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70B1 -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070B1 KR102365070B1 KR1020210078421A KR20210078421A KR102365070B1 KR 102365070 B1 KR102365070 B1 KR 102365070B1 KR 1020210078421 A KR1020210078421 A KR 1020210078421A KR 20210078421 A KR20210078421 A KR 20210078421A KR 102365070 B1 KR102365070 B1 KR 102365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roduct
- barcode
- transfer line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생산라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and in particular,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production line by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belt, etc. is defective, and it's about how
제조업 분야에서 제품, 예컨대 가전제품, 자동차, 항공기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제품을 반복적인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동화 생산공정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In the manufacturing field, an automated system for performing an automated production process is essential to mass-produce products having a complex structure, such as home appliances, automobiles, and aircraft, through repetitive processes.
자동화 생산공정은 컴퓨터 등의 여러 장비를 이용해 기계가 자동으로 빠른 시간에 다량의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것으로, 좁은 의미로는 제품을 만드는 실제에 있어서 생산 공정 또는 계측/제어의 자동화 혹은 설계 자동화 등의 국부적인 자동화를 뜻하고, 넓은 의미로는 제품의 수주에서 출하까지 일체의 생산활동을 효율적,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시스템 기술을 말한다.Automated production process i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produces a large amount of products in a short time using various equipment such as computers. In a broad sense, it refers to a system technology that efficiently and organically combines all production activities from product ordering to shipment.
이와 같이 자동화 시스템이 자동차, 전자제품 등의 생산라인에서 흔히 사용되면서 작업자의 일손을 덜어주는 것은 물론 생산성 향상과 산업변화에 기여하고 있다.As such, as automation systems are commonly used in production lines for automobiles and electronic products, it not only relieves workers, but also contributes to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industrial change.
그러나, 전술한 자동화 시스템은 부품을 자동 조립하는 과정과 같은 직접적인 생산 공정에서 상당 부분 적용되었으나, 해당 생산공정에 부품(또는 제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부품이 현재 생산공정 단계에서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기존과 같이 작업자를 통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생산공정에서는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제품불량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However, although the aforementioned automation system has been applied to a large extent in a direct production process such as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assembling part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parts are defective in the process of putting parts (or products) into the production process, or to check whether the parts are currently As in the past,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roduct is suitable at the stage of the production process is done manually through a worker. For this reason, in the product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existing automated system, problems such as product defects due to operator error could not be completely solved.
최근 들어,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제품에 바코드 등을 부착하고, 이를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인식하는 자동화 생산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작업자가 외부장치가 인식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의 불량여부 또는 제품투입의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제품불량 발생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In recent years, an automated produc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that attaches barcodes to products that are put into a production process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m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or appropriate for product input by check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external device is required, so there is still a problem of product defect caused by the operator's mistake. do.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생산라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duction line by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belt or the like is defect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을 센싱하는 센싱유닛; 상기 센싱유닛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라인 상에서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서 출력된 제품영상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라인을 통한 상기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lin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product transferred on the transfer line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unit;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oduct image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path of the product through the transfer 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방법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유무의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품영상의 바코드에서 바코드정보를 추출하여 제품정보와 동일여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유무의 판단결과 및 상기 바코드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utomatic control method of a product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the product based on a sensing result of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line;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rcode in the photographed product image; extracting barcode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of the product image and comparing whether it is the same as produc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arcode is present and a comparison result of the barcod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영상에 존재하는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바코드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제품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product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a product is defective in real time based on an image of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line or barcode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barcode existing in the image,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roduct transport path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의 불량판단 및 이를 통한 생산라인의 동작제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어 제품 생산의 공정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perform real-time operation control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defective product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production process time and cost,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production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production lin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analysis unit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FIG. 1 .
4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production l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s defined herein, and in the absence of specific definitions,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hereto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be described.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for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the ele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duction line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analysis unit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FIG.
본 실시예의 생산라인 자동제어시스템(100)은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미도시)의 불량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품의 이송경로가 달라지도록 이송라인(10), 즉 생산라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line
이러한 생산라인 자동제어시스템(100)은 센싱유닛(101), 촬영유닛(102), 경보유닛(103), 경로제어유닛(104) 및 이들과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105)을 포함할 수 있다. This production line
센싱유닛(101)은 이송라인(10)에 인접되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센싱유닛(101)은 이송라인(10) 상에서 이송방향에 따른 제품의 이송여부를 센싱하여 소정의 신호, 예컨대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신호는 후술될 제어유닛(105)으로 출력될 수 있다. One or
센싱유닛(101)은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센싱유닛(101)은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 즉 제품 이송방향의 일측에 설치된 제1근접센서(미도시)와 상기 제1근접센서에 대향되도록 이송라인(10)의 타측에 설치된 제2근접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 각각은 이송라인(10)의 상면에서 기 설정된 소정영역, 예컨대 제1 및 제2근접센서의 전방으로 설정된 센싱영역(SA) 내에 제품의 존재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근접센서는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이 센싱영역(SA) 내에 위치할 때 이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근접센서 각각은 이송라인(10)의 상면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can sense the presence of a product in a predetermined area pres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촬영유닛(102)은 전술된 센싱유닛(101)의 후방으로 소정 이격되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촬영유닛(102)은 센싱유닛(101)의 센싱결과에 따른 제어유닛(105)의 제어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유닛(102)은 촬영된 영상, 즉 제품영상을 제어유닛(105)으로 출력할 수 있다. One or
경보유닛(103)은 촬영유닛(102)의 후방으로 소정 이격되어 이송라인(1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경보유닛(103)은 제어유닛(105)의 제어에 기초하여 빛 또는 소리로 이루어진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경로제어유닛(104)은 이송라인(10)의 분기점, 다시 말해 제품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기경로가 구성된 분기점에 배치될 수 있다. 경로제어유닛(104)은 제어유닛(105)의 제어에 기초하여 분기경로를 선택적으로 차폐시켜 제품이 해당하는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예컨대, 경로제어유닛(104)은 일측이 이송라인(10)에 결합되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로제어유닛(104)은 제어유닛(105)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측, 즉 이송라인(10)에 결합되지 않은 타측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분기경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센싱유닛(101) 및 촬영유닛(102)을 통과한 제품은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에 따라 개방된 분기경로를 통해 후속 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제어유닛(105)은 센싱유닛(101)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유닛(102)의 제품 촬영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05)은 촬영유닛(102)의 제품영상을 분석하여 경보유닛(103) 및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05)은 촬영제어부(110), 타이머부(120), 영상분석부(130), 경로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정보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촬영제어부(110)는 센싱유닛(101)의 센싱신호에 따라 타이머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촬영유닛(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타이머부(120)는 센싱유닛(101)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제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예컨대, 타이머부(120)는 센싱신호의 출력시간, 즉 센싱유닛(101)에서 출력된 센싱신호가 제어유닛(105)으로 입력되는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센싱신호의 출력시간이 연속적으로 계측되고, 그 시간이 100~500ms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촬영제어부(1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촬영제어부(110)는 촬영유닛(102)으로 소정의 트리거신호, 즉 촬영신호를 출력하고, 촬영유닛(102)은 상기 촬영신호에 따라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촬영제어부(110)는 타이머부(120)에서의 센싱신호 출력시간 계측결과에 따라 촬영유닛(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오동작 등에 의해 센싱유닛(101)으로부터 짧은 시간동안 잡음 등과 같은 오류신호가 출력되더라도 타이머부(120)에 의해 촬영제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촬영유닛(102)을 통한 이송 제품의 촬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hotographing
영상분석부(130)는 촬영유닛(102)에서 출력되는 제품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130)는 영상판단부(131), 바코드분석부(133) 및 경보발생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영상판단부(131)는 촬영유닛(102)에서 출력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제품에 대한 소정의 정보, 예컨대 제품종류, 규격 또는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 영상판단부(131)는 촬영유닛(102)에서 출력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바코드분석부(133)는 영상판단부(131)의 판단결과에 따라 제품영상의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The
바코드분석부(133)는 제품영상에 포함된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 예컨대 제품종류, 규격 또는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바코드분석부(133)는 추출된 바코드정보와 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된 해당 제품에 대한 제품정보의 동일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분석부(133)의 비교결과에 따라 경보발생부(135) 또는 경로제어부(14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The
경보발생부(135)는 영상판단부(131) 또는 바코드분석부(133)에 의해 경보유닛(10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예컨대, 영상판단부(131)의 판단결과에 따라 제품영상에 바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경보발생부(135)는 경보유닛(103)의 동작을 제어하여 경보유닛(103)을 통해 소정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분석부(133)의 비교결과에 따라 바코드정보와 제품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발생부(135)는 경보유닛(103)의 동작을 제어하여 경보유닛(103)을 통해 소정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is no barcode in the product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경로제어부(140)는 영상분석부(130)에 의한 제품영상 또는 상기 제품영상에 포함된 바코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에 설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제어에 따라 이송라인(10)에서 제품의 이송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The path control
예컨대, 영상분석부(130)에 의해 판단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바코드정보와 제품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경로제어부(140)는 이송라인(10)의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수의 분기경로가 폐쇄되도록 하고, 이송라인(10) 자체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분석부(130)의 경보발생부(135)에 의해 경보유닛(103)이 동작됨으로써, 해당 생산라인의 관리자에게 현재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을 통지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is no barcode in the product image determined by the
또한, 영상분석부(130)에 의해 판단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정보와 제품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경로제어부(140)는 바코드정보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의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 중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수의 분기경로 중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경로의 개방을 통해 이송라인(10)으로 이송된 제품이 후속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barcode exists in the product image determined by the
통신부(150)는 제어유닛(105)과 센싱유닛(101), 제어유닛(105)과 촬영유닛(102), 제어유닛(105)과 경보유닛(103) 또는 제어유닛(105)과 경로제어유닛(104) 간에 소정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유닛(105)과 외부장치, 예컨대 제품생산라인의 관리를 위한 컴퓨터 또는 서버 간에 소정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데이터변환부(151)와 서로 다른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인터페이스(153), 제2인터페이스(155) 및 제3인터페이스(15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인터페이스(153)는 제어유닛(105)과 센싱유닛(101), 촬영유닛(102), 경보유닛(103) 또는 경로제어유닛(104)을 RS-232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제2인터페이스(155)는 제어유닛(105)과 외부장치를 LAN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제3인터페이스(157)는 제어유닛(105)과 외부장치를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무선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데이터변환부(151)는 제1인터페이스(153)를 통한 통신을 위해 제어유닛(10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거나, 센싱유닛(101) 또는 촬영유닛(10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The
또한, 데이터변환부(151)는 제2인터페이스(155) 또는 제3인터페이스(157)를 통한 통신을 위해 제어유닛(105)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환하거나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본 실시예의 생산라인 자동제어시스템(100)은 다양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내부 유닛간의 통신 또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을 위한 별도의 중계기가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the automatic production
정보저장부(160)에는 이송라인(10)에서 이송되는 제품에 대한 제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품정보는 이송되는 제품에 대한 종류, 규격, 생산일시, 생산라인,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정보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생산공정별 외부장치에서 새로운 제품정보가 전송되어 갱신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라인 자동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4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production l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d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line automati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송라인(10)을 통해 소정의 제품이 이송되면, 센싱유닛(101)은 그 전방으로 설정된 센싱영역(SA) 내에 이송되는 제품의 존재여부를 센싱하고,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 First, when a predetermined product is transferred through the
여기서,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에는 제품종류, 규격 또는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또한, 센싱유닛(101)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는 제어유닛(105)의 타이머부(120)에 수신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센싱신호의 출력시간, 즉 센싱신호의 수신시간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촬영제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부(120)에 수신되는 센싱신호가 100~500ms 동안 끊김없이 유지되는 경우에, 타이머부(120)는 촬영제어부(1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다음으로, 촬영제어부(110)는 타이머부(120)의 제어에 따라 촬영유닛(102)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촬영유닛(102)은 센싱유닛(101)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할 수 있다(S20). Next, the photographing
이어, 영상분석부(130)의 영상판단부(131)는 촬영유닛(102)에서 촬영된 제품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30). Next, the
영상판단부(131)의 판단결과 제품영상에 바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N), 제어유닛(105)은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영상분석부(130)의 경보발생부(135)는 경보유닛(103)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유닛(103)을 통해 빛 또는 소리로 이루어진 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경로제어부(140)는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송라인(1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S60). If the barcode does not exist in the product ima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131 (N), the
예컨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제어부(140)는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제1경로제어유닛(104a), 제2경로제어유닛(104b) 및 제3경로제어유닛(104c)이 이송라인(10)에서 제품의 후속공정으로 연결되는 이송라인(10)의 다수의 분기경로를 폐쇄하도록 그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D , the
이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촬영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이송라인(10)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해당 라인의 관리자에게 제품의 불량여부를 신속히 통지하여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is step, the presence of barcode in the photographed product image is determined,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한편, 영상판단부(131)의 판단결과 제품영상에 바코드가 존재하면(Y), 바코드분석부(133)는 해당 바코드에 기록된 바코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바코드정보와 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된 제품정보의 동일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S40). On the other hand, if the
여기서, 바코드분석부(133)의 비교결과 바코드정보와 제품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N), 제어유닛(105)은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영상분석부(130)의 경보발생부(135)는 경보유닛(103)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유닛(103)을 통해 빛 또는 소리로 이루어진 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경로제어부(140)는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송라인(1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S60). Here, whe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반면에, 바코드분석부(133)의 비교결과 바코드정보와 제품정보가 동일하면(Y), 제어유닛(105)은 이송되는 제품이 정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경로제어부(140)는 바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S50). On the other hand, if the bar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유무의 판단결과 및 상기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바코드정보의 동일여부 비교결과에 따라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을 판정하여 경보발생 및 이송라인(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defect of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제어부(140)는 바코드정보의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 중 제1경로제어유닛(104a)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송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은 개방된 이송경로를 따라 A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되어 후속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경로제어유닛(104b)과 제3경로제어유닛(104c)은 동작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송라인(10)에서 B공정 또는 C공정으로의 이송경로는 폐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 the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제어부(140)는 바코드정보의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 중 제2경로제어유닛(104b)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송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은 개방된 이송경로를 따라 B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되어 후속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경로제어유닛(104a)과 제3경로제어유닛(104c)은 동작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송라인(10)에서 A공정 또는 C공정으로의 이송경로는 폐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 the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제어부(140)는 바코드정보의 후속공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송라인(10)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104) 중 제3경로제어유닛(104c)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송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은 개방된 이송경로를 따라 C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되어 후속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경로제어유닛(104a)과 제2경로제어유닛(104b)은 동작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송라인(10)에서 A공정 또는 B공정으로의 이송경로는 폐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 the
그리고, 제어유닛(105)은 영상분석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 즉 이송되는 제품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의 판단결과 및 이에 따른 경로제어부(140)에 의한 이송라인(10)의 동작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70). Then, the
이때, 통신부(150)는 데이터변환부(151)를 통해 이송라인의 동작제어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제2인터페이스(155) 또는 제3인터페이스(157)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산라인 제어방법은 이송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제품을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영상에 존재하는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바코드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불량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이송라인(10)의 제품 이송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l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a product is defective in real time based on an image of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의 불량판단 및 이를 통한 생산라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품 생산의 공정단계,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etermination of product defects and the operation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i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by reducing the process steps, cost and time of product production.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생산라인 제어시스템 101: 센싱유닛
102: 촬영유닛 103: 경보유닛
104: 경로제어유닛 105: 제어유닛
110: 촬영제어부 120: 타이머부
130: 영상분석부 131: 영상판단부
133: 바코드분석부 135: 경보발생부
140: 경로제어부 150: 통신부100: production line control system 101: sensing unit
102: recording unit 103: alarm unit
104: path control unit 105: control unit
110: shooting control unit 120: timer unit
130: image analysis unit 131: image judgment unit
133: barcode analysis unit 135: alarm generating unit
140: path control unit 150: communication unit
Claims (9)
상기 센싱유닛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라인 상에서 상기 센싱유닛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제품을 촬영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유닛에서 출력된 제품영상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라인을 통한 상기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타이머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센싱신호의 출력시간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품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line in a sensing region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nsing unit to photograph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sensing unit on the transfer line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sensing signal, and controlling the transfer path of the product through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oduct image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he control unit i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utput time of the sensing signal measured through the timer un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hotographing unit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product.
상기 제어유닛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유닛; 및
상기 이송라인의 분기점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분기경로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다수의 경로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product production lin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th control units disposed at the branch point of the transfer line to selectively shield a plurality of branch path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영상판단부;
상기 제품영상에서 상기 바코드로부터 바코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바코드정보와 기 저장된 제품정보의 동일여부를 비교하는 바코드분석부; 및
상기 영상판단부의 판단결과 또는 상기 바코드분석부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유닛을 통해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n imag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barcode exists in the product image;
a barcode analysis unit that extracts barcode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from the product image and compares whether the barcode information and pre-stored product information are the same; and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controlling an alarm to be generated through the alarm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or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barcode analysis unit.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영상판단부의 판단결과 또는 상기 바코드분석부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제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product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t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th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or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barcode analysis unit.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타이머부에 의한 상기 센싱신호의 출력시간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및
상기 센싱유닛, 촬영유닛, 제어유닛 간의 통신 및 상기 제어유닛과 외부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photograph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output time of the sensing signal by the timer unit; and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product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ing unit, the record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device.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제품영상에서 바코드 유무의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품영상의 바코드에서 바코드정보를 추출하여 제품정보와 동일여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유무의 판단결과 및 상기 바코드정보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신호의 출력시간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제품을 촬영하는 단계인 것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방법.outputting a sensing signal by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duct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line within a sensing region;
photographing the product based on the sensing signal;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rcode in the photographed product image;
extracting barcode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of the product image and comparing whether it is the same as produc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rcode and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barcode information,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product,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of a product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line when the output time of the sensing 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영상에 상기 바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바코드정보가 상기 제품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품의 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이송라인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을 중단시킴과 함께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line,
If the barcode does not exist in the product image or the barcode information is not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Determining the defect of the produc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path control units disposed at a branch point of the transfer lin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line and generating an alarm. Line automatic control method.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바코드정보가 상기 제품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제품의 정상을 판단하고, 상기 이송라인의 분기점에 배치된 다수의 경로제어유닛 중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품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line,
If the barcode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product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is norma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path control units disposed at a branch point of the conveying line to control the conveying path of the product. method.
상기 이송라인의 동작제어 결과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생산라인의 자동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utomatic control method of a product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result of the transfer line to an external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421A KR102365070B1 (en) | 2021-06-17 | 2021-06-17 |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421A KR102365070B1 (en) | 2021-06-17 | 2021-06-17 |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070B1 true KR102365070B1 (en) | 2022-02-23 |
Family
ID=8049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8421A Active KR102365070B1 (en) | 2021-06-17 | 2021-06-17 |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07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3730B1 (en) * | 2022-07-13 | 2022-12-05 | 주식회사 에이피오토메이션 | Courier sorting and conveying system |
WO2024136018A1 (en) * | 2022-12-22 | 2024-06-27 | 주식회사 로아스 |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noise defects in home applian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432Y1 (en) * | 2004-12-31 | 2005-03-16 | 주식회사 태평양 | Apparatus for inspecting of label sticking state |
JP4149661B2 (en) * | 1997-10-29 | 2008-09-10 |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 Classification mechanism |
KR20140124904A (en) * | 2013-01-15 | 2014-10-28 | 주식회사 인베트 | Realtime working management apparatus |
KR20210008606A (en) * | 2019-07-15 | 2021-01-25 | 한현순 | Smart fact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prevention of materials error insert using optical code and image comparison |
-
2021
- 2021-06-17 KR KR1020210078421A patent/KR1023650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49661B2 (en) * | 1997-10-29 | 2008-09-10 |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 Classification mechanism |
KR200378432Y1 (en) * | 2004-12-31 | 2005-03-16 | 주식회사 태평양 | Apparatus for inspecting of label sticking state |
KR20140124904A (en) * | 2013-01-15 | 2014-10-28 | 주식회사 인베트 | Realtime working management apparatus |
KR20210008606A (en) * | 2019-07-15 | 2021-01-25 | 한현순 | Smart fact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prevention of materials error insert using optical code and image comparis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3730B1 (en) * | 2022-07-13 | 2022-12-05 | 주식회사 에이피오토메이션 | Courier sorting and conveying system |
WO2024136018A1 (en) * | 2022-12-22 | 2024-06-27 | 주식회사 로아스 |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noise defects in home appli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5070B1 (en) |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roducing line | |
KR101909836B1 (en) | HMI system for industrial process automation control, Process automation monitoring method based on the same | |
KR101804358B1 (en) | Equipmen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analysis | |
JP2014529125A (en) | Automated logistics system using trigger transfer device | |
CN110586485B (en) | Airport baggage emergency sor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 |
CN103903077A (en) | Danger source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 |
KR20090073643A (en) | Production sit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
US11138852B2 (en) | Remote diagnostics for flame detectors using fire replay technique | |
CN104484849A (en) | Customs checking and releasing system and method | |
CN105335770A (en) | Abnormal production event real-time management system | |
US11262716B2 (en) | Method for the parameterization of a sensor | |
CN105242655A (en) | Industrial on-site supervis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CN106452929A (en) | A device detection method, client and system | |
KR20190142648A (en) |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1535804B1 (en) | Automation Production System using sensing the motion of operator | |
US20240255925A1 (en) | Multi-sensor system fo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 |
CN104933454A (en) | Equipment spot inspection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42856B1 (en) | X-Ray Scanning Equipment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t | |
JP6284872B2 (en) | Elevator inspection system and elevator inspection method | |
WO2021006183A1 (en) | Task classification system and task classification program | |
WO202026097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ed machine, automated machine, and computer-program product | |
KR102128647B1 (en) | System for Surface Defect Inspection | |
CN113031523A (en) | Numerical control machine on-lin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Moufaddal et al. | Towards a novel cyber physical control system framework: a deep learning driven use case | |
CN104992201A (en) | Equipment spot-checking device based on Internet-of-things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