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6602B1 -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602B1
KR102366602B1 KR1020200025856A KR20200025856A KR102366602B1 KR 102366602 B1 KR102366602 B1 KR 102366602B1 KR 1020200025856 A KR1020200025856 A KR 1020200025856A KR 20200025856 A KR20200025856 A KR 20200025856A KR 102366602 B1 KR102366602 B1 KR 10236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wind shear
data
landing
sh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955A (ko
Inventor
민병훈
김연희
최희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2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6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G5/009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 G08G5/70Arrangements for monitoring traffic-related situations or conditions
    • G08G5/76Arrangements for monitoring traffic-related situations or conditions for monitoring atmospheric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층 윈드시어 경보시스템으로 저고도 항공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관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특히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여 신속하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100)가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날 경우 양력을 잃고 추락하는 현상을 철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PREDICTING METHOD OF LOW-LEVEL WIND SHEAR USING INSTRUMENT LANDING SYSTEM AT AIRPORT}
본 발명은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여 신속하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가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날 경우 양력을 잃고 추락하는 현상을 철저하게 줄일 수 있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드시어(Wind Shear)는 갑작스럽게 바람의 방향 또는 세기가 바뀌는 현상을 말하며, 2000ft 이하 고도에서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저층 윈드시어라 부른다.
그리고,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ㅇ착륙하는 항공기는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나면 양력을 잃고 추락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활주로 또는 항공경로 상에서 윈드시어가 예측 또는 관측될 경우 공항에 윈드시어 경보가 내려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 국제공항은 저층 윈드시어를 탐지하기 위해 저층 윈드시어 경보시스템(Low Level Wind Shear Alert System; LLWAS)이 설치되어 있고, 10초마다 윈드시어 정보가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LLWAS는 활주로 상에서 수평 윈드시어를 관측하고 공항에 윈드시어 경보를 내리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저고도 항공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는 관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고, 이에 따라 저고도 항공경로에서 윈드시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23992호 -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본 발명의 목적은 저층 윈드시어 경보시스템으로 저고도 항공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관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여 신속하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가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날 경우 양력을 잃고 추락하는 현상을 철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의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착륙경로를 따라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것은,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찾는 단계와,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기준으로 활주로 방위각을 따라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활공각을 따라 내삽해서 착륙경로의 바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층 윈드시어 경보시스템으로 저고도 항공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관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여 신속하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ㅇ착륙하는 항공기가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날 경우 양력을 잃고 추락하는 현상을 철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저층 윈드시어 예측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주 국제공항 활주로 및 활공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저층 윈드시어 예측과 관측자료 비교(07A 활주로 방향)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저층 윈드시어 예측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주 국제공항 활주로 및 활공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저층 윈드시어 예측과 관측자료 비교(07A 활주로 방향)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예측하기 위해 제주 국제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설과 활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적합한 윈드시어 발생 기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Fifth Air Navigation Conference(Montreal, 1967)에서 제안한 고도 100ft 변화에 따른 바람의 변화를 사용할 수 있다(5kt/100ft).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착륙경로를 적용하기 위해 제주 국제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설과 활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 윈드시어 예측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S10)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S20)는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는 것이다.
제주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항공기(100)의 이동 경로를 저층 윈드시어 예측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주 국제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설과 활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계기착륙시설은 항공기(100)의 안전한 착륙을 위해 설치되는 항행안전시설 중 하나로, 활주로(200)의 위치 및 중심선, 활공각 등의 정보를 제공해서 항공기(100)의 안전한 착륙을 유도한다.
계기착륙시설의 유도에 따라 착륙하는 항공기(100)는 일정한 경로에 맞추어 활주로(200)의 활주로말단으로 비스듬히 하강한다.
구체적으로, 제주 국제공항은 주 활주로(07/25)와 보조 활주로(13/31)와 같이 두 개의 활주로(200)가 있으며, 이ㅇ착륙하는 항공기(100)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주 활주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저층 윈드시어 예측은 주 활주로 착륙경로에서 이루어지며, 착륙방향에 따라 07A와 25A로 나눠서 예측한다[여기서 A(Approaching)는 착륙을 의미].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 설정에 필요한 07/25 활주로 방위각, 활주로말단 위경도 및 고도, 활공각 정보는 도 2와 같다.
그리고, 상기 S10 단계의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착륙경로를 따라 예측 바람자료 추출은 다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찾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기준으로 활주로 방위각을 따라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세 번째 단계는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활공각을 따라 내삽해서 착륙경로의 바람을 추출하는 것이다.
나아가, S20 단계에서 사용되는 윈드시어 계산은 "Manual on Low-Level Wind Shear(ICAO, 2005)"에서 명시한 고도 100ft 당 바람 크기 변화를 사용하며 아래 식 1을 따른다.
Figure 112020021928165-pat00001
-------------------- [식 1]
여기서 u와 v는 각각 서풍과 남풍을 뜻하며 h는 고도를 나타낸다. 아래첨자 A와 B는 고도가 다른 두 지점을 뜻하고, 속도 성분의 단위는 knot를, 길이 성분의 단위는 feet를 사용한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S20 단계에서 저층 윈드시어 계산은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내삽해서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윈드시어 계산에 사용하기 때문에 식 1은 다음 식 2와 같이 간소화될 수 있다.
Figure 112020021928165-pat00002
-------------------- [식 2]
더 나아가, S20 단계에서 계산된 저층 윈드시어는 Fifth Air Navigation Conference(Montreal, 1967)에서 제안한 아래의 윈드시어 등급표와 비교해서 윈드시어 경보 등급을 정한다. Fifth Air Navigation Conference(Montreal, 1967)에서 제안한 윈드시어 등급표는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112020021928165-pat00003
제주 국제공항 착륙경로에 중간세기(Moderate) 등급 이상의 윈드시어가 예측되면 윈드시어 경보가 발생한다. 경보에 포함 가능한 정보는 윈드시어 발생이 예측되는 착륙경로 방향, 발생고도, 윈드시어 등급 및 크기는 도 3과 같이 그래프화시킬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축은 윈드시어의 세기를, y축은 착륙경로의 고도를 나타낸다.
이때, 관측은 항공기 기상관측자료(Aircraft Meteorological Data Relay, AMDAR)에서 관측된 바람자료를 식 1에 대입해서 계산한 윈드시어이고, x표시는 항공기 HL7719가 2017년10월1일 0742~0745 UTC에 관측한 AMDAR자료를 사용했으며 고도 90~950ft 사이 고도에서 세기 6.27kt/100ft인 moderate 등급 윈드시어가 관측된 표시이고, +표시는 항공기 HL7716가 2017년10월1일 0827~0829 UTC에 관측한 AMDAR자료를 사용했으며 고도 50~830ft 사이 고도에서 세기 7.29kt/100ft인 moderate 등급 윈드시어가 관측된 표시이다.
그리고, 예측은 100m 해상도 수치모델인 고해상도 규모상세화 수치자료 산출체계(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ost Processing, KMAPP)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계산한 윈드시어이고, 2017년9월30일 18UTC를 초기장으로 14시간 예측된 자료를 사용(KMAPP은 00, 16, 12, 18UTC를 초기장으로 일 4회 48시간 예측함, UTC: 세계표준시, 00UTC=오전9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도 565.6ft에서 5.14kt/100ft인 moderate 등급 윈드시어가 예측되며 1265.6ft 이상 고도에서 1kt/100ft 이하의 매우 낮은 윈드시어가 예측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AMDAR 관측자료에서 관측된 바람자료로 계산한 윈드시어와 발생 고도 및 세기 등급이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은 저층 윈드시어 경보시스템으로 저고도 항공경로에 발생하는 윈드시어를 관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특히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고 이러한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여 신속하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00ft 이하 낮은 고도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100)가 속도가 낮아 강한 윈드시어를 만날 경우 양력을 잃고 추락하는 현상을 철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공항 착륙경로에서 윈드시어를 예측하여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는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 항공기
200 : 활주로

Claims (4)

  1. 삭제
  2. 고해상도 수치모델의 예측자료에서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예측 바람자료를 사용해서 윈드시어를 계산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의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착륙경로를 따라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것은,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찾는 단계와, 활주로말단과 근접한 격자점을 기준으로 활주로 방위각을 따라 예측 바람자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활공각을 따라 내삽해서 착륙경로의 바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에서 윈드시어 계산은 "Manual on Low-Level Wind Shear(ICAO, 2005)"에서 명시한 고도 100ft 당 바람 크기 변화를 사용하며 아래 식 1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Figure 112021116569094-pat00004
    [식 1]
    u와 v는 각각 서풍과 남풍을 뜻하며 h는 고도를 나타낸다. 아래첨자 A와 B는 고도가 다른 두 지점을 뜻하고, 속도 성분의 단위는 knot를, 길이 성분의 단위는 feet를 사용한 것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윈드시어 계산은 공항 착륙경로를 따라 고도 100ft 단위로 내삽해서 추출된 예측 바람자료를 윈드시어 계산에 사용하므로 상기 식 1은 아래 식 2와 같이 간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Figure 112020021928165-pat00005
    [식 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계산된 저층 윈드시어는 Fifth Air Navigation Conference(Montreal, 1967)에서 제안한 아래의 윈드시어 등급표와 비교해서 윈드시어 경보 등급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Figure 112020021928165-pat00006

KR1020200025856A 2020-03-02 2020-03-02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Active KR10236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56A KR102366602B1 (ko) 2020-03-02 2020-03-02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56A KR102366602B1 (ko) 2020-03-02 2020-03-02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55A KR20210110955A (ko) 2021-09-10
KR102366602B1 true KR102366602B1 (ko) 2022-02-23

Family

ID=7777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856A Active KR102366602B1 (ko) 2020-03-02 2020-03-02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2388B (zh) * 2022-11-29 2024-10-15 航天新气象科技有限公司 一种航班低空风切变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612669B (zh) * 2023-05-05 2024-07-02 江苏省气象信息中心(江苏省气象档案馆) 一种智慧航空实时气象数据分析预警方法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2B1 (ko) 2017-06-08 2018-02-01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021A (en) * 1991-06-19 1993-10-26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Low-level wind-shear aler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2B1 (ko) 2017-06-08 2018-02-01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i-Kwong Hon. Predicting Low-Level Wind Shear Using 200-m-Resolution Resolution NWP at the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 홍콩기상청. 2020년 2월, 59권, 193 내지 204 페이지
김현성 외 3명. 무인비행체 등을 위한 고도 150m 이하 초저고도 바람예측 모델링 기법 연구 : 한서대학교. 2020년 1월 21일, 42 및 43 페이지*
민병훈 외 5인. 고해상도 KMAPP 자료를 활용한 제주국제공항에서 위드시어 예측 : 한국기상학회. 대기. 2020년 9월 30일, Vol 30, 3호, 277 내지 291 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55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Low-level wind shear characteristics and lidar-based alerting at Lanzhou Zhongchuan International Airport, China
US9564055B2 (en) Prediction and warning of transported turbulence in long-haul aircraft operations
KR102339133B1 (ko) 항공기 이륙경로에서 저고도 윈드시어 예측방법
Hon et al. Application of LIDAR‐derived eddy dissipation rate profiles in low‐level wind shear and turbulence alerts at H ong K ong I nternational A irport
CN105607063A (zh) 一种机场低空风切变探测方法及系统
KR102366602B1 (ko) 제주 국제공항 계기착륙시설을 활용한 윈드시어 예측방법
CN110473431A (zh) 一种进近管制空域高度限制下的冲突预测方法
KR101823992B1 (ko)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EP2328053A1 (en) Improved stabilized approach monitor
CN115792918A (zh) 基于多源数据融合的配料法识别航空对流风险区的方法
CN113487914B (zh) 基于机场气象报文的低着陆运行标准识别告警方法
CN101419287B (zh) 海雾厚度和低云云底高度的实时获取方法
Sauer et al. On the identification of weather avoidance routes in the terminal maneuvering area of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Hon et al. Terrain-induced turbulence intensity during tropical cyclone passage as determined from airborne, ground-based, and remote sensing sources
US20190122566A1 (en) Method for securing a provisional itinerary for an aircraft, correspond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Ratnasari et al. Causes and impact of extreme Low Level Wind Shear (LLWS) event at Soekarno-Hatta International Airport
Vorobyeva et al. Lidar-based detection of dangerous meteorological phenomena at the Bratislava Airport
KR102348917B1 (ko) 제주국제공항 저층 수평윈드시어 예측방법
O'Connor Demonstration of a Novel 3-D Wind Sensor for Improved Wind Shear Detection for Aviation Operations
Golding Low-level windshear and its impact on airlines
Holforty et al. Flight deck display of airborne traffic wake vortices
Maduranga et al. Climatology of Lightning Activities over Bandaranaike International Airport in Sri Lanka.
Sauer On the impact of adverse weather uncertainty on aircraft routing: identification and mitigation
Liu et al. Research on Recognition Model of Intelligent Airport Operation Landing Standard Based on 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Choma et al. PROJECT MANAGEMENT MODEL OF SPATIAL DATA COLLECTION THROUGH SMALL METEOROLOGICAL STATIONS FOR EMERGENCY MANAGEMENT IN SLOVAK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218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8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