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3479B1 -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 Google Patents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79B1
KR102363479B1 KR1020210033021A KR20210033021A KR102363479B1 KR 102363479 B1 KR102363479 B1 KR 102363479B1 KR 1020210033021 A KR1020210033021 A KR 1020210033021A KR 20210033021 A KR20210033021 A KR 20210033021A KR 102363479 B1 KR102363479 B1 KR 10236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olymer
rotigotine
examples
colorless transpar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원
송재곤
류민지
신호철
란잔 칸 판카즈
권혁일
Original Assignee
환인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인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환인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79B1/ko
Priority to KR1020220017832A priority patent/KR2022012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79B1/ko
Priority to PCT/KR2022/003491 priority patent/WO2022191675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로티고틴을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Percutaneous absorption system comprising rotigotine}
본 발명은 로티고틴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로티고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점착기제를 함유하는 약물함유 점착층; 지지층 및 박리층을 포함하는 경피 흡수 제제에 관한 것이다.
로티고틴(rotigotine)은 도파민 효현제(agonist)로서, 파킨슨병 및 하지불안 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느린 운동(bradykinesia), 떨림(전진), 근육 강직 등의 운동장애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주로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도파민의 생성이 불완전하여 운동신경 피질의 자극이 감소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 환자는 운동장애로 인하여 움직이는 것이 매우 불편하므로, 파킨슨병 환자가 스스로 직접 약물을 복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파킨슨병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약리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제형으로 제제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상표명이 뉴프로(Neupro)인 경피 흡수 제제가 해외에서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 점착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실리콘 계열의 점착제는 아크릴 계열의 점착제보다 고가이면서 점착성 등의 물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의 점착제로서 실리콘 계열이 아닌 아크릴 계열로 사용하는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점착제로서 아크릴 계열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성분인 로티고틴이 결정으로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뉴프로의 개발 초기에는 아크릴 계열 점착제를 함유하는 제품도 함께 개발 중이었으나 약물 용출률이 지나치게 낮은 문제가 있어서, 결국 실리콘 계열 점착제를 사용하는 제품이 상용화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532호
본 발명은 아크릴 계열의 점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로티고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아크릴계 고분자 점착제를 함유하는 약물함유 점착층; 지지층; 및 박리층을 포함하는 경피 흡수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함유 점착층은 오일 및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은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친유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ic triglyceride)일 수 있다. 친유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친유 균형(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이 0 내지 10 의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SPAN 계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머는 폴록사머,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유드라짓 NE 계열),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유드라짓 RL 계열),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는 폴록사머, 저치환도-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및 상기 폴리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약물함유 점착층의 건조 후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고분자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DURO-TAK 87-900A, DURO-TAK 87-9301, DURO-TAK 87-4098, DURO-TAK 387-2510, DURO-TAK 387-2287, DURO-TAK 87-4287, DURO-TAK 387-2516, DURO-TAK 87-2074, DURO-TAK 87-235A, DURO-TAK 387-2353, DURO-TAK 87-2852, DURO-TAK 387-2051, DURO-TAK 387-2052, DURO-TAK 387-2054, DURO-TAK 87-2194, DURO-TAK 87-2196, DURO-TAK 87-6908, GELVA GMS 3083, GELVA GMS 3253, GELVA GMS 788, GELVA GMS 9073 등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함유 점착층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흡수 제제는 유효성분인 로티고틴의 결정 생성이 억제되고, 피부투과성이 우수하며, 피부 점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 점착제를 사용한 시판 제품과 대비할 때 약물 용출이 동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분자 점착제가 피부 피착면에 잔류하는 콜드 플로우(cold flow) 현상이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및 대조약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결정생성 여부를 관측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의 비교 용출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16에 대하여 콜드 플로우 현상 발생 여부를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6 및 7과 대조약의 경피 투과량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가 어떤 의미로든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1.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약물함유 점착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4 5
로티고틴 8.8 8.8 8.8 11.3 8.8 8.8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 71.5 81.3 81.3 63.7 71.5  
실리콘계 점착성 고분자
(BIO-PSATM Q7-4301)
          43.6
실리콘계 점착성 고분자
(BIO-PSATM Q7-4201)
          43.6
결정방지제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19.6 9.8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9.8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25.0    
폴리소베이트 80         19.6  
폴리비닐피로리돈           3.9
항산화제 메타비설파이트나트륨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0.02 0.02 0.02 0.03 0.02 0.02
디엘알파토코페롤 0.05 0.05 0.05 0.06 0.05 0.05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약물 함유 점착층
성상
초기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반투명
1개월 후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반투명
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결정 생성 X X X X
f2 value 54.1 64.6 57.6 32.5 34.5 -
*) 물성 항목은 (i) 약물함유 점착층, 박리지 및 지지층의 분리 여부, (ii) 합지 및 박리지 제거시의 이형력, (iii) 지지층 밖으로의 약물 유출 여부 등을 평가한 결과임.
구체적으로, 50mL 차광 바이알에 결정방지제를 넣고, 여기에 에탄올을 적량 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로티고틴 유리 염기 및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를 넣은 후, 이 혼합물을 믹서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에탄올에 녹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와 DL-알파-토코페롤(dl-alpha tocopherol) 및 정제수에 녹인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sodium metabisulfite)을 첨가하고, 롤 믹서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30분간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코팅기 위에 실리콘이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박리 필름을 놓고, 상기 제조된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이후, 80℃ 오븐에서 6분간 건조한 후에,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 위로 지지층 필름을 합지하고,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패취 절단기를 이용하여 면적 10cm2의 경피 흡수 제제를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각 실시예와 비교예(여기에서 비교예는 결정방지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고, 점착성 고분자로서 실리콘계 점착성 고분자를 사용한 것임)의 경피 흡수 제제 및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 중인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이하, '대조약'이라 한다)를 대상으로 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물성, 성상 및 결정 석출 여부를 시험하고, 용출 시험 및 콜드 플로우(Cold flow) 시험을 진행하였다. 관찰 및 실험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실시예 6 내지 16의 경피 흡수 제제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약물함유 점착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6 내지 16의 경피 흡수 제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중량%)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로티고틴 11.2 11 12.9 11.3 11.3 11.3 11.3 11.3 11.3 11.3 11.3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 79.3 69.4 74.2 76.2 76.2 76.2 76.2 76.2 76.2 76.2 76.2
오일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7.5 9.8 8.6     6.3     6.3 6.3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6.3 6.3   6.3 6.3   6.3
폴리머 폴록사머 407 1.9 9.8 4.3 6.3          
유드라짓 RLPO         6.3        
저치환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6.3 6.3    
유드라짓 NE30D               6.3 6.3
폴리에틸렌 글리콜 6.3 6.3
항산화제 메타비설파이트나트륨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0.02 0.02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디엘알파토코페롤 0.06 0.06 0.07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패취 성상 초기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1개월 후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결정 생성 X X X X X X X X X X X
f2 value 64.2 61.8 55.9 60.7 53.4 73.25 55.17 52.94 67.35 40.69 34.82
Cold flow X X X X O O X X X X X
경피용출율(μg/cm2) 38.5 49.7 -
*) 물성 항목은 (i) 약물함유 점착층, 박리지 및 지지층의 분리 여부, (ii) 합지 및 박리지 제거시의 이형력, (iii) 지지층 밖으로의 약물 유출 여부 등을 평가한 결과임.
구체적으로, 50mL 차광 바이알에 폴록사머, 유드라짓,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머를 넣고, 여기에 에탄올을 적량 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sorbitan monooleate)를 결정방지제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60℃에서 천천히 교반하여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었다.
여기에 로티고틴 유리 염기 및 아크릴계 점착제를 넣은 후, 이 혼합물을 믹서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에탄올에 녹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와 DL-알파-토코페롤 및 정제수에 녹인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을 첨가하고, 롤 믹서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30분간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코팅기 위에 실리콘이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박리 필름을 놓고, 상기 제조된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이후, 80℃ 오븐에서 6분간 건조한 후에, 약물 함유 점착층 조성물 위로 지지층 필름을 합지하고,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패취 절단기를 이용하여 면적 10cm2의 경피 흡수 제제를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 및 대조약을 대상으로 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물성, 성상 및 결정 석출 여부를 시험하고, 용출 시험 및 콜드 플로우(Cold flow) 시험을 진행하였다. 관찰 및 실험결과를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다.
3. 실험예 1 : 물성 관찰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에 대하여 (i) 약물함유 점착층, 박리지 및 지지층의 분리 여부, (ii) 합지 및 박리지 제거시의 이형력, (iii) 지지층 밖으로의 약물 유출 여부 등을 관찰하고, 시험 결과를 표 1 및 2에 기재하였다.
시험 결과,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특이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아니하였다.
4. 실험예 2: 장기 안정성 시험 ( 경피 흡수 제제의 결정 석출 여부 평가)
실시예 1 내지 16과 비교예의 각 경피 흡수 제제 및 대조약(각 샘플의 크기는 모두 10cm2)를 페트리 디쉬에 넣고, 40℃ 75% RH와 -20℃의 두 조건에서 온도 사이클 시험을 진행하였다.
40℃ 75% RH 조건에서 2일 보관하고, 이어서 -20℃ 온도 조건에서 2일 보관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7 사이클 진행 후 경피 흡수 제제에서의 결정 석출 여부를 눈으로 관찰하고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e)으로 촬영하였다. 결정 석출 정도를 X(결정 석출 없음), △(미세 결정 석출) 및 ○(결정 석출)의 도형으로 표시하여 상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다(배율 ×40 및 ×100).
실험 결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경피흡수 제제는 약물함유 점착층에서 가혹조건에서도 결정이 석출되지 않거나, 미세한 결정이 석출될 뿐이었는데,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는 상기 가혹조건에서 확연하게 결정 석출이 관찰되었다.
5. 실험예 3: 비교 용출 시험(Dissolution)
실시예 1 내지 16과 비교예의 경피 흡수 제제 및 대조약을 각 6매(10㎠/1매)씩 취하여 미국 약전(USP: United States Pharmacopeia) 중 경피 제제의 패들 오버 디스크(Paddle over disk (Apparatus 5))법에 따라 비교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용출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중앙에 약물함유 점착층이 위로 향하도록 부착하고, 탈기한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용액, pH=4.5) 900 mL를 용출액으로 준비하여 온도를 32±0.5℃로 유지하면서 용기(Vessel)에 옮겼다. 용출액 용기의 안쪽 바닥과 디스크 사이의 거리를 25±2 mm가 되도록 고정하고, 패들 회전 속도 50rpm의 조건에서 검액을 소정 시간마다 채취하였다. 검액 채취시간은 0.25, 0.5, 0.75, 1, 1.5, 2, 3, 4, 5, 6 시간이며, 검액 3ml을 취한 뒤, 채취한 검액량과 동일한 양의 상기 용출액을 용기 내에 보충하였다.
각 샘플링 시간의 로티고틴의 용출량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고, 대조약 대비 용출율을 비교하였다.
HPLC 분석조건
컬럼: Waters Xbridge C18 (150mm x 4.6, 5um)
이동상:
Solution A : Acetonitrile
Solution B : 0.79g ammonium hydrogen carbonate in 1L of water. Adjust pH 9.5 with ammonia solution and filfer it through a 0.22um nylon filter
유속: 1.8 mL/min
컬럼온도: 40℃
주입량: 100㎕
검출: PDA/UV(분석파장 220nm)
비교 용출 시험 결과, 도 2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5는 비교예와 비교할 때 용출 기준(f2 value 50 이상)을 만족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5 및 16의 경피 흡수 제제는 대조약과 비교할 때 f2의 값이 용출률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f2는 비교 용출 시험에서 사용되는 유사성 인자로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29772396-pat00001
상기식에서,
n은 용출률 측정 시점 수이고,
Rt는 시점 t에서 관측한 대조 검체의 용출률(%)이며,
Tt는 시점 t에서 관측한 시험 검체의 용출률(%)이다.
상기 유사성 인자 f2는 0 과 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용출 차이가 적을수록 100에 가까워진다. f2가 50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면 두 용출 양상은 유사한 것으로 평가한다.
6. 실험예 4: 콜드 플로우 ( Cold flow) 시험
실시예 1 내지 16과 대조약을 각각 10㎠로 절단하여 페놀수지 판에 부착한 후, 32 ~ 37.5℃ 오븐(oven)에 24시간 보관하였다. 부착된 경피 흡수 제제를 페놀수지 판에서 떼어 낸 후, 페놀수지 판의 잔류물 존재 여부 및 부착 정도를 눈으로 관찰하고,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잔류물 또는 피착물이 있는 경우 ○, 잔류물 또는 피착물이 없는 경우 X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경피 흡수 제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착제가 잔류하는 현상(cold flow)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고분자 물질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6 내지 16의 경피 흡수 제제 중에서는 실시예 10 및 11에서 콜드 플로우가 관찰되었다.
7. 실험예 5: in vitro 피부투과도 시험
f2 값의 기준을 만족하는 실시예 중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경피 흡수 제제와 대조약에 대하여 시험관내 피부투과도를 프란츠 셀(Franz cell, vertical diffusion cell)로 평가하였다.
용출액으로서 리셉터(Receptor) 내에 6%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레일에텔액을 넣고, 프란츠 셀의 내부 온도는 피부 온도와 유사한 32 ± 0.5℃가 되도록 유지시켰다. 마그네틱 교반기 속도 600rpm 으로 일정하게 교반하여 용액내의 잔류 기체를 제거하였다. 경피 흡수 제제를 프란츠 셀의 상부 공여셀 면적에 맞게 절단한 후, 인간 피부(human cadaver skin) 위에 고정하고 피부를 통하여 리셉터 내로 확산된 검액을 시간마다 채취하였다. 검액 채취시간은 0.5, 1, 1.5, 2, 2.5, 3, 4, 5, 6, 9, 12, 18, 24 시간이며 채취된 검액은 아래와 같은 분석조건으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조건
컬럼: Waters Xbridge C18 (150mm x 4.6, 5um)
이동상:
Solution A : Acetonitrile
Solution B : 0.79g ammonium hydrogen carbonate in 1L of water. Adjust pH 9.5 with ammonia solution and filfer it through a 0.22um nylon filter
유속: 1.8 mL/min
컬럼온도: 40℃
주입량: 100㎕
검출: PDA/UV(분석파장 220nm)
실험 결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은 대조약과 유사한 경피흡수율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7은 대조약보다 높은 경피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흡수 제제는 유효성분인 로티고틴의 피부투과성이 우수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로티고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아크릴계 고분자 점착제, 오일 및 폴리머를 함유하는 약물함유 점착층; 지지층; 및 박리층을 포함하는 경피 흡수 제제로서,
    상기 오일은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폴리머는 폴록사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경피 흡수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인 경피 흡수 제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함유 점착층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경피 흡수 제제.
KR1020210033021A 2021-03-12 2021-03-12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Active KR10236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21A KR102363479B1 (ko) 2021-03-12 2021-03-12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KR1020220017832A KR20220128273A (ko) 2021-03-12 2022-02-10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PCT/KR2022/003491 WO2022191675A1 (ko) 2021-03-12 2022-03-12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021A KR102363479B1 (ko) 2021-03-12 2021-03-12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832A Division KR20220128273A (ko) 2021-03-12 2022-02-10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479B1 true KR102363479B1 (ko) 2022-02-15

Family

ID=803258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021A Active KR102363479B1 (ko) 2021-03-12 2021-03-12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KR1020220017832A Withdrawn KR20220128273A (ko) 2021-03-12 2022-02-10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832A Withdrawn KR20220128273A (ko) 2021-03-12 2022-02-10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63479B1 (ko)
WO (1) WO20221916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75A1 (ko) * 2021-03-12 2022-09-15 환인제약 주식회사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2880A (ko) * 2022-12-26 2024-07-03 환인제약 주식회사 경피흡수용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32B1 (ko) 2002-12-30 2008-12-24 쉬바르츠파르마에이지 로티고틴 염기의 경피투여시스템
KR20110082142A (ko) * 2008-10-06 2011-07-18 밀란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비정질 로티고틴 경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5562B2 (ja) * 2008-05-30 2015-04-08 マイラ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安定化された経皮薬物送達システム
KR20130112413A (ko) * 2012-04-04 2013-10-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리도카인 또는 그의 염 및 프릴로카인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제
WO2014193190A1 (ko) * 2013-05-30 2014-12-04 에스케이케미칼 (주) 로티고틴과 지방산 및 스티렌 점착제를 함유한 경피치료시스템
KR102499141B1 (ko) * 2016-10-31 2023-02-13 신신제약 주식회사 수면장애 치료용 경피흡수제제
KR102363479B1 (ko) * 2021-03-12 2022-02-15 환인제약 주식회사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32B1 (ko) 2002-12-30 2008-12-24 쉬바르츠파르마에이지 로티고틴 염기의 경피투여시스템
KR20110082142A (ko) * 2008-10-06 2011-07-18 밀란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비정질 로티고틴 경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75A1 (ko) * 2021-03-12 2022-09-15 환인제약 주식회사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675A1 (ko) 2022-09-15
KR20220128273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4496C2 (ru) Нанесенный на ленту препарат для чрескожного введения, содержащий фентанил
EP217721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rotigotine, its use and transdermal patch comprising the composition
KR100275593B1 (ko) 경피 침투 강화제로써 트리아세틴
US559368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015522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2761600C (en) Fentanyl-containing adhesiv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WO1995001767A1 (en) Monolithic matrix transdermal delivery system
KR102363479B1 (ko) 로티고틴 함유 경피 흡수 제제
KR20050062627A (ko) 펜타닐 경피 외용 접착제
CN112915071A (zh) 一种含有美金刚的透皮贴剂
KR100610626B1 (ko) 고 효능의 신경이완제를 갖는 경피성 치료 시스템
EP2068847B1 (en) Preparation and composition of meloxicam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KR100439659B1 (ko) 툴로부테롤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용 패취제
EP031521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17797125A (zh) 含有秋水仙碱的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05596A (ko) 그라니세트론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JP2002500178A5 (ko)
HK1142805B (en) Composition comprising rotigotine, its use and transdermal patch comprising the composition
KR20100095059A (ko) 시부트라민 함유 경피흡수제제
HK1009746B (en) Percutaneous tape preparation containing fentanyl
IE6947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02500178A (ja) 抗酸化剤含有tts
HK1142805A (en) Composition comprising rotigotine, its use and transdermal patch comprising th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2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