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0816B1 -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16B1
KR102370816B1 KR1020210077452A KR20210077452A KR102370816B1 KR 102370816 B1 KR102370816 B1 KR 102370816B1 KR 1020210077452 A KR1020210077452 A KR 1020210077452A KR 20210077452 A KR20210077452 A KR 20210077452A KR 102370816 B1 KR102370816 B1 KR 10237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ing
frame
awning
support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소
Original Assignee
김민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소 filed Critical 김민소
Priority to KR102021007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16B1/ko
Priority to US17/572,629 priority patent/US120440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16B1/ko
Priority to PCT/KR2022/008398 priority patent/WO2022265350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with material fixed on sections of a collapsible frame especially Florentine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와 상기 제1 서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로 이루어진 서포트부재; 상기 제1 서포트와 제2 서포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부재;를 마련하여 각각의 차양막유닛의 전개에 의해 테이블의 상측을 덮는 차양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차양막유닛을 전개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차양막의 각도를 각각으로 조절하여 계절별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막을 원하는 위치 및 각도에 알맞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본 발명은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 등에 커튼, 블라인드 및 롤스크린 등과 같은 차양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또한,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차양장치는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의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킷(sprocket)에 연결된 볼체인과 같은 구동와이어를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차양막이 권취바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에서 차양막을 상하 내지 좌우로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구동와이어에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심지어 상기 구동와이어에 목이 감겨 질식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최근들어 어린 아이들이 상기 구동와이어에 목이 걸려 질식하거나 사망에까지 이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에 기출시된 블라인드 제품 5000만여개가 리콜 조치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블라인드를 안전관리품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며, 이에 맞춰 상기 구동와이어의 안전 기준을 마련한 계획이다.
한편 상기 창호프레임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실내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 요동되는 경우 상기 차양막을 중력방향으로 펼치기 위해 상기 차양막 하단에 구비되는 무게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과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무게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인접한 가구 등의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 역시 야기될 수 있었다.
차양장치는 건물의 출입구나 벽면 등에 직사광선이나 빗물을 막아 출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상점의 경우 적재된 상품의 보호는 물론이고 매장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통상적으로 차양막을 고정시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렇게 고정식으로 구성할 경우 바깥쪽으로 펼쳐진 차양막이 차량에 부딪히거나 바람이나 눈 또는 비가 많을 경우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양막이 감기는 회전축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고, 차양막의 끝단을 이동시켜 펼치도록 하는 링크장치로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차양막을 펼치는 절첩식 아암의 길이에 한계가 있고, 과도한 길이로 펼칠 경우 아암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넓은 면적으로의 차양을 설치할 수 없었고, 차양막이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아암에 의해 지지되어 강풍이나 폭설 및 폭우 등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는 차양막이 회전 승강되도록 권취되되, 일단부에 제1스프로킷부가 구비된 회전구동부가 연결된 권취바와, 회전견인됨에 따라 상기 권취바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제1스프로킷부 외주에 권취 결합되는 볼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와이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의 하단부가 외주에 권취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부와, 상기 제2스프로킷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단턱홈이 형성된 전면케이스와, 상기 결합단턱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돌설되되, 상기 결합단턱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후면케이스와, 상기 제2스프로킷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케이스 및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지지하는 관통결합부와, 상기 전면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안전브라켓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은 다단 관람석-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와,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와,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과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에 연결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12418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89051호 대한민국 실용산안 공개번호 제20-2013-00017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차양막을 다단으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차양막을 전개시킬 수 있는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의 차양막을 펼친 상태에서 가스스프링과 와이어의 장력을 사용하여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와 턴버클의 장력에 의해 차양막을 간편하면서도 와이어와 턴버클의 장력에 의해 안정되게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태풍과 같은 천재지변 시 턴버클을 해체하여 다단으로 접힘 보관이 가능한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상기 제1 서포트(1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로 이루어진 서포트부재(110);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다수개의 차양막부재(130)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전개조절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113); 상기 받침서포트(113)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래킷(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3 차양막유닛(141)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171);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172);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타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173);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17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171)의 일단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와이어(171)의 타단은 상기 제3 차양막유닛(173)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이드(175)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차양막유닛의 전개에 의해 테이블의 상측을 덮는 차양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차양막유닛을 전개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차양막의 각도를 각각으로 조절하여 계절별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막을 원하는 위치 및 각도에 알맞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에 의하면, 바람의 방향 및 태양의 고도 및 방향 등에 맞추어 차양막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여 쾌적한 차양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와이어의 결속 및 턴버클의 장력 조절에 의해 차양막을 간편하면서도 안정되게 차양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차양막의 전개 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차양막의 접힘 없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태풍과 같은 천재지변 시 턴버클을 구속 해제시켜 다단으로 접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다단의 차양막을 접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의 전개조절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가 상부에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상기 제1 서포트(1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로 이루어진 서포트부재(110)와,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부재(110)와,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양막부재(130)와,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전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전개조절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차양막부재(1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차양막부재(13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부재(11, 112)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113)와, 상기 받침서포트(113)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래킷(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서포트(113)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서포트(113)의 상면에는 상기 차양막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회전브래킷(114)이 설치된다.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사용자에게 햇빛을 차단시켜 그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의 전개조절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가 상부에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과,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각각 부채꼴 형상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선택적으로 전개(펼침 및 접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에는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차양프레임(132)이 고정되고, 제1 차양프레임(132)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결합되는 제1 회전프레임(13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프레임(133)은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차양프레임(132)에는 머리띠밴드 형상의 제1 차양막(13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에는 제2 차양막(14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2 차양프레임(136)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에는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차양프레임(136)에는 제2 차양막(138)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은 제1 차양프레임(132)에 고정되고, 제1 차양막(134)의 타단은 제2 차양프레임(136)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의 양단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결합되는 제2 회전프레임(137)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프레임(139)은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제1 차양막유닛(13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이는 제2 차양막유닛(135)이 제1 차양막유닛(131)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에는 제3 차양막(145)을 고정시키는 제3 차양프레임(14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차양프레임(142)의 양단에는 각각 제3 회전프레임(144)이 설치된다.
이들 회전프레임(133, 137, 144)은 회전브래킷(11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제2 차양막유닛(1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3 차양막유닛(141)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171)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172)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타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173)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17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와이어(171)의 일단은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차양프레임(132)에 고정되고, 제1 와이어(171)의 타단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제3 차양프레임(142)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길이조절부재(176) 사이에 설치되는 숏와이어(171a)와,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와 제3 차양프레임(142) 사이에 설치되는 롱와이어(17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숏와이어(171a)의 일단은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차양프레임(132)에 연결되고, 상기 숏와이어(171a)의 타단은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된다.
아울러 롱외이어(171b)의 일단은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고, 상기 롱와이어(171b)의 타단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제4 차양프레임(144)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된 상태를 팽팽하게 긴장시켜 줌으로써,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을 모두 전개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재(176)는 일례로 턴버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숏와이어(171a)와 롱와이어(171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와이어(171)를 길이조절부재(176)로부터 해제시켜 차양막부재(130)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된 숏와이어(171a) 또는 롱와이어(171b)를 해제시켜 차양막부재(13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 와이어(172)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3 와이어(173)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된다.
이들 제2 와이어(172)와 제3 와이어(173)는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되는 범위를 제한시킨다.
즉,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와이어(172)와 제3 와이어(173)에 의해 와이어(172, 173)의 길이만큼 제한된 범위로 펼쳐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17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74)에는 제1 와이어(17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와이어가이드(17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1 와이어(171)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차양막부재(130)를 낮은 위치에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와이어(171)는 한 쌍의 와이어가이드(175)의 외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양막부재(130)가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이 각각 제1 와이어(17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차양막부재(130)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차양막부재(130)를 높은 위치에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차양막부재(130)의 전개 위치에 따라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양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와이어(171)가 와이어가이드(175)를 따라 이동된다.
한편 길이조절부재(176)는 와이어(171)의 길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차양막부재(130)를 전개시켜 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턴버클 외에도 와이어(17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막대 스토퍼(미도시) 또는 로프 라쳇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의 차양막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171) 중 롱와이어(171b)를 해제시킴으로써, 차양막부재(13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롱와이어(171a)를 길이조절부재(176)에서 해제시키면,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은 회전브래킷(11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을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서포트부재 111: 제1 서포트
112: 제2 서포트 113: 받침서포트
114: 회전브래킷
130: 차양막부재 131: 제1 차양막유닛
132: 제1 차양프레임 133: 제1 회전프레임
134: 제1 차양막 135: 제2 차양막유닛
136: 제2 차양프레임 137: 제2 회전프레임
138: 제2 차양막
141: 제3 차양막유닛 142: 제3 차양프레임
143: 제4 차양프레임 144: 제3 회전프레임
145: 제3 차양막 146: 제4 회전프레임
170: 전개조절부재 171: 제1 와이어
172: 제2 와이어 173: 제3 와이어
174: 고정브래킷 175: 와이어가이드
176: 길이조절부재

Claims (5)

  1.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상기 제1 서포트(1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로 이루어진 서포트부재(110);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부재(130); 및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다수개의 차양막부재(130)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전개조절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113); 및
    상기 받침서포트(113)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135, 14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래킷(114);을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상기 서포트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에는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차양프레임(132)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차양프레임(132)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프레임(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에는 제2 차양막(138)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2 차양프레임(136)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에는 상기 제1 차양막(134)의 일단 및 제2 차양막(138)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프레임(13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에는 제3 차양막(145)을 고정시키는 제3 차양프레임(142) 및 제4 차양프레임(143)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차양프레임(142)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회전프레임(144)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차양프레임(143)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 회전프레임(14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프레임(133), 제2 회전프레임(137), 제3 회전프레임(144) 및 제4 회전프레임(146)은 각각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회전브래킷(114)의 축 상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이 최대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회전프레임(133), 제2 회전프레임(137), 제3 회전프레임(144) 및 제4 회전프레임(146)이 상기 제1 차양프레임(132), 제2 차양프레임(136), 제3 차양프레임(142) 및 제4 차양프레임(143)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연장선은 3차원상의 일면에서 평행선을 형성하며, 3차원상의 타면에서 일직선상에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3 차양막유닛(141)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171); 및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74)에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17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일단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차양프레임(132)에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는 숏와이어(171a); 및
    일단은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175)를 경유하여 타단은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제4 차양프레임(143)에 연결되는 롱와이어(171b)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에 의해 상기 숏와이어(171a) 및 롱와이어(171b)의 장력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롱와이어(171b)에 대한 구속력이 조절되며, 상기 제1 차양프레임(132), 제2 차양프레임(136), 제3 차양프레임(142), 제4 차양프레임(143)의 회전각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7452A 2021-04-20 2021-06-15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Active KR10237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52A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1-06-15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US17/572,629 US12044029B2 (en) 2021-04-20 2022-01-11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PCT/KR2022/008398 WO2022265350A1 (ko) 2021-06-15 2022-06-14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 및 링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52A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1-06-15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816B1 true KR102370816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52A Active KR102370816B1 (ko) 2021-04-20 2021-06-15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50A1 (ko) * 2021-06-15 2022-12-22 김민소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 및 링크 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5371Y (zh) * 1995-06-23 1997-01-22 张国清 转合式晴雨篷
KR20090018597A (ko) * 2008-09-11 2009-02-20 곽건화 의자에 부착가능한 텐트
KR20100013186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고소작업용 버켓의 캐노피장치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20130001790U (ko) 2011-09-06 2013-03-14 이석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160012418A (ko) 2014-07-24 2016-02-03 김용현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5371Y (zh) * 1995-06-23 1997-01-22 张国清 转合式晴雨篷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20100013186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고소작업용 버켓의 캐노피장치
KR20090018597A (ko) * 2008-09-11 2009-02-20 곽건화 의자에 부착가능한 텐트
KR20130001790U (ko) 2011-09-06 2013-03-14 이석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160012418A (ko) 2014-07-24 2016-02-03 김용현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50A1 (ko) * 2021-06-15 2022-12-22 김민소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 및 링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633C (en)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US4799524A (en) Protection and/or decorative device for apertures in walls, windows and the like
AU2003201365B8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6957680B2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US6186215B1 (en) Multi-positional rolling window screen
US9732554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20040221966A1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KR20160045126A (ko) 코드 없는 직물 베네치안 창 가리개 조립체
JPH11270089A (ja) 日除ロールスクリーン
US20160186490A1 (en) Blind assembly
US12044029B2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CA2580925A1 (en) Combination window or door covering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102296512B1 (ko)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0500716B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101189735B1 (ko) 가변형 차양장치
JP2003268943A (ja) オーニング
NL2023729B1 (en) Awning system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