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9129B1 -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129B1
KR102359129B1 KR1020200031231A KR20200031231A KR102359129B1 KR 102359129 B1 KR102359129 B1 KR 102359129B1 KR 1020200031231 A KR1020200031231 A KR 1020200031231A KR 20200031231 A KR20200031231 A KR 20200031231A KR 102359129 B1 KR102359129 B1 KR 10235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cattering
longitudinal direction
fram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757A (ko
KR102359129B9 (ko
Inventor
이진선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유)장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성테크 filed Critical (유)장성테크
Priority to KR102020003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1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29B1/ko
Publication of KR10235912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29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66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thro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1/00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 B65G31/04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comprising discs, drums, or like rotary im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88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using throw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소금대차에서 배출된 소금을 적재창고내에 고른 비산을 통해 적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 소금의 적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금비산장치(200)는,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프레임(211)과, 마운팅프레임(2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12)과, 연결프레임(212)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연장프레임(214)과, 연결프레임(212)에 장착되는 회전구동부(24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산플레이트(220)와,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한 상태로 다수개의 비산날개(230)에 의해 소금이 비산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포함하고, 회전구동부(240)는, 연결프레임(212)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구동축(242)의 선단에 회전기어구(243)가 설치된 구동모터(241)와, 상기 회전기어구(243)에 치합되는 대응기어구(245)가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길이방향 타측이 결합되는 플레이트회전폴(2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전용 소금살포장치{SALT SPRINKLING APPARATUS FOR SALTERN}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소금대차에서 배출된 소금을 적재창고내에 고른 비산을 통해 적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 소금의 적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은 대차에 소금을 수거하여 염전지의 부근에 설치된 염전레일을 타고 운반하여, 소금적재창고에 소금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소금을 소금적재창고에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소금을 소금적재창고에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대차에 실려 운반된 소금을 이미 소금적재창고에 적재된 소금의 높이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소금 적재용 컨베이어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소금 적재용 컨베이어 장치는 염전에 설치된 염전레일을 타고 이송되어 온 대차의 소금을 하역받는 하역컨베이어와, 상기 하역컨베이어로부터 연장되어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금 적재용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경사컨베이어의 상단부에서 소금이 낙하되며 이미 소금적재창고에 소정의 높이로 적재된 소금에 추가로 적재되는 것으로, 소금이 낙하되는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소금의 높이가 올라게 되어 소금적재창고의 전체구역에 고르게 분포 시켜 적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2917호의 염전용 소금살포식 적재장치에서와 같이 경사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상측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설치된 임펠러를 설치하여 상기 경사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소금을 전방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금살포식 적재장치는 상기 경사컨베이어에서 낙하된 소금을 전방으로 분사하게 되므로 상기 소금살포식 적재장치의 전방으로는 넓게 분사되는 장점이 있으나 소금살포식 적재장치의 양측면으로는 비산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적재창고의 전체구역에 대한 고른 분포로 적재하는데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금대차에서 배출된 소금을 비산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적재창고의 내부로 비산시켜 적재하도록 이루지면서 상기 비산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소금수용케이스가 비산방향조절유닛에 의해 좌우 왕복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창고 내부 전체구역에 대해 고른 분포로 비산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소금을 전방으로 비산시키기 위한 소금비산장치(200)를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비산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프레임(211)과, 상기 마운팅프레임(2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12)과, 상기 연결프레임(212)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연장프레임(214)과, 상기 연결프레임(212)에 장착되는 회전구동부(24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산플레이트(220)와,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한 상태로 다수개의 비산날개(230)에 의해 소금이 비산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240)는, 상기 연결프레임(212)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구동축(242)의 선단에 회전기어구(243)가 설치된 구동모터(241)와, 상기 회전기어구(243)에 치합되는 대응기어구(245)가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길이방향 타측이 결합되는 플레이트회전폴(244)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회전폴(244)은 상기 연장프레임(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축가이드브라켓(215)과 상기 연장프레임(214)의 길이방향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핀조인트구(261)를 통과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내부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하측에 스핀축(250)이 돌출된 경우, 상기 스핀축(250)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비산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적재창고 내부로 소금을 비산시켜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비산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소금수용케이스의 왕복 회전에 의해 적재창고의 전체구역으로의 비산 적재를 이룰 수 있어 소금의 적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금비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착프레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산플레이트와 소금수용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금수용케이스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향조절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역컨베이어바디를 확대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개방구에 의해 소금대차의 배출도어가 개방되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소금살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금비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착프레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산플레이트와 소금수용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금수용케이스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산방향조절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역컨베이어바디를 확대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개방구에 의해 소금대차의 배출도어가 개방되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소금살포장치는, 염전레일(10)을 따라 이동된 소금대차(2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소금을 밸트부(110)에 의해 지면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유닛(100)과,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소금을 전방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금비산장치(200)로 구성된 소금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비산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상측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부(210)와, 상기 장착프레임부(210)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24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산플레이트(220)와,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소금수용케이스(260)와,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산방향조절유닛(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염전용 소금살포장치는 소금대차에서 배출된 소금을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에 의해 적재창고의 내부로 비산시켜, 적재시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하는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를 상기 비산방향조절유닛(270)에 의해 좌우 회전시키면서 소금을 비산하여 적재창고내에 고른 비산을 통한 소금의 적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은 염전에 설치된 염전레일(10)을 따라 이송된 소금대차(20)가 진입되어 상기 소금대차(20)의 하방으로 적재소금이 배출되는 경우, 길이방향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금을 상방이동시켜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컨베이어유닛(100)은 염전레일(10)의 끝단에 연결되는 가이드진입레일(121)이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밸트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하방가이드롤(미도시)이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밸트부(110)의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회전롤(122)이 장착된 하역컨베이어바디(12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길이방향 상측에 상기 밸트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상방가이드롤(140)이 장착된 경사컨베이어바디(13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각조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밸트부(110)는 상기 하방가이드롤과 상기 상방가이드롤(140)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에는 상기 소금대차(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25)가 설치된다.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에는 상기 소금대차(20)의 하방으로 배출된 소금이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에 위치하는 상기 밸트부(110)의 상측면으로 유도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를 따라 상방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편(123)이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편(123)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의 상측으로 진입하는 소금대차(20)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도어(21)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방구(124)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소금대차(20)가 상기 가이드진입레일(121)을 따라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개방구(124)가 상기 배출도어(21)를 밀어 상기 소금대차(20)의 내부에 적재된 소금이 상기 밸트부(110)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역컨베이어바디(120)에 위치하는 밸트부에 안착된 소금은 상기 가이드편(123)에 의해 중앙부로 모여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각조절부(17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하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이동바퀴(172)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가이드폴(17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바퀴(172)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하측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폴(173)과,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 장착된 상태로 권취와이어(176)를 매개로 상기 각도조절폴(173)과 연결되는 권취드럼(175)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권취드럼(175)에 장착된 회전손잡이(177)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권취와이어(176)가 상기 권취드럼(175)에 권취되면서 상기 각도조절폴(173)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경사각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폴(173)에는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하측에 안착되어 회전이동되는 무빙롤(17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소금비산장치(200)는 상기 밸트부(110)에 의해 이송된 소금을 전방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소금비산장치(200)의 장착프레임부(210)는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의 길이방향 상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프레임(211)과, 상기 마운팅프레임(2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12)과, 상기 연결프레임(212)에 장착된 상태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다수개의 축가이드브라켓(215)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연장프레임(214)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212)이 상기 마운팅프레임(211)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위치변경이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신속히 위치변경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는 상기 장착프레임부(210)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2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측면에 다수개의 비산날개(230)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밸트부(110)에 의해 이동된 소금이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상측면으로 낙하하게 되면 상기 비산플레이트(220)가 회전되어 상기 비산날개(230)에 의해 소금이 비산되어 적재창고에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240)는 상기 장착프레임부(210)의 연결프레임(212)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구동축(242)의 선단에 회전기어구(243)가 설치된 구동모터(241)와, 상기 회전기어구(243)에 기어결합되는 대응기어구(245)가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프레임(214)에 장착된 상기 축가이드브라켓(215)을 통과하여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플레이트회전폴(244)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12)에는 상기 구동모터(241)를 커버할 수 있도록 모터커버구(21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는,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장착프레임부(2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비산날개(230)에 의해 비산되는 소금이 전방으로 비산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상측에는 상기 연장프레임(214)의 길이방향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핀조인트구(261)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내부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하측에 스핀축(250)이 돌출된 경우, 상기 스핀축(25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구(262)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비산방향조절유닛(270)은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구동시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전방 개방된 부위를 상기 플레이트회전폴(244)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재창고내의 넓은 범위로 소금을 비산하여 소금의 적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비산방향조절유닛(2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 하부에 장착되는 회전모터구(271)와, 상기 회전모터구(271)의 회전축(272)에 설치되는 풀리구(273)와, 상기 풀리구(273)를 감싼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하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되는 연결로프(2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구(271)는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 장착되는 마운팅판(131)과, 상기 마운팅판(13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조인트구(132)에 의해 연결되는 서포트판(133)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구(271)의 회전축(272)은 상기 서포트판(133)을 관통하여 단부에 상기 풀리구(273)가 장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모터구(27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27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풀리구(273)를 감싸는 상기 연결로프(274)가 상기 회전축(272)의 회전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전방 개방된 부위가 위치변경되어 소금의 비산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비산방향조절유닛(270)에는 상기 연결로프(274)가 일정한 장력을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로프(27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280)가 장착되고, 상기 장력조절구(280)는 상기 서포트판(133)에 연결되는 연결봉(28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 하부에는 상기 밸트부(110)에 부착된 잔여소금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솔부재(3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솔부재(300)는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 설치되어 상기 밸트부(110)에 부착된 잔여소금을 털어 내어 상기 밸트부(110)가 장기간 원활한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방가이드롤(140)을 회전지지하는 롤서포터브라켓(150)이 장력조절부(16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부(160)는 상기 롤서포터브라켓(15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왕복이동폴(161)과, 상기 왕복이동폴(161)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 장착되는 중공형 수용프레임(162)과, 상기 경사컨베이어바디(130)에 장착되어 상기 왕복이동폴(16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조절구(16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조절구(163)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왕복이동폴(161)이 이동되면서 상기 롤서포터브라켓(150)에 연결된 상기 상방가이드롤(140)을 이동시켜 회전하는 상기 밸트부(1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방가이드롤(140)에는 별도의 구동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밸트부(110)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염전레일 20: 소금대차
21: 배출도어 100: 컨베이어유닛
110: 밸트부 120: 하역컨베이어바디
130: 경사컨베이어바디 170: 경사각조절부
200: 소금비산장치 210: 장착프레임부
220: 비산플레이트 260: 소금수용케이스
270: 비산방향조절유닛
300: 솔부재

Claims (4)

  1.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소금을 전방으로 비산시키기 위한 소금비산장치(200)를 포함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금비산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유닛(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프레임(211)과, 상기 마운팅프레임(2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12)과, 상기 연결프레임(212)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연장프레임(214)과, 상기 연결프레임(212)에 장착되는 회전구동부(24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산플레이트(220)와, 상기 비산플레이트(220)를 수용한 상태로 다수개의 비산날개(230)에 의해 소금이 비산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소금수용케이스(2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240)는, 상기 연결프레임(212)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구동축(242)의 선단에 회전기어구(243)가 설치된 구동모터(241)와, 상기 회전기어구(243)에 치합되는 대응기어구(245)가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상측면에 길이방향 타측이 결합되는 플레이트회전폴(244)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회전폴(244)은 상기 연장프레임(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축가이드브라켓(215)과 상기 연장프레임(214)의 길이방향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핀조인트구(261)를 통과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금수용케이스(260)의 내부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비산플레이트(220)의 하측에 스핀축(250)이 돌출된 경우, 상기 스핀축(250)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2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1231A 2020-03-13 2020-03-13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Active KR10235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31A KR102359129B1 (ko) 2020-03-13 2020-03-13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31A KR102359129B1 (ko) 2020-03-13 2020-03-13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57A KR20210116757A (ko) 2021-09-28
KR102359129B1 true KR102359129B1 (ko) 2022-02-09
KR102359129B9 KR102359129B9 (ko) 2022-12-27

Family

ID=7792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31A Active KR102359129B1 (ko) 2020-03-13 2020-03-13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1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837B1 (ko) * 2016-10-05 2016-11-29 오영근 소금 살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168A (ko) * 2010-02-12 2010-12-24 신화파스칼(주) 염전용 소금 살포식 적재 장치
KR20150141468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티에스씨 염전구역에서 주행 가능한 천일염 채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837B1 (ko) * 2016-10-05 2016-11-29 오영근 소금 살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57A (ko) 2021-09-28
KR102359129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994A (en) Seeder apparatus for dispensing seed with or without top dressing
US7000533B2 (en) Bale unloading arrangement of a large round baler
DE3444739A1 (de)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zigaretten o.dgl.
US20100096469A1 (en) Spreader apparatus for vehicles
KR102359129B1 (ko) 염전용 소금살포장치
US5170948A (en) Fine material distributor
US6832681B2 (en) Tobacco leaf elevator
US4759680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crop from a continuous tray
US2601618A (en) Unloading assembly for wagon boxes
DE3644900A1 (de) Strohleitblech fuer einen maehdrescher
RU2583700C1 (ru) Мобильный смеситель-раздатчик кормов
EP04388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spreading granular or powdered material
EP0628246B1 (de) Vorrichtung zum Mischen und dosierten Entladen von Viehfutter oder dergleichen
US3556224A (en) Beach cleaning apparatus
DE202011003872U1 (de)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Gegenständen in einen Behälter
US1381009A (en) Box-car loader
EP1021949B1 (en) A mobile device for delivering fodder and a method for delivering fodder
RU2215681C1 (ru) Метатель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5289911A (en) Material slinger
CN207209187U (zh) 一种提升机的机头组件
DE202007015437U1 (de) Schubwendetrockner mit Zentralschmierung
CN222494780U (zh) 一种移动式料仓下料装置
US3520397A (en) Particulate material distributing device
CN222907004U (zh) 一种自动均匀分散进料设备
US2765901A (en) Attachment for elevating and delivering bales from bal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122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