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060B1 -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 Google Patents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060B1 KR102368060B1 KR1020210074508A KR20210074508A KR102368060B1 KR 102368060 B1 KR102368060 B1 KR 102368060B1 KR 1020210074508 A KR1020210074508 A KR 1020210074508A KR 20210074508 A KR20210074508 A KR 20210074508A KR 102368060 B1 KR102368060 B1 KR 102368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bossing
- sucker
- vacuum sucker
- contact
-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83—Construction of suction grippers or their hol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using suction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 써커(Vacuum suck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 및 이를 포함하는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sucker for transferring a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and a fee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진공 써커는 종이, 비닐 등 시트 형상의 재료를 들어 올려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엠보싱지(150)의 투입, 커팅, 및 적재를 위한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부(280)에 적재된 커팅된 엠보싱지(27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지(150)는 피자 박스의 바닥에 위치하여 피자 바닥에 깔리는 바닥재 종이이다. 표면에 작은 엠보싱(272)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피자가 엠보싱지(150)에 달라 붙지 못하도록 한다. In general, a vacuum sucker is used to lift and transport a sheet-shaped material such as paper or vinyl.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cessing apparatus for input, cutting, and loading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지(150)는 가로 903 mm × 세로 650 mm의 규격을 가지며,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272)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272)의 높이는 대략 0.4 mm ~ 0.6 mm 이고, 간격은 3 ~ 6 mm의 사방 등간격이다. As shown in Fig. 1, the
투입부(100)에서는 다수의 엠보싱지(150)가 적층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4개 ~ 6개의 진공써커(110)가 구비된다. 진공써커(110)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고, 이송부(200)까지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다. 진공써커(110)에는 별도의 에어펌프(또는 컴프레셔), 에큐뮬레이터, 압력센서, 압력 조절기, 벤츄리, 에어 밸브 등이 구비된다. In the
진공써커(110)는 하강하여 엠보싱지(150)에 닿으면 음압(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또는 진공)을 형성하여 엠보싱지(150)를 흡착한다. 흡착된 엠보싱지(150)는 한 장만 들어 올려져서 이송부(200)로 투입된다. 이송부(200)에서는 한쌍의 롤러(21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도록 한다. When the
커팅부(250)에서는 이송된 엠보싱지(150)에 대해 상하에서 커터(미도시)가 작용(화살표 방향 참조)하여 피자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커팅라인(274)을 절개한다. 이때 커팅라인(274)은 완전히 원형으로 절개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엠보싱지와 브릿지를 형성하여 커팅된 엠보싱지(270)에 그대로 붙어 있도록 한다.In the
커팅된 엠보싱지(270)는 적재부(280)에서 한 장씩 적층되었다가 다음 공정에서 손쉽게 원형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원형의 엠보싱지는 피자 박스의 내부에 투입된다. The cut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써커(1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착패드(13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패드(130)는 유연한 고무 재질로 성형하는데 엠보싱지(15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게 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 써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acuum suck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엠보싱지(150)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싱(272)으로 인해 밀착패드(130)가 밀착되지 못하고 틈새(14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틈새(140)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면서 밀착패드(130)의 내부에 충분한 음압이 형성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진공 써커(110)가 엠보싱지(150)를 들어 올리는 것을 실패하게 된다. First, due to the
둘째, 전술한 진공써커(110)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압을 더욱 강하게 조절하는 사례가 있었다. 그런데, 한 장의 엠보싱지(150)를 집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6개의 진공써커(110) 중 일부는 들어 올리고, 일부는 들어 올리는 것을 실패하는 불균일의 사례가 있었다. 그런데 음압이 강하기 때문에 이송부(200) 투입을 위해 음압이 해제되었을 때 엠보싱지(150)가 원활히 분리되지 못하고 진공 써커(110)에 그대로 붙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엠보싱지(150)가 찢어져서 장비를 멈추고 찢어진 엠보싱지(150)를 수작업으로 제거하였다.Seco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이와 같이 종래의 진공 써커(110)로는 엠보싱지(150)의 기하학적 형상 때문에 엠보싱지(150)를 흡착하여 인상하기 어려웠고, 공압을 강하게 조절하더라도 원활한 연속 공정이 어려웠다.As described above, wit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 및 이를 포함하는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sucker for transferring a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and an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료의 엠보싱(272) 면에 밀착되어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재료를 들어 올리는 진공 써커에 있어서, 재료의 표면 근처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내부 압력이 제어되는 써커 바디(115); 써커 바디(115)의 단부에 삽입 가능하고, 써커 바디(115)와 연통되는 흡입공(125)이 형성된 소켓(120); 제 1 상부중심공(132)이 써커 바디(115)와 소켓(120) 사이에 조립되는 밀착패드(130); 및 제 2 상부중심공(132)이 제 1 상부중심공(132)과 소켓(120) 사이에 조립되는 내부패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in the vacuum sucker that lifts the material by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ing 272 surface of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near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controlled Sucker
또한, 밀착패드(130)는 제 1 상부중심공(132)과 제 1 밀착부(135)를 연결하는 역깔때기 형상이며, 제 1 밀착부(135)가 엠보싱(272) 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내부패드(130)는 제 2 상부중심공(310)과 제 2 밀착부(320)를 연결하는 역깔때기 형상이며, 제 2 밀착부(320)가 엠보싱(272) 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내부패드(300)는 고무, 가죽, 우레판, 실리콘, 합성수지재 중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밀착패드(130) 중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1 밀착부(135)의 직경은 30 ~ 40mm이고, 내부패드(300) 중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320)의 직경은 20 ~ 29mm이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또한, 내부패드(300)의 두께는 밀착패드(130)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얇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내부패드(300) 중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320)는 원주방향을 따라 3 ~ 6개의 파형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엠보싱(272)은 3 ~ 6 mm의 피치를 갖고, 재료는 종이이다.Further,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전술한 진공 써커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투입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nother embodiment, can also be achieved by the materi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vacuum suck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에 대해서도 확실한 흡착과 인상이 가능하여 원활한 재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고속 생산량의 달성 및 멈춤없는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dsorb and pull up a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so that the material can be smoothly supplied. This made it possible to achieve high-speed production and continuous operation without stopping.
또한, 진공 써커 내부에 형성되는 음압을 낮춤으로써 재료의 분리시 진공써커로부터 확실하게 분리되는 신뢰성이 있다. In addition, by lowering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side the vacuum sucker, there is a reliability that is reliably separated from the vacuum sucker when the material is separated.
또한, 기존 진공 써커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구조변경이나 시설 투자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의 생산장비에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vacuum sucker can be maintained almost as it is, an additional structural change or facility investment cost does not occur,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pply to conventional production equipment.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엠보싱지(150)의 투입, 커팅, 및 적재를 위한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적재부(280)에 적재된 커팅된 엠보싱지(270)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써커(110)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착패드(13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내부패드(300)의 제 1 실시예의 저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내부패드(300)의 제 2 실시예의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공써커(110)의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cessing device for input, cutting, and loading of th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ucker for transferring a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gure 6b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써커(110)는 별도의 구동장치(예 : 공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고, 이송부(200)까지 좌우로 이송이 가능하다. 진공써커(110)에는 별도의 에어펌프(또는 컴프레셔), 에큐뮬레이터, 압력센서, 압력 조절기, 벤츄리, 에어 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진공써커(110)는 2개 ~ 8개가 구비되며, 동시에 동작하거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순차 동작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sucker for transferring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진공써커(110)는 하강하여 엠보싱지(150)에 닿으면 음압(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또는 진공)을 형성하여 엠보싱지(150)를 흡착한다. 흡착된 엠보싱지(150)는 한 장만 들어 올려져서 이송부(200)로 투입된다. When the
써커 바디(115)는 중공형 실린더 부재이며, 재료의 표면 근처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내부의 공기 압력이 제어된다. 써커바디(115)의 내부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바디공(117)이 형성된다. The
밀착패드(130)는 상부에 제 1 상부중심공(132)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에 제 1 밀착부(135)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역깔대기 형상이다. 이러한 밀착패드(130)는 써커 바디(115)와 내부패드(300) 사이에 조립되며, 고무, 실리콘, 우레탄, 가죽,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된다. 밀착패드(130) 중 엠보싱(272) 면에 밀착되는 제 1 밀착부(135)의 직경은 30 ~ 40mm이고, 두께는 약 1 mm ~ 2 mm 이다. The
내부패드(300)는 상부에 제 2 상부중심공(310)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에 제 2 밀착부(320)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역깔대기 형상이다. 이러한 내부패드(300)는 밀착패드(130)와 소켓(120) 사이에 조립되며, 고무, 실리콘, 우레탄, 가죽,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된다. 내부패드(300) 중 엠보싱(272) 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320)의 직경은 20 ~ 29mm이고, 두께는 약 0.3 mm ~ 0.8 mm 이다. The
제 2 밀착부(320)의 직경이 제 1 밀착부(135)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밀착패드(130) 내부에 내부패드(300)가 용이하게 조립되고, 밀착패드(130)와 내부패드(3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대기압과 내부 음압 사이의 완충공간(버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부 음압이 더욱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diameter of the
내부패드(300)의 두께는 밀착패드(130)의 두께 보다 더 얇게 제작된다. 이로 인해 내부패드(300)는 밀착패드(130)에 비해 더 높은 유연성을 갖게 되며, 엠보싱(272) 사이의 작은 틈새에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내부패드(300)는 제 2 상부중심공(310)에서 시작하여 제 2 밀착부(320)까지 점진적으로 원주방향 굴곡이 증대되어 파형(330)을 형성한다. 파형(330)은 3개 ~ 6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a 및 도 6b은 일예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내부패드(300)의 제 1 실시예의 저면도로써 파형(330a)이 원주방향을 따라 4개가 형성된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내부패드(300)의 제 2 실시예의 저면도로써 파형(330b)이 원주방향을 따라 5개가 형성된다. The
이와 같은 꽃무늬 형상(화형)의 파형(330)은 제 2 밀착부(320)가 엠보싱(272)의 표면 또는 엠보싱(272)과 엠보싱지(150) 사이에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소켓(120)은 금속재이고, 내부 축선 방향을 따라 흡입공(125)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이다. 소켓(120)은 써커바디(115)의 바디공(117)에 끼워진다. 밀착패드(130)와 내부패드(320)를 겹친 후, 제 1, 2 상부중심공(132, 310)을 바디공(117)에 넣고 소켓(120)으로 끼워 조립을 완성한다. The
실시예의 동작oper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설명하는 재료는 엠보싱(150)이 형성된 종이, 비닐, 합성수지, 금속판의 시트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 포장 박스의 내부에서 피자를 받치는 엠보싱지(150)가 될 수 있다. 엠보싱지(150)는 가로 903 mm × 세로 650 mm의 규격을 가지며, 표면에 다수의 엠보싱(272)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272)의 높이는 대략 0.4 mm ~ 0.6 mm 이고, 간격은 3 ~ 6 mm의 사방 등간격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material shown an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heet of paper, vinyl, synthetic resin, or metal plate on which the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공써커(110)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써커바디(115)의 내부에서 낮은 음압이 발생되면서 진공써커는 엠보싱지(150)의 상면으로 접근하여 밀착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이때, 밀착패드(130)는 약 8개의 엠보싱(272)에 걸쳐 밀착된다(도 7 기준). 이때, 엠보싱(272)과 밀착패드(130) 사이에 틈새(140)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패드(300)는 약 6개의 엠보싱(272)에 걸쳐 밀착된다(도 7 기준). 내부패드(300)는 밀착패드(13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외부의 대기압이 직접적으로 진공써커의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내부패드(300)는 더 얇은 두께로 인한 유연성과 복수의 파형(330)으로 인한 엠보싱(272)과의 형상 맞춤으로 인해 내부 음압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진공써커(110)는 실패없이 엠보싱지(150)를 흡착하여 인상할 수 있고, 다음 공정에 지장없이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써커 내부에 형성되는 음압을 낮춤으로써 음압이 해제되었을 때, 엠보싱지(150)의 자중에 의해 쉽게 탈락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0 : 투입부,
110 : 진공써커,
115 : 써커 바디,
120 : 소켓,
125 : 흡입공,
130 : 밀착패드,
132 : 상부중심공,
135 : 밀착부,
140 : 틈새,
150 : 엠보싱지,
200 : 이송부,
210 : 롤러,
250 : 커팅부,
270 : 커팅된 엠보싱지,
272 : 엠보싱,
274 : 커팅라인,
280 : 적재부,
300, 300a, 300b : 내부패드,
310, 310a, 310b : 제 2 상부중심공,
320, 320a, 320b : 제 2 밀착부,
330 : 파형.100: input unit,
110: vacuum sucker,
115: Sucker body,
120: socket;
125: suction hole,
130: adhesion pad,
132: upper central hole,
135: adhesion part,
140: gap,
150: embossing paper,
200: transfer unit,
210: roller,
250: cutting unit,
270: cut embossing paper,
272: embossing,
274: cutting line,
280: loading part,
300, 300a, 300b: inner pad,
310, 310a, 310b: the second upper central hole,
320, 320a, 320b: a second contact part;
330: Waveform.
Claims (10)
상기 재료의 표면 근처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내부 압력이 제어되는 써커 바디(115);
상기 써커 바디(115)의 단부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써커 바디(115)와 연통되는 흡입공(125)이 형성된 소켓(120);
제 1 상부중심공(132)이 상기 써커 바디(115)와 상기 소켓(120)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상부중심공(132)과 제 1 밀착부(135)를 연결하는 역깔때기 형상이며, 상기 제 1 밀착부(135)가 상기 엠보싱(272) 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130); 및
제 2 상부중심공(132)이 상기 제 1 상부중심공(132)과 상기 소켓(120)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제 2 상부중심공(310)과 제 2 밀착부(320)를 연결하는 역깔때기 형상이며, 상기 제 2 밀착부(320)가 상기 엠보싱(272) 면에 밀착되는 내부패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1 밀착부(135)의 직경은 30 ~ 40mm이며,
상기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320)의 직경은 20 ~ 29mm이고,
상기 내부패드(300)의 두께는 상기 밀착패드(130)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상기 내부패드(300) 중 상기 엠보싱 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320)는 원주방향을 따라 3 ~ 6개의 파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In a vacuum sucker that lifts the material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ing 272 surface of the material and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a sucker body 115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near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he internal pressure of which is controlled;
A socket 120 that is insertable into the end of the sucker body 115 and has a suction hole 125 communicating with the sucker body 115 is formed;
The first upper center hole 132 is assembled between the sucker body 115 and the socket 120, and has an inverted funnel shape connecting the first upper center hole 132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35. , a contact pad 130 in which the first contact portion 1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ing 272 surface; and
A second upper center hole 132 is assembled between the first upper center hole 132 and the socket 120 , and connects the second upper center hole 3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320 . Including;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5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ing surface is 30 to 40 mm,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0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ing surface is 20 ~ 29mm,
The thickness of the inner pad 300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pad 130,
A vacuum sucker for the transfer of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0 in close contact with the embossed surface of the inner pad 300 forms 3 to 6 waveform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부패드(300)는 고무, 가죽, 우레판, 실리콘, 합성수지재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pad 300 is a vacuum sucker for transferring a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f rubber, leather, urethane, silicone, and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엠보싱(272)은 3 ~ 6 mm의 피치를 갖고,
상기 재료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면을 갖는 재료의 이송을 위한 진공 써커.The method of claim 1,
The embossing 272 has a pitch of 3 to 6 mm,
A vacuum sucker for conveying material having an emboss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paper.
10. A material input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vacuum suc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4508A KR102368060B1 (en) | 2021-06-09 | 2021-06-09 |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4508A KR102368060B1 (en) | 2021-06-09 | 2021-06-09 |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8060B1 true KR102368060B1 (en) | 2022-03-02 |
Family
ID=8081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4508A Active KR102368060B1 (en) | 2021-06-09 | 2021-06-09 |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806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70323U (en) * | 1984-04-23 | 1985-11-12 | 石川 為市 | Rough suction device |
JPH08287U (en) * | 1991-05-21 | 1996-02-16 | ハイデルベルガー ドルツクマシーネ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Device for individualizing stacked plates |
KR20120006481U (en) | 2011-03-11 | 2012-09-20 | 김정자 | yarn of air sucker for winding connect |
KR101355860B1 (en) | 2013-02-22 | 2014-01-2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Sucker |
KR20140125162A (en) * | 2013-04-18 | 2014-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vacuum suction |
KR101863257B1 (en) * | 2017-01-20 | 2018-06-04 | (주)세원물산 | Suction transfer for embo aluminum plate |
-
2021
- 2021-06-09 KR KR1020210074508A patent/KR1023680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70323U (en) * | 1984-04-23 | 1985-11-12 | 石川 為市 | Rough suction device |
JPH08287U (en) * | 1991-05-21 | 1996-02-16 | ハイデルベルガー ドルツクマシーネ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Device for individualizing stacked plates |
KR20120006481U (en) | 2011-03-11 | 2012-09-20 | 김정자 | yarn of air sucker for winding connect |
KR101355860B1 (en) | 2013-02-22 | 2014-01-2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Sucker |
KR20140125162A (en) * | 2013-04-18 | 2014-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vacuum suction |
KR101863257B1 (en) * | 2017-01-20 | 2018-06-04 | (주)세원물산 | Suction transfer for embo aluminum pl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86827B2 (en) | Lifter and separator for stacked flexible flat workpieces | |
US2003012396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palletizing stacks of blanks | |
CN110625540A (en) | Film-like member supporting apparatus | |
JPH03284553A (en) | Suction paper feeder | |
CN211363674U (en) | Automatic paper feeding mechanism | |
US3013833A (en) | Vacuum pick up device | |
KR102368060B1 (en) | Vacuum sucker for feeding material with embossed surface and input device therewith | |
KR20200040689A (en) | Holding mechanism for ring frame | |
US20200361720A1 (en) | A system for handling flexible material | |
CN104179781A (en) | Adsorption device and vacuum adsorption equipment capable of adsorbing soft object | |
JP2013249200A (en) | Holding device, conveying system, and holding method | |
JP2000062979A (en) | Sheet transferring device | |
JP2018177450A (en) | Sheet material supply device and sheet material supply method | |
JPH07228370A (en) | Suction mechanism for sheet | |
JP2012504083A (en) | Sheet transport device | |
CN216583373U (en) | Paper transfer device | |
JP201608808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ylindrical body coated memb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cylindrical body coated member | |
KR101971836B1 (en) | Device for sheet feeding and pick-up | |
JP5307455B2 (en) | Holding and conveying device | |
JP2003011077A (en) | Suction cup device | |
CN115581119B (en) | Elastic sheet punching device and elastic sheet punching system | |
JP2023143019A (en) | Conveyance device | |
JPS62259934A (en) | Preventing device for two-sheet supply of thin plate | |
CN214606872U (en) | Automatic paper pasting machine | |
CN215849918U (en) | Automatic packing carton of material loading pastes machine 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