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4354B1 -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354B1
KR102364354B1 KR1020200112199A KR20200112199A KR102364354B1 KR 102364354 B1 KR102364354 B1 KR 102364354B1 KR 1020200112199 A KR1020200112199 A KR 1020200112199A KR 20200112199 A KR20200112199 A KR 20200112199A KR 102364354 B1 KR102364354 B1 KR 10236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filter
connector
rectifying uni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석
오웅석
김종수
김현빈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앤아이덴산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앤아이덴산,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앤아이덴산
Priority to KR102020011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3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제1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트랜스; 상기 제1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1 정류부; 상기 제1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1 LC 필터부; 상기 제1 LC 필터부를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필터용 커넥터; 제2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트랜스; 상기 제2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2 정류부; 상기 제2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2 LC 필터부; 및 상기 제2 LC 필터부를 상기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필터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는 병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UNINTERRUPTIBLE REPLACEMEN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복수로 구비하여, 하나의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가 고장나는 경우에 다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활선 상태의 무정전 상태로 교체함으로써 직류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장치는 반도체 제조 장비, 통신 장비, 보안 장비 등의 시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장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공개특허 제10-2011-0077801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3상 입력전원으로부터 선택된 2상 전압을 제어하는 직류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3상 입력전원 중 2상 입력전원의 선간전압을 검출하여 기준 크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입력전원의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크기 판단부; 2개의 단상 액티브 필터와 평활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제1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팅부; 및,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팅부;를 포함하되,상기 단상 액티브 필터는, 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단상 교류전압을 직류전압로 변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제1 단자에 접속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상기 정류부의 제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제1 단자와 상기 캐패시터의 제1 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여 직류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할 수 없어 이의 전원을 사용하는 장비들이 정지하게 되므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공정 중에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현재 공정 중인 운전 데이터를 백업하여야 하고, 이를 다시 운전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수율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공정을 진행하던 반도체 제조 장치의 내부에 주입된 공정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어 웨이퍼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다시 운전을 위해서는 공정가스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및 비용적인 손실이 매우 크게 된다.
통신장비, 보안장치, 병원, 기타 제조장치 등에서도 전원 공급의 중단에 의해 많은 시간적 및 비용적인 손실이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에 의해 전원 공급의 차단을 위해 UPS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을 대체할 수 있지만, 이러한 UPS는 매우 고가이고, 배터리에 충전된 백업 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이어서 정해진 시간 동안만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 동안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이 해결되지 않게 되면, 다시 위에서 언급한 정전 사고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공개특허 제10-2011-0077801호 전원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복수로 구비하여, 하나의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가 고장나는 경우에 다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활선 상태의 무정전 상태로 교체함으로써 직류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하는 회로에서 전자소자의 개수의 저감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제1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트랜스; 상기 제1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1 정류부; 상기 제1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1 LC 필터부; 상기 제1 LC 필터부를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필터용 커넥터; 제2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트랜스; 상기 제2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2 정류부; 상기 제2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2 LC 필터부; 및 상기 제2 LC 필터부를 상기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필터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는 병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트랜스와 상기 제1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랜스와 상기 제1 정류부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트랜스용 커넥터; 및 상기 제2 트랜스와 상기 제2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랜스와 상기 제2 정류부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트랜스용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상기 제1 및 제2 전원 소스는 상호 독립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는, 상기 제1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에 따르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복수로 구비하여, 하나의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가 고장나는 경우에 다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활선 상태의 무정전 상태로 교체함으로써 직류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하는 회로에서 전자소자의 개수의 저감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회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회로는, 제1 전원 소스(210),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215), 제1 LLC 트랜스(220), 제1 트랜스용 커넥터(225), 제1 정류부(230), 제1 LC 필터(235), 제1 필터용 커넥터(240), 제2 전원 소스(250),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255), 제2 LLC 트랜스(260), 제2 트랜스용 커넥터(265), 제2 정류부(270), 제2 LC 필터(275), 및 제2 필터용 커넥터(280)를 포함한다.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215)는 제1 전원 소스(210)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를 포함하고,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제1 LLC 트랜스(220)는 제2 트랜지스터(Q2)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1 인덕터(L1), 트랜스 1차 코일, 제1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는 때에는, 제1 인덕터(L1) -> 트랜스 1차 코일 -> 제1 캐패시터(C1)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제2 트랜지스터(Q2)가 동작하는 때에는, 제1 캐패시터(C1) -> 트랜스 1차 코일 -> 제1 인덕터(L1)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제1 트랜스용 커넥터(225)는 제1 LLC 트랜스(220)와 제1 정류부(23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LLC 트랜스(220)의 2차측과 제1 정류부(230)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1 정류부(230)는 제1 LLC 트랜스(220)의 2차측 양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캐소드가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한다. 제1 정류부(230)는 제1 LLC 트랜스(220)의 2차측에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기능과 전단의 고장시 역방향 전류 흐름의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의 고장시 역방향 전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소자)의 배치가 불필요하다. 즉, 제1 전원 소스(210),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215), 제1 LLC 트랜스(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장 나면, 제1 정류부(230) 내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의 캐소드에는 정상 출력 전압이,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의 애노드에는 고장난 출력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상태가 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제1 LC 필터(235)는 제1 정류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 전압을 필터링 한다. 한편, 캐패시터는 다른 소자들에 비해 전기적 노이즈에 취약하여 고장 가능성이 높다.
제1 필터용 커넥터(240)는 제1 LC 필터(235)와 직류 부하(29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LC 필터(235) 내 캐패시터의 고장시 제1 LC 필터(235)와 직류 부하(290) 간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255)는 제2 전원 소스(250)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3, Q4)를 포함하고,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제2 LLC 트랜스(260)는 제4 트랜지스터(Q4)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2 인덕터(L2), 트랜스 1차 코일,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Q3)가 동작하는 때에는, 제2 인덕터(L2) -> 트랜스 1차 코일 -> 제2 캐패시터(C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제4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는 때에는, 제2 캐패시터(C2) -> 트랜스 1차 코일 -> 제2 인덕터(L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제2 트랜스용 커넥터(265)는 제2 LLC 트랜스(260)와 제2 정류부(27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LLC 트랜스(260)의 2차측과 제2 정류부(270)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2 정류부(270)는 제2 LLC 트랜스(260)의 2차측 양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캐소드가 병렬연결되는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를 포함한다. 제2 정류부(270)는 제2 LLC 트랜스(260)의 2차측에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기능과 전단의 고장시 역방향 전류 흐름의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의 고장시 역방향 전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소자)의 배치가 불필요하다. 즉, 제2 전원 소스(250),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255), 제2 LLC 트랜스(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장 나면, 제2 정류부(270) 내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의 캐소드에는 정상 출력 전압이,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의 애노드에는 고장난 출력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상태가 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제2 LC 필터(275)는 제2 정류부(27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 전압을 필터링 한다. 한편, 캐패시터는 다른 소자들에 비해 전기적 노이즈에 취약하여 고장 가능성이 높다.
제2 필터용 커넥터(280)는 제2 LC 필터(275)와 직류 부하(29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LC 필터(275) 내 캐패시터의 고장시 제2 LC 필터(275)와 직류 부하(290) 간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전원 소스(210)와 제2 전원 소스(250)는 연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제1 전원 소스
215: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220: 제1 LLC 트랜스
225: 제1 트랜스용 커넥터
230: 제1 정류부
235: 제1 LC 필터
240: 제1 필터용 커넥터
250: 제2 전원 소스
255: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260: 제2 LLC 트랜스
265: 제2 트랜스용 커넥터
270: 제2 정류부
275: 제2 LC 필터
280: 제2 필터용 커넥터

Claims (4)

  1. 제1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트랜스;
    상기 제1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1 정류부;
    상기 제1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1 LC 필터부;
    상기 제1 LC 필터부를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필터용 커넥터;
    제2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상기 제2 하프 브릿지 컨버터 내 어느 하나의 출력전압을 상이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트랜스;
    상기 제2 트랜스의 출력 양단을 정류하는 제2 정류부;
    상기 제2 정류부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2 LC 필터부;
    상기 제2 LC 필터부를 상기 직류 부하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필터용 커넥터;
    상기 제1 트랜스와 상기 제1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랜스와 상기 제1 정류부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트랜스용 커넥터; 및
    상기 제2 트랜스와 상기 제2 정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랜스와 상기 제2 정류부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트랜스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 필터용 커넥터의 출력단자는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소스는 상호 독립적이며,
    상기 제1 하프 브릿지 컨버터는,
    상기 제1 전원 소스와 병렬연결되는 직렬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2199A 2020-09-03 2020-09-03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Active KR10236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9A KR102364354B1 (ko) 2020-09-03 2020-09-03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9A KR102364354B1 (ko) 2020-09-03 2020-09-03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354B1 true KR102364354B1 (ko) 2022-02-18

Family

ID=8049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199A Active KR102364354B1 (ko) 2020-09-03 2020-09-03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3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814A (ja) * 1997-10-07 1999-04-30 Fuji Electric Co Ltd 直流安定化電源の並列運転方式
KR20030011337A (ko) * 2001-03-23 2003-02-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자율적 1차 인버터를 구비한 스위치 모드 전원장치
KR20110077801A (ko) 2009-12-30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직류전원 공급방법
KR20120080098A (ko) * 2011-01-06 2012-07-16 지상시스템(주) 정전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1810426B1 (ko) * 2017-02-13 2017-12-19 전기선 듀얼 모드 전원 공급 장치
KR102088749B1 (ko) * 2019-04-25 2020-03-16 주식회사 젬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814A (ja) * 1997-10-07 1999-04-30 Fuji Electric Co Ltd 直流安定化電源の並列運転方式
KR20030011337A (ko) * 2001-03-23 2003-02-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자율적 1차 인버터를 구비한 스위치 모드 전원장치
KR20110077801A (ko) 2009-12-30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직류전원 공급방법
KR20120080098A (ko) * 2011-01-06 2012-07-16 지상시스템(주) 정전류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1810426B1 (ko) * 2017-02-13 2017-12-19 전기선 듀얼 모드 전원 공급 장치
KR102088749B1 (ko) * 2019-04-25 2020-03-16 주식회사 젬 전원 다중화 기능을 갖는 장수명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808B2 (en) Redundant power supply apparatus
US7579707B2 (en) Discharge prevention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the discharge prevention circuit
US872336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integrated charge/discharge circuit
EP1241776A1 (en) Power supply
US7141892B2 (en) Power supply method of a line interactive UPS and the line interactive UPS
JP2000324720A (ja) 無停電性二重化電源装置
US6940188B2 (en) Electric power converting device
CN100403642C (zh) 功率变换装置
EP4195447A1 (en) Battery voltage control and regulation
US5731692A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overshoot in a voltage and current control circuit
KR102364354B1 (ko) 무정전 교체용 직류 전원 공급 장치
US6961250B2 (en) Non-isolated AC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630786B (zh) 備援式電源供應裝置
US20230409095A1 (en) Power Architecture for Server and IT Equipment Rack
CN109104086B (zh) 一种具有功率因数修正功能的直流对直流转换器
US7151678B2 (en) Power system with redundant power supply apparatus
KR101343953B1 (ko) 배터리 방전기를 제거한 이중변환 무정전전원장치
KR102815721B1 (ko)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3상 강압형 전력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US2015000693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CN111327194B (zh) 共直流电源的电源转换器及供电装置
JP2020150703A (ja) 電源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
JPS5837717A (ja) 電源装置の出力保持時間補償回路
US12197262B2 (en) Arrangement of first stag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second stage DC/DC converter between package and motherboard of IT equipment
WO2024127578A1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EP3952081B1 (en) Conversion apparatus with three-level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