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8960B1 - 장신구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960B1
KR102358960B1 KR1020200035548A KR20200035548A KR102358960B1 KR 102358960 B1 KR102358960 B1 KR 102358960B1 KR 1020200035548 A KR1020200035548 A KR 1020200035548A KR 20200035548 A KR20200035548 A KR 20200035548A KR 102358960 B1 KR102358960 B1 KR 10235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hole
ornament
binding
guide groove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104A (ko
Inventor
양석진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양석진
김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진, 김희선 filed Critical 양석진
Priority to KR102020003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9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9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띠 형태의 장신구 양단을 쉽고 간편하고 체결하기 위한 장신구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신구용 체결구는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형성된 타원형태의 끼움공(120)을 구비한 고리부(100)와,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2몸체(210)와 상기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2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몸체(110)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를 결속시키는 결속돌기(220)를 구비한 후크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체결구{Connector for accessory}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띠 형태의 장신구 양단을 쉽고 간편하고 체결하기 위한 장신구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과 같이 띠형태로 이루어진 장신구는 착용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신구의 양단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시키는 체결구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1)는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된 후크(10)와, 장신구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20)와, 상기 후크(1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후크(10)에 설치되는 탄성결속레버(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는 사용자가 탄성결속레버(30)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후크(10)의 입구가 개방되며, 개방된 후크(10)에 고리(20)를 끼우고 탄성결속레버(30)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결속레버(30)가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후크(10)의 입구가 폐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1)는 탄성결속레버(30)를 누르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장신구의 양단을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1)는 미관을 중요시 하는 장신구 특성상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매우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탄성결속레버(30)를 손으로 잡고 누르기가 매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과정에서 첨예한 탄성결속레버(30)에 손가락이 강하게 눌리면서 고통도 수반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1)는 탄성결속레버(30)의 구성부품들이 미세하고 후크(10)의 일측 또는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5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신구용 체결구는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타원형태의 끼움공을 구비한 고리부와,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2몸체와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속시키는 결속돌기를 구비한 후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는 제2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끼움공에 대응되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과 대면하는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에 후크부의 결속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후크부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에는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리에 형성된 끼움공으로 후크부에 형성된 결속돌기를 끼운 후에 후크부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고리부와 후크부의 결속과 해제가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탄성결속레버를 조작하여 결속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된 종래에 비하여 사용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탄성결속레버와 같이 미세한 부품으로 이루어진 동작부재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구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걸이, 팔찌, 발찌 등과 같이 띠형태로 이루어진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고리부(100)와 타단에 연결된 후크부(2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00)는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형성된 끼움공(1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몸체(110)는 일정 두께(D)를 가진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에는 상기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111)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공(120)은 제1몸체(110)의 중앙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공(120)의 단축(A)과, 연결고리(111)와, 장신구의 일단이 일직선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한편, 상기 후크부(200)는 장신구의 타단에 제2몸체(210)와, 상기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몸체(210)에 형성된 결속돌기(220)를 구비한다.
상기 제2몸체(210)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에는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210)는 제1몸체(110)와 포개어 놓았을 때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심미적으로 우수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돌기(220)는 제2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221)와, 상기 수직부(22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22)는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하도록 상기 끼움공(120)에 대응되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1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후크부(200)는 지지부(222)의 장축방향과 연결고리(211)와 장신구의 타단이 일직선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222)의 하단과 제2몸체(210) 사이의 거리(H)는 제1몸체(110)의 두께(D)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221)는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한 결속돌기(220)가 끼움공(120)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끼움공(120)의 단축(A)과 동일한 직경(B)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210)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부(221)를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가이드 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30)은 제2몸체(210)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개방된 양단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30)과 대면하는 상기 제1몸체(110)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230)에 대응되는 돌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30)는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에 후크부(200)의 결속돌기(2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200)가 회전할 경우에 가이드 홈(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200)는 가이드 홈(230)과 돌기(130)의 작용으로 인하여 고리부(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결속고리의 수직부(221)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홈(230)의 중앙에는 회전이 완료된 후크부(2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기(130)가 안착되는 안착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240)이 지지부(222)의 장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면, 후크부(200)의 결속돌기(220)가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을 통과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90°회전하는 경우에 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정확하게 포개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신구용 체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속이 이루어진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00)의 아래쪽에 고리부(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크부(200)를 배치시킨 다음, 상기 후크부(200)를 고리부(100)의 저면으로 접근시켜 고리부(100)의 끼움공(120)으로 후크부(200)의 결속돌기(220)를 끼워서 통과시킨다.
그리고,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후크부(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속돌기(220)의 지지부(222) 하단이 상기 끼움공(120)의 단축 방향의 제1몸체(110)의 상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면서 상기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후크부(200)가 90°회전하게 되면, 직교상태로 배치되었던 상기 고리부(100)와 후크부(200)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정확하게 포개지면서 상기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의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후크부(2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리부(100)에 형성된 돌기(130)는 후크부(200)의 가이드 홈(230)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원활한 후크부(200)의 회전이 보장되며, 상기 후크부(200)가 90°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기(130)가 가이드 홈(230)에 형성된 안착홈(240)에 안착된다.
이때, 사용자는 돌기(130)가 가이드 홈(230)에 안착될 때 발생되는 클릭감을 통해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의 결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실하게 인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부(200)가 회전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의 결속은 쉽게 해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와의 결속 해제는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리부(100)에 후크부(200)를 끼운 상태에서 후크부(200)를 회전시키기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고리부(100)와 후크부(200)의 결속과 해제가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고리부 110...제1몸체
120...끼움공 130...돌기
200...후크부 210...제2몸체
220...결속돌기 221...수직부
222...지지부 230...가이드 홈
240...안착홈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타원형태의 끼움공을 구비한 고리부; 및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된 판상의 제2몸체와,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속시키는 결속돌기를 구비한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돌기는 제2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끼움공에 대응되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과 대면하는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고리부의 끼움공에 후크부의 결속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가 회전할 경우에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중앙에는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장신구용 체결구.
KR1020200035548A 2020-03-24 2020-03-24 장신구용 체결구 Active KR10235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48A KR102358960B1 (ko) 2020-03-24 2020-03-24 장신구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48A KR102358960B1 (ko) 2020-03-24 2020-03-24 장신구용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04A KR20210119104A (ko) 2021-10-05
KR102358960B1 true KR102358960B1 (ko) 2022-02-07

Family

ID=7807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48A Active KR102358960B1 (ko) 2020-03-24 2020-03-24 장신구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9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645A1 (en) * 2009-10-12 2011-04-21 Trust Montecavallo Hook for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400A (en) * 1977-03-08 1978-02-21 Sekiguchi Seisakusho Co., Ltd. Fastenings suitable for personal ornaments
KR20190135593A (ko) 2018-05-29 2019-12-09 이요한 악세사리용 고리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645A1 (en) * 2009-10-12 2011-04-21 Trust Montecavallo Hook for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04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1217A (en) Jewelry shortener lock
CN108697211B (zh) 包括用于调节环带长度的设备的环带卡扣
KR200492761Y1 (ko) 장신구 체결장치
US20160270490A1 (en) Locking mechanism for jewelry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358960B1 (ko) 장신구용 체결구
TWM240254U (en) Device for adjusting strap
US7536759B2 (en) Clas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O1997023145A1 (en) A jewelry clasp, particularly for earrings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CN205106593U (zh) 绳索扣
KR20150098550A (ko) 장신구
KR102228160B1 (ko) 장신구 줄 체결구
JPH09299117A (ja) 装身具の止め金具
JP5419227B2 (ja) 止め具、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CN217446901U (zh) 一种可调手寸的戒指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JP2541549Y2 (ja) ネックレス、腕輪、その他の装身具及び服飾品用留め金
CN205125287U (zh) 一种弹性制扣
US2778081A (en) Pin stem joint and catch
CN221844048U (zh) 一种首饰用弹性锁扣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3157465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