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9867B1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867B1
KR102359867B1 KR1020170057533A KR20170057533A KR102359867B1 KR 102359867 B1 KR102359867 B1 KR 102359867B1 KR 1020170057533 A KR1020170057533 A KR 1020170057533A KR 20170057533 A KR20170057533 A KR 20170057533A KR 102359867 B1 KR102359867 B1 KR 10235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conditioner
humidity control
humidity
control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382A (ko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05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8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8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침 중 기침 소리를 감지하여 실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소리센서의 통신부로부터 공기조화기의 통신부가 수신받은 소리신호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소리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부에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침 중 기침 소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정화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실내 환경조건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에서 검지된 값이 기준값을 벗어났을 때 공기조화기를 가동시켜 실내 공기의 환기와 정화, 가습 및 제습 등의 제어가 수행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479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습로터를 이용하여 환기모드시 제1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제습로터의 제2영역을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1영역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환기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환절기에는 호흡기가 건조한 상태가 되어 기침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침이 반복되면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공기가 건조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마른기침은 강하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허리 등 다른 신체 부위에도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를 가동시켜 실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취침 중에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침 전에 미리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지 않고 건조한 실내에서 취침을 하게 되면 건조한 실내 공기로 인해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취침 중 기침 소리를 감지하여 실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소리센서의 통신부로부터 공기조화기의 통신부가 수신받은 소리신호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소리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부에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습도 조절은 실내 공기의 가습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센서를 통해 수신된 소리의 크기,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의 크기와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미리 설정된 소리의 발생 횟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소리의 크기와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에 비례하도록 최초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소리의 발생 횟수마다 습도조절시간이 각각 연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소리의 발생 횟수가 감지되면 그때까지 연산된 습도조절시간의 평균으로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되어 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동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가동 중 추가로 소리가 감지되면, 추가 감지된 소리에 대응하는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하며,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에 상기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더한 시간인 누적 습도조절시간으로 상기 습도조절시간이 재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취침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취침모드 선택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a)단계와 b)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소리센서의 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기침 소리의 특성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소리센서로부터 수신된 소리신호와 상기 기침 소리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소리신호가 기침 소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침 중 기침에 의한 소리를 감지하여 실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환절기에 취침 중에도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침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횟수,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을 고려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가동시간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공기조화기의 불필요한 가동에 따른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모드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모드는 실내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와, 실내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냉방, 난방, 환기, 공기청정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사용자가 필요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 실내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감지부(120), 소리센서(200)의 통신부(22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140),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150), 상기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습도조절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감지부(120)는 실내온도, 습도, 먼지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감지부(120)는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것으로서 거실에 구비될 수 있고, 소리센서(200)는 공기조화기(10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취침하는 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부(150)는 실내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유로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와 가습부는 일례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가 회전하여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에 교대로 위치함으로써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제습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부에는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공기조화기(100)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절기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는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바탕화면에 홈네트워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는 대기상태에서 바탕화면에 제공되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홈 네트워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상기 소리센서(200)는, 취침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소리감지부(210), 상기 소리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3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4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리센서(200)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입 후 취침시 기침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취침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소리센서(200)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리센서(200)을 제어 또는 관리하기 위해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40)와 소리센서(200)의 통신부(220)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40)와 소리센서(200)의 통신부(220)는 유선 또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소리센서(200)을 제어부(13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소리센서(200)을 등록하고, 사용자가 취침 중 기침을 하게 되면, 그 기침 소리를 소리감지부(210)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된 소리신호는 통신부(220,140) 사이의 통신에 의해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30)에 전달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은 소리센서(200)을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소리센서(200)을 취침 공간에 설치하되, 사용자의 취침중에 발생하는 기침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 후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기기검색을 실행한다. 상기 기기검색이 실행되면 통신부(140,22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져 소리센서(200)이 검색되어 조절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아이콘을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일례로 조절기에는 취침용 소리센서(200)을 위한 아이콘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기검색에 의해 검색된 소리센서(200)이 자동으로 취침용 아이콘에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02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에서 취침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취침 중 가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취침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침 소리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조화기(100)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취침모드를 나타내는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입력부(131)를 통해 상기 취침모드 메뉴를 선택하면 취침모드 선택신호가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40)에 수신되어 공기조화기(100)는 취침모드 상태로 진입한다.
또한, 취침모드가 선택되면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40)와 소리센서(200)의 통신부(220)가 연결되어, 소리센서(200)의 소리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소리가 통신부(220,140)를 통해 제어부(140)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단계 S103은 사용자가 취침 중 기침에 의해 발생한 소리가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30)에 수신되어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되는 단계이다. 상기 소리는 소리센서(200)의 소리감지부(210), 통신부(140,220)를 통해 제어부(130)에 수신된다.
사용자의 기침 소리에 의해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키는 경우 공기조화기(100)를 언제까지 가동시킬지 제어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부(130)에 수신된 소리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침 소리의 정도에 따라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켜 습도 조절을 행하는 시간(이하,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한다.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아래의 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식(1) 최초 습도조절시간 = {(소리가 이어진 시간(CoT) × 소리의 크기(CoS)) × 소리가 발생한 횟수(CoC1) + (소리가 이어진 시간(CoT) × 소리의 크기(CoS)) × 소리가 발생한 횟수(CoCn)}/n
식(2) 추가 습도조절시간 = 소리가 발생한 횟수(CoCN)×보정상수(a)
식(3) 누적 습도조절시간 = 최초 습도조절시간 + 추가 습도저절시간
사용자의 기침 소리가 커지거나, 기침을 오랜시간 동안 하거나, 기침하는 횟수가 늘어나면 기관지 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습시간을 늘림으로써 사용자의 기침 상태에 적합하도록 공기조화기(100)를 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에서는 소리센서(200)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 상기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비례하도록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식(1)에서 CoT×CoS×CoCn은 시간의 단위로 나타나도록 보정상수를 부가하여 계산한다.
CoC1은 첫번째 기침 소리, CoCn은 n번째 기침 소리의 횟수를 나타낸다. 이 경우 CoC1부터 CoCn을 모두 동일한 값으로 계산할 수도 있고, 기침 횟수가 증가할 수록 습도조절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첫번째 기침에서부터 n번째 기침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n은 사용자가 기침을 시작한 후 기침을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했을 때 최초 공기조화기(100)의 가동시간인 최초 습도조절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기침의 발생 횟수를 의미한다.
즉, 매회 기침 소리가 감지될 때마다 습도조절시간이 연산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인 n번째 기침 소리가 감지될 때까지 매회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한다. 이렇게 n번째까지 연산된 습도조절시간을 모두 더하고, 그 횟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면 공기조화기(100)가 최초 가동되는 시간인 최초 습도조절시간이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최초 습도조절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100)가 가동된다.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100)가 가동되는 중, 추가 기침 소리가 감지되면, 상기 식(2)에 따라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한다. 상기 추가 습도조절시간은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보정상수(a)를 곱하여 추가 습도조절시간으로 설정한다.
그 후 식(3)에 따라 누적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한다. 상기 누적 습도조절시간은 최초 습도조절시간에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더한 값이 된다. 즉, 공기조화기(100)의 가동시간이 최초 습도조절시간에서 누적 습도조절시간으로 재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누적 습도조절시간은 기침 소리가 감지되는 매회마다 연산되어 누적될 수도 있고, 설정된 횟수만큼 추가로 기침 소리가 감지된 경우 그 추가된 소리의 발생 횟수를 합하여 한꺼번에 누적 습도조절시간으로 연산할 수도 있다.
상기 식에서는 소리센서(200)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 상기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 3가지 모두를 기초로 하여 습도조절시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3가지 중 하나 또는 두가지만을 기초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30)에는 최대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100)의 습도조절시간이 소리의 크기,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공기조화기(100)의 가동 시작 후 경과 시간이 설정된 최대 습도조절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공기조화기(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100)의 과도한 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침 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 기침 소리와 다른 소리는 소리의 강도와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에 있어서 구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는 기침 소리의 파형 특성이 미리 저장되고, 소리가 감지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침 소리 특성과 비교하여 기침 소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여 기침 소리인 것으로 판단된 소리만을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단계 S104는 단계 S103에서 설정된 습도조절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100)를 가동하여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실내공기가 건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침을 하게 되면 가습이 필요하므로, 제어부(130)는 습도조절부(150)의 가습부를 통해 실내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단계 S105는 추가 기침 소리가 발생하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만약 추가 기침 소리가 감지되면 단계 S103에 따라 습도조절시간이 다시 설정되고, 사용자의 기침 소리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S1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6은 습도조절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결과, 상기에서 설정된 습도조절시간이 경과했으면 공기조화기(100)의 가동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침 중 기침에 의한 소리를 감지하여 실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환절기에 취침 중에도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침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횟수, 소리가 이어지는 시간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가동시간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공기조화기의 불필요한 가동에 따른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공기조화기 110 : 입력부
120 : 실내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습도조절부
200 : 소리센서 210 : 소리감지부
220 : 통신부

Claims (14)

  1.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소리센서의 통신부로부터 공기조화기의 통신부가 수신받은 소리신호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소리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부에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센서를 통해 수신된 소리의 크기와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에 비례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습도 조절은 실내 공기의 가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미리 설정된 소리의 발생 횟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소리의 크기와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에 비례하도록 최초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소리의 발생 횟수마다 습도조절시간이 각각 연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소리의 발생 횟수가 감지되면 그때까지 연산된 습도조절시간의 평균으로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이 설정되어 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동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가동 중 추가로 소리가 감지되면, 추가 감지된 소리에 대응하는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연산하며, 상기 최초 습도조절시간에 상기 추가 습도조절시간을 더한 시간인 누적 습도조절시간으로 상기 습도조절시간이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시간은 상기 소리가 발생한 횟수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취침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취침모드 선택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a)단계와 b)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소리센서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기침 소리의 특성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소리센서로부터 수신된 소리신호와 상기 기침 소리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소리신호가 기침 소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소리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소리신호에 따라 상기 습도조절부에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센서를 통해 수신된 소리의 크기와 상기 소리가 이어진 시간에 비례하여 습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습도조절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소리신호에 따라 실내공기의 습도 조절은 취침모드가 선택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소리센서의 등록이 이루어져 상기 소리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057533A 2017-05-08 2017-05-08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Active KR10235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33A KR102359867B1 (ko) 2017-05-08 2017-05-08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33A KR102359867B1 (ko) 2017-05-08 2017-05-08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82A KR20180123382A (ko) 2018-11-16
KR102359867B1 true KR102359867B1 (ko) 2022-02-09

Family

ID=6456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533A Active KR102359867B1 (ko) 2017-05-08 2017-05-08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5B1 (ko) * 2019-01-08 202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102246903B1 (ko) * 2019-01-08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09974177B (zh) * 2019-04-08 2021-03-2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加湿器、加湿器的控制方法及具有加湿器的空调系统
CN111043738A (zh) * 2019-12-31 2020-04-2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空调器调整方法、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CN111964226B (zh) * 2020-07-23 2021-09-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13327592B (zh) * 2021-04-20 2022-08-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系统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076943A (zh) * 2022-05-13 2022-09-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其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1509A (ja) * 2004-06-09 2005-12-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WO2017064314A1 (en) * 2015-10-15 2017-04-20 Koninklijke Philips N.V. Air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69Y1 (ko) * 1989-12-29 1992-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습기의 가습량 원격조절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1509A (ja) * 2004-06-09 2005-12-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WO2017064314A1 (en) * 2015-10-15 2017-04-20 Koninklijke Philips N.V. Ai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82A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8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US20210108817A1 (en) Hvac controller with indoor air quality scheduling
US7740184B2 (en) Methods of dehumidification control in unoccupied spaces
US797916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ler
CN103574837A (zh) 空调静音模式启动方法及空调
JP7019674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7482144B2 (ja) 家電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7166636A (zh) 空调控制方法及装置
AU2021333082B2 (en) A ventilation unit and a system for ventilating an indoor space
US20200182502A1 (en) Network system
JP706810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4595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38191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CN114383281A (zh) 空气智能管理方法及空气智能管理系统
CN110173848A (zh) 空调加湿控制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4004237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7656790B2 (ja) 換気システム
JP6857016B2 (ja) 換気システム
CN100455933C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6881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JP6838592B2 (ja) 空気調和機
CN115406049B (zh) 基于空调的呼吸道健康控制方法、系统及空调机组
KR20140091635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취침모드 제어방법
KR20150019466A (ko) 사용자 환경에 따른 피드백 냉방 시스템 및 방법
JP7412742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