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143B1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Google Patents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143B1 KR102365143B1 KR1020150181279A KR20150181279A KR102365143B1 KR 102365143 B1 KR102365143 B1 KR 102365143B1 KR 1020150181279 A KR1020150181279 A KR 1020150181279A KR 20150181279 A KR20150181279 A KR 20150181279A KR 102365143 B1 KR102365143 B1 KR 102365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node
- power
- gate
- switch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집적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스위치 회로의 실시 예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선택기 회로의 실시 예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스위치 회로의 실시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스위치 회로의 실시 예이다.
도 6은 제1전압의 제1파워 시퀀스, 제2전압의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의 타이밍도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파워 시퀀스,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파워 시퀀스,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파워 시퀀스,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1파워 시퀀스,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제1파워 시퀀스, 제2파워 시퀀스, 및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에러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에러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 관리 IC와 도 1에 도시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 관리 IC와 도 1에 도시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 관리 IC와 도 1에 도시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 관리 IC와 도 1에 도시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110: 제1파워-온 검출기
115: 제2파워-온 검출기
120: AND 게이트
125: 인에이블 신호 생성기
130: 전압 레귤레이터
200: 에러 증폭기
135: 스위치
150: 스위치 회로
300: 제1스위치 회로
400: 제2스위치 회로
500: 제3스위치 회로
600: 전력 트랜지스터
180: 로직 블록
Claims (20)
- 제1노드를 통해 공급되는 제1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여, 기준 전압과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를 통해 수신되는 피드백 전압과의 차이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압을 출력하는 에러 증폭기;
제2전압을 공급하는 제2노드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전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압의 제1파워 시퀀스, 상기 제2전압의 제2파워 시퀀스, 및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공급되는 바디 전압의 레벨을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은 상기 제2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가 파워-업 되지 않았을 때,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 중에서 더 높은 전압을 상기 게이트 전압과 상기 바디 전압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로부터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분리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 각각이 파워-업 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디스에이블일 때,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전압 또는 상기 제2전압을 상기 게이트 전압과 상기 바디 전압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를 연결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 각각이 파워-업 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일 때,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게이트 전압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2전압을 상기 바디 전압으로서 선택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일 때, 상기 에러 증폭기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증폭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디스에이블일 때, 상기 에러 증폭기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 회로;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디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파워 시퀀스와 상기 제2파워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워-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증폭기의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2스위치 회로는, 상기 파워-온 신호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연결과 상기 제2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3스위치 회로는, 상기 파워-온 신호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디의 연결을 제어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회로, 상기 제2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3스위치 회로 각각은 상기 파워-온 신호와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로직 게이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게이트 회로는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 중에서 더 높은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증폭기는,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과의 상기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 스테이지; 및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증폭 스테이지에 의해 증폭된 전압을 상기 스위치 회로로 출력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 사이의 풀-업 패스에 형성된 제1로컬 피드백 루프; 및
상기 에러 증폭기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의 풀-다운 패스에 형성된 제2로컬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증폭기는,
상기 제2로컬 피드백 루프의 일부를 공유하고, 상기 에러 증폭기의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접지 사이에 형성된 제3로컬 피드백 루프를 더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 전압 레귤레이터; 및
제1전송 라인을 통해 제1전압을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 공급하고 제2전송 라인을 통해 제2전압을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 공급하는 전력 관리 IC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전송 라인에 연결된 제1노드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고, 기준 전압과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를 통해 수신되는 피드백 전압과의 차이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압을 출력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제2전송 라인에 연결된 제2노드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전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압의 제1파워 시퀀스, 상기 제2전압의 제2파워 시퀀스, 및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공급되는 바디 전압의 레벨을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증폭기는,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과의 상기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 스테이지; 및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증폭 스테이지에 의해 증폭된 전압을 상기 스위치 회로로 출력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 사이의 풀-업 패스에 형성된 제1로컬 피드백 루프; 및
상기 에러 증폭기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의 풀-다운 패스에 형성된 제2로컬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 회로;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디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1파워 시퀀스와 상기 제2파워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워-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증폭기의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2스위치 회로는, 상기 파워-온 신호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연결과 상기 제2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3스위치 회로는, 상기 파워-온 신호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디의 연결을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 메모리;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제1전압과 제2전압을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 공급하고 제3전압을 상기 메모리로 공급하는 전력 관리 IC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는,
제1노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사용하고, 기준 전압과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를 통해 수신되는 피드백 전압과의 차이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압을 출력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제2전압을 수신하는 제2노드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전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압의 제1파워 시퀀스, 상기 제2전압의 제2파워 시퀀스, 및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바디로 공급되는 바디 전압의 레벨을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압은 상기 제2전압보다 높은 모바일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증폭기는,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과의 상기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 스테이지; 및
2-스테이지 캐스코드 구조를 갖고, 상기 증폭 스테이지에 의해 증폭된 전압을 상기 스위치 회로로 출력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노드와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 회로;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노드, 상기 제2노드, 및 상기 전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디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1279A KR102365143B1 (ko) | 2015-09-22 | 2015-12-17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DE102016117759.8A DE102016117759B4 (de) | 2015-09-22 | 2016-09-21 | Spannungsregler, der eine Mehrfach-Leistungs- und Gain-Boosting-Technik verwendet, und mobile Vorrichtungen mit demselben |
US15/271,680 US9933799B2 (en) | 2015-09-22 | 2016-09-21 | Voltage regulator using a multi-power and gain-boosting technique and mobile devices including the same |
TW105130390A TWI694320B (zh) | 2015-09-22 | 2016-09-21 | 使用多電源和增益提升技術之電壓調節器以及包含該電壓調節器的行動裝置 |
CN201610839278.7A CN106843348B (zh) | 2015-09-22 | 2016-09-21 | 电压调节器和包括该电压调节器的移动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21849P | 2015-09-22 | 2015-09-22 | |
US62/221,849 | 2015-09-22 | ||
KR1020150181279A KR102365143B1 (ko) | 2015-09-22 | 2015-12-17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5310A KR20170035310A (ko) | 2017-03-30 |
KR102365143B1 true KR102365143B1 (ko) | 2022-02-18 |
Family
ID=5822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1279A Active KR102365143B1 (ko) | 2015-09-22 | 2015-12-17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933799B2 (ko) |
KR (1) | KR102365143B1 (ko) |
DE (1) | DE102016117759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5143B1 (ko) | 2015-09-22 | 2022-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US20190041885A1 (en) * | 2017-08-02 | 2019-02-07 | Vidatronic Inc. | Adaptive bulk-bias technique to improve supply noise rejection, load regulation and transient performance of voltage regulators |
US10437321B2 (en) | 2018-03-12 | 2019-10-08 | Micron Technology, Inc. | Low power state implementation in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FR3082070A1 (fr) * | 2018-05-29 | 2019-12-06 | STMicroelecronics (Rousset) SAS | Circuit electronique d'alimentation |
US10591938B1 (en) | 2018-10-16 | 2020-03-17 | Qualcomm Incorporated | PMOS-output LDO with full spectrum PSR |
US10797579B2 (en) | 2018-11-02 | 2020-10-06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Dual supply low-side gate driver |
JP7173915B2 (ja) * | 2019-03-28 | 2022-11-16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電源回路 |
US11372436B2 (en) * | 2019-10-14 | 2022-06-28 | Qualcomm Incorporated | Simultaneous low quiescent current and high performance LDO using single input stage and multiple output stages |
EP4185936A1 (en) | 2020-07-24 | 2023-05-31 | Qualcomm Incorporated | Charge pump based low dropout regulator |
CN114489202B (zh) | 2021-01-06 | 2024-03-29 |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 电源供应产生器及其操作方法 |
DE102021106815B4 (de) * | 2021-01-06 | 2023-06-01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Stromversorgungsgenerator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
KR20220124499A (ko) * | 2021-03-03 | 2022-09-14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레귤레이터 |
US11385666B1 (en) * | 2021-06-04 | 2022-07-12 | Cirrus Logic, Inc. | Circuitry comprising a capacitor |
CN117293938A (zh) * | 2022-06-17 | 2023-12-26 | 上海韦尔半导体股份有限公司 | 电力供给系统 |
KR20240053781A (ko) * | 2022-10-18 | 2024-04-25 |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 저 드롭아웃 레귤레이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89934A1 (en) | 2004-02-27 | 2005-09-01 |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 Efficient low dropout linear regulator |
JP2014206861A (ja) | 2013-04-12 | 2014-10-30 | 富士電機株式会社 | レギュレータ回路およびレギュレータを形成し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55316B1 (fr) | 1996-10-25 | 1999-01-15 |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 Regulateur de tension a selection automatique d'une tension d'alimentation la plus elevee |
US5786724A (en) * | 1996-12-17 | 1998-07-28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Control of body effect in MOS transistors by switching source-to-body bias |
US6690147B2 (en) | 2002-05-23 | 2004-02-10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LDO voltage regulator having efficient current frequency compensation |
US6897715B2 (en) | 2002-05-30 | 2005-05-24 | Analog Devices, Inc. | Multimode voltage regulator |
EP1376294A1 (en) | 2002-06-28 | 2004-01-02 | Motorola, Inc. |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
EP1439444A1 (en) | 2003-01-16 | 2004-07-21 | Dialog Semiconductor GmbH | Low drop out voltage regulator having a cascode structure |
US7298567B2 (en) | 2004-02-27 | 2007-11-20 |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 Efficient low dropout linear regulator |
US20060273771A1 (en) | 2005-06-03 | 2006-12-07 | Micrel, Incorporated | Creating additional phase margin in the open loop gain of a negative feedback amplifier system |
US7639067B1 (en) | 2006-12-11 | 2009-12-29 | Altera Corporation | Integrated circuit voltage regulator |
US7646115B2 (en) | 2007-01-05 | 2010-01-12 |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 Regulator circuit with multiple supply voltages |
US7737674B2 (en) * | 2007-08-02 | 2010-06-15 |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Voltage regulator |
KR20100091406A (ko) | 2009-02-10 | 2010-08-1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레귤레이터 |
KR101620345B1 (ko) | 2009-04-07 | 2016-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Ldo 레귤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
US20110095737A1 (en) | 2009-10-27 | 2011-04-28 | Himax Technologies Limited | Voltage regulator, and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same |
TWI395083B (zh) | 2009-12-31 | 2013-05-01 | Ind Tech Res Inst | 低壓降穩壓器 |
KR20110078479A (ko) | 2009-12-31 | 2011-07-07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저 드롭 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JP5581868B2 (ja) * | 2010-07-15 | 2014-09-03 | 株式会社リコー | 半導体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定電圧回路 |
KR101238173B1 (ko) | 2010-12-27 | 2013-02-28 |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 고 슬루율과 고 단위 이득 대역폭을 가지는 저 드롭아웃 레귤레이터 |
US20130200870A1 (en) | 2012-02-06 | 2013-08-08 | Kishan Pradhan | Low-dropout voltage regulator having fast transient response to sudden load change |
CN103218003B (zh) | 2013-04-26 | 2015-06-10 |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 一种多电源输入的低压差稳压器 |
KR20150096197A (ko) * | 2014-02-14 | 2015-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집적회로의 누설전류 측정 회로 |
KR102365143B1 (ko) | 2015-09-22 | 2022-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
2015
- 2015-12-17 KR KR1020150181279A patent/KR102365143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9-21 DE DE102016117759.8A patent/DE102016117759B4/de active Active
- 2016-09-21 US US15/271,680 patent/US993379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89934A1 (en) | 2004-02-27 | 2005-09-01 |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 Efficient low dropout linear regulator |
JP2014206861A (ja) | 2013-04-12 | 2014-10-30 | 富士電機株式会社 | レギュレータ回路およびレギュレータを形成し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6117759A1 (de) | 2017-03-23 |
US20170083034A1 (en) | 2017-03-23 |
DE102016117759B4 (de) | 2021-09-16 |
KR20170035310A (ko) | 2017-03-30 |
US9933799B2 (en) | 201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5143B1 (ko) | 멀티-파워와 게인-부스팅 기술을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들 | |
KR102395603B1 (ko) | 오버슛과 언더슛을 억제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 |
US10423176B2 (en) | Low-dropout regulators | |
JP5649857B2 (ja) | レギュレータ回路 | |
US7439798B2 (en) | Regulator circuit | |
US7834611B2 (en) | Bandgap reference generating circuit | |
JP2007026337A (ja) | 電圧レギュレータ | |
US9651958B2 (en) | Circuit for regulating startup and operation voltage of an electronic device | |
US9792960B2 (en) | Signal driver circuit having adjustable output voltage for a high logic level output signal | |
KR102466145B1 (ko) | 전압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 |
CN106843348B (zh) | 电压调节器和包括该电压调节器的移动设备 | |
JP6038100B2 (ja) | 半導体集積回路 | |
US8581560B2 (en) | Voltage regulator circuit for generating a supply voltage in different modes | |
CN109992034B (zh) |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 | |
US996690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clipping and recovery in amplifier circuit | |
US11307644B2 (en) | Cross-domain power control circuit | |
US9767861B2 (en) | Regulated voltage supply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small chip area | |
KR101212736B1 (ko) | 코어전압 발생회로 | |
US10860045B1 (en) | High voltage compatible push-pull buffer circuit | |
US7826278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generating core voltage | |
US9874892B2 (en) | Internal voltage generation device | |
US20060139018A1 (en) | Device and method for low-power fast-response voltage regulator with improved power supply range | |
KR20150106169A (ko) | 버퍼 회로 | |
KR20140030550A (ko) | 안정적인 내부전원을 발생하는 반도체 장치 | |
KR20140028600A (ko) | 전압 구동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