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9773B1 -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73B1
KR102369773B1 KR1020180051799A KR20180051799A KR102369773B1 KR 102369773 B1 KR102369773 B1 KR 102369773B1 KR 1020180051799 A KR1020180051799 A KR 1020180051799A KR 20180051799 A KR20180051799 A KR 20180051799A KR 102369773 B1 KR102369773 B1 KR 10236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hell
inner half
battery pack
small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16A (ko
Inventor
진승철
료비흠
황건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5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쉘과 제2쉘을 포함한다. 제1쉘은 측벽,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는 외고정부, 보강구조를 포함하고, 외고정부와 보강구조는 측벽의 상대적 양측에 위치한다. 보강구조는 내측반과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고, 내측반은 측벽의 내측의 외고정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내측반의 윗부분의 높이는 측벽의 윗부분의 높이에 대응되며, 복수개의 연결리브는 각각 내측반과 측벽에 연결되고, 각각 내측반의 윗부분과 측벽의 윗부분 사이에까지 연장된다. 제2쉘은 탈착가능하게 제1쉘에 조립된다.

Description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SMALL BATTERY PACK CASING ASSEMBLY}
본 발명은 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몰전지팩(small battery pack)은 휴대용 전자장치(예를 들면, 핸드폰 혹은 노트북)에 응용되는 전지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스몰전지팩은 록킹방식으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쉘에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스몰전지팩의 쉘은 일반적으로 밖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고정부가 구비되는데, 나사가 외고정부 상의 홀을 통과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의 쉘이 고정된다.
스몰전지팩의 외부쉘이 만약 상하 두 쉘로 조립되어 이루어질 경우, 외고정부는 이 중 하나의 쉘 상에 고정된다. 외고정부가 하부 쉘의 측벽에 고정된 예로, 하부 쉘의 외고정부가 아래의 쉘에 록킹되어 고정되었을 때, 외고정부가 아래로 향하는 록킹파워가 너무 강할 경우, 외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이 같이 밖으로 뒤집혀질 수가 있고 스몰전지팩의 하부쉘의 측벽과 대응되는 상부 쉘의 측벽 사이에 예상밖의 틈새가 나타날 수 있으며, 스몰전지팩의 상하 두 쉘의 결합강도와 외관상의 무결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고, 그 내부에는 보강구조가 구비되며, 측벽이 힘을 받을 때 밖으로 뒤집혀지는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는, 제1쉘과 제2쉘을 포함한다. 제1쉘은 측벽,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는 외고정부, 보강구조를 포함하고, 외고정부와 보강구조는 측벽의 상대적 양측에 위치한다. 보강구조는 내측반과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고, 내측반은 측벽의 내측의 외고정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내측반의 윗부분의 높이는 측벽의 윗부분의 높이에 대응되며, 복수개의 연결리브는 각각 내측반과 측벽에 연결되고, 각각 내측반의 윗부분과 측벽의 윗부분 사이에까지 연장된다. 제2쉘은 탈착가능하게 제1쉘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쉘은 측벽의 밑면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연결리브의 적어도 하나가 밑면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반은 밑면에 대해 허공에 들린 상태(suspend)이고, 보강구조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이는 내측반의 밑부분과 측벽을 연결하고,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인접하는 두 연결리브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는 연결판의 밑바닥에서부터 밑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리브는 내측반이 윗부분에 접근하는 부위에서부터 밑면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의 길이와 다른 하나의 연결리브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고정부는 바깥리브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가 측벽의 내표면 상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바깥리브가 측벽의 외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반의 윗부분의 일부 높이와 윗부분의 다른 일부의 높이는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반은 클램핑 홀을 포함하고, 제2쉘은 클램핑 홀에 대응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후크는 측벽과 내측반 사이에 삽입되고 클램핑 홀에 클램핑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연결리브는 클램핑 홀의 양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쉘은 측벽과 연결되는 밑면을 포함하고, 밑면은 원통형 전지 수용조를 포함하며, 외고정부는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는 보강구조를 외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내측에 설치하여, 측벽이 보강구조에 의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외고정부가 힘을 받을 때 측벽이 덩달아 밖으로 뒤집어지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보강구조의 내측반의 윗부분의 높이가 측벽의 윗부분의 높이에 대응되고, 보강구조의 연결리브는 내측반의 윗부분과 측벽의 윗부분 사이에까지 연장되어, 측벽의 윗부분의 견고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과 장점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쉘과 제2쉘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를 다른 시각적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쉘을 다른 시각적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10)가 사용한 스몰전지팩은 예를 들면 노트북 혹은 핸드폰 등 휴대용 전자장치(미도시)의 전지 어셈블리이다. 물론, 스몰전지팩으로서 사용되는 전지 종류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10)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원통형 전지셀(미도시)을 수용하고 피복하는 쉘 어셈블리이고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10)가 수용하고 피복하는 전지셀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1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10)는 제1쉘(100) 및 탈착가능하게 제1쉘(100)에 조립되는 제2쉘(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제1쉘(100)은 하부 쉘이고, 제2쉘(180)은 상부 쉘이다. 그러나 제1쉘(100)과 제2쉘(18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쉘(100)은 밑면(110), 밑면(1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0), 적어도 하나의 외고정부(130)와 적어도 하나의 보강구조(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쉘(100)의 밑면(110)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전지 수용조(112)를 포함하고, 이는 원통형 전지셀을 수용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밑면(110)은 8개의 원통형 전지 수용조(112)를 포함한다. 물론, 원통형 전지 수용조(112)의 수량과 수용조가 수용하는 전지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와 같이 제2쉘(180)이 제1쉘(100)에 결합한 후, 함께 이 중에 위치하는 원통형 전지셀을 고정하고 피복하여, 스몰전지팩의 조립공정을 완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쉘(100)은 밑면(110)에 연결되는 상대적 두 측벽(120)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외고정부(130)는 두 측벽(120)의 외표면상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보강구조(140)는 두 측벽(120)의 내표면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측벽(120)은 제1쉘(100)의 비교적 긴 측벽이고, 이러한 외고정부(130)는 각각 두 측벽(120)의 좌측 및 우측 근처에 각각 위치한다. 물론, 측벽(120) 상에 설치되는 외고정부(130)의 상대적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외고정부(130)와 이에 대응되는 보강구조(140)를 예로 들어 측벽(120), 외고정부(130)와 보강구조(140)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좌상단의 외고정부(130)와 보강구조(14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외고정부(130)와 보강구조(140)는 측벽(120)의 상대적 양측에 위치하여 있고, 외고정부(130)는 측벽(120)의 외표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된다. 외고정부(130)는 고정홀(132)을 포함하며, 고정홀(132)은 예를 들면 관통홀이고 나사가 통과 후 외고정부(130)가 휴대용 전자장치(미도시)의 본체 쉘에 고정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고정홀(132)은 나사홀일 수도 있으며, 혹은 외고정부(130)는 고정홀(132)이 구비되지 않고 큼램핑 등 기타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본체 쉘이 고정될 수 있다.
보강구조(140)는 내측반(141)과 복수개의 연결리브(150, 152, 154)을 포함한다. 내측반(141)은 측벽(120)의 내측에 외고정부(130)에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연결리브(150, 152, 154)들은 내측반(141)으로 하여금 측벽(120)에 연결되게 하고, 연결리브(150, 152, 154), 내측반(141) 및 측벽(120)이 시각적으로 일체가 되게끔 한다. 하나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연결리브(150, 152, 154), 내측반(141) 및 측벽(120)은 비교적 큰 질량을 갖고 있다. 따라서, 측벽(120) 외의 외고정부(130)가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받을 경우, 측벽(120)은 쉽게 끌려서 밖으로 뒤집어지지 않는다.
또한, 연결리브(150, 152, 154)들에서의 적어도 하나가 밑면(110)까지 연장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결리브(150, 152, 154)들은 모두 밑면(110)까지 연결되고, 연결리브(150, 152, 154)가 비교적 우수한 견고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내측반(141)의 좌측은 왼쪽 측벽(121)까지 연장되어 내측반(141)이 비교적 우수한 견고성을 갖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왼쪽의 측벽(121)의 내측반(141) 및 밑면(110)과도 연결되는 연결리브(150, 152, 154)는 측벽(120)에 연결되며, 측벽(120), 밑면(110), 측벽(121) 사이의 연결강도를 연달아 증가시키고, 따라서 진일보로 측벽(120)으로 하여금 더욱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측벽(120) 외에 위치한 외고정부(130)가 아래로 압력을 받을 때, 측벽(120)은 진일보로 쉽게 끌리워 밖으로 뒤집어지지 않는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0, 152, 154)와 내측반(141)의 연결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벽(120)은 외고정부(130)의 구역에서 다른 높이를 갖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측벽(120)이 외고정부(130)의 윗부분(122)에 연결되는 높이는 윗부분(123)의 높이보다 높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120)이 바깥으로 뒤집어지는 확률을 더 낮추기 위해, 내측반(141)의 높이를 측벽(120)의 높이에 대응되게 설계하고, 다른 구간에서 높이 변화가 있게끔 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은 비교적 높은 제1구역(145)과 비교적 낮은 제2구역(146)을 포함하며, 내측반(141)의 윗부분(142)의 높이, 즉 제1 구역(145)의 높이는 측벽(120)의 윗부분(122)의 높이에 대응되며, 내측반(141)의 윗부분(143)의 높이, 즉 제2 구역(146)의 높이는 측벽(120)의 윗부분(123)의 높이에 대응된다. 또한, 두 연결리브(150)는 내측반(141)의 윗부분(142)과 측벽(120)의 윗부분(122) 사이에까지 연장되고, 연결리브(150, 154)는 내측반(141)의 윗부분(143)과 측벽(120)의 윗부분(123) 사이에까지 연장되며, 이런 설계는 측벽(120)이 윗부분(122, 123)의 부위에서의 구조적 강도가 연결된 연결리브(150, 154)와 내측반(141)에 의해 강화되고, 더욱 측벽(120)의 윗부분(122, 123)이 밖으로 뒤집어지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하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의 높이가 측벽(120)의 높이에 대응된다라는 것은, 내측반(141)의 높이가 측벽(120)의 높이와 같다는 뜻이다. 혹은 내측반(141)의 높이가 측벽(120)의 높이에 접근한다는 것이다. 즉, 내측반(141)의 높이는 측벽(120)의 높이보다 조금 낮을 수 있다. 내측반(141)이 다른 구간에서의 높이 변화가 대응되는 측벽(120)의 다른 구간에서의 높이 변화에 접근하기만 하면, 측벽(120)이 외고정부(130)와 연결되는 부위에서의 다른 구간에서 모두 보강구조(140)에 의해 양호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홀(144)을 포함하고, 제2쉘(180)은 클램핑 홀(144)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18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클램핑 홀(144)과 후크(182)의 수량은 각각 복수개인데, 클램핑 홀(144)과 후크(182)의 수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제2쉘(180)이 제1쉘(100)에 조립될 때, 제2쉘(180)의 후크(182)는 측벽(120)과 내측반(141) 사이에 삽입하고 클램핑 홀(144)에 클램핑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0, 152, 154)가 설치되는 위치는 클램핑 홀(144)을 피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클램핑 홀(144)의 양측에 위치하여, 후크(182)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1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쉘과 제2쉘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의 좌측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은 밑면(110)에 대해 허공에 들린 상태이고, 보강구조(140)는 연결판(160), 내측반(141)에 연결되는 밑부분과 측벽(12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판(160)은 수평으로 연장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은 연결판(160)에 의해 연결리브(150)와 공동으로 함께 측벽(120)에 연결되고, 함께 측벽(12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판(160)은 연결리브(150)들 중 인접한 두 연결리브에 연결된다. 하지만 기타 실시예에서, 연결판(160)은 연결리브(150)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기타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이 밑면(110)에 대해 허공에 들린 상태가 아닐 수도 있으며, 즉, 내측반(141)은 아래를 향해 밑면(11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판(160)도 밑면(110)의 내측반(141)과 측벽(120)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측반(141), 연결판(160), 연결리브(150) 사이의 상대적 관계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타 실시예에서, 보강구조(140)는 연결판(160)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2)는 연결판(160)(도 4에 나타냄)의 밑바닥에서부터 아래로 향해 밑면(110)까지 연장되는데, 연결리브(150)는 내측반(141)이 윗부분(142)에 접근하는 부위에서부터 밑면(110)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연결리브(152)의 길이와 연결리브(150)의 길이는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측반(141)의 제2구역(146)의 높이는 제1구역(145)의 높이보다 낮다. 연결리브(154)는 내측반(141)이 제2구역(146)에 접근하는 윗부분(143) 부위로부터 밑면(110)에까지 연장한다. 따라서, 연결리브(154)의 길이와 연결리브(150)의 길이도 서로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0, 152, 154)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연결리브(150, 152, 154)들은 서로 같은 길이일 수 있다.
도 6은 도 2를 다른 시각적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쉘을 다른 시각적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다른 외고정부(130)와 보강구조(1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고정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리브(134)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외고정부(130)는 두 바깥리브(134)를 포함한다. 물론, 바깥리브(134)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외고정부(130)는 바깥리브(134)에 의하여 측벽(12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고, 외고정부(13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즉, 외고정부(130)가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받을 때, 힘은 바깥리브(134)를 통해 측벽(120)에 전달되고, 측벽(120)은 바깥리브(134)에 연결되는 부위가 밖으로 뒤집어지면서 변형되기 쉽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 중앙에 위치한 두 연결리브(150)가 측벽(120)의 내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각각 두 바깥리브(134)가 측벽(120)의 외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응된다. 이에, 바깥리브(134)에 연결된 부분에서의 측벽(120)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고 진일보로 측벽(120)이 밖으로 뒤집어지는 확률을 낮춘다. 물론, 연결리브(150)가 측벽(120)의 내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바깥리브(134)가 측벽(120)의 외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쉘(100)은 복수개의 외고정부(130)와 대응되는 보강구조(140)를 포함하고, 이 중에서 한 조의 외고정부(130)의 바깥리브(134)와 보강구조(140)의 연결리브(150) 사이에는 위치 대응의 관계가 존재하고 다른 조의 외고정부(130)의 바깥리브(134)와 보강구조(140)의 연결리브(150)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지 않는다. 혹은, 각 조의 외고정부(130)의 바깥리브(134)와 보강구조(140)의 연결리브(150)의 위치는 모두 서로 대응된다. 혹은 각 조의 외고정부(130)의 바깥리브(134)와 보강구조(140)의 연결리브(150)의 위치는 모두 서로 대응되지 않는다. 외고정부(130)의 바깥리브(134)와 보강구조(140)의 연결리브(150)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는 보강구조를 외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내측에 설치하여, 보강구조에 의하여 측벽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외고정부가 힘을 받을 때 측벽이 덩달아 밖으로 뒤집어지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보강구조의 내측반의 윗부분의 높이가 측벽의 윗부분의 높이에 대응되고, 보강구조의 연결리브는 내측반의 윗부분과 측벽의 윗부분 사이에까지 연장되어, 측벽의 윗부분의 견고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사상범위내에서 적당한 변형과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100:제1쉘
110:밑면
112:원통형 전지 수용조
120, 121:측벽
122, 123:윗부분
130:외고정부
132:고정홀
134:바깥리브
140:보강구조
141:내측반
142, 143:윗부분
144:클램핑 홀
145:제1구역
146:제2구역
150, 152, 154:연결리브
160:연결판
180:제2쉘
182:후크

Claims (10)

  1. 제1쉘과 제2쉘을 포함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측벽, 상기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는 외고정부, 보강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외고정부와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측벽의 상대적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구조는 내측반과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반은 상기 측벽의 내측의 상기 외고정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반의 윗부분의 높이는 상기 측벽의 윗부분의 높이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는 각각 상기 내측반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내측반의 상기 윗부분과 상기 측벽의 상기 윗부분 사이에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쉘은 탈착가능하게 상기 제1쉘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측벽의 밑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밑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반은 상기 밑면에 대해 허공에 들린 상태(suspend)이고, 상기 보강구조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이는 상기 내측반의 밑부분과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인접하는 두 연결리브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는 상기 연결판의 밑바닥에서부터 상기 밑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리브는 상기 내측반이 상기 윗부분에 접근하는 부위에서부터 상기 밑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의 길이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리브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고정부는 바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 중 하나의 연결리브가 상기 측벽의 내표면 상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상기 바깥리브가 상기 측벽의 외표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반의 상기 윗부분의 일부 높이와 상기 윗부분의 다른 일부의 높이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반은 클램핑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쉘은 상기 클램핑 홀에 대응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측벽과 상기 내측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홀에 클램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리브는 상기 클램핑 홀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밑면을 포함하고, 상기 밑면은 원통형 전지 수용조를 포함하며, 상기 외고정부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KR1020180051799A 2018-05-04 2018-05-04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Active KR10236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99A KR102369773B1 (ko) 2018-05-04 2018-05-04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99A KR102369773B1 (ko) 2018-05-04 2018-05-04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16A KR20190127316A (ko) 2019-11-13
KR102369773B1 true KR102369773B1 (ko) 2022-03-02

Family

ID=6853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799A Active KR102369773B1 (ko) 2018-05-04 2018-05-04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1128B1 (ko) * 2021-08-31 2025-05-21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홍콩) 리미티드 배터리, 전기 기기, 배터리의 제조 방법 및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269A (ja) 2010-12-15 2013-12-12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466B1 (ko) * 2012-09-12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충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WO2015079496A1 (ja) * 2013-11-26 2015-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269A (ja) 2010-12-15 2013-12-12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16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0148B (zh) 插头盖装置
CN114024082B (zh) 电池、电池模组以及电池包
KR102369773B1 (ko) 스몰전지팩 쉘 어셈블리
WO2019134697A1 (zh) 电池单元、电池模组及汽车
CN112382810B (zh) 电芯及电池模组
WO2019134699A1 (zh) 电池模组及汽车
TWI766990B (zh) 小電池組殼體集成
CN212436067U (zh) 一种逆变器壳体以及逆变器与接线盒的连接结构
KR101934397B1 (ko) 배터리팩
CN107492606B (zh) 电池包箱体及具有其的车辆
CN219612349U (zh) 一种控制器壳体
JP7279188B2 (ja) Bmu部品の損傷防止構造を備えるバッテリーパック
CN205542984U (zh) 抗震型6.4V和100Ah储能电池模块
KR20130108690A (ko) 신규한 구조의 결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N219937234U (zh) 一种高强度防变形的移动储能设备
CN221304888U (zh) 电池及电子设备
CN105704611A (zh) 一种共振音箱
CN207993909U (zh) 一种便于携带的移动电源铝型材外壳
JP6451996B2 (ja) コネクタ
CN222867895U (zh) 箱结构、电池及用电装置
CN219961121U (zh) 用于电驱动控制系统总成的线束工装组件
CN221041336U (zh) 电池箱、电池和用电装置
CN212033102U (zh) 电池箱及动力电池
CN214477036U (zh) 一种安装板
CN216958350U (zh) 电池包箱体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