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1127B1 - 세탁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27B1
KR102361127B1 KR1020150081047A KR20150081047A KR102361127B1 KR 102361127 B1 KR102361127 B1 KR 102361127B1 KR 1020150081047 A KR1020150081047 A KR 1020150081047A KR 20150081047 A KR20150081047 A KR 20150081047A KR 102361127 B1 KR102361127 B1 KR 10236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redetermined length
refrigerant pipe
pipe
lock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641A (ko
Inventor
정기욱
제해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27B1/ko
Priority to US15/177,508 priority patent/US20160362829A1/en
Publication of KR2016014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링(30, Lock Ring)을 이용하여 열교환기(1)와 냉매파이프(20)를 기계적으로 연결해주는 구조가 포함된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장치는, 열교환기에 냉매를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안내하는 제 1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냉매파이프(20), 및 냉매파이프(20)와 연결되는 상기 제 1금속재질과 다른 제 2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냉매출입부(10)가 구비된 열교환기(1)를 포함하고,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A)까지 범위의 단부(11,21)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오목하게 둔각으로 각진 안착부(15,2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이 안착부(15,25)에 걸리어 안착되며, 상기 확관된 단부(11,21)의 외경면을 둘러싸고 상기 확관된 단부(11,21)의 내경면과 상기 삽입된 단부의 외경면이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락링(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장치 {Device for dry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링(Lock Ring)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와 냉매파이프를 기계적으로 연결해주는 구조가 포함된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건조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세탁물에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열풍을 세탁물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기히터 또는 응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시킨다.
세탁물 건조장치의 건조시스템은,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분류된다. 세탁물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식 건조시스템, 상기 공기를 세탁물에 재공급시키는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상기 공기 중 일부는 배기시키고 나머지는 순환시키는 하이브리드(Hybrid) 건조시스템이 있다.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습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순환식 건조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에서, 상기 공기 중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응축을 위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은, 공냉식 시스템, 수냉식 시스템, 및 증발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세탁물 건조장치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는 다음과 같은 시스템으로 공기와 열교환한다.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열을 발산하고, 응축기를 거쳐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로 유입되어 열을 흡수한다.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는 냉매파이프에 의해 연결된다.
열교환기인 응축기 및 증발기의 냉매출입부와 냉매파이프를 용접하여 연결하면, 접합부의 불량률이 커서 냉매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출입부와 냉매파이프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에 냉매 누설 가능성은 더 커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 건조장치의 공기 가열성능 및 응축성능을 유지하여 장치의 건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물 건조장치의 제품 불량율을 낮추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물 건조장치의 제조시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열교환기에 냉매를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안내하는 제 1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냉매파이프, 및 상기 냉매파이프와 연결되는 상기 제 1금속재질과 다른 제 2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냉매출입부가 구비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해결수단을 추가한다.
상기 냉매출입부와 상기 냉매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까지 범위의 단부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오목하게 둔각으로 각진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출입부와 상기 냉매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에 걸리어 안착된다. 상기 세탁물 건조장치는, 상기 확관된 단부의 외경면을 둘러싸고 상기 확관된 단부의 내경면과 상기 삽입된 단부의 외경면이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락링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하나는, 말단에서 상기 제 1소정길이보다 큰 제 2소정길이까지 범위의 단부가 축관될 수 있다. 상기 제 2소정길이는, 상기 제 1소정길이에 상기 락링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좋다. 이 경우, 외경이 소정 비율로 줄어들도록 축관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는, 말단에서 상기 제 1소정길이에 상기 락링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큰 제 3소정길이까지의 구간이 곧게 뻗어있는 것이 좋다.
상기 락링은, 상기 제 1소정길이에서 상기 락링의 길이를 뺀 값보다 작은 제 4소정길이만큼, 상기 확관된 단부의 말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공기 가열성능 및 응축성능을 유지함으로써, 장치의 건조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냉매출입부와 냉매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확관시킨 것에 다른 하나의 단부를 삽입하고 락링으로 압착함으로써, 연결부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불량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가 확관되는 범위를 제 1소정길이로 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이 안착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삽입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부가 축관되는 범위를 제 2소정길이로 하고 축관 되는 비율을 소정 비율로 함으로써, 락링 설치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부 외경면과 락링 내경면의 접촉에의한 긁힘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곧게 뻗어있는 구간을 제 3소정길이로 함으로써, 락링 설치시 필요한 도구의 동작거리를 확보하여, 제품의 제조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링이 상기 말단에서 제 4소정길이만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연결부의 냉매 누설 가능성을 더욱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력을 가진 재질을 밀착면에 도포함으로써, 밀착면을 더욱 기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열교환기의 냉매출입부(10), 냉매파이프(20), 및 락링(30)이 조립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 및 2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또는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확관되고, 그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부(15,25)에 말단(28,18)이 걸리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제 3실시예 및 4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또는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확관되고, 그 안으로 축관된 다른 하나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부(15,25)에 말단(28,18)이 걸리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제 3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냉매파이프(20) 및 락링(30)이 조립된 후의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냉매파이프(20)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따라 자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락링(30)의 설치에 따른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의 변형을 과장해서 그린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장치는, 배기식 건조시스템, 순환식 건조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가진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1)는 냉매가 통과하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확관'은 파이프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축관'은 파이프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시스템들을 가진 세탁물 건조장치에서, 응축기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식 건조시스템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가진 세탁물 건조장치에서, 재공급될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식 건조시스템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을 가진 세탁물 건조장치에서, 배기되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열교환기의 냉매출입부(10), 냉매파이프(20), 및 락링(30)이 조립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1)인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열교환기(1)에 냉매를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안내하는 제 1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냉매파이프(20)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는, 냉매파이프(20)와 연결되는 상기 제 1금속재질과 다른 제 2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냉매출입부(10)가 구비된다.
상기 냉매파이프(20)는, 압축기(미도시)를 거친 냉매가 상기 응축기로 인입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고,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가 팽창밸브(미도시)로 인입되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팽창밸브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냉매파이프(20)는, 상기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인입되도록 상기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고, 상기 증발기를 거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인입되도록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한다. 상기 냉매파이프에 의한 연결 유로 상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는, 공기와 냉매 사이에 서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열교환배관과 방열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배관의 양 끝에, 냉매출입부(10)가 구성된다. 냉매출입부(10)는, 상기 열교환배관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품으로 상기 열교환배관의 양 끝에 결합될 수도 있다.
냉매출입부(10)는 하나의 열교환기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냉매출입부(10)는, 열교환기에 냉매가 인입되도록 냉매파이프(20)와 연결되는 부분, 또는 열교환기의 냉매가 인출되도록 냉매파이프(2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 열교환기는 응축기와 증발기로서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냉매출입부(10)는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
냉매파이프(20)는 상기 제 1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금속재질은, Al 또는 Cu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Cu이다.
냉매출입부(10)는 상기 제 2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금속재질은, Al 또는 Cu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2금속재질은 상기 제 1금속재질과 다르므로, 상기 제 1금속재질이 Al 또는 Cu인 경우에, 상기 제 2금속재질은 각각 Cu 또는 Al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의 기계적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A)까지 범위의 단부가 확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A)만큼 떨어진 위치의 내경면이 오목하게 둔각으로 각(Degree)이진 안착부(15,25)가 형성된다. 상기 '각'의 의미는, 모가 곡선으로 구부러진 정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 중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 안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이 안착부(15,25)에 걸리어 안착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확관된 단부의 외경면을 둘러싸는 락링(30)을 포함한다. 락링(30)은 상기 확관된 단부의 외경면을 압착하여, 상기 확관된 단부의 내경면과 상기 삽입된 단부의 외경면을 밀착시킨다.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확관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축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 1실시예 및 2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또는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확관되고, 그 안으로 다른 하나의 단부가 축관되지 않은 채로 삽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부(15,25)에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28,18)이 걸리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제 3실시예 및 4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또는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확관되고, 그 안으로 축관된 다른 하나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부(15,25)에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28,18)이 걸리는 단면 개념도이다.
제 1실시예(도 2(a) 참고)에서, 냉매출입부의 단부(11)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안착부(15)가 형성된다. 냉매파이프의 단부가 냉매출입부의 단부(11) 안으로 삽입된다. 냉매파이프의 말단(28)이 냉매출입부의 안착부(15)에 걸리어 안착된다.
제 2실시예(도 2(b) 참고)에서, 냉매파이프의 단부(21)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안착부(25)가 형성된다. 냉매출입부의 단부가 냉매파이프의 단부(21) 안으로 삽입된다. 냉매출입부의 말단(18)이 냉매파이프의 안착부(15)에 걸리어 안착된다.
제 3실시예(도 3(a) 참고)에서, 냉매출입부의 단부(11)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안착부(15)가 형성된다. 냉매파이프의 단부(22)가 축관되어 냉매출입부의 단부(11) 안으로 삽입된다. 냉매파이프의 말단(28)이 냉매출입부의 안착부(15)에 걸리어 안착된다.
제 4실시예(도 4(b) 참고)에서, 냉매파이프의 단부(21)가 확관되어 그 내경면에 안착부(25)가 형성된다. 냉매출입부의 단부(12)가 축관되어 냉매파이프의 단부(21) 안으로 삽입된다. 냉매출입부의 말단(18)이 냉매파이프의 안착부(25)에 걸리어 안착된다.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서, 안착부(15,25)가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 중 어느 하나의 내경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18,28)이 안착부(15,25)에 걸리어 동일위치에 안착된다. 즉,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의 겹쳐진 구간의 길이가 제 1소정길이(A)로 일정해진다. 이를 통해, 제품에서 요구하는 삽입길이인 제 1소정 길이를 모든 제품에 균일하게 적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쉬워진다.
제 1소정길이는,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의 밀착면(4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길이이어야 하며, 재료비 절감과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서 바람직한 정도로 제한되어야 한다. 또한, 락링(30)의 길이보다 제 1소정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소정길이(A)는 10 내지 15 mm이고, 이러한 수치범위에서 상기 연결부의 기밀성이 현저히 상승하고, 냉매 누설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되는 다른 하나는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A)보다 큰 제 2소정길이(B)까지 범위의 단부(22,12)가 축관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 3실시예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3실시예의 설명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그에 상응하도록 응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 3실시예로서, 냉매출입부(10), 냉매파이프(20) 및 락링(30)이 조립된 후의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3실시예에서 냉매파이프(20)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따라 자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3실시예에서 락링(30)의 설치에 따른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의 변형을 과장해서 그린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냉매출입부(10), 냉매파이프(20) 및 락링(30)의 조립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매파이프의 축관된 단부(22)에 락링(30)을 끼워 넣는 제 1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냉매파이프의 단부(22)가 축관되었기 때문에, 락링(30)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 사이에는 유격이 있다.
그 후, 냉매파이프의 단부(22)를 냉매출입부의 확관된 단부(11) 안으로 삽입하는 제 2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냉매파이프의 말단(28)이 냉매출입부의 안착부(15)에 걸릴때까지 삽입한다.
그 후, 유압 툴(Tool)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락링(30)을 냉매출입부의 단부방향(F)으로 밀어넣는 제 3단계를 수행한다. 락링(30)을 밀어넣기 전에는 락링(30)의 내경이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외경보다 조금 작기 때문에, 락링(30)을 밀어넣을 시 냉매출입부의 단부(11)와 냉매파이프의 단부(22)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서로 밀착하게된다.
상기 변형을 과장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 3단계에서 락링(30)의 내경면이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외경면을 압착한다. 이에 따라,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내경면이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을 압착한다. 이러한 압착에 의해서 냉매출입부의 단부(11)와 냉매파이프의 단부(22)는 냉매파이프(20)의 중심축을 향해 탄성변형 또는 연성변형을 하고, 두 단부(11,22)의 밀착면은 더욱 기밀해진다.
냉매파이프의 단부(22)를 제 2소정길이(B)만큼 축관함으로써, 냉매출입부의 단부(11)를 확관시키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이 줄어드므로,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필요한 내경의 크기가 같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제 2소정길이(B)는, 제 1소정길이(A)에 락링의 길이(E)를 더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좋다. 그 이유는 상기 제 2단계에서도, 락링(30)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축관된 단부(22)의 외경면 사이에 유격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 2단계에서, 냉매파이프의 단부(22) 위에 락링(30)이 임시로 거치되는 부분은, 냉매파이프의 단부(22) 중 냉매출입부의 단부(11)에 삽입되고 남은 부분이다. 상기 남은 부분의 길이는, 제 2소정길이(B)에서 제 1소정길이(A)를 뺀 값(B-A)이 된다. 이 값(B-A)이 락링(30)의 길이(E)보다 크거나 같아야, 락링(30)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20)의 외경면 사이의 유격이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도, 냉매파이프(20)의 외경면이 락링(30)의 내경면에 의해 긁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제 2소정길이(B)는 25 내지 30mm이다.
또한, 냉매파이프의 단부(22)가 축관되는 비율은 소정 비율 범위로 정해지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상기 축관되는 비율이 너무 크면 상기 제 3단계에서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이 서로 밀착하기 어려워지고, 상기 축관되는 비율이 너무 작으면 상기 제 2단계에서 락링(30)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 사이 유격이 작아져 상기 긁히는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이 19 내지 23% 줄어들도록 축관시킨다. 축관비율 23%이하에서 연결부의 기밀성이 현저히 좋아지고, 축관비율 19%이상에서 상기 긁히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다.
락링(30)을 옆으로 밀어넣는 상기 제 2단계 조립공정을 위해서 락링(30)을 냉매파이프(20)에서 냉매출입부(10)측 방향(F)으로 밀어넣는 도구(미도시)를 이용한다. 상기 도구는, 냉매출입부(10)의 일부분을 잡아서 고정해주는 고정부(미도시), 및 락링의 말단(38)에 접촉하여 냉매파이프(20)를 따라 상기 고정부 방향(F)으로 밀어주는 일정 두께를 가진 가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의 동작궤도는 냉매파이프(20)를 따라 상기 고정부 방향(F)의 궤도이다. 상기 동작궤도가 방해 받지 않기 위해서 냉매파이프(20)는 냉매파이프의 말단(28)에서 제 3소정길이(C)까지의 구간이 곧게 뻗어 있으면 좋다. 제 3소정길이(C)에 해당하는 구간의 냉매파이프(20)가 꺾여있으면, 상기 가압부가 냉매파이프(20)의 꺾인 부분에 걸리어 필요한 동작궤도가 확보되기 어렵다.
제 3소정길이(C)는, 제 1소정길이(A)에 락링(30)의 길이 및 상기 가압부의 두께를 더한 값 이상이다. 즉, 상기 제 2단계에서, 냉매파이프의 말단(28)에서 제 1소정길이(A)까지의 구간은 냉매출입부(10)와 냉매파이프(20)가 겹쳐져 있는 구간이고, 냉매출입부의 말단(18)에서 락링의 길이(E)까지의 구간은 락링이 임시로 거치되는 구간이고, 락링의 말단(38)에서 상기 가압부의 두께까지의 구간은 상기 가압부가 락링의 말단(38)에 접촉하여 동작하기 전에 위치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세 구간을 더한 길이가 제 3소정길이(C)의 최소 길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소정길이는 60mm 이상이다.
상기 제 3단계에서, 락링(30)은 냉매출입부의 말단(18)에서 제 4소정길이(D)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처럼 락링(30)을 충분히 깊게 밀어넣어 조립함으로써, 연결부의 기밀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제 4소정길이(D)는, 제 1소정길이(A)에서 락링의 길이(E)를 뺀 값보다 작다. 이를 통해, 락링(30)의 내경면의 전부분이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외경면을 압착하면서도, 락링(30)을 충분히 깊게 밀어넣어 조립함으로써 밀착면(40)의 기밀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 4소정길이(D)는 바람직한 범위로 제한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제 4소정길이(D)는 2 내지 6mm이다. 이 수치범위에서 연결부의 기밀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단계 조립 공정 이전에,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력을 가진 재질이 도포된다. 상기 접착력을 가진 재질은 밀착면(40)에 위치하여, 냉매출입부의 단부(11)와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결합력 및 밀착면(40)의 기밀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 2단계 조립 공정 이전에, 냉매출입부의 단부(11)의 내경면과 냉매파이프의 단부(22)의 외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단계의 삽입공정에서, 밀착면(40)에 긁힘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력을 가진 재질은. 상기 제 2단계의 삽입공정시 윤활제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단계의 삽입공정후 밀착면(40) 사이에서 굳어 접착제 역할을 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열교환기
10 : 열교환기의 냉매출입부
11 : 냉매출입부의 확관부 12 : 냉매출입부의 축관부
15 : 냉매출입부의 안착부 18 : 냉매출입부의 말단
20 : 냉매파이프
21 : 냉매파이프의 확관부 22 : 냉매파이프의 축관부
25 : 냉매파이프의 안착부 28 : 냉매파이프의 말단
30 : 락링
38 : 락링의 말단(도구의 가압부와 접하는 말단)
40 : 냉매출입부와 냉매파이프의 밀착면
A : 제 1소정길이 B : 제 2소정길이
C : 제 3소정길이 D : 제 4소정길이
E : 락링의 길이 F : 락링의 조립 방향

Claims (9)

  1.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안내하는 제 1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냉매파이프와 연결되는 상기 제 1금속재질과 다른 제 2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냉매출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출입부와 상기 냉매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제 1소정길이까지 범위의 단부가 확관되어, 내경면에 오목하게 둔각으로 각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출입부와 상기 냉매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말단이 상기 안착부에 걸리어 안착되고,
    상기 확관된 단부의 외경면을 둘러싸고, 상기 확관된 단부의 내경면과 상기 삽입된 단부의 외경면이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락링;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는, 말단에서 상기 제 1소정길이보다 큰 제 2소정길이까지 범위의 단부가 축관되며,
    상기 제 2소정길이는, 상기 제 1소정길이에 상기 락링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락링은, 상기 제 1소정길이에서 상기 락링의 길이를 뺀 값보다 작은 제 4소정길이만큼, 상기 확관된 단부의 말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정길이는 10 내지 15mm인 세탁물 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부는, 외경이 19 내지 23% 줄어들도록 축관되는 세탁물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소정길이는 2 내지 6mm인 세탁물 건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된 단부의 내경면과 상기 삽입된 단부의 외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력을 가진 재질이 도포되는 세탁물 건조장치.
KR1020150081047A 2015-06-09 2015-06-09 세탁물 건조장치 Active KR102361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47A KR102361127B1 (ko) 2015-06-09 2015-06-09 세탁물 건조장치
US15/177,508 US20160362829A1 (en) 2015-06-09 2016-06-09 Device for dry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47A KR102361127B1 (ko) 2015-06-09 2015-06-09 세탁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41A KR20160144641A (ko) 2016-12-19
KR102361127B1 true KR102361127B1 (ko) 2022-02-09

Family

ID=5751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047A Active KR102361127B1 (ko) 2015-06-09 2015-06-09 세탁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62829A1 (ko)
KR (1) KR102361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8243B2 (en) * 2016-08-29 2020-09-29 Advanced Distributor Products Llc Refrigerant distributor for aluminum coils
JP6423492B1 (ja) * 2017-07-06 2018-11-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段付管部材及び段付管部材の製造方法
CN110438775A (zh) * 2018-05-04 2019-11-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加热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4270127B (zh) * 2019-08-14 2023-07-07 Lg电子株式会社 热交换器以及包括所述热交换器的家电产品的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0237A1 (en) * 2010-03-15 2011-09-15 Hiroki Okamoto Bimetallic tub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897A (en) * 1983-08-25 1988-09-13 Enron Corp. Method for forming a press-fitted pipe joint
DE3910630C3 (de) * 1989-04-01 1998-12-24 Borsig Babcock Ag Verbindung eines ungekühlten Rohres mit einem gekühlten Rohr
US5080406A (en) * 1990-03-20 1992-01-14 The Deutsch Company Swagable fitting with inner curved grooves
TW302063U (en) * 1992-09-24 1997-04-01 Honda Motor Co Ltd Pipe joint
US6654995B1 (en) * 2000-10-16 2003-12-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joining tubular members
FR2870315B1 (fr) * 2004-05-14 2006-06-23 Itt Mfg Enterprises Inc Agencement pour le racordement d'un tube rigide avec un tube souple
US20070284086A1 (en) * 2006-05-04 2007-12-13 Jerome Matter Transition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to a heat exchanger
US20080202622A1 (en) * 2007-02-27 2008-08-28 Cho Hae-Soo Refrigerant pipe for refrigeration cy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414034B2 (en) * 2010-04-20 2013-04-09 Turbotec Products, Inc. Replacement fitting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PL2784207T3 (pl) * 2013-03-29 2017-07-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montażu suszarki do prania zawierającej układ pompy ciepła z zamkniętym obiegiem czynnika chłodniczego i pompę ciepła suszarki do prania z zamkniętym obiegiem czynnika chłodniczego
US10508867B2 (en) * 2015-05-28 2019-12-17 Dometic Sweden Ab Corrosion resistant coaxial heat exchang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0237A1 (en) * 2010-03-15 2011-09-15 Hiroki Okamoto Bimetallic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41A (ko) 2016-12-19
US20160362829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127B1 (ko) 세탁물 건조장치
US10254053B2 (en) Heat transfer fin and heat exchanger using thereof
EP2761078B1 (en) Heat pump laundry dryer
KR20130055245A (ko) 공기 조화기
US20140044569A1 (en) Compressor cooling system using heat exchanger pre-condenser, and compressor provided from a cooling system
EP2784207A1 (en) A method for assembling a laundry dryer including a heat pump system with a closed refrigerant circuit and a heat pump laundry dryer with a closed refrigerant circuit
KR101732184B1 (ko) 수축링을 구비한 핀 튜브 열 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6637871A (zh) 一种热泵干衣机及其热泵系统
JP474607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EP4393567A3 (en) Compress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upplying compressed gas
CN218756642U (zh) 衣物处理设备
KR20200020211A (ko) 펠티어소자가 구비된 습기제거모듈
CN218756643U (zh) 衣物处理设备
JP7483697B2 (ja) ターボ機械用の環状アセンブリ
KR101660475B1 (ko) 에어컨 냉매 이송관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JPH02298796A (ja) 熱交換器コア
KR19980017703A (ko)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의 순환공기 제습용 응축장치
WO2019090791A1 (zh) 一种冷凝器及其制造工装和制造方法
KR101547964B1 (ko) 건조 시스템
JP6324330B2 (ja) 高温配管の冷却治具,冷却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CN105423799B (zh) 再制造热交换器的壳体的方法和再制造的壳体
CN118048777A (zh) 衣物处理设备
KR102385752B1 (ko) 냉매 사이클 장치용 열교환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2747503B (zh) 一种翅片蒸发器及其生产工艺
JPS6030683Y2 (ja) 冷媒ヒ−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