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88B1 -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 Google Patents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0388B1 KR102360388B1 KR1020210096459A KR20210096459A KR102360388B1 KR 102360388 B1 KR102360388 B1 KR 102360388B1 KR 1020210096459 A KR1020210096459 A KR 1020210096459A KR 20210096459 A KR20210096459 A KR 20210096459A KR 102360388 B1 KR102360388 B1 KR 102360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line
- conduit
- base member
- wheel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01C21/1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 G01C21/165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with passive imaging devices, e.g.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4—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recording the course traversed by the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obo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부에 진입한 이송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지하 매설 관로3D 매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 관로3D 매핑 시스템은 관로 내부에서 이송하는 이송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기설정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IMU 센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배치되어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상기 IMU 센서가 획득한 이동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위치에서 획득된 상기 영상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buried pipeline 3D mapp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the position of a transport device that has entered the pipeline.
The underground pipeline 3D map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body of a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inside the pipeline, and an IMU sensor disposed in a preset area of the base member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an image acquisition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nd a terminal executing a program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movement-relate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U sensor, and to map and store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관로 내부에 진입한 이송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3D 매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mapp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the position of a transport device that has entered the underground buried pipeline.
일반적으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관로가 지하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로는 물, 유류, 액화가스 또는 그와 유사한 종류의 유체를 이송시키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pipelines are installed undergroun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these pipelin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very suitable way to transport water, oil, liquefied gas, or similar types of fluids.
이와 같은 관로는 예를 들면 수로관로,상하수도관, 지역난방관, 도시가스관, 석유화학공장의 플랜트관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설치되고 있다.Such pipelines are being install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 example, water pipes, water and sewage pipes, district heating pipes, city gas pipes, and plant pipes of petrochemical plants.
그리고, 관로는 파이프라인으로서 한 곳이라도 손상을 받으면 기능을 상실하게 됨과 동시에 가연성이나 유독성 물질이 내부를 흐르는 관로에서는 관로의 파손에 의하여 인명 및 재산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로의 완벽한 유지관리가 요구된다.In addition, the pipeline loses its function if it is damaged in even one place as a pipeline, and at the same time, in a pipeline in which flammable or toxic substances flow inside, loss of life and property may occur greatly due to damage to the pipeline. is required
이러한 관로는 설치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후화나 부식으로 인하여 손상이 생기거나 근접공사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관로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은 대형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As time passes after these pipelines are installed, damage may occur due to aging or corrosion, or damage to the pipeline may occur due to external impact due to proximity construction, which in turn may act as a cause of major accidents.
따라서 관로가 시공된 후 운용시에는 수시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관로의 내부상태 및 균열여부를 확인하여 사고발생을 예방하도록 유지보수작업이 이루어진다.Therefore, during operation after the pipeline is constructed,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to prevent accidents by checking the internal condition and cracks of the pipeline from time to time or at regular intervals.
그러나, 이러한 관로의 상태조사는 현재 관로가 대부분 지중에 매설되어 있어 전위차 측정법과 GPR 탐사를 수행하여 관로의 상태와 위치를 간접적인 방법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더욱이 관로가 건축물이나 하천의 아래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로에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불탐지역으로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for the current condition of these pipelines, most of the pipelines are buried underground, so the potential dif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GPR survey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and location of the pipeline in an indirect way, and furthermore, the pipeline is buried under a building or stream. If there is, it is impossible to access the pipeline, so it is an undiscovered area.
또한,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 내부 검사용 이동 CCTV로봇은 다양한 직경의 관로 내부에 진입해야 할 경우, 관로의 내부 직경에 따른 이동 로봇을 각각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관로가 굴곡지거나 경사가 급하면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the mobile CCTV robot for inspection inside the pipel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prepare a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line when it needs to enter the inside of the pipeline of various diameters. There were cases where the investigation was impossible.
따라서, 기존의 기술은 관로 내부의 전체적인 변형 및 돌출된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워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the existing technology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overall deformation and the protruding height inside the pipe, so that the work efficiency was lowered.
상기한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기계적 구성요소가 간소화되고, 다양한 직경의 관로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related field, the mechanical components are simplified and a method to enter into the pipe of various diameters is being sought, but a satisfactory result has not been obtained so fa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IMU 센서가 배치되는 이송 장치(관로 점검 이송 장치)의 관로 내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3D 매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mapp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a position in a pipeline of a transfer device (a pipeline inspection transfer device) on which an IMU sensor is disposed.
본 발명에 따른 3D 매핑 시스템은 관로 내부에서 이송하는 이송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기설정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IMU 센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배치되어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IMU 센서가 획득한 이동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위치에서 획득된 상기 영상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말을 포함한다. A 3D map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body of a transport device transported within a conduit; and an IMU sensor disposed in a preset area of the base member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of the transport device; an image acquisition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nd a terminal executing a program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movement-relate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U sensor, and to map and store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location.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여 관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력부재를 더 포함한다. The transfer device may include a mov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respectively, and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condui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tension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moving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일단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 상기 몸체부에서 타단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o which the mov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in the body part, and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coupled thereto.
상기 이동부재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돌기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배치되고,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는 바퀴부재;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바퀴부재가 배치된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바퀴부재가 배치된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바퀴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결합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축을 포함한다. The mov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 wheel member dispos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a second fixing part formed in a reg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member is disposed, and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coupled; a driving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member is dispose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heel membe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member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coupling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coupling member to the coupling protrusion.
상기 이동부재가 관로의 내부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장력부재가 이완 또는 수축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When the mov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duit, the tension member is relax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about the coupling shaft.
상기 IMU 센서가 상기 관로 내부에서 가상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지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를 그에 대응되는 각각의 바퀴부재 별로 상이하게 조정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A control unit for differently adjusting the elongation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for each wheel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IMU sensor moves while passing a virtual center line connecting the virtual center points in the conduit.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 3D 매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로 점검 장치가 영상을 획득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ipeline 3D mapping system,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ipeline inspection apparatus to accurately check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t which the image is ac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관경에 적용된 3D 매핑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관경에 적용된 3D 매핑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매핑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재 및 장력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손드가 부착된 이송장치를 이용한 위치 확인을 나타내는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mapping system applied to a first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mapping system applied to a second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constituting a 3D ma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joi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member and a tens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onduit.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onduit.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onduit.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position confirmation using the transfer device to which the son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nfiguration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specifying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관경에 적용된 3D 매핑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관경에 적용된 3D 매핑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매핑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점검 이송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재 및 장력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점검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점검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점검 이송장치가 관로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손드가 부착된 이송장치를 이용한 위치 확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mapping system applied to a first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mapping system applied to a second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transport device constituting a 3D ma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joi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pipe inspecti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member and a tens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ipeline inspection and transport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ipeline, and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ipeline inspection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pipeline, and FIG.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tate in which the pipeline inspection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pipeline, and FIG.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position confirmation using the sonde-attached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는 제1 관경(ф400) 또는 제2 관경(ф800)의 관로 내부에서 이송하여, 카메라(180)로 획득된 영상에 해당하는 위치가 어디인지 IMU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베이스부재(100)의 내부에는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관성 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가 배치되고, 베이스부재(100) 또는 그 외면에는 360도 회전가능한 앵글 센서(angle sensor)가 배치되어, 관경을 검출하고 그 관경에 따라 이송장치의 이동 관경을 조정하도록 한다.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capable of measuring speed, direction,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disposed inside the
이송장치(1)의 IMU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는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전달되고, 외부 서버는 IMU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을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로 내부의 균열이 발생한 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information acquired using the IMU sensor of the
또는, IMU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는 서버(또는 단말)에서 분석되어, 위치 정보가 획득되고, 해당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함께 매핑되어 저장된다.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IMU sensor is analyzed by the server (o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image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s mapped and stored together.
이송장치(1)는 윈치(1001)와 연결되어, 연결된 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베이스부재(100)와, 관절부재(200)와, 이동부재(300) 및 장력부재(400)를 포함한다.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베이스부재(100)는 이송장치(1)의 몸체를 이룬다. The
베이스부재(100)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즈부재(10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관로의 내주면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hat the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00)는 영상 획득부가 제1 베이스부(100_1)와, 제1 베이스부재(100) 및 이동부재(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장착된 제2 베이스부(100_2)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100) 내에 영상 획득부, IMU센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IMU sensor, and the battery are mounted in the
점검장비는 관로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관로의 내부에 발생된 균열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The inspection equipment may be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ipe or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cracks generated inside the pip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00_1) 및 제2 베이스부(100_2)를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se part 100_1 and the second base part 100_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이러한 베이스부재(100)는 몸체부(110)와, 결합돌기(120) 및 제1 고정부(130)를 포함한다.The
몸체부(110)는 베이스부재(1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1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몸체부(110)는 관로의 내부에 진입하면, 관로와 동심원을 이룬다.When the
결합돌기(12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몸체부(110)에서 일단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그리고, 결합돌기(120)에는 이동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nd, the moving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20)는 몸체부(110)의 일단 방향의 둘레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결합돌기(120)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이러한 결합돌기(120)에 이동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oving
제1 고정부(1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몸체부(110)에서 타단 방향, 즉, 결합돌기(120)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그리고, 제1 고정부(130)에는 장력부재(400)의 일단이 결합된다.And, one end of the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30)는 몸체부(110)의 타단 방향의 둘레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다.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그리고, 제1 고정부(130)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first fixing
이러한 제1 고정부(130)에 장력부재(400)의 일단이 결합된다.One end of the
관절부재(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즉, 제1 베이스부(100_1) 및 제2 베이스부(100_2)를 서로 연결한다.The
즉, 관절부재(200)는 일단이 제1 베이스부(100_1)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베이스부(100_2)에서 제1 베이스부(100_1)와 마주하는 면에 고정된다.That is, one end of the
그리고, 관절부재(200)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nd, the
따라서, 관절부재(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장치가 관로의 내부에서 굴곡진 영역을 지날 때, 굴곡진 영역의 형상을 따라 휘어진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즉, 관절부재(200)는 이송장치가 관로 내부의 굴곡진 영역을 지날 때, 굴곡진 영역을 따라 휘어짐으로써,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100_1)와 제2 베이스부(100_2)가 관로 내부의 굴곡진 영역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이동부재(3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 이동부재(300)는 제1 베이스부(100_1) 및 제2 베이스부(100_2)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120)에 각각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moving
따라서, 이동부재(300)는 결합돌기(120)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moving
그리고, 이동부재(300)는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여 관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한다.Then, the moving
한편, 이동부재(300)는 베이스부재(100)가 관로의 내부에서 이송장치의 진행방향인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00_1)에 결합된 다수개의 이동부재(300)와, 제2 베이스부(100_2)에 결합된 다수개의 이동부재(300)가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이로 인해 이동부재(300)는 베이스부를 관로의 내측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하여 관로를 따라 견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For this reason, the moving
이러한 이동부재(300)는 연결부재(310)와, 결합축(320)과, 바퀴부재(330)와, 제2 고정부(340) 및 구동부(350)를 포함한다.The moving
연결부재(31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단이 다수개의 결합돌기(12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단에 바퀴부재(330) 및 구동부(350)가 결합된다.The connecting
즉, 연결부재(310)는 결합돌기(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결합돌기(120)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0)가 연결부재(31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한편, 연결부재(310)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20)에는 스토퍼(14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스토퍼(140)는 결합돌기(120)에 후술할 이동부재(300)의 제2 고정부(340)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결합돌기(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310)의 회전을 제한한다.The
이를 위해 스토퍼(140)의 외경은 몸체부(110)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된 결합돌기(120)의 연장된 길이와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outer diameter of the
이로 인해, 결합돌기(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310)가 결합돌기(120)를 기준으로 제2 고정부(34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연결부재가 스토퍼(140)에 접하여 연결부재(310)의 회전이 제한된다.For this reason, when the connecting
결합축(320)은 결합돌기(120)와 연결부재(310)를 관통하여 연결부재(310)를 결합돌기(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The
그리고, 결합축(320)은 연결부재(310) 및 결합돌기(120)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And, it is natural that the
바퀴부재(330)는 연결부재(310)의 단부에 배치되고, 관로의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관로의 내주면에 접한다.The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00)는 베이스부재(10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바퀴부재(330)는 이동부재(300)의 개수만큼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로 인해 바퀴부재(330)는 베이스부재(100)가 관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제2 고정부(340)는 연결부재(310)에서 바퀴부재(330)가 배치된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서, 일단이 제1 고정부(130)에 결합된 장력부재(400)의 타단이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340)는 연결부재(310)에서 바퀴부재(330)가 배치된 방향의 영역의 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제2 고정부(340)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또한, 제2 고정부(340)에 장력부재(400)의 타단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구동부(350)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결부재(310)에서 바퀴부재(330)가 배치된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다.The driving
그리고, 구동부(350)는 바퀴부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따라서, 구동부(350)는 외부, 즉, 배터리가 장착된 제2 베이스부(100_2)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바퀴부재(33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Accordingly, the driving
즉, 구동부(350)는 관로의 외부에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이송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장력부재(400)는 베이스부재(100) 및 이동부재(300)에 연결되어 이동부재(30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
구체적으로 장력부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고정부(1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고정부(340)에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장력부재(400)는 최초 상태에서는 베이스부재(100)를 중심으로 이동부재(300)를 탄성적으로 당기도록 한다.The
즉, 장력부재(400)에 의해 연결부재(310)가 베이스부재(100)의 몸체부(110)와 수직을 이룬다.That is, the connecting
그리고, 장력부재(400)는 이송장치가 관로의 내부에 진입하게 되면, 이동부재(300)의 바퀴부재(330)가 관로의 내부에 접하면서 이동부재(3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바퀴부재(330)가 관로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접하도록 한다.And, when the transfer device enters the inside of the conduit, the
이를 위해 관로의 직경은 이송장치가 관로에 진입하기 전, 장력부재(400)에 의해 연결부재(310)가 베이스부재(100)의 몸체부(110)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의 도 12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현된 바퀴부재(330)의 최외곽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diameter of the pipe is thin in FIG. 1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따라서, 이동부재(300)의 바퀴부재(330)가 관로의 내부에 접하면 장력부재(400)가 이완되며 연결부재(310)가 결합돌기(1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이로 인해, 바퀴부재(330)가 장력부재(400)에 의해 관로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가압하여 관로의 내주면을 따라 바퀴부재(33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300)는 옴니휠로 구성되어, 회전구동방향에 수직으로 복수의 롤러들을 병렬 구성하여 하나의 휠을 이룬 구조의 복합 휠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ov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옴니휠로 구성된 이동부재(300)를 이용하여 높은 이동 효율성을 확보하고, 회전반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의 로봇이 구동바퀴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의 차이, 조향 장치 등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하는 반면, 옴니휠로 구성된 이동부재(300)를 적용하여 직선 및 회전 운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high movement efficiency and minimize the rotation radius by using the mo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MU 센서는 관로 내부의 가상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을 지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U sensor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virtual center points inside the condui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부가 앵글 센서(angle sensor)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장력부재의 신장 길이를 제어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separat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elongation length of each tension member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angle sensor.
예컨대, 관로 내부의 바닥면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이송장치(1)는 일시적으로 이동 관경을 줄여 바닥면을 넘어 통과하여야 할 것이다. For example, when an obstacl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the
이 때, 이송장치(1)의 제어부는 카메라(180)를 통해 바닥면에 장애물이 위치한 것을 확인하고, 각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를 동일하게 줄어들도독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으로 향하는 바퀴부재에 대응하는 장력부재의 신장길이가 줄어들도록 제어하고, 윗면으로 향하는 바퀴부재에 대응하는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는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다른 예로서, 이송장치(1)의 제어부는 카메라(180)를 통해 관로 내부 윗면에 장애물이 위치한 것을 확인한 경우, 각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를 동일하게 줄어들도독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윗면으로 향하는 바퀴부재에 대응하는 장력부재의 신장길이가 줄어들도록 제어하고, 바닥면으로 향하는 바퀴부재에 대응하는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는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이를 통해, 제어부는 이송장치(1)에 배치된 IMU센서가 관로 내부에서 가상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 상에서 지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U sensor disposed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송신부재(500) 및 수신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ing
송신부재(500)는 베이스부재(100)에 장착된 것으로서, 위치 신호를 송신한다.The transmitting
이러한 송신부재(500)는 손드(SONDE)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tting
그리고 수신부재(600)는 관로의 외부,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재(100)에 장착된 송신부재(500)가 송신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한다.And, the receiving
이러한 수신부재(600)는 디텍터(DETECTO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즉,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에 장착된 송신부재(500)가 위치신호를 송신하면, 관로의 외부에 있는 작업자가 소지한 수신부재(600)가 상기 송신부재(500)가 송신한 위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관로 외부에 있는 작압자가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 when the transmitting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300) 및 장력부재(400)가 베이스부재(100)를 중심으로 각각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관로의 직경이 넓을수록 이동부재(300)와 장력부재(400)가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즉, 관로의 직경이 넓을수록 이동부재(300)와 장력부재(400)의 개수가 늘어남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moving
이로 인해, 베이스부재(100)가 이동부재(300)와 장력부재(400)에 의해 관로의 내부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관로 내부의 굴곡진 영역을 지날 때, 관절부재(200)가 굴곡진 영역의 형상을 따라 휘어짐으로써, 이송장치가 관로 내부의 굴곡진 영역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curved area inside the conduit, the
또한, 장력부재(400)에 의해 이동부재(300)가 탄성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관로의 내부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emplary point of view for description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이송 장치
100: 베이스부재 110: 몸체부
120: 결합돌기 130: 제1 고정부
140: 스토퍼 100_1: 제1 베이스부
100_2: 제2 베이스부 180: 카메라
200: 관절부재 300: 이동부재
310: 연결부재 320: 결합축
330: 바퀴부재 340: 제2 고정부
350: 구동부 400: 장력부재
500: 송신부재 600: 수신부재
1001: 윈치1: transfer device
100: base member 110: body portion
120: coupling protrusion 130: first fixing part
140: stopper 100_1: first base part
100_2: second base unit 180: camera
200: joint member 300: movable member
310: connecting member 320: coupling shaft
330: wheel member 340: second fixing part
350: driving unit 400: tension member
500: transmitting member 600: receiving member
1001: winch
Claims (6)
상기 베이스부재의 기설정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IMU 센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배치되어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IMU 센서가 획득한 이동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위치에서 획득된 상기 영상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여 관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일단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돌기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배치되고,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IMU 센서가 상기 관로 내부에서 가상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지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장력부재의 신장길이를 그에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바퀴부재 별로 상이하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 관로 3D 매핑 시스템.
a base member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inside the conduit;
an IMU sensor disposed in a preset area of the base member to obtain move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transfer device;
an image acquisition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nd
A terminal in which a program is execut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movement-relate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U sensor, and to map and store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location
including,
The transfer device is
a mov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respectively, and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condui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and
and a tension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moving member,
The base member is
a body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mov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he moving member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I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includes a wheel member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An underground buried pipelin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extension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differently for each wheel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IMU sensor moves while passing through a virtual center line connecting the virtual center points inside the pipeline 3D mapping system.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몸체부에서 타단 방향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지하 매설 관로 3D 매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i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in the body part, and to which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coupled.
Underground pipeline 3D mapp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바퀴부재가 배치된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바퀴부재가 배치된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바퀴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결합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지하 매설 관로 3D 매핑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ing member is
a second fixing part formed in a reg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member is disposed, and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coupled;
a driving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member is dispo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heel member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member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coupling member to the coupling projection
Phosphorus Underground Pipeline 3D Mapping System.
상기 이동부재가 관로의 내부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장력부재가 이완 또는 수축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
인 지하 매설 관로 3D 매핑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mov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duit, the tension member is relax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rotates about the coupling axis.
Phosphorus Underground Pipeline 3D Mapp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459A KR102360388B1 (en) | 2021-07-22 | 2021-07-22 |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459A KR102360388B1 (en) | 2021-07-22 | 2021-07-22 |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0388B1 true KR102360388B1 (en) | 2022-02-09 |
Family
ID=8026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459A Active KR102360388B1 (en) | 2021-07-22 | 2021-07-22 |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0388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58137A (en) * | 2011-11-25 | 2013-06-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position-information of underground pipe having prominence impact absorbing member |
KR101827868B1 (en) * | 2016-09-06 | 2018-03-22 | (주)스마트 제어계측 | Pipeline measuring device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459A patent/KR1023603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58137A (en) * | 2011-11-25 | 2013-06-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position-information of underground pipe having prominence impact absorbing member |
KR101827868B1 (en) * | 2016-09-06 | 2018-03-22 | (주)스마트 제어계측 | Pipeline measur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65633A (en) | Spiral tractor apparatus and method | |
US20110198075A1 (en) | In-pipe work device | |
US20180313715A1 (en) | Pipeline inspection robot | |
KR101827868B1 (en) | Pipeline measuring device | |
WO2020065659A1 (en) | Spherical robot for internal inspection of pipelines | |
JP2017512975A (en) | Modular mobile inspection vehicle | |
US10359267B2 (en) | Behavior inspection apparatus and behavior inspection method for extensible flexible pipe joint | |
US20220268393A1 (en) | Pipeline Inspection Device | |
JPH0544390B2 (en) | ||
KR20200135746A (en) | Cable check apparatus | |
KR100729773B1 (en) | Mobile Robot for Inner Inspection | |
JPH0338149B2 (en) | ||
KR102360388B1 (en) | Underground pipiline 3d mapping system | |
KR102437592B1 (en) | Pipe inspection robot having laser scanner and pip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RU66547U1 (en) | DEVICE FOR ULTRASONIC CONTROL OF PIPES AND MEANS OF ULTRASONIC CONTROL FOR USE IN THIS DEVICE | |
WO2020149797A1 (en) | Pipeline analysis systems | |
EP4025819A1 (en) | Pipe inspection tool | |
KR102575682B1 (en) | Robot for inspection | |
KR100776816B1 (en) | Mobile Robot for Inner Inspection | |
KR20210058519A (en) | A testing device for pipe using ultra-sonic wave c-scan device | |
Ishikawa et al. | Investigation of odometry method of pipe line shape by peristaltic crawling robot combined with inner sensor | |
CN211145774U (en) | Inner wall inspection robot and pipe inspection system | |
KR102456287B1 (en) | Pipeline inspection transfer device | |
KR20220043408A (en) | Driving apparatus for pipeline | |
US20210080337A1 (en) | Dual slider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