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9522B1 - 하우스형 트램폴린 - Google Patents

하우스형 트램폴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522B1
KR102369522B1 KR1020200068044A KR20200068044A KR102369522B1 KR 102369522 B1 KR102369522 B1 KR 102369522B1 KR 1020200068044 A KR1020200068044 A KR 1020200068044A KR 20200068044 A KR20200068044 A KR 20200068044A KR 102369522 B1 KR102369522 B1 KR 10236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poline
ceiling
vertical
pol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352A (ko
Inventor
윤임식
Original Assignee
윤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식 filed Critical 윤임식
Priority to KR102020006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5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5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9Protective housings covering the working par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운동을 겸해 흥미를 줄 수 있는 트램폴린에 관련된 기술로서, 통상의 트램폴린 가장자리에 안전망을 둘러침과 동시에 개방이 가능하도록 천정부가 설치된 하우스형 트램폴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부재 및 이 받침부재의 상단부에 탄성밴드를 개재하여 탄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디딤판으로 이루어진 트램폴린과, 이 트램폴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연이어져 장착되는 수직폴대와, 이 수직폴대 사이에 가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안전망과,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수평폴대와, 일측이 수평폴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조립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천정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폴대 상에 장착된 탄성밴드 및 디딤판을 이용하여 점핑 동작에 의한 운동이나 놀이를 즐길 수 있고, 사방 가장자리에 설치된 그물형태의 안전망에 의해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트램폴린의 소정 높이에 가설된 수평폴대에 프레임 및 천막으로 이루어진 천정부를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전에 비해 훨씬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스형 트램폴린 {House Type Trampoline}
본 발명은 주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운동을 겸해 흥미를 줄 수 있는 트램폴린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트램폴린 가장자리에 안전망을 둘러침과 동시에 개방이 가능하도록 천정부가 설치된 하우스형 트램폴린에 관한 것이다.
트램폴린(Trampoline)은 소정 높이를 갖는 기초 프레임 내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결속된 디딤판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디딤판에 올라선 상태에서 적정한 높이로 점핑 동작을 행함에 따라 탄성체의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트램폴린은 성장기 아동에게 재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신체의 유연성 내지 균형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 성인에게는 운동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놀이터는 물론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트램폴린은 디딤판의 어느 부위를 밟아서 점프하는가에 따라 탄성체의 반발력이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중심을 잃고 쉽게 넘어져 부상을 입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구물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8-0066183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트램폴린 홀더"의 경우에는 횡단관, 지지관, 연결 슬리브 등을 상호 조립하여 종전의 조립방식을 대체할 수 있으며, 잠금쇠와 잠금장치, 연결 슬리브가 결합되어 트램폴린의 사용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립 및 해체를 가능케하여 사용 후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횡단관과 지지관을 서로 결속하기 위한 연결 슬리브를 설치한 것에 불과하고, 스프링 등의 탄력부재가 그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힐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 공개특허 제2014-0013458호 공보에는 통상적인 트램폴린의 바닥면에 압전소자를 설치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를 설치함으로써 운동을 즐기면서도 친환경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주로 아동의 놀이기구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어서 전력 생산을 현실적으로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이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0666280호에 개시된 "점프놀이 겸용 철봉"의 경우에는 트램폴린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에 철봉부를 부가함에 따라 점프 운동은 물론 철봉 운동을 가미하고 안전 펜스에 의해 안정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철봉부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프레임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상의 도약부에서 점프 놀이를 하고 있는 경우 철봉부의 흔들림이 심해 다른 아동이 철봉 놀이를 제대로 행할 수 없으며, 안전 펜스가 프레임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어 오히려 점프 놀이를 즐기는 아동이 이에 걸리거나 부딪칠 경우 더 큰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더구나, 대다수 트램폴린의 경우 실내에서 점핑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제2008-0066183호(2008.07.16 공개)- 트램폴린 홀더. 공개특허 제2014-0013458호(2014.02.05 등록)- 발전수단이 구비된 트램폴린. 등록특허 제0666280호(2007.01.03 등록)- 점프놀이 겸용 철봉. 등록특허 제1999475호(2019.07.05 등록)-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폴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딤판의 탄력을 이용하여 트램폴린의 제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망에 의해 사고 유발을 억제하고, 천정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하우스형 트램폴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 및 이 받침부재의 상단부에 탄성밴드를 개재하여 탄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디딤판으로 이루어진 트램폴린과, 이 트램폴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연이어져 장착되는 수직폴대와, 이 수직폴대 사이에 가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안전망과,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수평폴대와, 일측이 수평폴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조립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천정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부는 천막 및 이 천막의 가장자리에 엘보우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천정 프레임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천정 프레임이 한쌍의 연결편을 개재하여 수평폴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 프레임에는 상호 마주보는 천정 프레임을 파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착탈편이 설치되어 천정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및 수평폴대는 접속편을 포함하여 수직봉이 일체로 형성된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받침부재 상에 장착된 탄성밴드 및 디딤판을 이용하여 점핑 동작에 의한 운동이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방 가장자리에 설치된 그물형태의 안전망에 의해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트램폴린의 소정 높이에 가설된 수평폴대에 천정 프레임 및 천막으로 이루어진 천정부를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전에 비해 훨씬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특허 제1791558호에 개시된 점핑용 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기초 프레임의 평면도,
도 2b는 기초 프레임에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기초 프레임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접속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절개 단면도,
도 6은 접속부재 상단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받침다리 하단에 결합되는 레그 캡의 단면도,
도 8a,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밴드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형 트램폴린의 각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안전망 및 천정부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트램폴린의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받침부재의 연결 구성도,
도 12는 천정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천정부의 프레임이 개,폐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트램폴린의 예로서, 본 출원인이 앞서 등록받은 바 있는 특허 제1791558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핑용 놀이기구는 기초 프레임(10) 및 이 기초 프레임(10)에 결속되는 바운스부(30)를 포함하여 기초 프레임(10)과 바운스부(30)를 덮는 보호커버(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 프레임(10)에 손잡이(70) 및 기초 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다리(20)를 자유롭게 부착/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초 프레임(10)은 강한 탄성을 갖고 있는 바운스부(30)를 평팽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기초 프레임(10)은 접속부재(12)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받침다리(20)를 통해 설치 대상면, 예컨대 실내 바닥으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강한 탄성력을 갖는 고리형 탄성부재(32)를 통해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31)가 기초 프레임(10)에 연결됨으로써 바운스부(30)를 구성하게 된다.
기초 프레임(10)은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 구조의 복수의 봉을 포함한다. 복수의 봉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로봉(11A) 및 가로봉(11A)과 직각 배치를 이루는 평행한 한 쌍의 세로봉(11B)으로 구성되고,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접속부재(12)로 연결하여 평면상의 하나의 사각틀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바운스부(30)는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리형 탄성부재(32)와, 탄성부재(32)를 통해 상기 기초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3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2)는 탄성시트(31)에 탄력을 부여하는 고무재질의 얇은 밴드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나일론을 가로 세로로 직조하여 제작된 사각형 시트형상의 그물망일 수 있다.
탄성부재(32)는 밴드의 중앙을 접은 상태에서 양 끝단의 포개진 부분을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에 걸쳐 재봉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의 접힌 부분은 대향 배치된 탄성부재(32)의 열을 동시에 벌려줄 수 있는 구조의 전용 지그를 이용한 기초 프레임(10)의 조립과정에서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된다.
보호커버(50)는 기초 프레임(10) 및 탄성부재(32)를 덮어 씌울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된 스커트부(53)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탄성시트(31)를 노출시키는 사각형 모양의 통공(51)이 형성된다. 이 때 스커트부(53)의 사방 모서리에는 접속부재(12)의 상단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멍(52)이 형성된다.
스커트부(53)에 형성된 구멍(52)을 통해 손잡이(70)가 기초 프레임(10) 상부에서 접속부재(12), 구체적으로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삽입되어 결속핀(P)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손잡이(70)와 동심(同心) 구조를 이루도록 받침다리(20)가 손잡이(70)의 하부에서 조립되고 결속핀(P)으로 고정됨으로써 기초 프레임(10)이 적절한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속부재(12)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서로 직각 배치를 이루도록 결속된다.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상기 손잡이(70)와 받침다리(20)가 착탈 자유롭게 결속된다.
이를 위해 접속부재(12)는, 기초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받침다리 접속관(120)과, 받침다리 접속관(120) 외면부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 형성되는 가로봉 접속관(126) 및 세로봉 접속관(128)을 포함한다.
가로봉 접속관(126)에는 상기한 가로봉(11A)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고 외부에서 체결되는 고정나사(B)로 결속되며, 세로봉 접속관(128)에는 세로봉(11B)의 선단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B)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하부에 손잡이(70)와 받침다리(20)가 각각 동심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결속핀(P)으로 동시에 고정된다.
접속부재(12)의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 외면부, 구체적으로는 고정나사(B)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H)의 주변에는 이탈방지돌기(127A,127B)가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이탈방지돌기(127A,127B)는 고정나사(B)의 머리부와 반대편에 체결되는 너트(부호 생략)의 유격을 억제하고 임의 회전을 방지하여 고정나사(B)가 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준다.
접속부재(12)에는 복수의 보강용 리브(129)가 형성된다. 이 보강용 리브(129)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가로봉 접속관(126)의 처짐 변형을 막는 수직방향 리브(129A)와,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세로봉 접속관(128)의 처짐 변형을 막는 다른 수직방향 리브(129B), 그리고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덧대지는 리브(129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내경부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손잡이(7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축경부(123)와,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부 개구(122)에서부터 상기 축경부(123) 하단에 걸쳐 받침다리(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확경부(124)를 포함하는 단차진 구조일 수 있다.
상부 개구(121)를 통해 축경부(123)에 삽입되는 손잡이(70)의 외경(D1) 하부 개구(122)를 통해 확경부(124)에 삽입되는 받침다리(20)의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받침다리(20)의 안쪽으로 손잡이(70)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결속핀(P)이 결속됨에 따라 받침다리(20)와 손잡이(70)의 동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손잡이(70)의 삽입 높이를 일정 높이로 제한하도록 상기 손잡이(70)의 하단에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임의 각도로 꺾임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경부(123)와 확경부(124)의 경계에는 받침다리(20)와의 마찰로 인한 경계 부위 마모가 방지되도록 금속재질로 된 환형의 마모 방지판(125)이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손잡이(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초 프레임(10)에 결속되어 안전바 역할을 하거나, 기초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손잡이(70)를 분리시킨 상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단을 탄성재질, 예컨대, 고무재질로 된 마개(80)로 막아 부상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마개(80)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진 덮개부(82)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82) 하면부에 일체형으로 관형 끼움부(84)를 형성시킨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관형 끼움부(84)가 상부 개구(121)를 통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단 내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받침다리(20) 하단에는 레그 캡(Leg cab, 90)이 설치될 수 있다. 레그 캡(90)은 설치 대상면에 대한 받침다리(20)의 안전한 접지를 도모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놀이 도중 기구의 들썩거림으로 인하여 설치 대상면, 예컨대 실내 바닥면이 받침다리(20)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레그 캡(90)이 설치 대상면과 접하는 면, 즉 레그 캡(90)의 하부면에는 상기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막고, 기구가 위, 아래로 들썩거릴 경우 바닥에 전가되는 충격을 흡수/감쇄시키는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고무재질의 오링(92)이 홈(9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캡(90)의 내측 저면에는 금속재질의 마모방지판(95)이 인서트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기초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의 외면부에는 밴드 고정구(25)가 장착된다. 밴드 고정구(25)는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탄성부재(32)가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 상에서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억제한다.
밴드 고정구(25)는 몸체(25a)의 양측에 가로봉(11A)이나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에 대응되어 밀착 가능한 원호형의 홈(25c)을 갖는 지지대(25b)로 된 구성일 수 있으며, 스크류(26)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탄성부재(32) 및 탄성시트(31)의 유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의 점핑용 놀이기구는, 단순한 구성으로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며, 스프링의 사용을 배제하고 보호커버가 적용됨으로써 놀이 또는 운동 도중 균형을 잃고 탄성시트 위에서 넘어지더라도 큰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또, 손잡이가 접속부재 내에서 받침다리와 일부 겹쳐지는 구조로 결속되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뛰어도 종래와 같이 기초 프레임이 휘거나 손잡이가 흔들리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탄성시트의 어느 한쪽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탄성부재가 밀려나는 등의 위치변동이 억제되므로 바운스부의 탄력 균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점핑 운동시에 안정된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트램폴린에 대한 기능을 더욱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큰 흥미를 줄 수 있는 하우스형 트램폴린을 구상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해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받침부재(130)를 포함하여 이 받침부재(130)의 상단부에 탄성밴드(131)를 개재하여 탄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디딤판(132)으로 이루어진 트램폴린(135), 이 트램폴린(135)의 상단 가장자리에 가설되는 수직폴대(140) 및 안전망(P), 이 안전망(P)의 상단부에 수평폴대(141)를 개재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천정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30)는 소정 높이로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133) 및 이 다리부(133)의 상측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접속편(134a,13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속편(134a,134b)에 각각 수평 파이프(136)가 결속된다.
또, 이들 수평 파이프(136) 사이에 디딤판(132)이 탄성밴드(131)를 개재하여 설치됨으로써 디딤판(132)에서의 뜀 동작에 의해 트램폴린(135)의 제반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디딤판(132)의 경우, 직물을 이용하여 필요 넓이로 직조한 상태에서 각각의 가장자리 변에 탄성밴드(131)를 재봉하여 구성하게 되며, 이들 연결부분에는 가죽제의 보호커버(137)를 씌워 탄성밴드(131) 사이로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30)의 상단에는 삽입공(138)이 형성되어 수직폴대(140)가 다리부(133)와 동축 상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각 수직폴대(140)의 상단부에는 결속부재(141)가 장착되고, 이 결속부재(141)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일체형의 접속편(142a,142b) 및 수직봉(143)이 형성되어 각각의 수직폴대(140)를 포함한 수평폴대(144)들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폴대(144)에는 통상의 그물망 등의 형태로 제작된 안전망(P)을 도시하지 않은 벨크로 테잎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지퍼(G)를 이용하여 개폐하거나 안전망(P)의 외측 전 둘레에 걸쳐 도시하지 않은 보조막을 둘러 씌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다른 놀이를 즐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수평폴대(144)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사각틀체 형상의 천정 프레임(151)이 장착되어 천정부(150)를 이루게 된다. 즉 이 천청부(150)는 천막(152) 및 이 천막(152)의 가장자리에 엘보우(153)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천정 프레임(151)이 조립되고, 이 천정 프레임(151)이 한쌍의 연결편(154)을 개재하여 수평폴대(144)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편(154)은 천정 프레임(151)이 끼워지는 결속부(155a)를 포함하여 수평폴대(144)에 볼트로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고정부(155b)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천정 프레임(151)에는 상호 마주보는 천정 프레임(151)을 파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착탈편(1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착탈편(156)은 천정 프레임(151)이 끼워지는 결속부(157a)를 포함하여 이 결속부(157a)의 일측으로 연이어지는 접속편(157b)으로 이루어져 상대측 천정 프레임(151)을 파지하거나 해제함에 따라 천정부(15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형 트램폴린에 의하면, 받침폴대 상에 장착된 탄성밴드 및 디딤판을 이용하여 점핑 동작에 의한 운동이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방 가장자리에 설치된 그물형태의 안전망에 의해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트램폴린의 소정 높이에 가설된 수평폴대에 프레임 및 천막으로 이루어진 천정부를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전에 비해 훨씬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130: 받침부재 131: 탄성밴드
132: 디딤판 133: 다리부
134a,134b: 접속편 135: 트램폴린
136: 수평 파이프 137: 보호커버
138: 삽입공 140: 수직폴대
141: 결속부재 142a,142b: 접속편
143: 수직봉 144: 수평폴대
150: 천정부 151: 천정 프레임
152: 천막 153: 엘보우
154: 연결편 155a: 결속부
155b: 고정부 156: 착탈편
157a: 결속부 157b: 접속편

Claims (4)

  1. 받침부재(130) 및 이 받침부재의 상단부에 탄성밴드(131)를 개재하여 탄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디딤판(132)으로 이루어진 트램폴린(135)과, 이 트램폴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연이어져 장착되는 수직폴대(140)와, 이 수직폴대 사이에 가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안전망과,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수평폴대(144)와, 일측이 수평폴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조립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천정부(15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부(150)는 천막(152) 및 이 천막의 가장자리에 엘보우(153)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천정 프레임(151)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천정 프레임이 한쌍의 연결편(154)을 개재하여 수평폴대(14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 프레임(151)에는 상호 마주보는 천정 프레임을 파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착탈편(156)이 설치되어 천정부(15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트램폴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폴대(140,144)는 접속편(142a,142b)을 포함한 수직봉(143)이 일체로 형성된 결속부재(141)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트램폴린.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8044A 2020-06-05 2020-06-05 하우스형 트램폴린 Active KR10236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44A KR102369522B1 (ko) 2020-06-05 2020-06-05 하우스형 트램폴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44A KR102369522B1 (ko) 2020-06-05 2020-06-05 하우스형 트램폴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52A KR20210151352A (ko) 2021-12-14
KR102369522B1 true KR102369522B1 (ko) 2022-03-02

Family

ID=7890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044A Active KR102369522B1 (ko) 2020-06-05 2020-06-05 하우스형 트램폴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954A (ko) 2022-12-07 2024-06-14 위피크 주식회사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 트램폴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286A (ja) * 2005-10-14 2007-04-26 Masaru Tsuda 回動カバーの開閉操作機構と両下がりカバーの開閉装置
KR101375303B1 (ko) * 2013-10-28 2014-03-19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CN207950427U (zh) 2018-01-24 2018-10-12 浙江九和健身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帐篷式跳床
CN209809384U (zh) * 2019-01-14 2019-12-20 宋寿圭 一种蹦床游戏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80B1 (ko) 2004-06-26 2007-01-11 주득욱 점프놀이 겸용 철봉
KR20080066183A (ko) 2007-01-11 2008-07-16 이정연 트램펄린 홀더
KR20140013458A (ko) 2012-07-24 2014-02-05 안성민 발전수단이 구비된 트렘폴린
KR101999475B1 (ko) 2018-01-22 2019-10-01 장남순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폴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286A (ja) * 2005-10-14 2007-04-26 Masaru Tsuda 回動カバーの開閉操作機構と両下がりカバーの開閉装置
KR101375303B1 (ko) * 2013-10-28 2014-03-19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CN207950427U (zh) 2018-01-24 2018-10-12 浙江九和健身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帐篷式跳床
CN209809384U (zh) * 2019-01-14 2019-12-20 宋寿圭 一种蹦床游戏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954A (ko) 2022-12-07 2024-06-14 위피크 주식회사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 트램폴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52A (ko)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011A (en) Exerciser and playpen structure having a trampoline like bottom
US9399152B2 (en) Trampoline
US7854687B2 (en) Trampoline and enclosure system
US9545532B2 (en) Trampolin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CA2711896C (en) Trampoline
US7678024B2 (en) Trampoline
US7708667B2 (en) Trampoline and enclosure system
US6607468B1 (en) Trampoline enclosure system
US7094181B2 (en) Transportable trampoline system
EP2377581A2 (en) Improved trampoline
US7762927B1 (en) Game apparatus
US20050043142A1 (en) Children's trampoline with supporting character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KR200447000Y1 (ko)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트램펄린
KR102369522B1 (ko) 하우스형 트램폴린
KR101791558B1 (ko) 점핑용 놀이기구
CN203043394U (zh) 蹦床系统、安全围栏和边缘防护件
KR20200020165A (ko) 안전하고 간편한 접첩구조를 갖는 접이식 트램펄린
KR101873688B1 (ko) 트램폴린의 도약판 고정기구
KR100823079B1 (ko) 트램폴린
GB2516510A (en) Entry system for flexible safety barrier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JP3892830B2 (ja) 競技用ネット
KR101375565B1 (ko) 다기능 놀이장치
RU173879U1 (ru) Модульная огораживающая врем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