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654B1 - Bean curd ma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ean curd mak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654B1 KR102365654B1 KR1020210108500A KR20210108500A KR102365654B1 KR 102365654 B1 KR102365654 B1 KR 102365654B1 KR 1020210108500 A KR1020210108500 A KR 1020210108500A KR 20210108500 A KR20210108500 A KR 20210108500A KR 102365654 B1 KR102365654 B1 KR 102365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eam
- reservoir
- water level
-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분사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거승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는, 물공급 라인, 상기 물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는 펌프(110), 및 상기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물공급밸브(120)를 포함하는 물공급부(100); 상기 물공급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하부에 히터봉(210)이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형성되도록 하는 저수통(200); 상기 저수통(200)에 연결된 스팀 공급 라인, 상기 저수통(20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10), 및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스팀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300); 상기 스팀공급부(3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콩물을 가열하는 끓임솥(400);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스팀을 끓인솥에 공급하되, 끓임솥(400) 내의 콩물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스팀을 분사하는 와류형성 스팀봉(500); 및 상기 저수통(200)의 수위 및 압력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100) 및 스팀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sprays steam to form a vortex, and the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line, a pump 110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line, and the pump ( a water supply unit 100 including a water supply valve 120 for blocking 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110); a reservoir 200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0 and having a heater rod 210 at the lower portion to heat the water to form steam; A steam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reservoir 200, a pressure gauge 310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200, and a steam supply valve 320 installed in the steam supply line to supply or block steam. a steam supply unit 300; a boiling pot 400 for heating bean water by receiving steam from the steam supply unit 300; A vortex forming steam rod 500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line to supply steam to the boiling pot, and spraying steam to generate a vortex in the bean water in the boiling pot 40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100 and the steam supply unit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the water reservoir 200 .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하여 콩물을 순환시켜 콩물이 끓임솥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soybean water from sticking to a boiling pot by circulating soybean water using steam.
일반적으로 생두부(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원료가 되는 콩즙에 포함된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보통 7-17시간 정도를 물에 불려서 통상 맷돌을 통하여 갈거나, 생콩(마른콩 포함)을 물과 함께 회전분쇄기를 통해 1차로 잘게 갈아 부순 상태에서 다시 맷돌 또는 원심분리기를 통해 2차로 잘게 갈아 콩물을 만들게 된다. 특히 콩의 분쇄입자가 고울수록 보다 맛있고 식감이 좋은 양질의 두부를 만들 수 있다.In general, in the production of green tofu (tofu),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contained in soybean juice, which are raw materials, are removed, washed thoroughly, and usually soaked in water for 7-17 hours, usually ground through a millstone, or raw beans (dried beans). included) with water through a rotary grinder, and then grinded and crushed again through a millstone or centrifuge to make soybean water. In particular, the finer the soybean pulverized particles, the more delicious and good quality tofu can be made.
이와 같이 만들어진 콩물을 보통의 맷돌을 통한 수작업이나 원심분리기라 불리는 콩물분리기 등의 기계수단을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렇게 비지가 분리된 순수한 콩물(두유)은 두부의 원료가 되고 분리된 비지는 타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The soybean water made in this way is separated from soybean water by hand using a normal millstone or by mechanical means such as a bean water separator called a centrifugal separator. The collected okara will be used for other purposes.
그리고 통상 콩물분리기와 연결된 콩물모음통을 통해 비지가 분리된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물을 솥이나 콩물응고통인 압력탱크에 모아두고 보통 스팀(증기)을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끓여 증숙시키는데, 이렇게 끓여진 콩물에 응고제(보통 간수가 사용됨)를 투입하여 순두부로 응고시키고, 응고된 순두부를 일정형태로 압착 성형시켜 두부를 완성시키게 된다.And usually, bean water, which is a raw material for tofu from which okara is separated through a bean water collection container connected to a bean water separator, is collected in a pot or a pressure tank, which is a bean water coagulation container, and is usually boiled and steamed at a constant temperature using steam (steam). A coagulant (usually bittern is used) is added to the soybean water to coagulate it into soft tofu, and the solidified soft tofu is press-molded into a certain shape to complete the tofu.
즉, 두부의 제조과정은 콩(생콩, 젖은콩, 마른콩)을 물에 불리고 이를 통상 콩분쇄기를 통해 분쇄시키는 분쇄과정과, 상기 분쇄과정을 거쳐 얻어진 콩물로부터 비지를 통상 콩물분리기를 통해 분리해 걸러내는 여과과정과, 상기 여과과정을 거쳐 얻어진 콩물저장통의 콩물을 일정온도의 증기열로 끓이는 증숙과정과, 증숙된 콩물응고통의 콩물에 간수(응고제 역할)를 첨가시켜 순두부를 제조하는 응고과정과, 그리고 최종적으로 응고된 순두부를 압착시켜 두부를 성형시키는 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That i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ofu consists of a grinding process of soaking soybeans (raw beans, wet beans, dried beans) in water and grinding them through a normal soybean grinder, and separating the okara from the soybean water obtained through the grinding process through a normal soybean water separator. A filtration process of filtering, a steaming process of boiling the soybean water obtained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with steam heat at a certain temperature, and a coagulation process of manufacturing soft tofu by adding bittern water (coagulant role) to the soybean water of the steamed soybean water coagulation container And, and finally, it is common to form the tofu by pressing the solidified soft tofu.
하지만 종래에는 스팀을 이용해서 끓이더라도 콩물이 솥에 눌어붙지 않도록 콩물을 저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an water must be stirred so that the bean water does not stick to the pot even when it is boiled using steam.
본 발명은 콩물 가열시 끓임솥에 콩물이 눌어붙지 않는 두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fu in which the bean water does not stick to the boiling pot when the bean water is heated.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는, 물공급 라인, 상기 물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는 펌프(110), 및 상기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물공급밸브(120)를 포함하는 물공급부(100); 상기 물공급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하부에 히터봉(210)이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형성되도록 하는 저수통(200); 상기 저수통(200)에 연결된 스팀 공급 라인, 상기 저수통(20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10), 및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스팀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300); 상기 스팀공급부(3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콩물을 가열하는 끓임솥(400);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스팀을 끓인솥에 공급하되, 끓임솥(400) 내의 콩물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스팀을 분사하는 와류형성 스팀봉(500); 및 상기 저수통(200)의 수위 및 압력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100) 및 스팀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line,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압력계(310)에서 측정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공급밸브(320)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상기 끓임솥(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상기 스팀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끓임솥(40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부(510); 및 상기 연결부(510)에 연결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20)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form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520)는 저면 및 바깥쪽 측면에 스팀분사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저수통(200)에는 저수통(2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봉(22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저수통(200)에 연결된 물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저수통(200)으로 물의 공급 또는 차단하는 물공급밸브(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통(2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봉(220)은 저수위 감지봉(221), 중수위 감지봉(222), 및 고수위 감지봉(22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중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밸브(120)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고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밸브(1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본 발명에 따른 콩물 가열시 끓임솥을 저어 줄 필요가 없어 두부 제조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When heating soybea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tir the boiling pot, so labor costs for manufacturing tofu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통의 수위 및 저수통 내의 스팀의 압력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그에 따라 물공급 및 스팀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몰공급 및 스팀 공급에 소요되는 수고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and the pressure of steam in the reservoir, and adjust the water supply and steam supply according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abor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mole supply and steam supp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와류 형성 스팀봉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the vortex forming steam rod of FIG. 1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와류 형성 스팀봉을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a)는 와류형성 스팀봉의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분사부의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vortex forming steam rod of FIG. 1, and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ortex forming steam rod, FIG. 2 (b) of (b) shows the cross-section of the inje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는 물공급 라인, 상기 물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는 펌프(110), 상기 펌프(1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물공급밸브(120)를 포함하는 물공급부(100); 상기 물공급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하부에 히터봉(210)이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형성되도록 하는 저수통(200); 상기 저수통(200)에 연결된 스팀 공급 라인, 상기 저수통(20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10), 및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스팀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300); 상기 스팀공급부(3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콩물을 가열하는 끓임솥(400);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스팀을 끓인솥에 공급하되, 끓임솥(400) 내의 콩물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스팀을 분사하는 와류형성 스팀봉(500); 및 상기 저수통(200)의 수위 및 압력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100) 및 스팀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line, a
상기 물공급부(100)는 저수통(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밸브(120)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물공급 라인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로는 판체크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 밸브는 물공급밸브(120)와 저수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저수통(200)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 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A water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상기 펌프(110)가 동작하하고 물공급밸브(120)가 오픈되면 저수통(200)으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물은 정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저수통(200)의 하단에는 히터봉(210)이 구비되어 있어 저수통(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형성되도록 한다. A
또한, 저수통(200)에는 수위 감지봉에 설치될 수 있다. 저수통(200) 내에에 스팀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저수통(200)에 물이 가득차면 안되고 일정 부분 공간이 남아 있어야 한다. 따라서 수위 감지봉을 설치하여 일정 수위가 되면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펌프(110) 동작을 중지시키고 물공급밸브(120)를 폐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수위 감지봉(220)는 저수위 감지봉(221), 중수위 감지봉(222), 및 고수위 감지봉(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 감지봉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봉으로 저수통(20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저수위 감지봉(221)이 가장 길고, 고수위 감지봉(223)이 가장 짧다. The water level sensing rods are rod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제어패널에는 램프를 부착하여 저수위인 경우 램프가 반짝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amp can be attached to the control panel to make the lamp flash when the water level is low.
상기 저수통(200)에는 중수위와 고수위 사이에서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수위가 중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펌프(110)를 동작시키고 물공급밸브(120)를 오픈하여 저수통(200)에 물을 공급하고, 고수위가 되면 펌프(110)를 정지시키고 물공급밸브(120)를 폐쇄하여 더 이상 물이 저수통(20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수위 상태에서도 물이 펌프(110)가 동작하지 않아 물이 공급되지 않아 저수위에 다다르면 램프에 불이 들어와 관리자가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In the
물이 중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물의 양이 적어 스팀 생성이 용이하지 않고, 물이 고수위를 초과하게 되면 스팀이 형성될 공간이 많은 스팀을 생성할 수 없다. When the water goes below the medium water level, the amount of water is small, so steam generation is not easy.
저수통(200)과 끓임솥(400) 사이에는 스팀 공급 라인이 연결되어 있어 끓임솥(400)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A steam supply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상기 끓임솥(400)에는 마쇄기(미도시)를 통해 분쇄된 콩이 물과 함께 혼합(이하 콩물이라 함)되어 투입된다. In the
마쇄기는 호퍼 및 분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퍼에 콩과 물을 투입하면 분쇄부에서 분쇄되어 비지와 콩물로 분리되어 콩물은 끓임솥(400)으로 투입된다. The grinder consists of a hopper and a grinding unit, and when beans and water are put into the hopper, they are crushed in the grinding unit and separated into okara and soybean water, and the soybean water is put into the boiling
두부 제조를 위해서는 끓임솥(400)의 콩물을 일정시간 가열하여야 하는데, 이때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콩물을 저어줘야만 한다. 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본 발명에서는 콩물이 스스로 순환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ofu, the bean water in the boiling
상기 저수통(200)에는 작업 완료 후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230) 및 배출구가 저수통(2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상기 스팀공급부(300)는 저수통(200) 내에 생성된 스팀을 끓임솥(4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수통(200) 내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스팀을 공급한다. 따라서 스팀공급부(300)는 저수통(200) 내의 압력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계(310) 및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밸브(320)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저수통(200)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다다르면 압력계(310)가 이를 감지하고 이때 스팀공급밸브(320)가 개방되어 스팀을 방출하게 된다. 기준압력은 6bar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압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저수통(200)에 손상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압력이 약해 스팀을 분사하더라도 와류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in the
상기 스팀공급부(300)는 압력스위치(330), 안전변(340), 스팀조절밸브(350), 및 역류방지밸브(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압력계(310)와 압력스위치는 저수통(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압력계(310)와 압력스위치(330)의 조절압에 따라 스팀공급밸브(320)를 조절할 수 있다.The
상기 압력계(310)와 압력스위치는 저수통(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압력계(310)와 압력스위치(330)의 조절압에 따라 스팀공급밸브(320)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안전변(340)은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 공급 라인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이면 개방하여 압력이 낮아지도록 한다. The
상기 스팀조절밸브(350)는 끓임솥(40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역류방지밸브(360)는 스팀공급라인의 말단에 설치되어 스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끓임솥(400)은 콩물을 끓이기 위한 구성으로 스팀공급라인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스팀의 열기로 콩물을 가열한다. The boiling
상기 끓임솥(400)에는 상기 스팀공급라인과 연결된 와류형성 스팀봉(500)이 결합된다. A vortex forming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스팀을 분사하여 콩물이 와류를 일으켜 콩물이 솥의 바닥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ortex forming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상기 스팀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끓임솥(40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부(510) 및 상기 연결부(510)에 연결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520)로 구성된다. The vortex forming
상기 분사부(520)는 원형일 수 있으며 끝단이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형태이다. 끝단에는 캡이 결합될 수 있으며 캡을 열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The
상기 분사부(520)는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구(522)가 형성되어 있다. 분사구(522)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공 하나의 크기는 대략 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분사구(522)는 분사부(520)의 하부 및 바깥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2의 (a) 사시도에서는 밑면이 표시되지 않았으나, 도 2의 (b)를 참조하면 분사구가 밑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분사구(522)가 하부 및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팀이 분사력에 의해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저수통(200)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다다르면 저수통(200) 내의 스팀이 끓임솥(400)으로 공급되고, 분사구(522)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압력에 의해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in the
상기 제어부(600)는 펌프(110), 물공급밸브(120), 역류방지밸브(130), 히터봉(210), 및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기계에 필요한 전력은 380V 3상4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입된 전력에서 T상과 N상을 사용하여 220V의 전원전력을 사용한다. The power required for the machine can be 380V 3-phase 4-wire, and 220V power is used by using the T-phase and N-phase from the incoming power.
저수통(200)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저수위를 지나면 저수위 감지봉에 의해 감지되고 저수위 램프가 오프된다. 중수위를 지나고 고수위가 되면 고수위 감지봉이 이를 감지하고 펌프(110)가 자동으로 정지되며 더 이상 저수통(20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When water flows into the
히터봉(210)에 의해 저수통(200) 내의 물이 가열되면 물이 증기로 변환되어 저수통(200) 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저수통(200) 내의 압력이 일정 기준치(예를 들어 6bar)에 다다르면 히터봉(210)이 자동 오프된다. When the water in the
이때 스팀공급밸브(320)가 열리면서 스팀이 끓임솥(400) 내부로 공급되면서 콩물을 가열한다. 여자된 끓임솥(400)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예를 들어 95도)에 다다르면 부저가울려 작업이 완료되었음으로 고지시킨다. At this time, the
스팀이 빠져 나가면서 수위가 내려가 중수위가 되면 중수위 감지봉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고 펌프(110)가 다시 동작하게 된다. As the steam exits, the water level goes down and becomes the medium water level, the water level is sensed by the medium water level detection rod and the
펌프(110), 스팀공급밸브(320), 물공급밸브(120), 히터봉(210) 등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Operations of the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저수통(200) 내의 수위 및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끓임솥(4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고, 분사부(520)를 원형으로 형성함하고, 분사구(522)를 측면 및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와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By the above operation, steam can be supplied into the boiling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illustra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물공급부 110 : 펌프
120 : 물공급밸브 130 : 역류방지밸브
200 : 저수통 210 : 히터봉
220 : 수위감지봉 300 : 스팀공급부
310 : 압력계 320 : 스팀공급밸브
330 : 압력스위치 340 : 안전변
350 : 스팀조절밸브 360 : 역류방지밸브
400 : 끓임솥 500 : 와류형성 스팀봉
510 : 연결부 520 : 분사부
522 : 분사구100: water supply 110: pump
120: water supply valve 130: non-return valve
200: water reservoir 210: heater rod
220: water level detection rod 300: steam supply unit
310: pressure gauge 320: steam supply valve
330: pressure switch 340: safety valve
350: steam control valve 360: non-return valve
400: boiling pot 500: vortex forming steam rod
510: connection part 520: injection part
522: nozzle
Claims (6)
상기 물공급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하부에 히터봉(210)이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형성되도록 하는 저수통(200);
상기 저수통(200)에 연결된 스팀 공급 라인, 상기 저수통(20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10), 및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스팀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팀공급밸브(320)를 포함하는 스팀공급부(300);
상기 스팀공급부(3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콩물을 가열하는 끓임솥(400);
상기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스팀을 끓인솥에 공급하되, 끓임솥(400) 내의 콩물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스팀을 분사하는 와류형성 스팀봉(500); 및
상기 저수통(200)의 수위 및 압력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100) 및 스팀공급부(300)를 제어하고, 램프가 부착된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통(200)에는 저수통(2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봉(220)이 저수통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위감지봉(220)은 저수위 감지봉(221), 상기 저수위 감지봉보다 길이가 긴 중수위 감지봉(222), 및 상기 중수위 감지봉보다 길이가 긴 고수위 감지봉(223)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계(310)에서 측정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공급밸브(320)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히트봉(2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램프가 온되도록 제어하고, 중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밸브(120)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고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밸브(1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a water supply unit 100 including a water supply line, a pump 110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line, and a water supply valve 120 for blocking 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110;
a water reservoir 200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0 and having a heater rod 210 at the lower portion to heat the water to form steam;
A steam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reservoir 200, a pressure gauge 310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200, and a steam supply valve 320 installed in the steam supply line to supply or block steam. to the steam supply unit 300;
a boiling pot 400 for heating bean water by receiving steam from the steam supply unit 300;
A vortex forming steam rod 500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line to supply steam to the boiling pot, and spraying steam to generate a vortex in the bean water in the boiling pot 400; and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00 and the steam supply unit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the water reservoir 200, and a control unit 600 to which a lamp is attached; includes;
A water level sensing rod 220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servoir 200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servoir 200,
The water level detection rod 220 includes a low water level detection rod 221, a medium water level detection rod 222 longer than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rod, and a high water level detection rod 223 longer than the medium water level detection rod, and ,
When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3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steam supply valve 320 is controlled to open, and the heat rod 210 is controlled to turn off,
When a low water level is detected, the lamp is controlled to turn on, when a medium water level is detected, the water supply valve 120 is controlled to open, and when a high water level is detected, the water supply valve 120 is controlled to close Tofu making device.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상기 끓임솥(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ortex forming steam rod (500) is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iling pot (400).
상기 와류형성 스팀봉(500)은 상기 스팀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끓임솥(40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부(510);
상기 연결부(510)에 연결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20)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ortex forming steam rod 500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line, the connecting portion 510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iling pot (400);
It includes a spraying part 5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10 for spraying steam,
The injection unit 520 is a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open circular.
상기 분사부(520)는 저면 및 바깥쪽 측면에 스팀분사구(5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jection unit 520 is tofu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injection port 522 is formed on the bottom and the oute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8500A KR102365654B1 (en) | 2021-08-18 | 2021-08-18 | Bean curd ma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8500A KR102365654B1 (en) | 2021-08-18 | 2021-08-18 | Bean curd mak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654B1 true KR102365654B1 (en) | 2022-02-23 |
Family
ID=8049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8500A Active KR102365654B1 (en) | 2021-08-18 | 2021-08-18 | Bean curd mak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654B1 (e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732U (en) * | 1998-07-10 | 2000-02-07 | 김해용 | Steamer Structure for Tofu Manufacturing |
KR200368276Y1 (en) * | 2004-09-06 | 2004-11-18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making a steamed rice cake |
KR100541191B1 (en) * | 2004-09-06 | 2006-01-10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making a steamed rice cake |
KR200424671Y1 (en) * | 2006-06-13 | 2006-08-28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steaming steamed rice cake with supplementary water preheating device |
KR100758665B1 (en) * | 2006-06-13 | 2007-09-14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steaming steamed rice cake with supplementary water preheating device |
KR20080052935A (en) * | 2006-12-08 | 2008-06-12 | 나영술 | Cauldron Soymilk Heating Equipment |
KR20080104558A (en) * | 2007-05-28 | 2008-12-03 | 황성호 | Steam control system of rice cake steamer |
KR20110048971A (en) * | 2009-11-04 | 2011-05-12 | 이현욱 | Soybean Heater for Manufacturing Tofu |
KR101101906B1 (en) | 2009-12-23 | 2012-01-02 | 황금봉 | Centrifuge for tofu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soybean or wet bean |
KR20120130422A (en) * | 2011-05-23 | 2012-12-03 | 뉴퓨리텍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aking Rice-cake |
KR200477416Y1 (en) | 2013-07-12 | 2015-06-09 | 황광연 | Automatic control of the steam flow rate to the device raw tofu |
-
2021
- 2021-08-18 KR KR1020210108500A patent/KR1023656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732U (en) * | 1998-07-10 | 2000-02-07 | 김해용 | Steamer Structure for Tofu Manufacturing |
KR200368276Y1 (en) * | 2004-09-06 | 2004-11-18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making a steamed rice cake |
KR100541191B1 (en) * | 2004-09-06 | 2006-01-10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making a steamed rice cake |
KR200424671Y1 (en) * | 2006-06-13 | 2006-08-28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steaming steamed rice cake with supplementary water preheating device |
KR100758665B1 (en) * | 2006-06-13 | 2007-09-14 | 김정위 | Steam generator for steaming steamed rice cake with supplementary water preheating device |
KR20080052935A (en) * | 2006-12-08 | 2008-06-12 | 나영술 | Cauldron Soymilk Heating Equipment |
KR20080104558A (en) * | 2007-05-28 | 2008-12-03 | 황성호 | Steam control system of rice cake steamer |
KR20110048971A (en) * | 2009-11-04 | 2011-05-12 | 이현욱 | Soybean Heater for Manufacturing Tofu |
KR101101906B1 (en) | 2009-12-23 | 2012-01-02 | 황금봉 | Centrifuge for tofu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soybean or wet bean |
KR20120130422A (en) * | 2011-05-23 | 2012-12-03 | 뉴퓨리텍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aking Rice-cake |
KR200477416Y1 (en) | 2013-07-12 | 2015-06-09 | 황광연 | Automatic control of the steam flow rate to the device raw tofu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649369U (en) | Soybean milk machine | |
KR102145671B1 (en) | Rice washing device | |
CN105249820A (en) | Coffee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365654B1 (en) | Bean curd making apparatus | |
CN107126092B (en) | Coffee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 |
KR100758561B1 (en) | Tofu manufacturing equipment | |
CN112006110A (en) | Full-automatic milk boiling barrel | |
KR101127979B1 (en) | A beam soup boil device | |
KR100942246B1 (en) | Small Tofu Maker | |
CN208609812U (en) | A kind of bean curd manufacturing machine | |
KR100758562B1 (en) | Soymilk Heating Device | |
CN101090659A (en) | beverage brewing machine | |
KR101606869B1 (en) | machine of manufacturing bean tobu | |
KR20220124473A (en) | Multifunctional Tofu Maker | |
KR200465509Y1 (en) | Apparatus for making a bean curd | |
KR100516835B1 (en) | apparatus for soymilk making and method for soymilk making of use the same | |
KR200477416Y1 (en) | Automatic control of the steam flow rate to the device raw tofu | |
KR900005777Y1 (en) | Continuous boiling apparatus of soymilk for soybeancurd | |
KR102645556B1 (en) | Homemade Tofu Manufacturing Equipment | |
KR200218794Y1 (en) | Tofu manufacturing equipment | |
CN107280471A (en) | The pulping process and soy bean milk making machine of soy bean milk making machine | |
JP2903248B2 (en) | Coffee bean cleaning plant | |
CN211883425U (en) | a brewing device | |
KR102007932B1 (en) | Water and bean powder feeding device | |
CN221786053U (en) | A soybean milk machine with reserva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