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405B1 -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7405B1 KR102357405B1 KR1020210059496A KR20210059496A KR102357405B1 KR 102357405 B1 KR102357405 B1 KR 102357405B1 KR 1020210059496 A KR1020210059496 A KR 1020210059496A KR 20210059496 A KR20210059496 A KR 20210059496A KR 102357405 B1 KR102357405 B1 KR 102357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exhalation
- inhalation
- ball
- c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79 thoracic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PPTYJKAXVCCBDU-UHFFFAOYSA-N Rohypnol Chemical compound N=1CC(=O)N(C)C2=CC=C([N+]([O-])=O)C=C2C=1C1=CC=CC=C1F PPTYJKAXVCCBD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1 bronch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5—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carried by the fluid stream, e.g. free-floating ba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기를 운동시키면서도 객담배출을 유도하는 기능도 구비한 호흡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호흡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에 물리는 취구부(100)와, 상기 취구부(100)의 말단에 연결되며, 들숨시 공기를 흡입하는 들숨하우징(200)과, 상기 취구부(100)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는 날숨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들숨하우징(200)은 들숨하우징(200)의 말단에 날숨방향으로 향하는 들숨콘(210)과, 상기 들숨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볼(220)과, 공기가 통하게 하는 통풍커버(230)를 포함하며, 상기 날숨하우징(300)은 내부에 들숨방향으로 형성된 날숨콘(31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볼(32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320)이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통풍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inducing sputum discharge while exercising the respiratory syst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the mouthpiece 100 bitten by the user's mouth,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100, and the inhalation housing 200 for sucking air during inhalation, the mouthpiece Containing an exhalation housing 300 for discharging air during exhalation of the unit 100, the inhalation housing 200 is an inhalation cone 210 facing the exhalation direction at the end of the inhalation housing 200, and in the inhalation housing It includes a ball 220 to be inserted, and a ventilation cover 230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the exhalation housing 300 is an exhalation cone 310 formed in the inhalation direction therein, and the exhalation housing 300 is inserted inside It provides a respirator exercise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all 320 and the exhalation housing 300, and includes a ventilation cover 330 to prevent the ball 320 from being sepa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흡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기를 운동시키면서도 객담배출을 유도하는 기능도 구비한 호흡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inducing sputum discharge while exercising the respiratory system.
호흡기의 건강과 폐활량의 증진을 위한 운동은 필요성에 비하여 실시되는 비율이 낮다. 이는 상기의 운동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낮은 점도 있으나, 휴대가 용이한 호흡기운동기구를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Exercises to improve respiratory health and lung capacity are low compared to necessity. This is because, althou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the above exercise is low,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obtain a portabl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또한, 객담의 배출에 대하여는 시중에 흉벽진동기가 상용화 되고 있으나 용도의 제한성 때문에 보편적으로 보급되기 어려웠다. In addition, chest wall vibrato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discharge of sputum, but it was difficult to spread them universally due to limitations in their use.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Hereinafter, related prior literatures are introduced. Identifiers in the following prior references are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35307호 '호흡 조절용 숨쉬기 운동기구'는 원통형 부재내의 공간부에 볼을 구성한 기구를 이용하여 들숨과 날숨을 제어 통제함으로써 착용자의 호흡방법을 개선시킴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호흡 조절용 숨쉬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본체(10) 일측의 흡입공(40)과 타측의 배출공(20)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흡입공(40)과 배출공(20) 사이에 다소 큰 구경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에 호흡시의 공기압에 의해 이동자재될 수 있는 볼(60)을 개재 구성하여, 호흡시의 들숨(흡)과 날숨(호)에 따라 볼(10)이 흡입공(40) 및 배출공(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35307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breathing control' uses a ball-shaped device in the space in the cylindrical member to control and control inhalation and exhalation, thereby improving the wearer's breathing method and promoting health. It relates to a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controlling breathing so that, in particular, the cylindrical body 10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ction hole 40 on one side and the discharge hole 20 on the other side, and the suction hole 40 and the discharge hole 20 By forming a space with a rather large diameter between the balls 60, which can be moved freely by air pressure at the time of respiration, the ball 10 is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hole 40 and the discharge hole 20 .
그러나 제0135307호는 하우징안에 볼이 하나 뿐이어서 하우징 내 요홈부에 제대로 위치하지 못하는 등의 오작동을 피할 수 없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No. 0135307, there was only one ball in the housing, so malfunctions such as not being properly positioned in the groove in the housing could not be avoi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0563호 '휴대형 객담 배출용 의료기'는 주요 호흡기 질환에서 많이 발생하는 기관지내의 가래인 객담의 배출을 돕기 위한 휴대형 객담 배출용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납 고정하는 모터 수납체와,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에 대해 편심 회전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의 회전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 수납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진동 전달자; 상기 모터 수납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지 수납체 및 이 전지 수납체에 수납되어 상기 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동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부는 객담 배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진동 주파수 범위(50∼200㎐)의 진동 주파수를 발생한다. 그러나, 제10-0570563호는 전동모터를 사용하여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고 고장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70563 'portable medical device for discharging sputum' relates to a portable medical device for discharging sputum to help discharge sputum, which is sputum in the bronchus, which occurs frequently in major respiratory diseases, and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on generator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a motor housing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electric motor, and a weight eccentrically rotating with respect to a driv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eight; a vibration transmitte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motor housing to transmi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battery housing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motor housing and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motor; and a switch unit for operating on/off o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 vibration frequency in a vibration frequency range (50 to 200 Hz) capable of effectively inducing sputum discharge. However, No. 10-0570563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uses an electric motor and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risk of failure is hig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작동이 없고, 호흡운동과 객담배출유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호흡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no malfunction, and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breathing exercise and sputum discharge indu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호흡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에 물리는 취구부(100)와, 상기 취구부(100)의 말단에 연결되며, 들숨시 공기를 흡입하는 들숨하우징(200)과, 상기 취구부(100)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는 날숨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들숨하우징(200)은 들숨하우징(200)의 말단에 날숨방향으로 향하는 들숨콘(210)과, 상기 들숨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볼(220)과, 공기가 통하게 하는 통풍커버(230)를 포함하며, 상기 날숨하우징(300)은 내부에 들숨방향으로 형성된 날숨콘(31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볼(32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320)이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통풍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connected 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작동이 없고, 호흡운동과 객담배출유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호흡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no malfunction, and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breathing exercise and sputum discharge induction.
본 발명은 들숨시 들숨하우징의 볼이 진동하여 호흡에 부하를 주고, 날숨시 날숨하우징의 볼이 진동하여 호흡에 부하를 준다. 들숨시는 날숨하우징의 볼이 날숨하우징측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날숨시는 들숨하우징의 볼이 들숨하우징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of the inhalation housing vibrates during inhalation to give a load to respiration, and the ball of the exhalation housing vibrates during exhalation to give a load to respiration. The ball of the exhalation housing during inhalation blocks the inflow of air from the side of the exhalation housing, and the ball of the inhalation housing blocks the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inhalation housing during exhalation.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날숨시 날숨하우징의 볼이 진동하게 되어 폐를 진동시켜 객담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duce the discharge of sputum by vibrating the lungs by vibrating the ball of the exhalation housing during exhal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단면도이다.
도5는 날숨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of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alation con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호흡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에 물리는 취구부(100)와, 상기 취구부(100)의 말단에 연결되며, 들숨시 공기를 흡입하는 들숨하우징(200)과, 상기 취구부(100)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는 날숨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들숨하우징(200)은 들숨하우징(200)의 말단에 날숨방향으로 향하는 들숨콘(210)과, 상기 들숨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볼(220)과, 공기가 통하게 하는 통풍커버(230)를 포함하며, 상기 날숨하우징(300)은 내부에 들숨방향으로 형성된 날숨콘(31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볼(32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320)이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통풍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the
상기 호흡기 운동기구는 재질에 그 제한을 두지 아니하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금속, 목재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but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However, if necessary, metal, wood, etc. may be applied.
상기 취구부(100)는 사용자가 구강으로 물어 들숨 날숨을 호흡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구강이 닿는 부분을 입으로 물기 용이하게 납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들숨하우징(200)은 들숨시 상기 볼(220)이 들숨콘(210)에 접하는 면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볼(220)이 조금씩 들리면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볼(220)은 충분한 중량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볼(220)와류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또한, 날숨시에는 상기 볼(220)은 날숨방향으로 경사각이 형성된 들숨콘(210)의 통공을 막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는다. 따라서 상기 들숨콘(210)에 형성된 통공의 직경은 상기 볼(200) 직경의 50~9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상기 날숨하우징(300)은 상기 볼(320)은 날숨콘(310) 위에 위치하게 되며, 날숨시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볼(320)이 들리면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볼(320)은 충분한 중량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볼(320)이 상기 날숨콘(310)위로 조금씩 들리면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볼(320)이 충분한 질량을 갖기 때문에, 공기가 배출되면서 진동하게 된다. 또한, 들숨시에는 상기 볼(320)이 들숨방향으로 경사각이 형성된 날숨콘(210)의 통공을 막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는다. The
상기 들숨하우징(200)과 날숨하우징(300) 및 취구부(100)는 서로 연통되어있으며, 각각 120도의 각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방향으로 형성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T형구조, Y형 구조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The inhalation housing 200 and the exhalation housing 300 and the
상기 각 통풍커버(230, 330)에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작은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들숨보다는 날숨에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기에, 상기 들숨하우징(200)의 통풍커버(230)의 통공의 직경은 보다 큰 공기흐름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통풍커버(330)의 통공의 직경에 대하여 150~2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들숨하우징(200)의 통풍커버(230)의 통공의 직경이 날숨하우징(300)의 통풍커버(330)의 통공의 직경보다 더 크지 아니하면 호흡에 필요한 힘이 차이가 생겨 사용이 어렵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small through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ventilation covers 230 and 330 for the smooth flow of air. In addition, since a greater force can be applied to the exhalation than the inhala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또한, 날숨이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볼(330)의 중량은 상기 들숨하우징(200)의 볼(230)의 중량에 대하여 11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재질의 차이를 두거나 볼 안의 공동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exhalation can apply a greater force, the weight of the
상기 각 볼(320, 330)은 충분한 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등의 소재로 제조되며, 특히 산화되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스테인레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들숨하우징(200)의 통공과 날숨하우징(300)의 통공 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볼(220, 320)의 직경은 대응되는 상기 각 통공의 직경들보다 105%~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의 직경이 너무 작게되면 볼과 통공을 형성하는 하우징 재질의 탄성 때문에 볼이 각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으며, 볼이 너무 크게 형성되면 각 통공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Each of th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날숨하우징의 볼(320)은 15~20mm의 직경을 가지며 22~30g의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들숨하우징의 볼(220)은 13~18mm의 직경을 가지며 16~25g의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들술과 날숨의 힘의 차이에 의한 크기와 중량의 배분으로서 호흡시 각 볼(220, 320)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함이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상기 각 통풍커버(230, 330)들은 각 볼(220, 230) 보다 작은 통공들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작은 통공들이 공기의 입출입시 와류를 형성하여 각 볼(220, 230)들을 진동시키게 된다. Each of the ventilation covers 230 and 330 has a plurality of smaller through-holes than the
상기 각 볼(220, 230)들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타액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들숨하우징(200) 및 날숨하우징(300) 모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들숨콘(210)과 통풍커버(330)은 각 하우징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는 나사구조에 의한 착탈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착탈구조에 대하여 한정을 하지 아니한다.Each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호흡기 운동기구의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들숨하우징(200)이 하측을 항햐도록 본원발명의 호흡기 운동기를 파지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ds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들숨시에는 통풍커버(230)의 통공들을 경유하여 들숨하우징(200)의 들숨콘(210)으로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볼(220)은 흡입공기에 밀려 들숨콘(210)를 두드리며 진동하게 된다. 들숨콘(2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취부구(100)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로 들어간다. At the time of inhalation, air is sucked into the
상기 충분한 중량을 갖는 볼(220)이 진동함에 따라, 공기의 유입에 저항을 주게 되고 사용자는 보다 힘차게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어 호흡기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As the
이때, 날숨하우징(300)의 볼(320)은 들숨방향(날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 날숨콘(310)의 통공을 막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들숨하우징(200)의 진동하는 볼(220)을 경유하여서만 유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날숨시에는 날숨하우징(300)의 날숨콘(310)으로 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볼(320)은 배출공기에 밀려 날숨콘(310)을 두드리며 진동하게 된다. 날숨콘(3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통풍커버(230)의 통공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When exhaling, air is discharged to the
상기 충분한 중량을 갖는 볼(320)이 진동함에 따라, 공기의 배출의 흐름에 저항을 주게 되고 사용자는 보다 힘차게 날숨을 불게 되어 호흡기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As the
날숨시, 들숨하우징(200)의 볼(220)은 날숨방향(들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 들숨콘(210)의 통공을 막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진동하는 볼(320)을 경유하여서만 배출되게 되며, 이로써 호흡기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When exhaling, the
한편, 날숨시 상기 볼(320)이 진동함에 따라, 볼(320) 진동의 충격은 사용자의 허파로 전달되게 하여 흉벽을 진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사용자 폐 내의 객담의 배출을 돕게 되어 본 발명은 호흡기의 운동 외에도 객담배출 촉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도5는 날숨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숨콘(310)에 돌기(311)가 다수개 형성되어 볼이 날숨콘(310)의 경사벽과 충돌시 불규칙한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보다 큰 진동을 유발케 한다. 이러한 진동은 흉벽을 진동시키는 효과를 극대화시켜주어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기의 운동 외에도 객담배출 촉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alation cone. 5, a plurality of
상기의 돌기(311)의 높이(h1)는 볼의 지름의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1)가 클 경우 보다 불규칙한 충돌을 유발할 수 있으나, 볼이 통콩을 막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The height h1 of the
또한, 상기 돌기(311)의 설치높이(h2)는 상기 날숨콘(310) 높이의 4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역시 상기 볼이 통공을 막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height (h2) of the
상기의 돌기의 높이, 설치위치 등의 구성은 들숨콘(2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etc.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inhalsumcon (210).
또한,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각 통풍커버(230, 330)의 내부에도 상기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projections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f each ventilation cover (230, 330).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one embodiment of various embodiments includ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the purpos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by changes, substitutions, substitutions,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som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provided to be exaggerated or reduced than the actual ones for more clear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claim signs are only for helping understanding, and do not mean to limi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00. 취구부
200. 들숨하우징
210. 들숨콘(corn)
220. 볼
230. 통풍커버
300. 날숨하우징
310. 날숨콘(corn)
311. 돌기
320. 볼
330. 통풍커버100. Gugubu
200. Insom housing
210. Insom corn (corn)
220. Ball
230. Ventilation cover
300. Exhalation housing
310. Exhaled corn
311. Turning
320. Ball
330. Ventilation cover
Claims (1)
사용자의 구강에 물리는 취구부(100)와,
상기 취구부(100)의 말단에 연결되며, 들숨시 공기를 흡입하는 들숨하우징(200)과,
상기 취구부(100)의 날숨시 공기를 배출하는 날숨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들숨하우징(200)은 들숨하우징(200)의 말단에 날숨방향으로 향하는 들숨콘(210)과, 상기 들숨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볼(220)과, 공기가 통하게 하는 통풍커버(230)를 포함하며,
상기 날숨하우징(300)은 내부에 들숨방향으로 형성된 날숨콘(31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볼(320)과,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320)이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통풍커버(330)를 포함하며,
상기 들숨하우징(200)의 통풍커버(230)의 통공의 직경은 보다 큰 공기흐름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통풍커버(330)의 통공의 직경에 대하여 150~250%로 형성되고,
상기 날숨하우징(300)의 볼(330)의 중량은 상기 들숨하우징(200)의 볼(230)의 중량에 대하여 110~130%이며,
상기 들숨콘(210) 및 날숨콘(310)의 내면에 각각 다수의 돌기(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운동기구.
In the respiratory exercise device,
The mouthpiece 100 bitten in the user's mouth and,
An inhalation housing 200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take portion 100 and sucking air during inhalation;
It includes an exhalation housing 300 for discharging air during exhalation of the mouthpiece 100,
The inhalation housing 200 includes an inhalation cone 210 facing the exhalation direc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inhalation housing 200, a ball 220 inserted into the inhalation housing, and a ventilation cover 230 allowing air to pass therethrough. ,
The exhalation housing 300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halation cone 310 and the exhalation cone 310 formed in the inhalation direction therein, the ball 320 inserted into the exhalation housing 300, and the exhalation housing 300, the ball (320) includes a ventilation cover (330) to prevent separa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ventilation cover 230 of the breathing housing 200 is 150 to 250%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ventilation cover 330 of the breathing housing 300 in order to secure a larger air flow area. become,
The weight of the ball 330 of the breathing housing 300 is 110 to 130%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ball 230 of the breathing housing 200,
Respiratory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inhalation cone 210 and the exhalation cone 310,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9496A KR102357405B1 (en) | 2021-05-07 | 2021-05-07 |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9496A KR102357405B1 (en) | 2021-05-07 | 2021-05-07 |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7405B1 true KR102357405B1 (en) | 2022-02-09 |
Family
ID=8026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9496A Active KR102357405B1 (en) | 2021-05-07 | 2021-05-07 |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740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16272A1 (en) * | 2023-11-30 | 2025-06-05 | (주)지에이치이노텍 | Bidirectional respiration exercise and measurement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51190A (en) * | 1992-04-10 | 1995-09-19 | Varioraw Percutive S.A. | Apparatus for respiratory therapy |
KR0135307B1 (en) | 1988-09-20 | 1998-04-23 | 하인리히 스페크르메이어 외르크 트라버 | Medications for Stroke |
KR0135307Y1 (en) * | 1995-07-29 | 1999-02-01 | 정병만 | Device for controlling the breath |
KR20010017069A (en) * | 1999-08-06 | 2001-03-05 | 정진구 | Pulmonary respiration intensifying instrument |
KR100570563B1 (en) | 2004-11-16 | 2006-04-12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Portable sputum discharge medical device |
-
2021
- 2021-05-07 KR KR1020210059496A patent/KR1023574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5307B1 (en) | 1988-09-20 | 1998-04-23 | 하인리히 스페크르메이어 외르크 트라버 | Medications for Stroke |
US5451190A (en) * | 1992-04-10 | 1995-09-19 | Varioraw Percutive S.A. | Apparatus for respiratory therapy |
KR0135307Y1 (en) * | 1995-07-29 | 1999-02-01 | 정병만 | Device for controlling the breath |
KR20010017069A (en) * | 1999-08-06 | 2001-03-05 | 정진구 | Pulmonary respiration intensifying instrument |
KR100570563B1 (en) | 2004-11-16 | 2006-04-12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Portable sputum discharge medical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16272A1 (en) * | 2023-11-30 | 2025-06-05 | (주)지에이치이노텍 | Bidirectional respiration exercise and measurement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2047B2 (en) | Acoustic respiratory therapy device | |
EP3218040B1 (en) |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 |
US10039691B2 (en) | Vibr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 |
US20080257348A1 (en) | Emergency and mass casualty ventilator | |
EG24839A (en) | Inhaler | |
EP3280477A1 (en) | Air impeller device for providing assisted ventilation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 |
KR102357405B1 (en) | Respiratory exercise equipment | |
KR102212353B1 (en) | Respiratory rehabilitation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breathing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ombines chest wall vibration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function | |
AU2021325277B2 (en) | Respiratory therapy instrument | |
KR102066589B1 (en) | Extracorporeal Respiration muscle rehabilitation and Secretion Clearance by Positive/Negative Pressure | |
CN206026838U (en) | Do not have and create face guard of ventilating with vibration sputum discharging function | |
KR101925454B1 (en) | High-Frequency Airway pressure oscillator | |
CN213192373U (en) | Respiratory muscle exerciser | |
ITBS20130072A1 (en) | EQUIPMENT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PHYSIOTHERAPY | |
CN108325177B (en) | Respi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strument | |
CN218391831U (en) | One-way aerosol therapeutic apparatus applied to breathing machine | |
CN120285369A (en) | Rhinitis and nasosinusitis therapeutic apparatus | |
CN115814358A (en) |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achine | |
ITBS20120105A1 (en) | EQUIPMENT FOR RESPIRATORY PHYSIOTHERAPY | |
TH74968A (en) | Inhal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