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306B1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306B1 KR102363306B1 KR1020200036913A KR20200036913A KR102363306B1 KR 102363306 B1 KR102363306 B1 KR 102363306B1 KR 1020200036913 A KR1020200036913 A KR 1020200036913A KR 20200036913 A KR20200036913 A KR 20200036913A KR 102363306 B1 KR102363306 B1 KR 102363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mouthpiece
- points
- oral
- sin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6071 Rhi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9101 Rhi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수의 근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발광부를 구현함으로써, 부비동 내에 정확한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2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S42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S43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120: 내측부, 130: 지지부,
140a, 140b, 140c: LED, 200: 부비동 측정 장치,
210: 제어부, 220: 촬영부,
230: 영역 설정부, 240: 선택부,
250: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조합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LED가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3개 이상으로 나열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와 인접한 제2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LED와 인접한 제3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와 상기 제3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 별로 선택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을 설정하는 설정부, 그리고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P1)는,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LED가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3개 이상으로 나열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와 인접한 제2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2 LED와 인접한 제3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와 상기 제3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하고, 상기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 별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913A KR102363306B1 (ko) | 2020-03-26 | 2020-03-26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913A KR102363306B1 (ko) | 2020-03-26 | 2020-03-26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0330A KR20210120330A (ko) | 2021-10-07 |
KR102363306B1 true KR102363306B1 (ko) | 2022-02-16 |
Family
ID=7811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6913A Active KR102363306B1 (ko) | 2020-03-26 | 2020-03-26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30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21843A1 (en) | 2013-02-02 | 2014-08-0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
KR101653180B1 (ko) | 2008-07-30 | 2016-09-01 |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1196B1 (ko) * | 2018-11-19 | 2021-07-22 | 울산과학기술원 | 부비동 관찰을 위하여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는 마우스피스 |
-
2020
- 2020-03-26 KR KR1020200036913A patent/KR1023633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180B1 (ko) | 2008-07-30 | 2016-09-01 |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
US20140221843A1 (en) | 2013-02-02 | 2014-08-0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0330A (ko) | 202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78780A1 (en) | Video Laryngoscope Systems | |
ES2901406T3 (es) | Sistemas y métodos de iluminación de párpados para imagenología de las glándulas de Meibomio para análisis de las glándulas de Meibomio | |
US1105171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 |
WO2017223208A1 (en) | Wide field fundus camera with auto-montage at a single alignment | |
WO2016076059A1 (ja) |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06773080A (zh) | 立体显示装置及显示方法 | |
US2022028760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upillary response | |
CN102799878A (zh) | 虹膜人脸融合采集装置 | |
US20240285379A1 (en) | Gradual surface quality feedback during intraoral scanning | |
CN112888356A (zh) | 电子内窥镜系统与数据处理装置 | |
KR102363306B1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
KR102363308B1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 |
US20120148116A1 (en) |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 |
CN105812774A (zh) | 基于插管镜的立体显示系统及方法 | |
KR20200089204A (ko) | 인지 장애인을 위한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 |
JP3711053B2 (ja) | 視線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と、視線測定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JP2006305332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 | |
KR101231283B1 (ko) | 안면 자가촬영장치 | |
KR20210120334A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근적외선 사진의 동기화 방법 | |
KR102363307B1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위치판단 방법 | |
KR102406999B1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상태 판단 방법 | |
KR20210120335A (ko)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최적의 근적외선 사진 획득방법 | |
CN204377057U (zh) | 基于插管镜的立体显示系统 | |
WO2022009285A1 (ja) |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 |
EP4585134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operation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iagnosis suppor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