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396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396B1 KR102365396B1 KR1020170117981A KR20170117981A KR102365396B1 KR 102365396 B1 KR102365396 B1 KR 102365396B1 KR 1020170117981 A KR1020170117981 A KR 1020170117981A KR 20170117981 A KR20170117981 A KR 20170117981A KR 102365396 B1 KR102365396 B1 KR 102365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cleaner
- cleaner body
- pressure senso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집진 장치와 결합되는 청소기 본체;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핸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지지대; 상기 핸들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 바퀴;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핸들 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립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에 근거하여 결정된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coupled to a dust collector; a handle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and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leaner body; a handle support formed to connect the cleaner body and the handle to each other and movably coupled to the handle;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handle to detect manipulation of the handle; a driving whe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o movably support the cleaner body; and a neutral resto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le support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handle to a neutral position,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먼지를 집진하며, 깨끗한 공기만 배출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at sucks air and dust by using suction power, separates dust from the sucked air to collect dust, and discharges only clean air.
청소기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질을 공기와 같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분리한 후 공기만 배출시키고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A vacuum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uses suction power generated from a suction motor to suck in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rea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separate the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cked air, then discharge only the air and collect the dust or foreign substances.
청소기는 수동 청소기와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수동 청소기는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 타입, 스틱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동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기반으로 청소를 수행한다.The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and an automatic vacuum cleaner. A manual vacuum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being moved by a user's manipulation. The manual vacuum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an upright type, a handy type, a stick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shape. The automatic vacuum cleaner performs cleaning based on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technology without user intervention.
수동 청소기 중 업라이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흡입 노즐, 핸들이 일체형이라는 점에서 다른 타입의 청소기로부터 구분된다. 업라이트 청소기는 주로 카페트 위를 청소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Among manual vacuum cleaners, the upright cleaner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cleaners in that the cleaner body, the suction nozzle, and the handle are integrated. Upright vacuum cleaners are mainly used for cleaning carpets.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흡입 노즐, 핸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업라이트 청소기는 다른 타입의 청소기에 비해 무겁다. 따라서 동일한 면적을 청소하더라도 업라이트 청소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도가 다른 타입의 청소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도보다 높다.Since the vacuum cleaner body, the suction nozzle, and the handle are integrally formed, the upright vacuum cleaner is heavier than other types of vacuum cleaners. Therefore, even when cleaning the same area, the fatigue level of users using the upright cleaner is higher than that of users using other types of cleaner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US Patent 6,282,747 B1에는 기계식 클러치를 구비한 업라이트 청소기가 제안된 바 있다. 클러치가 기어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모터에 토크를 전달하게 되고, 바퀴는 전진되거나 후진된다. 따라서 핸들을 조작하는 힘만으로도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업라이트 청소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US Patent 6,282,747 B1 has proposed an upright cleaner having a mechanical clutch. Since the clutch is connected to the gear,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e,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motor, and the wheel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ve the cleaner body only by the force of manipulating the handle, thereby reducing fatigue of a user using the upright cleaner.
그러나 기계식 클러치가 핸들에 구비되면, 클러치의 이동에 필요한 상당한 간격이 필요하다. 이 간격이 확보되지 않으면 기계식 클러치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간격으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f a mechanical clutch is provided on the handle, a significant gap is required for movement of the clutch. If this gap is not secured, the mechanical clutch cannot function properly. However, this interval causes several problems.
먼저 상기 간격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핸들이 핸들 지지대에 덜렁 덜렁 매달려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이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청소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게 되면 간격이 점차 벌어지게 되고, 청소기의 신뢰성에도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First, the gap gives the user a feeling as if the handle is hanging loosely from the handle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user's finger is caught in the gap. Furthermore, when the vacuum cleaner is continuously used, the interval gradually widens, and the reli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is also limit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핸들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의 청소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핸들과 핸들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leaner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ducing user fatigue by moving a cleaner body by recognizing a user's intention to manipulate a handl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lean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a gap between a handle and a handle support while applying a structure for moving the cleaner body by recognizing the user's int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핸들의 미작동 시 센서를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구성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onfigured to restore a sensor to a neutral position when a handle is not operated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센서를 중립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 부재의 물성을 설정하여 중력이나 센서의 크기 등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의 청소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s caused by influences such as gravity or the size of the sensor by setting physical properties of an elastic member that restores the sensor to a neutral posi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소기는, 핸들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핸들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핸들의 조작에 근거하여 회전되는 구동 바퀴 및 핸들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립 복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에 근거하여 결정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o rotate based on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handle to detect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and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a neutral restorer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wheel and handle to a neutral pos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청소기는, 집진 장치와 결합되는 청소기 본체;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들;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핸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cleaner may include: a cleaner body coupled to a dust collector; a handle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and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leaner body; and a handle support formed to connect the cleaner body and the handle to each other and movably coupled to the handle.
상기 구동 바퀴는 청소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중립 복원부는 핸들과 핸들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다.The driving wheel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o movably support the cleaner body. And the neutral restor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le suppor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은 상기 압력 센서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압력 센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센서 수용부에 내장되고, 상기 핸들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의해 가압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ncludes a pressure sensor accommodating part formed to accommodate the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sensor is built into the pressure sensor accommodating part, and the handle moves relative to the handle. pressed by the suppor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기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고정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가압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상대 이동 시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includes a pressing part fixed to the handle support, and the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handle to face the pressing part, and is pressed by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relatively moved. do.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는 상기 중립 복원부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립 복원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핸들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핸들의 상대 이동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art and the handle, and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part and the handle in a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handle.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력 센서를 마주보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립 복원부와 접촉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art may include: a first part extending in an extension direction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a second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to face the pressure sensor; and a third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ortion and contacting the neutral restoration uni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돌기부들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중립 복원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 respectively,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part toward the pressure sensor, and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at least one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의 사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적어도 네 개의 돌기부들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중립 복원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사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e at each four sides of the second part, at least four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part toward the pressure sensor, and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and elastic members,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at least one each on the four sides of the third part.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멀게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3 부분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핸들과 중첩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farther from the cleaner body than the third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closer to the cleaner body than the third portion,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ncludes the handle support and the handle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placed overlapping.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부재보다 높은 탄성 계수 값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has a higher elastic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핸들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선형 이동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핸들의 선형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진 감지부와 후진 감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so as to be movable linearly in an extension direction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and the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handle to move linearly. and a forward sensing unit and a backward sens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handle so as to be pressed by the handl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진 감지부는 상기 후진 감지부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멀리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sensing unit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cleaner body than the backward sensing uni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이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이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기 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for advancing the cleaner body, the handle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body so that the advance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nd the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a direction to advance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for reversing the cleaner body, the handle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reverse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in a direction for reversing the cleaner body.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기는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출력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전진 감지부나 상기 후진 감지부를 가압하는 힘에 비례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wheels, and an output of the driving unit is proportional to the force with which the pressing unit presses the forward sensing unit or the reverse sensing uni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전방에 배치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흡입 노즐에 구비되며,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청소하는 아지테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전진 감지부 또는 상기 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아지테이터는 상기 구동 바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may include: a suction nozzl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 and an agitator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to clean the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wherein the forward sensing unit or the backward sensing unit is the pressing unit by manipulating the handle in a direction for moving the cleaner body forward or backward. When pressed by , the agitator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핸들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대 회전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회전 감지부와 우회전 감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a rotation axis in an extension direction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and the pressure sensor rotates the handle relative to the handle. and a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and a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so as to be pressed by the .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좌회전 감지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회전 감지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좌측에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res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and the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res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do.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바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회전되고, 상기 좌회전 감지부와 상기 우회전 감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핸들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향해 회전되며, 상기 좌회전 감지부와 상기 우회전 감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좌측 바퀴와 상기 우측 바퀴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 includes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cleaner body left or right, the handle rotates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relative to the center, and any one of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and the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is rotated toward the pressing unit along the handle, and any one of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and the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In this case,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ar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or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 rates.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기는, 상기 좌측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우측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회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출력보다 커지고, 상기 우회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출력보다 커진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eft wheel; and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right wheel, wherein when the left rotation detect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he outpu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right rotation is detected When the sub is pressurized by the pressing unit, the output of the first driving motor become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의 둘레에 배치된 압력 센서에 의해 핸들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핸들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므로,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핸들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구동 바퀴나 아지테이터가 회전되면, 청소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경감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vement of the handle can b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around the pressing part. Since the movement of the handle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when the driving wheel or the agitator is rotat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hand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fatigue of the vacuum cleaner user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때문에 압력 센서와 핸들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압력 센서와 핸들 사이의 틈이 최소화 됨에 따라 내구성 저하의 문제, 손가락이 틈에 끼이는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pressure sensor and the handle because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sensed using the pressure sensor. As the gap between the pressure sensor and the handle is minimized, the problem of reduced durability and the problem of fingers being caught in the gap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의 미조작 시 탄성력을 갖는 중립 복원부를 이용하여 핸들을 중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핸들이 중립 상태로 유지되면 핸들을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압력 센서가 가압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작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can be maintained in a neutral state by using a neutral restoring unit having elastic force when the handle is not operated. If the handle is maintained in a neutral st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malfunction that occurs as the pressure sensor is pressurized even though the handle is not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에 중력의 영향을 보상하였기 때문에 핸들의 자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for the effect of gravity o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malfunc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weight of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크기가 장착부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스스로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고, 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는 탄성 부재는 핸들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ze of the elastic memb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unting part, the restoring force can be stored by itself, and the elastic member storing the restoring force can restore the handle to a neutral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측면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정면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핸들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 4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핸들과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핸들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 6은 도 5의 라인 B-B를 따라 바라본 핸들과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핸들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leaner shown in FIG. 1 .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and its peripheral por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a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and its peripheral por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a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 명세서에서는 업라이트 청소기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업라이트 청소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업라이트 청소기나 캐니스터 청소기처럼 청소기 본체가 바닥 위를 이동하는 모든 타입의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upright clean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upright cleaner.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cleaner in which the cleaner body moves on the floor, such as an upright cleaner or a caniste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측면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100)의 정면도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leaner 100 shown in FIG. 1 .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100)의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다. 청소기 본체(110)에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10)에는 연결 유로(111)와 손잡이(112)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차례로 설명한다.All components of the cleaner 100 are coupled to the
집진 장치(120)는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집진 장치(120)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집진 장치(120)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고, 깨끗한 공기만 배출한다. 청소기 본체(110)의 연결 유로(111)는 흡입 노즐(16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집진 장치(120)로 가이드한다.The
집진 장치(120)는 먼지통(121)과 손잡이(1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먼지통(121)은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영역이다. 집진 장치(12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사이클론에 의해 공기와 먼지의 선회류가 형성된다. 사이클론은 공기와 먼지의 원심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시킨다.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121)에 집진된다.The
손잡이(122)는 집진 장치(120)를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손잡이를 당기면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던 집진 장치(120)가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된다.The
핸들(130)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핸들(130)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핸들(1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The
핸들(130)은 청소기 본체(110)의 움직임을 제어 가능하도록 청소기 본체(110)에 연결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핸들(130)은 핸들 지지대(140)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30)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130)을 조작하면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핸들(130)을 조작하면 청소기 본체(110)를 좌회전시키거나 우회전시킬 수 있다.The
청소기 본체(110)의 이동은 구동 바퀴(181, 182)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 바퀴(181, 182)는 청소기 본체(1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청소기(100)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구동 바퀴(181, 182)는 바닥에 닿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30)을 조작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이동시키면 바퀴가 청소기 본체(110)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구동 바퀴(181, 182)의 회전에 의해 청소기(100)가 이동된다.The movement of the
구동 바퀴(181, 182)는 청소기 본체(110)의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또는 우측은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F)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되는지 또는 오른쪽에 배치되는지로 설정되었다.The driving
좌측 구동 바퀴(181)와 우측 구동 바퀴(182)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구동 바퀴(181)와 우측 구동 바퀴(18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거나 더 많은 회전수만큼 회전할 수 있다. 좌측 구동 바퀴(181)와 우측 구동 바퀴(182)의 서로 다른 회전 속도 또는 서로 다른 회전수로 인해 청소기 본체(110)가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할 수 있다.The
구동 바퀴(181, 182)는 구동부(183, 184)로부터 구동력(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구동부(183, 184)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 바퀴(181)와 우측 구동 바퀴(182)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183)는 좌측 구동 바퀴(181)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구동 모터(184)는 우측 구동 바퀴(18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흡입 노즐(160)은 청소 대상 영역의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도록 형성된다.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흡입 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 모터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이 청소기 본체(110)의 유로를 통해 흡입 노즐(160)로 전달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먼지가 흡입 노즐(160)로 흡입된다.The
흡입 노즐(160)은 하우징(161)과 아지테이터(162) 및 보조 바퀴(164a, 164b)를 포함한다. 하우징(161)은 흡입 노즐(160)의 외관을 형성하며, 청소기 본체(1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아지테이터(162)는 하우징(16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지테이터(162)는 구동 바퀴(181, 182)의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을 회전한다. 아지테이터(162)는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청소한다. 특히 업라이트 청소기(100)를 이용하여 카페트 위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아지테이터(162)가 회전하면서 카페트의 먼지를 털어내게 된다. 아지테이터(162)에 의해 카페트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흡입 노즐(160)을 통해 청소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흡입된다.The
아지테이터(162)는 모터(16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모터(163)는 아지테이터(162)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163)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아지테이터(16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보조 바퀴(164a, 164b)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흡입 노즐(1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다음으로는 핸들(13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핸들(130)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 4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라 바라본 핸들(130)과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핸들 지지대(140)는 청소기 본체(110)와 핸들(130)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30)을 조작하면, 핸들(130)에 인가된 힘이 핸들 지지대(140)를 통해 청소기 본체(110)로 전달되고, 구동 바퀴(181, 182, 도 1 내지 도 2 참조)가 청소기 본체(110)를 따라 회전하면서 청소기 본체(110)가 이동하게 된다.The
핸들(130)은 핸들 지지대(14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 지지대(140)는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되므로, 본래 이동하는 것은 핸들(130)이다. 그러나 상대 이동이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핸들 지지대(140)가 핸들(13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된다고 설명하더라도 틀린 설명은 아니다.The
또한 여기서 상대 이동이란 선형 이동과 회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핸들 지지대(140)는 고정되어 있고,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의 연장 방향(D1) 또는 상기 연장 방향(D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될 수 있다.Also, the relative movement here is a concept including both linear movement and rotation. 3 and 4 , the
청소기(100)는 핸들(130)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압력 센서(150)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150)는 핸들(1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130)은 압력 센서(150)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압력 센서 수용부(131)를 구비하고, 압력 센서(150)는 상기 압력 센서 수용부(131)에 내장된다.The cleaner 100 includes a
압력 센서(150)는 핸들(13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핸들 지지대(140)에 의해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1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130)을 조작하면,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핸들 지지대(140)도 핸들(130)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되며, 핸들 지지대(140)가 핸들(130)에 대해 상대 이동함에 따라 압력 센서(150)는 상기 핸들 지지대(140)에 의해 가압된다.The
이하에서는 압력 센서(150)와 상기 압력 센서(150)를 가압하는 가압부(141)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청소기(100)는 핸들 지지대(140)에 고정되는 가압부(141)를 포함한다. 가압부(141)는 핸들 지지대(1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되면, 핸들(130)은 가압부(141)에 대해서도 상대 이동하게 된다.The cleaner 100 includes a
가압부(141)는 제1 부분(141a), 제2 부분(141b) 및 제3 부분(141c)으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다.The
가압부(141)의 제1 부분(141a)은 핸들 지지대(140)의 연장 방향(D1)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가압부(141)는 핸들 지지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41a)은 핸들 지지대(1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면, 제1 부분(141a)은 핸들(130)의 회전축(S)을 형성할 수 있다.The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은 제1 부분(141a)으로부터 직각인 방향을 돌출되어 압력 센서(150)를 마주본다. 제2 부분(141b)의 둘레에 압력 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The
가압부(141)의 제3 부분(141c)은 제1 부분(141a)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부분(141b)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 부분(141c)은 후술하게 될 중립 복원부(170)와 접촉된다.The
핸들(130)은 가압부(141)의 제1 부분(141a), 제2 부분(141b) 및 제3 부분(141c)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핸들(130)과 가압부(141) 사이에는 매우 작은 틈이 있으며, 핸들(130)은 그 틈의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과 제3 부분(141c)은 핸들(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압력 센서(150)는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을 마주보도록 압력 센서 수용부(131)의 측벽에 설치된다. 선형 이동하는 핸들(130)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해 압력 센서(150)는 제2 부분(141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제2 부분(141b)의 위를 의미하고, 타측이란 제2 부분(141b)의 아래를 의미한다.The
제2 부분(141b)의 일측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150)는 전진 감지부(151)로 명명된다.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핸들(130)을 청소기 본체(110)에 가까워지는 방향(F)으로 밀어야 한다. 핸들(130)을 청소기 본체(110)에 가까워지는 방향(F)으로 밀게 되면 핸들(130)이 선형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진 감지부(151)도 핸들(130)을 따라 이동하여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에 밀착되며, 이어서 전진 감지부(151)는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이나 상기 제2 부분(141b)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42a)에 의해 가압된다.The
제2 부분(141b)의 타측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150)는 후진 감지부(152)로 명명된다. 청소기 본체(110)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핸들(130)을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R)으로 끌어야 한다. 핸들(130)을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R)으로 끌게 되면 핸들(130)이 선형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진 감지부(152)도 핸들(130)을 따라 이동하여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에 밀착되며, 이어서 후진 감지부(152)는 가압부(141)의 제2 부분(141b)이나 상기 제2 부분(141b)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42b)에 의해 가압된다.The
전진 감지부(151)와 후진 감지부(152)는 선형 이동하는 핸들(13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핸들(130)의 선형 이동 방향을 다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전진 감지부(151)는 후진 감지부(152)보다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반대로 후진 감지부(152)는 전진 감지부(151)보다 청소기 본체(110)에 가깝게 배치된다.The
가압부(141)에는 돌기부(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42a, 142b)는 제2 부분(141b)으로부터 압력 센서(150)를 향해 돌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돌기부(142a)가 제2 부분(141b)으로부터 전진 감지부(151)를 향해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돌기부(142b)가 제2 부분(141b)으로부터 후진 감지부(152)를 향해 돌출된다. 두 돌기부들(142a, 142b)은 각각 전진 감지부(151)와 후진 감지부(152)의 정 중앙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42a, 142b)의 수와 배치는 압력 센서(150)의 수와 배치에 대응된다. 만일 압력 센서(150)가 제2 부분(141b)의 사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면, 네 개의 돌기부(142a, 142b)가 제2 부분(141b)의 사방에서 각각의 압력 센서(15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압력 센서(150)는 핸들 지지대(140)에 의해 가압되는 힘을 감지하게 된다. 핸들(130)의 조작에는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되므로, 압력 센서(150)를 이용하면 핸들(130) 조작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의도란 청소기 본체(110)를 어디로 이동시킬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것인지, 청소기 본체(1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키기 위한 것인지는 압력 센서(150)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The
압력 센서(15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의도는 구동 바퀴(181, 182)의 제어에 이용된다. 구동 바퀴(181, 182)는 압력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핸들(130)의 조작에 근거하여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130)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면, 전진 감지부(151)는 미는 힘을 감지하고, 구동 바퀴(181, 182)는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핸들(130)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끌면, 후진 감지부(152)는 끄는 힘을 감지하고, 구동 바퀴(181, 182)는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user's intention sensed by the
이와 같이 압력 센서(15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구동 바퀴(181, 182)가 구동되면, 청소기 본체(110)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된 만큼의 힘이 구동 모터(183, 184)로부터 구동 바퀴(181, 182)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소기(100) 사용자의 피로도가 경감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driving
특히 압력 센서(150)는 상기 압력 센서(150)를 감지하는 힘의 크기를 감지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부(141)가 전진 감지부(151)나 후진 감지부(152)를 가압하는 힘과 구동부(183, 184)의 출력이 비례할 수 있다. 가압부(141)가 전진 감지부(151)나 후진 감지부(152)를 가압하는 힘이 크다는 것은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10)를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이동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83, 184)의 출력이, 가압부(141)가 전진 감지부(151)나 후진 감지부(152)를 가압하는 힘에 비례하면, 사용자의 의도가 더욱 잘 반영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가압부(141)가 전진 감지부(151)나 후진 감지부(152)를 가압하는 힘에 따라 구동부(183, 184)의 출력이 증가하면, 청소 대상 바닥면의 재질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페트의 경우에는 카페트에 의한 저항이 발생으로 인해 더 큰 구동력이 제공되어야 청소기 본체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에 강한 힘을 가해 전진 감지부(151)나 후진 감지부(152)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면, 그에 따라 구동부(183, 184)의 출력이 증가하게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output of the driving
압력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의도는 아지테이터(162, 도 1 참조)의 제어에도 이용될 수 있다. 아지테이터(162)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아지테이터(162)가 구동 바퀴(181, 182)와 항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구동 바퀴(181, 182)는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아지테이터(162)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아지테이터(162)가 구동 바퀴(181, 182)의 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The user's intention sensed by the
청소기 본체(1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핸들(130)을 조작하면,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에 상대 이동하면서 전진 감지부(151) 또는 후진 감지부(152)가 가압부(141)에 의해 가압된다. 전진 감지부(151) 또는 후진 감지부(152)가 가압되면, 아지테이터(162)는 구동 바퀴(181, 18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아지테이터(162)가 모터(163)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모터(163)는 압력 센서(150)로부터 감지되는 핸들(130)의 조작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지테이터(162)는 구동 바퀴(181, 182)와 항상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기계식 클러치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공간이 필요한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이 소정의 공간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 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계식 클러치뿐만 아니라 가변 저항(포텐셔미터)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In the technical item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required for the mechanical clutch to operate. In addi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various problems occur due to this predetermined space. These problems can occur when using a sensor such as a variable resistor (potentiometer) as well as a mechanical clutch.
이와 달리 압력 센서(150)와 돌기부(142a, 142b) 사이에는 아주 작은 틈만 존재하더라도 압력 센서(150)의 압력 감지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30)의 조작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압력 센서(150)를 적용하게 되면, 압력 센서(150)와 돌기부(142a, 142b) 사이의 틈을 아주 작은 크기로 축소시킬 수 있다.Contrary to this, even if there is only a very small gap between the
다만 돌기부(142a, 142b)는 선택적인 구성이고, 필수 구성은 아니다. 만일 가압부(141)에 돌기부(142a, 142b)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주 작은 틈은 압력 센서(150)와 제2 부분(141b) 사이에 형성된다.However, the
압력 센서(150)와 돌기부(142a, 142b) 사이 또는 압력 센서(150)와 제2 부분(141b) 사이의 틈이 아주 작아지면, 사용자의 손이 상기 틈에 끼이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핸들(130)이 핸들 지지대(140)에 덜렁덜렁 매달려 있는 듯한 불쾌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나아가 핸들(130)과 핸들 지지대(140)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내구성 저하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If the gap between the
한편, 핸들(130)과 가압부(141) 사이의 틈이 아주 작기 때문에 압력 센서(150)가 오작동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핸들(130)을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압부(141)가 중립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압력 센서(1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청소기 본체(110)가 움직일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gap between the
이와 같이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소기(100)는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중립 복원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립의 위치란 핸들(130)에 설치된 모든 압력 센서(150)가 가압부(141)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핸들(130)의 위치를 의미한다.In order to solve this newly occurring problem,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핸들(130)을 핸들 지지대(140)에 대하여 상대 이동 시키면, 핸들(130)은 중립의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압력 센서(15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부(141)에 의해 가압된다. 사용자가 핸들(130)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중립 복원부(170)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탄성력)에 의해 핸들(130)이 중립의 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청소기(100)에 중립 복원부(170)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핸들(13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을 때 압력 센서(150)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50)의 가압을 방지하여 청소기 본체(110)가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이동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move the
중립 복원부(170)는 핸들(130)과 핸들 지지대(14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립 복원부(170)가 가압부(141)의 제3 부분(141c)과 핸들(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립 복원부(170)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171, 172)을 구비한다. 탄성 부재들(171, 172)은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중립의 위치에서 벗어난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들(171, 172)은 고무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립 복원부(170)의 최소 탄성 계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탄성 계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In order to restore the
여기서 E는 탄성 계수, F는 외력, x는 변형량, l은 길이, A는 단면적을 가리키며, 탄성 계수의 단위는 [N/mm2]이다. 핸들(130)과 핸들 지지대(140)의 상대적인 이동 거리를 고려할 때,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중립 복원부(170)의 최소 탄성 계수는 3.98[N/mm2]로 계산되었다.Here, E is the elastic modulus, F is the external force, x is the amount of deformation, l is the length, and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unit of elastic modulus is [N/mm 2 ]. Considering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탄성 부재들(171, 172)의 수와 배치는 압력 센서(150)의 수와 배치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150)가 전진 감지부(151)와 후진 감지부(1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중립 복원부(170)가 압력 센서(150)의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탄성 부재들(171, 172)을 구비한다. 또한, 전진 감지부(151)와 후진 감지부(152)가 제2 부분(141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면, 탄성 부재들(171, 172)도 압력 센서(150)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제3 부분(141c)의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된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제1 탄성 부재(171)는 제3 부분(141c)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탄성 부재(171)는 제3 부분(141c)보다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멀게 배치된다. 제2 탄성 부재(172)는 제3 부분(141c)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 탄성 부재(172)는 제3 부분(141c)보다 청소기 본체(110)에 가깝게 배치된다.The first
만일 압력 센서(150)가 제2 부분(141b)의 사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면, 중립 복원부(170)는 적어도 네 개 이상의 탄성 부재들(171, 172)을 구비하고, 제3 부분(141c)의 사방에 적어도 하나씩의 탄성 부재들(171, 172)이 배치된다.If the
가압부(141)의 제3 부분(141c)과 핸들(130) 사이에는 중립 복원부(17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32a, 132b)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 부분(141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탄성 부재들(171, 172)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32a, 132b)가 형성될 수 있다.Mounting
탄성 부재들(171, 172)은 가압부(141)와 핸들(130)에 의해 압축되도록 각 장착부(132a, 132b)보다 커야 한다. 그래야 탄성 부재들(171, 172)이 자연스럽게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여기서 탄성 부재들(171, 172)과 장착부(132a, 132b)의 크기 비교는 핸들(130)의 상대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지 부피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부재들(171, 172)의 부피가 장착부(132a, 132b)의 부피보다 작더라도 핸들(130)의 상대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각 탄성 부재들(171, 172)의 길이가 각 장착부들(132a, 132b)의 길이보다 길다면, 탄성 부재들(171, 172)은 가압부(141)와 핸들(130)에 의해 압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size comparison between the
한편, 중력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제1 탄성 부재(171)는 제2 탄성 부재(172)보다 높은 탄성 계수 값을 갖는다. 만일 제1 탄성 부재(171)와 제2 탄성 부재(172)가 고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경도가 탄성 계수에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171)는 제2 탄성 부재(172)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Meanwhil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ffect of gravity, the firs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171)가 제2 탄성 부재(17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핸들(130)이 자연적으로 중립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중력 방향(G)으로 힘들 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30)을 조작하는 않는 상태에서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에 유지시키려면, 중력의 영향을 보상해 주어야 한다.As shown in FIG. 4 , when the first
제1 탄성 부재(171)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가압부(141)를 이용하여 전진 감지부(151)를 가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F1이라고 하고, 제2 탄성 부재(172)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가압부(141)를 이용하여 후진 감지부(152)를 가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F2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71)의 탄성 계수가 제2 탄성 부재(172)의 탄성 계수보다 크면, 전진 가압부(141)를 가압하기 위한 힘(F1)은 후진 가압부(141)를 가압하기 위한 힘(F2)보다 커야 한다(F1>F2). 탄성 계수 값이 크면 변형률이 작아지고 더 큰 힘을 줘야 재료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A force required to overcome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따라서 제1 탄성 부재(171)의 탄성 계수가 제2 탄성 부재(172)의 탄성 계수보다 커야 중력의 영향을 보상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힘을 가하더라도 F1에는 중력에 의한 힘까지 더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중력의 영향을 보상하여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에 복원되게 하기 위해서는 제1 탄성 부재(171)의 탄성 계수가 제2 탄성 부재(172)의 탄성 계수보다 커야 한다.Therefore, wh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또한 중력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제1 탄성 부재(171)가 핸들 지지대(140)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핸들 지지대(140) 및 핸들(130)과 중첩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테면 중력 방향(G)을 따라 핸들 지지대(140) 위에 제1 탄성 부재(171)가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중력 방향(G)을 따라 제1 탄성 부재(171) 위에 핸들(130)이 배치되어야 한다. 그래야 핸들(130)의 자중이 제1 탄성 부재(17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ffect of gravity, the first
이와 같이 중력의 영향까지 보상해 주면, 사용자가 핸들(130)을 조작할지 않을 때 핸들(130)을 중립의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고, 압력 센서(15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ffect of gravity is compensated for in this way, the
도 3과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2는 손잡이를 가리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핸들(230)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 6은 도 5의 라인 B-B를 따라 바라본 핸들(230)과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핸들(230)은 핸들 지지대(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의 회전은 360°범위의 회전은 아니고 매우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의 회전이다.The
가압부(241)의 제1 부분(241a)은 핸들(23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가압부(241)의 제1 부분(241a)은 핸들 지지대(240)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핸들(230)은 가압부(24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부(241)의 제1 부분(241a)을 중심을 회전된다.The
핸들 지지대(240)는 청소기 본체(210)와 핸들(230)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230)을 조작하면, 핸들(230)에 인가된 힘이 핸들 지지대(240)를 통해 청소기 본체(210)로 전달되고, 구동 바퀴(181, 182, 도 1 내지 도 2 참조)가 청소기 본체(210)를 따라 회전하면서 청소기 본체(210)가 이동하게 된다.The
압력 센서(250)는 핸들(2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핸들 지지대(240)에 의해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1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230)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핸들(230)에 힘을 가하면, 핸들(230)이 핸들 지지대(24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핸들 지지대(240)도 핸들(23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며, 핸들 지지대(240)가 핸들(230)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압력 센서(250)는 상기 핸들 지지대(240)의 제2 부분(241b)에 의해 가압된다.The
압력 센서(250)는 상대 회전하는 핸들(23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핸들(2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회전 감지부(253)와 우회전 감지부(254)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좌회전 감지부(253)는 청소기 본체(21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부분(241b)의 우측(또는 일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우회전 감지부(254)는 청소기 본체(21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부분(241b)의 좌측(또는 타측)에 배치된다.The
도 6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10)를 좌회전 시키기 위해서는 핸들(230)을 반시계 방향(L)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 경우 가압부(241)는 고정되어 있고 핸들(230)이 핸들 지지대(24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므로, 제2 부분(241b)의 우측에 배치된 좌회전 감지부(253)가 제2 부분(241b)에 가까워지면서 제2 부분(241b)의 우측 돌기부(242a)에 의해 가압된다. 좌회전 감지부(253)가 가입되면 핸들(23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청소기 본체(210)를 좌회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6 , in order for the user to rotate the cleaner body 210 to the left, the
반대로 도 6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10)를 우회전 시키기 위해서는 핸들(230)을 시계 방향(R)으로 회전시키야 한다. 이 경우 가압부(241)는 고정되어 있고 핸들(230)이 핸들 지지대(24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므로, 제2 부분(241b)의 좌측에 배치된 우회전 감지부(254)가 제2 부분(241b)에 가까워지면서 좌측 돌기부(242b)에 의해 가압된다. 우회전 감지부(254)가 가압되면 핸들(23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청소기 본체(210)를 우회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Conversely, based on FIG. 6 , in order for the user to rotate the cleaner body 210 right, the
좌회전 감지부(253)와 우회전 감지부(254) 중 어느 하나가 가압부(241)의 제2 부분(241b)에 의해 가압되면, 좌측 구동 바퀴(181)와 우측 구동 바퀴(182)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만큼 회전된다. 예를 들어 좌회전 감지부(253)가 가압되면 좌측 구동 바퀴(181)보다 우측 구동 바퀴(182)가 더 빠르게 회전되거나 좌측 구동 바퀴(181)보다 우측 구동 바퀴(182)가 더 많은 회전수로 회전된다.When any one of the left
좌측 구동 바퀴(181)보다 우측 구동 바퀴(182)가 단위 시간 당 더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 동일한 시간 동안 좌측 구동 바퀴(181)의 회전수가 우측 구동 바퀴(182)의 회전수보다 크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210)의 방향이 점점 좌측을 향하게 되고, 청소기 본체(210)는 좌회전될 수 있다.When the
마찬가지로 핸들(230)의 위치가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기 전까지 우측 구동 바퀴(182)가 좌측 구동 바퀴(181)보다 더 많은 회전수로 회전되면, 청소기 본체(210)의 방향이 점차 좌측을 향하게 되고, 청소기 본체(210)는 좌회전될 수 있다.Similarly, if the
구동 바퀴(181, 182)의 회전 속도와 회전수는 구동부(183, 184)의 출력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10)의 좌회전을 위해서는 우측 구동 바퀴(18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모터(184)의 출력이 좌측 구동 바퀴(18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모터(183)의 출력보다 커져야 한다.The rotation speed and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ing
이와 달리 우회전 감지부(254)가 가압되면 우측 구동 바퀴(182)보다 좌측 구동 바퀴(181)가 더 빠르게 회전되거나 우측 구동 바퀴(182)보다 좌측 구동 바퀴(181)가 더 많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청소기 본체(210)의 우회전을 위해서는 좌측 구동 바퀴(18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모터(183)의 출력이 우측 구동 바퀴(18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모터(184)의 출력보다 커져야 한다. 그 결과 청소기 본체(210)는 점차 우측을 향하게 되고, 청소기 본체(210)는 우회전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중립 복원부(270)는 제3 부분(241c)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탄성 부재들(271, 272)로 구성된다. 우측 탄성 부재(271)와 청소기 본체(210) 사이의 거리는 좌측 탄성 부재(272)와 청소기 본체(210)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가압부(241)의 제3 부분(241c)과 핸들(230) 사이에는 탄성 부재들(271, 27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32a, 232b)가 형성된다. 장착부(232a, 232b)는 탄성 부재들(271, 272)의 장착을 위한 공간이다. 핸들(230)이 중립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두 탄성 부재들(271, 272)은 복원력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탄성 부재들(271, 272)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핸들(230)이 중립의 위치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탄성 부재들(271, 272)은 가압부(241)와 핸들(230)에 의해 압축되도록 핸들(230)의 상대 회전 방향에서 각 장착부(232a, 232b)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Mounting
도 6을 기준으로 핸들(230)의 상대 회전 방향에서 장착부(232a, 232b)의 길이는 가압부(241)의 제3 부분(241c)과 핸들(230) 사이의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각 탄성 부재들(271, 272)의 길이는 도 6에서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The length of the mounting
좌측 탄성 부재(272)는 제3 부분(241c)의 좌측과 핸들(230)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2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탄성 부재(272)가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저장하게 된다. 핸들(230)을 조작하던 사용자가 핸들(230)을 놓으면 핸들(230)에 인가되던 힘이 제거되고, 핸들(230)은 좌측 탄성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중립의 위치로 복원된다.The left
우측 탄성 부재(271)는 제3 부분(241c)의 우측과 핸들(230)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2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탄성 부재(271)가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저장하게 된다. 핸들(230)을 조작하던 사용자가 핸들(230)을 놓으면 핸들(230)에 인가되던 힘이 제거되고, 핸들(230)은 우측 탄성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중립의 위치로 복원된다.The right
도 5와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12는 손잡이를 가리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핸들(330)과 그 주변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다.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핸들(330)은 핸들 지지대(340)에 상대 선형 이동 및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센서(350)는 가압부(341)의 사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The
전진 감지부(351)와 후진 감지부(352)는 핸들(330)의 선형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전진 감지부(351)와 후진 감지부(352)는 가압부(3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다. 전진 감지부(351)는 후진 감지부(352)에 비해 청소기 본체(31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The
좌회전 감지부(353)와 우회전 감지부(354)는 핸들(3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좌회전 감지부(353)와 우회전 감지부(354)는 가압부(3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다.The left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3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방향으로 핸들(330)을 조작하게 되면 전진 감지부(351)와 후진 감지부(352) 중 어느 하나가 가압부(341)에 의해 감지된다. 이에 따라 구동 바퀴(181, 182, 도 1 내지 도 2 참조)는 청소기 본체(31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3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키는 방향으로 핸들(330)을 조작하게 되면 좌회전 감지부(353)와 우회전 감지부(354) 중 어느 하나가 가압부(341)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구동 바퀴(181, 182)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 바퀴(181, 182)는 청소기 본체(3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키게 된다.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도 7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12는 손잡이를 가리킨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블록 구성도를 참조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only a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lock diagrams.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핸들(430)은 청소기 본체(410)를 이동 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인가받는다.The
압력 센서(450)는 핸들(430)의 조작을 감지한다. 핸들(430)을 조작함에 따라 압력 센서(450)가 가압되면, 압력 센서(450)에서 발생된 신호가 제어부(490)로 전달된다.The
제어부(490)는 압력 센서(4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부(483)와 모터(463)를 제어한다. 제어부(490)가 구동부(483)를 제어하면 구동 바퀴(181, 282, 도 1 내지 조 2 참조)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가 모터를 제어하면 아지테이터(46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수 등이 제어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청소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lean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9)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핸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지지대;
상기 핸들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 바퀴; 및
상기 핸들과 상기 핸들 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을 중립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중립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고정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가압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상대 이동 시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력 센서를 마주보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립 복원부와 접촉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 cleaner body coupled to the dust collector;
a handle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and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leaner body;
a handle support formed to connect the cleaner body and the handle to each other and movably coupled to the handle;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handle to detect manipulation of the handle;
a driving whe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o movably support the cleaner body; and
and a neutral resto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le support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handle to a neutral pos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cleaner includes a pressing part fixed to the handle support,
The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handle to face the pressing part, and is pressed by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pressurizing part,
a first portion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a second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to face the pressure sensor; and
and a third part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art and contacting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상기 핸들은 상기 압력 센서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압력 센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센서 수용부에 내장되고, 상기 핸들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상기 핸들 지지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has a pressur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sensor is embedded in the pressure sensor accommodating part, and is pressed by the handle support, which moves relative to the handle.
상기 가압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는 상기 중립 복원부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립 복원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핸들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핸들의 상대 이동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art and the handle,
The neutral restoration portion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mounting portion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handle so as to be com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handle.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돌기부들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중립 복원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 one each,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part toward the pressure sensor,
The neutral resto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t.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부분의 사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적어도 네 개의 돌기부들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중립 복원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의 사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s are arranged one on each side of the second part,
At least four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part toward the pressure sensor,
The neutral resto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disposed i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third part.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제3 부분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멀게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3 부분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핸들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 plurality of the elastic members,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farther from the cleaner body than the third part; and
Consists of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closer to the cleaner body than the third par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 overlap the handle support and the handle in an extension direction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부재보다 높은 탄성 계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higher elastic modulus value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핸들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선형 이동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핸들의 선형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진 감지부와 후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to be movable linearly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forward sensing unit and a reverse sensing un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handle to be pressed by the linearly moving handle.
상기 전진 감지부는 상기 후진 감지부보다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orward sensing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farther from the cleaner body than the reverse sensing unit.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이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이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어 상기 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for advancing the cleaner body, the handle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in body, the advance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moves the cleaner body forward in a direction is rotated to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for reversing the cleaner main body, the handle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reversing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moved in a direction for reversing the cleaner main body.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상기 청소기는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출력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전진 감지부나 상기 후진 감지부를 가압하는 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unit is proportional to the force pressing the forward sensing unit or the backward sensing unit.
상기 청소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전방에 배치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흡입 노즐에 구비되며,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청소하는 아지테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전진 감지부 또는 상기 후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아지테이터는 상기 구동 바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leaner is
a suction nozzl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 and
It is provided on the suction nozzle and further comprises an agitator for cleaning the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When the forward sensing unit or the backward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by manipulating the handle in a direction for moving the cleaner body forward or backward, the agitator rotates the driving wheel in the same direction. .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지지대의 연장 방향 또는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핸들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대 회전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회전 감지부와 우회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a rotation axis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or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and a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so as to be pressed by the handle that rotates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좌회전 감지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회전 감지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res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The right turn detection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res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상기 구동 바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핸들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회전되고, 상기 좌회전 감지부와 상기 우회전 감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핸들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향해 회전되며,
상기 좌회전 감지부와 상기 우회전 감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좌측 바퀴와 상기 우측 바퀴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riving wheel includes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handle is operated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cleaner body left or right, the handle is rotated relative to the axis of rotation, and any one of the left rotation sensing unit and the right rotation sensing unit moves along the handle toward the pressing unit. rotated,
When any one of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and the right rotation detection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ar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or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 speeds.
상기 청소기는,
상기 좌측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우측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회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출력보다 커지고,
상기 우회전 감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출력보다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leaner is
a first driving motor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left wheel; and
and a second driving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right wheel,
When the left rotation detection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he outpu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driving motor,
When the right turn sensing un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he output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상기 중립 복원부는 3.98 N/mm2 이상의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ccording to claim 1,
The neutral restoration par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lastic modulus of 3.98 N/mm 2 or mo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981A KR102365396B1 (en) | 2017-09-14 | 2017-09-14 |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981A KR102365396B1 (en) | 2017-09-14 | 2017-09-14 |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486A KR20190030486A (en) | 2019-03-22 |
KR102365396B1 true KR102365396B1 (en) | 2022-02-21 |
Family
ID=6594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7981A Active KR102365396B1 (en) | 2017-09-14 | 2017-09-14 |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3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1690B1 (en) * | 2019-10-22 | 2021-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version member and an electric cleaner include the same |
CN113520210A (en) * | 2021-06-25 | 2021-10-22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Handheld dust collector and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64117B1 (en) * | 2013-12-02 | 2023-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er |
-
2017
- 2017-09-14 KR KR1020170117981A patent/KR10236539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486A (en) | 2019-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36023B (en) |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triggerless fluid dispensing mechanism | |
US7950102B2 (en) |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 |
CN103874446A (en) | Vacuum cleaner with display | |
US11712140B2 (en) | Robot cleaner | |
EP3323338B1 (en) |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365396B1 (en) | Cleaner | |
EP2929821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 |
JP4813433B2 (en) | Vacuum cleaner | |
KR100901032B1 (en) | Vacuum cleaner | |
KR102204555B1 (en) | Cleaner unit having agitator | |
KR20070102849A (en) | Upright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 |
JP7030141B2 (en) | Vacuum cleaner | |
KR102457533B1 (en) |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uction nozz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acuum cleaner | |
KR20190030487A (en) | Cleaner | |
KR101932074B1 (en) |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JP4738262B2 (en)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
JP7689927B2 (en) |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 |
JPH0679588B2 (en) | Electric suction tool | |
JP5388782B2 (en)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
KR101265134B1 (en) | Handle assembly of cleaner and cleaner with the same | |
KR101012953B1 (en) | Vacuum cleaner | |
JP2011136023A (en) | Vacuum cleaner | |
KR102483396B1 (en) | Vacuum cleaner | |
JP2024098884A (en) | Vacuum cleaner | |
JPH0595863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