to the adapter guide member, and the filter adapter protrudes from the adapte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adapter guide member. An air cleaner comprising a filter fixing rib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filt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댑터에는 상기 어댑터 바디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된 좌,우측 삽입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삽입돌기의 각각은 상기 어댑터 가이드부재의 좌,우측 삽입채널에 끼워져 상기 어댑터 바디의 위치를 구속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lter adapter is further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at intervals from the adapter body, each of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protrusions being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channels of the adapter guide member, the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rains the position of the adapt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호스 아웃렛의 연결부위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를 연결한 필터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플랜지에는 필터 스트랩이 끼워져 상기 필터 플랜지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lter flang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lter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lter and the hose outlet, and a filter strap is fitted to the filter flange to maintain airtightness of the filter flange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의 결합면은 하우징 스트랩으로 밀폐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하우징 스트랩이 끼워지는 스트랩 채널이 파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air cleaner body and the air cleaner cover is sealed with a housing strap to maintain airtightness to the inner space, and a strap channel into which the housing strap is fitted is dug into the coupling surface. Air cleaner featu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는 서로 융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호스 하우징과 덕트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하우징은 상기 호스 아웃렛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덕트 인렛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leaner body consists of a hose housing and a duct housing that are fused to each other to form the inner space, the hose housing forms the hose outlet and is coupled to the air cleaner cover, the duct housing comprises: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duct inlet and the bottom surface.
신기를 내보내는 호스 아웃렛을 갖춘 호스 하우징과 외기가 도입되는 덕트 인렛을 갖춘 덕트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 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호스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클리너 커버, 앞쪽이 올라가고 뒤쪽이 내려간 상향경사배열로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신기로 전환하는 원통형상의 필터, 상기 필터가 지지되는 필터 구속력을 형성하는 필터 픽서,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필터 고정력을 형성하는 필터 어댑터,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우징 스트랩,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를 잠거 주는 커버 클램프, 상기 필터와 상기 호스 하우징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기밀을 유지하는 필터 스트랩로 구성된 에어클리너;
상기 외기가 흐르는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를 흐르는 상기 외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흡기 쉴드;
상기 신기가 흐르는 흡기 호스;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
An air cleaner body in which a hose housing having a hose outlet for exhaling fresh air and a duct housing having a duct inlet for introducing fresh air are combined to form an inner space, an air cleaner cover coupled to the hose housing to form the inner space, the front A cylindrical filter that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in an upwardly inclined arrangement with the back side down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ir and converts it into the new air, a filter fixer that forms a filter binding force on which the filter is supported, and a filter to which the filter is fixed A filter adapter for forming a fixing force, a housing strap provided on a coupling surface of the air cleaner body and the air cleaner cov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inner space, a cover clamp for locking the air cleaner body and the air cleaner cover, the filter and an air cleaner comprising a filter strap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ose housing to maintain airtightness of the filter;
an intake duc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 intake shield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duct;
an intake hose through which the fresh air flows;
Inta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외기가 흐르는 덕트 바디에 상기 외기가 빠져나가는 연결 후크를 갖추고, 상기 연결 후크는 상기 덕트 인렛의 주위를 감싼 연결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intake duct has a connection hook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exits to the duct body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d the connection hook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connector wrapped around the duct inlet to connect the intake duct and the duct housing. An inta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e is fixed.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외기가 흐르는 덕트 바디에 고정 후크를 갖추고,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호스 하우징에서 돌출된 포지션 돌기에 끼워져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호스 하우징의 연결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intake duct has a fixing hook on the duct body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and the fixing hook is inserted into a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hose housing to fix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ake duct and the hose housing. intake system with
KR1020170118014A 2017-09-14 2017-09-14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Active KR102370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14A KR102370942B1 (en) 2017-09-14 2017-09-14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US15/990,045 US10865748B2 (en) 2017-09-14 2018-05-25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including the same
DE102018208969.8A DE102018208969B4 (en) 2017-09-14 2018-06-06 AIR CLEANER WITH ADAPTER FOR FILTER MOUNTING
CN201810603598.1A CN109505718B (en) 2017-09-14 2018-06-12 Adapter filter fixed air cleaner and air intak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14A KR102370942B1 (en) 2017-09-14 2017-09-14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00A KR20190030500A (en) 2019-03-22
KR102370942B1 true KR102370942B1 (en) 2022-03-07

Family

ID=6544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14A Active KR102370942B1 (en) 2017-09-14 2017-09-14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65748B2 (en)
KR (1) KR102370942B1 (en)
CN (1) CN109505718B (en)
DE (1) DE102018208969B4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155B2 (en) * 2018-10-27 2022-11-22 K&N Engineering, Inc. Engine control unit cooling air box
CN110594055A (en) * 2019-10-25 2019-12-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ir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392Y2 (en) * 1991-04-26 1997-10-22 株式会社テネックス Air cleaner
US5120334A (en) * 1991-05-23 1992-06-09 Ford Motor Company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65863A (en) * 1997-05-08 1999-02-02 Siemens Electric Limited Combined air cleaner-resonator
JP2001293310A (en) 2000-04-14 2001-10-23 Konan Tokushu Sangyo Kk Filter device and filter medium
CA2503592A1 (en) * 2004-04-07 2005-10-07 Salflex Polymers Ltd. Integrated air induction system
JP4480472B2 (en) * 2004-06-01 2010-06-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59900B1 (en) * 2004-06-07 200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 air cleaner
DE202006005012U1 (en) * 2006-03-29 2007-08-09 Hengst Gmbh & Co.Kg Air filter and filter element
CN201412242Y (en) * 2009-03-28 2010-02-24 张春明 Heavy-duty vehicle multistage air filter with waterproof air inlet system
KR20120004507U (en)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리한 Air-cleaner assembly for vehicle
JP5673209B2 (en) * 2011-02-28 2015-02-18 マツダ株式会社 Air cleaner intake duct connection structure
CN102966471A (en) * 2012-11-26 2013-03-1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Air filter and automobile applying same
KR101655527B1 (en) * 2014-08-25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intake duct in vehicle
US10132277B2 (en) * 2015-02-25 2018-11-20 Element 1 Engineering Ltd. Vehicle air intake housing
KR102212551B1 (en) * 2015-03-04 2021-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cleaner assembly for improving work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8969B4 (en) 2022-07-14
KR20190030500A (en) 2019-03-22
US10865748B2 (en) 2020-12-15
US20190078539A1 (en) 2019-03-14
CN109505718A (en) 2019-03-22
DE102018208969A1 (en) 2019-03-14
CN109505718B (en)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575B2 (en) Air filter with balanced seal
US11007462B2 (en) Air cleaner; replaceable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US7670403B2 (en) Filter assembly and adaptor
EP2925422B1 (en) Filter cartridges; and filter assemblies;
JP4852608B2 (en) Air cleaner having anti-rotation structure and anti-rotation method thereof
US8414675B2 (en) Air cleaner; air filter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6221122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JP4809429B2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housing suitable for housing the filter element
US6726735B1 (en) Unitary filter cartridge
JP2019111334A (en) Filter assembly
KR102370942B1 (en) Adapter Filter Fixing type Air Cleaner and Intake System thereby
EP2971743A1 (en) Rectangular stacked fluted filter cartridge
JP5602442B2 (en) Air cleaner
JP4279652B2 (en) Air filter device
US20160158683A1 (en) Oil separator
CN216916307U (en) Fuel system
JP2005028219A (en) Bag filter
CN112044197A (en) Environment-friendly circulating dust removal device for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use method thereof
EP4326420B1 (en) Filter cartridge including u-shaped canted inlet frame; filter system including same
CN222076063U (en) Filtration structure and underwater robot
KR200444368Y1 (en) Fixing device for filter for horizontal dust collector
JPH07116442A (en) Filter element with dust collector
JP6238423B1 (en) Filter structure
US20210121817A1 (en) Air cleaner
JP2021092184A (en) Filter element module, filter el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filte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