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6478B1 -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478B1
KR102356478B1 KR1020217032311A KR20217032311A KR102356478B1 KR 102356478 B1 KR102356478 B1 KR 102356478B1 KR 1020217032311 A KR1020217032311 A KR 1020217032311A KR 20217032311 A KR20217032311 A KR 20217032311A KR 102356478 B1 KR102356478 B1 KR 10235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unting material
sound
network structure
dimensional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오 니시보리
Original Assignee
아인 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인 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인 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4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3/0236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using sonic waves, e.g. using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4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solid bodies, e.g. wi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음향 장치(2)는,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70)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 또는 컬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7)와, 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와, 판 모양의 공명판(6)을 갖는다. 3차원 망구조체(7)는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73)과, 표면(73)에 대향하는 내면(74)를 포함한다. 스피커(5)는, 3차원 망구조체(7)의 내면(74)에 면하는 진동부(51)와 진동부(51)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5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52)는, 탄성을 갖는 장착재료(8)를 통해 공명판(6)의 일측 면(611)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본 발명은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자 등의 쿠션 속에 스피커를 삽입한 음향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에는 랜덤(random)하게 커브(curve) 또는 루프(loop)한 열가소성 수지의 선조(線條)로 이루어진 3차원 망구조체를 통해 스피커의 음파를 인체의 상반신 후면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향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907991호 명세서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향 시스템에서는, 3차원 망구조체를 구성하는 선조를 매질로 하여 스피커의 음파가 인체(특히 등)에 전달됨으로써, 예를 들면 악기의 현에 의한 진동이 직접 인체에 전달되는 경우와 비슷한 상태가 되어, 공기를 매질로 하는 소리만을 지각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깊은 심신의 이완(relax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스피커가 발생한 음파는 3차원 망구조체만 아니라 스피커가 설치된 케이스나 함체(enclosure) 등으로도 전파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향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3차원 망구조체 이외의 부재에 의한 음파의 전파를 고려하지 않고, 이들 부재에 의한 등 이외의 부분으로의 음파의 전파나 공기를 매질로 하는 소리의 전파가 생기기 쉬워지고, 3차원 망구조체의 선조를 매질로 하는 음파가 인체(특히 등)에 전파되는 것에 의한 상술한 이완 효과가 저감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3차원 망구조체의 선조를 매질로 하는 음파를 인체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은 인체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에 있어서,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loop) 또는 컬(curl)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와, 상기 음파를 발생하는 복수의 스피커와, 판 모양의 공명판을 가지며, 상기 3차원 망구조체가, 상기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에 면(面)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保持)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탄성을 가진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명판이, 복수의 상기 스피커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목판과, 복수의 상기 목판이 장착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부가, 대응하는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목판의 타측 면이, 상기 판부재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가 원형의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오목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 및 상기 저면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에 있어서,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loop) 또는 컬(curl)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와, 상기 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판 모양의 공명판을 가지고, 상기 3차원 망구조체가, 상기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에 면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탄성을 가진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명판이, 목판과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금속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가, 원형의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오목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 및 상기 저면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금속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기 금속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금속판의 타측 면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의 타측 면이 당해 타측 면의 서로 이간(離間)한 복수의 장소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스피커를 가지고, 상기 공명판이, 복수의 상기 스피커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목판과, 복수의 상기 목판이 장착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목판과 당해 하나의 목판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금속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 장착되고, 상기 금속판에 장착되는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목판의 타측 면이 상기 판부재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은 동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망구조체는, 상기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내면보다 상기 표면에서 떨어진 이면(裏面)과, 상기 내면과 상기 이면의 사이에서 상기 스피커의 주위를 둘러싼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 및 상기 내측면과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이면은,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재료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아교이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인체의 적어도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재치되는 판상의 받침부재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면에서 상기 인체로 음파를 전달하는 상술한 상기 음향 장치와, 상기 음향 장치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가,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2 판부재의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을 가진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판부재가 목제(木製)의 판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재가 글래스 울(glass wool) 또는 암면(rock wool)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판부재가, 상기 완충부재에 면하는 목제(木製)의 상측 판부재와, 상기 상측 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목제의 하측 판부재와, 상기 상측 판부재와 상기 하측 판부재의 사이에 삽입된 엘라스토머 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지부가 탄성을 가진 부재에 의해 상기 음향 장치를 보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장치는, 인체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로서,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 또는 컬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와, 상기 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판 모양의 공명판을 가지고, 상기 3차원 망구조체가, 상기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에 면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탄성을 가진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명판이 목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가 원형의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오목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 및 상기 저면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망구조체의 선조를 매질로 하는 음파를 인체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향 시스템에서 본체부로부터 음향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음향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음향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스피커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스피커를 공명판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스피커가 장착된 공명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받침부재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명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명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특허문헌 1의 음향 시스템을 개발한 본원의 발명자는, 보다 심신의 이완 효과 및 건강증진 효과가 높은 음향 시스템이 되도록 예의 연구를 진행한 과정에서, 3차원 망구조체 이외의 부재에 전달되는 음파의 중요성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본원의 발명자는 3차원 망구조체의 선조를 매질로 하는 음파를 인체로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를 고정하는 부재와 그 고정방법, 바닥면까지 전달되는 음파를 제어하는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고민을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착상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음향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시스템은, 인체의 상반신의 배면(특히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고, 지지면에서 인체로 음파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 예를 들면 의자나 침대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음향 시스템(1)은 의자에 적용된 본 실시 형태의 일례이다.
이 음향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적어도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330)을 가진 본체부(3)와, 본체부(3)가 재치되는 판상의 받침부재(4)를 가진다. 본체부(3)는, 소파형 의자로,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31)와, 좌부(31)의 상면에 설치된 좌부 쿠션(32)과, 등을 지지하 등받이부(33)와, 좌부(31)를 좌우 양 측면에서 끼워 넣어 지지하는 2개의 측부(34)와, 2개의 측부(34)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팔걸이부(35)와, 좌부(31)의 정면 측에서 아래쪽을 향해 비스듬히 돌출된 발받침부(36)를 구비한다.
본체부(3)의 등받이부(3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330)에서 인체로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2)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본체부(3)의 등받이부(33)에서 음향 장치(2)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등받이부(33)는 음향 장치(2)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보지부(331)를 갖는다. 도 2의 예에서, 보지부(331)는 등받이부(33)의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관통한 구멍부(332)와 구멍부(332)의 배면측 개구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333)을 포함한다. 구멍부(33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장치(2)가 감입된다. 지지 프레임(333)은, 구멍부(332)에 감입된 상태의 음향 장치(2)의 외면을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도 2의 예에서, 복수의 막대 모양의 지지 프레임(333)이 구멍부(332)의 배면측의 개구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각 지지 프레임(333)에서 음향 장치(2)와 당접하는 부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334)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부재(334)는 예를 들어 글래스 울(glass wool) 등의 탄력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음향 장치(2)와 접하는 등받이부(33)의 구멍부(332)는 탄력성 있는 쿠션이고, 음향 장치(2)의 각 측면을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한다. 즉, 등받이부(33)의 보지부(331)는 탄성을 가진 부재(완충부재(334), 구멍부(332)의 쿠션)에 의해 음향 장치(2)를 보지한다.
본체부(3)의 보지부(331)가 탄성을 가진 부재에 의해 음향 장치(2)를 보지함으로써 음향 장치(2)의 후술하는 스피커(5A~5G)에서 발생한 음파가 본체부(3)로 직접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이들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파가 후술하는 3차원 망구조체(7)를 통해 인체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도 3A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장치(2)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의 예에서, 음향 장치(2)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음향 장치(2)를 등받이부(33)에 장착했을 때, 음향 장치(2)의 외면 중 하나가 지지면(330)이 되어, 인체의 등을 지지한다. 음향 장치(2)는 각 부품을 내부에 수납하고 바깥쪽을 덮는 수납 주머니(21)를 갖는다. 이 수납 주머니(21)는, 예를 들면, 천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면(330)에 대응하는 부분이 메쉬의 천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향 장치(2)는, 도 3A의 예에서 7개의 스피커(5A~5G)를 가진다. 7개의 스피커(5A~5G)는 각각 지지면(330)에서 외부로 음파를 출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7개의 스피커(5A~5G) 중 6개의 스피커(5A~5F)(이하, 구별 없이 '스피커(5)'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같은 종류의 스피커이고, 스피커(5G)만이 다른 스피커(5)에 비해 사이즈가 큰 저음용 스피커이다. 6개의 스피커(5)는, 지지면(33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나열된 2개로 열로 나뉘어져 있고, 각 열에는 3개의 스피커(5)가 종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저음용 스피커(5G)는, 횡방향에서 스피커(5)의 2개의 열에서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종방향에서 스피커(5)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용자가 통상의 자세로 본체부(3)에 앉을 경우, 스피커(5)의 2개의 열이 등뼈의 양쪽에 위치하고, 저음용 스피커(5G)가 골반측의 등뼈 근처에 위치한다.
도 3B는 음향 장치(2)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지지면(330)에 수직인 평면에서 스피커(5)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다. 음향 장치(2)는, 도3B에 나타내듯이, 선조(70)의 집합인 3차원 망구조체(7)와, 판상의 공명판(6)을 가진다.
3차원 망구조체(7)는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70)가 랜덤하게 루프 또는 컬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서 집합한 것이다. 선조(70)의 원료가 되는 수지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이며, 범용 플라스틱(폴리올레핀, 폴리스틸렌계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등) 등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특히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초산비닐수지(VAC),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등이 바람직하며, 이것들을 혼합한 것이라도 좋다. 열가소성수지는 신규로 정제된 수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수지라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VAC 또는 EVA의 초산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선조(70)를 형성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초산비닐계 수지=70~97 중량%:3~3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90 중량%:10~20 중량%이다. VAC 또는 EVA가 3중량% 이하이면 반발 탄성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 되면 열적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SBS를 혼합하여 선조(70)를 형성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폴리올레핀계 수지:SBS=50~97 중량%:3~5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90 중량%:10~30 중량%이다.
3차원 망구조체(7)를 구성하는 선조(70)는, 중공(中空)이어도 좋고, 무구(중실(中實))여도 좋으며, 양자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중량의 경감 등의 관점에서, 선조(70)는 중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조(70)를 중공 구조로 함으로써, 동일 지름의 무구한 선조(70)와 비교하여, 수지 부분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높은 주파수의 진동이 전달되기 쉬워진다. 즉, 중공의 선조(70) 쪽이 강성이 높고 진동의 감쇠가 적다.
무구한 선조(70)와 중공의 선조(70)를 혼재시키는 경우, 이 혼합비는 무구:중공=0~50:50~100이 바람직하다.
선조(70)의 선경(직경)은, 무구한 선조(70)의 경우 0.3~3.0mm, 바람직하게는 0.7~1.0mm로 할 수 있다. 무구한 선조(70)의 경우 선경 0.3mm 이하에서는 선조(70)에 탄력이 약해져, 융착부가 많아져 공극률이 저하되며, 3.0mm 이상에서는 선조(70)에 탄력이 강해져 루프가 형성되기 어려워져 융착부가 적어지고,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중공의 선조(70)의 경우, 선조(70)의 선경은 1.0~3.0mm, 바람직하게는 1.5~2.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9~1.3mm로 할 수 있다. 중공의 선조(70)는 중공률이 1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률이 10% 이하에서는 중량 경감에 기여하지 않고, 80% 이상에서는 쿠션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선조(70)에 형성되는 중공부는 연속되지 않아도 된다.
3차원 망구조체(7)는 쿠션으로서 필요한 탄성과 강도를 가지면서 중량을 경감하는 관점에서, 소정의 부피밀도와 공극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극률이란
[공극률(%)]=(1-[부피밀도]/[수지의 밀도])×100
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망구조체(7)의 전체 부피밀도는 0.001~0.20g/㎤, 바람직하게는 0.08~0.20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18g/㎤로 할 수 있다. 공극률은 78~91%, 보다 바람직하게는 80~88%로 할 수 있다.
3차원 망구조체(7)는 부피밀도가 낮은 부분과 부피밀도가 높은 부분을 가진다. 도 3B에서 선의 간격이 큰 곳은 부피밀도가 낮은 부분을 나타내고 선의 간격이 작은 곳은 부피밀도가 높은 부분을 나타낸다. 3 차원 망구조체(7)에 있어서는, 적어도, 수납 주머니(21)의 지지면(330)에 가까운 외층과, 공명판(6)에 가까운 외층이, 각각 부피 밀도가 높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3차원 망구조체(7)에서 상하가 외층 사이에 있는 내층은 부피밀도가 낮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외층의 부피밀도를 높임으로써, 선조(70)끼리의 융착력이 강화되기 때문에, 외력을 받는 경우의 압력이 분산되기 쉬워지고, 3차원 망구조체(7)의 내부에 배치된 스피커(5A~5G)에 대해 큰 외력을 작용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면(裏面, 75) 부근의 외층의 부피밀도를 높임으로써, 이면(75)의 요철이 적게 되어 매끄럽게 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장착재료(8)를 통해 3차원 망구조체(7)와 공명판(6)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내층의 부피밀도를 낮춤으로써 3차원 망구조체(7)의 쿠션성을 높일 수 있다.
높은 부피밀도 부분인 외층의 부피밀도는 0.2~0.5g/㎤, 바람직하게는 0.3~0.4g/㎤, 공극률은 44~77%, 바람직하게는 56~67%로 할 수 있다. 낮은 부피밀도 부분인 내층의 부피밀도는 0.01~0.15g/㎤, 바람직하게는 0.03~0.05g/㎤, 공극률은 83~99%, 바람직하게는 94~97%로 할 수 있다.
3차원 망구조체(7)의 두께는 인체를 지지하는 데 필요한 강도와 탄성을 발휘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어도 3차원 망구조체(7) 내에 스피커(5A~5G)를 내장하는 데 필요한 두께로 설정된다. 일례로서, 3차원 망구조체(7)의 두께는 60mm~100mm, 바람직하게는 70~80mm이다. 3차원 망구조체(7)는 용해 절단, 기계적 절단, 핫프레스 등의 방법에 의해 임의의 형상,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망구조체(7)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주머니(21)의 지지면(330)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체와 접하는 표면(73)과, 표면(73)에 대향하는 내면(74)을 가진다. 내면(74)은, 스피커(5)의 후술하는 진동부(51)에 면하고 있다.
또한, 3차원 망구조체(7)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73)에 대향하는 이면(75)을 가진다. 이면(75)은, 내면(74)에 비해 표면(73)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장착재료(8)를 통해 공명판(6)의 일측 면(611)에 장착된다.
또한, 3차원 망구조체(7)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74)과 이면(75) 사이에 스피커(5)의 주위를 둘러싸는 내측면(76)을 가진다. 스피커(5)는 3차원 망구조체(7)의 내면(74) 및 내측면(76)과 공명판(6)의 면(611)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도 3B에 예시하는 3차원 망구조체(7)는, 수납 주머니(21)의 지지면(330)에 가까운 표면측 부재(71)와 공명판(6)에 가까운 내측 부재(72)를 겹쳐 형성된다. 표면측 부재(71)와 내측 부재(72)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내측 부재(72)가 표면측 부재(71)에 비해 큰 두께를 갖는다.
내측 부재(72)는, 스피커(5A~5G)를 배치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스피커(5)가 위치한 내측 부재(72)의 관통 구멍은 스피커(5)의 주위를 둘러싼 내측면(76)을 형성한다. 표면측 부재(71)는, 각 관통 구멍의 지지면(330) 측에 있는 개구부를 막고 있다. 표면측 부재(71)에서 지지면(330)에 가까운 쪽의 면은 상술한 표면(73)이며, 표면측 부재(71)에서 표면(73)의 반대쪽의 면(표면(73)에 마주보는 면)은 상술한 내면(74)이다. 내측 부재(72)의 관통 구멍에 위치하는 표면측 부재(71)의 내면(74)은, 이 관통 구멍에 배치된 스피커(5)의 진동부(51)에 면하고 있다. 관통 구멍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표면측 부재(71)의 내면(74)은, 내측 부재(72)의 내면(77)에 당접한다. 내면(74)과 내면(77)은, 장착재료(8)에 의해 장착되어도 좋다. 도 3B의 예에서, 내면(74) 부근에 있는 표면측 부재(71)의 외층과, 내면(77) 부근에 있는 내측 부재(72)의 외층은, 각각 부피밀도가 높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내측 부재(72)에서 내면(77)의 반대쪽 면(내면(77)에 마주보는 면)은 상술한 이면(75)이다.
도 4A는 스피커(5)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피커(5)는, 3차원 망구조체(7)의 내면(74)에 면한 진동부(51)와, 진동부(51)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52)를 갖는다. 도 4A의 예에 있어서, 진동부(51)는 원추형 진동판(511)과, 진동판(511)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된 보이스코일(512)을 포함한다. 진동판(511)의 중앙부에 가까운 쪽은, 링 모양의 지지부(53)에 의해 프레임부(52)에 접속된다. 진동판(511)의 외연에 가까운 쪽은, 지지부(53)보다 지름이 큰 링 모양의 지지부(54)에 의해 프레임부(52)에 접속된다. 지지부(53) 및 지지부(54)는 각각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프레임부(52)에 대한 진동판(511)의 진동을 허용한다. 보이스코일(512) 내부에는 원기둥 모양의 요크(55)가 배치된다. 프레임부(52)는 요크(55)와 같은 자성체이며, 요크(55)와 프레임부(52)에는 자석(56)에 의한 자속이 발생한다. 이 자속이 프레임부(52)와 요크(55) 사이에 위치한 보이스코일(512)의 전류에 작용함으로써 전류에 중첩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른 전자력이 보이스코일(512)에 작용하고, 진동판(511)이 오디오 신호에 따라 진동한다. 진동판(511)의 진동방향은 서로 대체로 평행한 평면인 3차원 망구조체(7)의 표면(73) 및 내면(74)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이다.
도 4A의 예에서, 프레임부(52)는 대체로 원형의 평평한 저면(521)을 갖는다. 이 저면(521)의 중앙에는 오목부(522)가 형성된다.
도 4B는, 스피커(5)를 공명판(6)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스피커(5)의 프레임부(52)는, 탄성을 가지는 장착재료(8)를 통해 공명판(6)의 일측 면(611)에 장착된다. 장착재료(8)는 경화된 상태에서도 적당한 탄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를 포함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아교 등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가지는 장착재료(8)를 통해 프레임부(52)와 공명판(6)이 장착됨으로써, 이것들을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프레임부(52)로부터 공명판(6)에 음파(특히, 주파수가 높은 성분)를 전파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5)가 발생하는 음파(비교적 주파수가 높은 성분)를 3차원 망구조체(7)의 선조(70)에서 인체로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52)로부터 장착재료(8)를 통해 공명판(6)에 전파하는 비교적 주파수가 낮은 음파는, 인체의 등에 면하여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사이즈(수cm~수십 cm 정도)의 가로폭과 높이를 구비한 공명판(6)에 대해 공명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공명판(6)에 의해 증폭되어 3차원 망구조체(7)에 전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스피커(5)가 발생하는 비교적 주파수가 낮은 음파에 대해서도 3차원 망구조체(7)의 선조(70)에서 인체로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특히, 3차원 망구조체(7)의 이면(75)을 장착재료(8)에 의해 공명판(6)의 면(611)에 부착함으로써, 공명판(6)에서 증폭된 음파가 3차원 망구조체(7)에 전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3차원 망구조체(7)로부터 인체로 보다 효과적으로 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B의 예에 있어서, 공명판(6)은 목판(61)으로 구성된다. 목판(61)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럼버코어(lumber-core) 등의 합판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스피커(5)의 프레임부(52)는, 목판(61)의 일측 면(611)에 장착재료(8)를 통해 설치된다.
프레임부(52)는, 예를 들면,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521)의 오목부(522)에 담긴 장착재료(8)와 저면(521)의 외연부(523)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1)의 일측 면(611)에 장착된다. 저면(521)의 오목부(522)에 장착재료(8)를 담음으로써, 프레임부(52)의 저면(521)의 중앙 부분과 목판(61)의 면(611)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면(521)의 외연부(523)에서 목판(61)의 면(611)에 장착되는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52)로부터 공명판(6)에 전해지는 음파의 강도나 주파수 등을 조절하기 쉬워진다.
도 5는 복수의 스피커(5A~5G)가 장착된 공명판(6)(목판(6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공명판(6)(목판(61))의 평평한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목판(61)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일례에서 목판(61)의 사이즈는 폭 400mm, 세로 650mm, 두께 13mm로 여러 개의 스피커(5A~5G)가 1장의 목판(61)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은 본체부(3)가 재치되는 받침부재(4)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연직방향에 따른 평면으로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다. 받침부재(4)는,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듯이, 각각 판상의 부재인 제 1 판부재(41) 및 제 2 판부재(42)와 완충부재(43)를 가진다. 제 2 판부재(42)가 제 1 판부재(41)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 1 판부재(41)와 제 2 판부재(42) 사이에 완충부재(43)가 삽입된다. 제 1 판부재(41)는 합판 등의 목제(木製)의 판부재이다. 일례에 있어서, 제 1 판부재(41)의 두께는 55mm이다. 완충부재(43)는 글래스 울, 암면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례에 있어서, 완충부재(43)의 두께는 20mm이다. 일례에 있어서, 제 1 판부재(41)와 제 2 판부재(42)의 평면 형상은 동일 크기의 직사각형이고, 세로 변의 길이가 800mm, 가로 변의 길이가 840mm이다. 제 1 판부재(41)의 위쪽 면은 카펫(carpet) 등의 커버부재(44)로 덮여 있다.
음향 장치(2)의 스피커(5A~5G)로 발생한 음파의 일부는, 본체부(3)나 인체를 통해 받침부재(4)에 전파된다. 그러나, 받침부재(4)의 제 1 판부재(41)가 완충부재(43)를 통해 아래쪽의 제 2 판부재(42)에 지지되어 있고, 제 1 판부재(41) 전체가 제 2 판부재(42) 및 바닥면에 대해 진동하기 쉽게 되어 있어, 제 1 판부재(41)에서 바닥면으로 음파를 전파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음파(특히 낮은 주파수의 성분)에 의해 제 1 판부재(41)가 진동함으로써 이 진동이 받침부재(4)에 닿는 발끝이나 본체부(3)를 통해 인체에 전달되기 쉬워져 음향 장치(2)가 발생한 음파에 의한 편안한 진동을 이용자의 몸 전체에 줄 수 있다.
제 2 판부재(42)는, 예를 들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43)에 면한 목제의 상측 판부재(421)와, 상측 판부재(421)의 하측에 배치된 목제의 하측 판부재(422)와, 상측 판부재(421)와 하측 판부재(422) 사이에 삽입된 엘라스토머 시트(423)를 포함한다. 일례에 있어서, 상측 판부재(421)는 두께 12mm의 중밀도섬유판(MDF)이며, 하측 판부재(422)는 두께 20mm의 파티클보드이고, 엘라스토머 시트(423)는 두께 3mm의 고무 시트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시트(423)에 의해 상측 판부재(421)에서 하측 판부재(422)로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음파에 의한 제 1 판부재(41)의 진동을 바닥면에 전달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음향 시스템(1)을 사용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체부(3)의 좌부(31)에 앉아 등을 지지면(330)에 댄 상태로 하고, 스피커(5A~5G)에서 음악이나 환경음 등의 음파를 발생시킨다. 이 때, 등 아래쪽에 위치한 스피커(5)만큼 음파의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생리적인 쾌감이나 마사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을 가지는 장착재료(8)를 통해 스피커(5)의 프레임부(52)와 공명판(6)이 장착됨으로써, 프레임부(52)로부터 공명판(6)으로 주파수가 높은 음파를 전파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부(52)로부터 공명판(6)으로 전달된 주파수가 낮은 음파를 공명판(6)에서 공명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망구조체(7)의 선조(70)에서 인체로 효과적으로 음파를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받침부재(4)의 제 1 판부재(41)가 완충부재(43)를 통해 아래쪽의 제 2 판부재(42)에 지지되고 있고, 제 1 판부재(41) 전체가 제 2 판부재(42) 및 바닥면에 대하여 진동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장치(2)가 발생한 음파에 의한 진동을 몸 전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부(3)의 보지부(331)가 탄성을 가진 부재에 의해 음향 장치(2)를 보지함으로써, 음향 장치(2)의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가 본체부(3) 측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3차원 망구조체(7)의 선조(70)를 매질로 하는 음파를 인체로 전파시키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장치(2)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명판(6)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공명판(6)의 평평한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공명판(6)은, 6개의 스피커(5A~5F)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6개의 목판(62A~62F)(이하, 구별하지 않고 '목판(62)'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과, 이러한 목판(62A~62F)이 설치된 판부재(63)를 갖는다. 도 7의 예에서, 목판(62A~62F)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서로의 형상이 대체로 합동이다. 또한, 도 7의 예에서 판부재(63)의 평면 형상도 직사각형이고, 목판(62A~62F)보다 사이즈가 크다. 일례에 있어서, 목판(62A~62F)의 사이즈는 폭 80mm, 세로 80mm, 두께 13mm이고, 판부재(63)의 사이즈는 폭 400mm, 세로 650mm, 두께 25mm이다. 목판(62A~62F)과 판부재(63)는, 예를 들면 럼버코어 등의 합판으로 형성된다. 저음용 스피커(5G)는, 예를 들면, 목판(62)을 거치지 않고 판부재(63)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제 1 변형예의 음향 장치(2)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과 같이, 각 스피커(5)의 프레임부(52)는, 대응하는 목판(62)의 일측 면(621)에 장착재료(8)를 통해 설치된다. 프레임부(52)에 설치된 목판(62)의 일측 면(621)에 대향하는 목판(62)의 타측 면(622)은 판부재(63)의 일측 면(631)에 장착재료(8)를 통해 장착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피커(5)가 각각 독립된 목판(6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공명을 발생시키기 쉬운 적절한 사이즈의 목판(62)을 스피커(5)마다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가 각각 독립된 목판(62)에서 공명하기 쉬워져, 다른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가 하나의 목판(62)에서 상쇄하는 것이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장치(2)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 2 변형예의 음향 장치(2)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음향 장치(2)의 공명판(6)은, 도 3B에 나타내는 음향 장치(2)의 공명판(6)과 같은 목판(61)에 더하여, 금속판(64)을 갖는다. 금속판(64)은 목판(61)의 일측 면(611)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목판(61)보다 지지면(330) 측에 위치한다. 금속판(64)의 재료로는 구리, 철 등의 금속이나 복수의 금속에 의한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금속판(64)은 폭 200mm, 세로 300mm, 두께 0.3mm의 직사각형 동판이다.
스피커(5)의 프레임부(52)는,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또한, 3차원 망구조체(7)의 이면(75)도,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금속판(64)에 대한 프레임부(52)의 장착 방법은, 목판(61)에 대한 프레임부(52)의 장착 방법(도4B)과 같다. 즉, 프레임부(52)는 저면(521)의 오목부(522)에 담긴 장착재료(8) 및 저면(521)의 외연부(523)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프레임부(52)에 장착된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대향하는 금속판(64)의 타측 면(642)은,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1)의 일측 면(611)에 장착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타측 면(642)은, 이 면(642)에서의 서로 떨어진 복수의 장소에 담긴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1)의 일측 면(611)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제 2 변형예의 음향 장치(2)에 따르면, 프레임부(52)에서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에 전파한 음파가 금속판(64)에서 공명하는 동시에, 금속판(64)에서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1)에 전파한 음파가 목판(61)에서 공명한다. 이것에 의해, 금속판(64) 및 목판(61)의 각각 다른 공명 주파수로 공명한 음파가, 3차원 망구조체(7)를 통해 인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3차원 망구조체(7)의 선조(70)를 매질로 하는 음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공명 주파수로 공명한 음파가 인체로 전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음파의 주파수마다 다른 인체에의 이완 효과나 건강 증진 효과를 모두 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향 장치(2)의 제 3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명판(6)을 도시한 도면이고, 공명판(6)의 평평한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공명판(6)은, 도 7에 도시한 제 1 변형예의 공명판(6)과 같은 6개의 목판(62A~62F)(목판(62))과, 판부재(63)에 더하여 금속판(64)을 갖는다. 금속판(64)의 재료로는 제 2 변형예의 금속판(64)과 마찬가지로 동, 철 등의 금속이나 복수의 금속에 의한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금속판(64)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6개의 목판(62A~62F)(목판(62))과 6개의 스피커(5A~5F)(스피커(5)) 사이에 개재한다.
일례에 있어서, 금속판(64)의 사이즈는 폭 200mm, 세로 300mm, 두께 0.3mm이다. 또한, 일례에 있어서, 목판(62A~62F)의 사이즈는 폭 80mm, 세로 80mm, 두께 13mm이며, 판부재(63)의 사이즈는 폭 400mm, 세로 650mm, 두께 25mm이다. 목판(62A~62F)과 판부재(63)는, 예를 들면 럼버코어 등의 합판으로 형성된다. 저음용 스피커(5G)는, 예를 들면 목판(62)을 거치지 않고 판부재(63)에 직접 장착된다.
도 11은 제 3 변형예의 음향 장치(2)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피커(5)의 프레임부(52)는,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또한, 3차원 망구조체(7)의 이면(75)도,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금속판(64)에 대한 프레임부(52)의 장착 방법은 목판(61)에 대한 프레임부(52)의 장착 방법(도4B)과 같다. 즉 프레임부(52)는, 저면(521)의 오목부(522)에 담긴 장착재료(8) 및 저면(521)의 외연부(523)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장착재료(8)를 통해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장착된다.
프레임부(52)에 장착된 금속판(64)의 일측 면(641)에 대향하는 금속판(64)의 타측 면(642)은,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2)의 일측 면(621)에 장착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타측 면(642)은, 이 면(642)에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장소에 담긴 장착재료(8)를 통해 목판(62)의 일측 면(62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하나의 목판(62)과 당해 하나의 목판(62)에 대응하는 하나의 스피커(5)의 프레임부(52)가, 금속판(6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듯이 금속판(64)의 양면에 장착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평평한 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대응하는 스피커(5)와 목판(62)이 서로 중첩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금속판(64)에 장착된 목판(62)의 일측 면(621)에 대향하는 목판(62)의 타측 면(622)은 판부재(63)의 일측 면(631)에 장착재료(8)를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3 변형예의 음향 장치(2)에 따르면, 복수의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가, 각각 금속판(64)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독립된 목판(62)에 전파하기 쉽기 때문에, 공명을 발생시키기 쉬운 적절한 크기의 목판(62)을 스피커(5)마다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각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 중 금속판(64)의 일측 면으로부터 타측 면으로 전파하는 음파가 각각 독립된 목판(62)에서 공명하기 쉽게 되어, 서로 다른 스피커(5)에서 발생한 음파가 하나의 목판(62)에서 상쇄되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음향 장치(2)에 7개의 스피커(5A~5G)가 장착되어 있는데, 스피커의 수는 6개 이하여도 좋고, 8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음향 장치의 스피커 타입은 도4B에 나타낸 콘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타입의 스피커를 이용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부재의 크기와 재질, 재료 등은 하나의 예이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음향 시스템、2…음향 장치、21…수납 주머니、3…본체부、31…좌부、32…좌부 쿠션、33…등받이부、330…지지면、331…보지부、332…구멍부、333…지지 프레임、334…완충부재、34…측부、35…팔걸이부、36…발받침부、4…받침부재、41…제 1 판부재、42…제 2 판부재、421…상측 판부재、422…하측 판부재、423…엘라스토머 시트、43…완충부재、44…커버부재、5…스피커、5A~5G…스피커、51…진동부、511…진동판、512…보이스코일、52…프레임부、521…저면、522…오목부、523…외연부、53,54…지지부、55…요크、56…자석、57…보호커버、6…공명판、61…목판、611…면、62A~62F,62…목판、621,622…면、63…판부재、631…면、64…금속판、641,642…면、7…3차원 망구조체、70…선조、71…표면측 부재、72…내측 부재、73…표면、74,77…내면、75…이면、76…내측면、8…장착재료

Claims (19)

  1. 인체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에 있어서,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 또는 컬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와,
    상기 음파를 발생하는 복수의 스피커와
    판 모양의 공명판을 가지고,
    상기 3차원 망구조체가,
    상기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에 면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탄성을 가진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명판이,
    복수의 상기 스피커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목판과,
    복수의 상기 목판이 장착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부가, 대응하는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목판의 타측 면이 상기 판부재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원형의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오목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 및 상기 저면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3. 인체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향 장치에 있어서,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된 선조가 각각 랜덤하게 루프 또는 컬하여 서로 융착하고 뒤얽혀 집합한 3차원 망구조체와,
    상기 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판 모양의 공명판을 가지고,
    상기 3차원 망구조체가,
    상기 인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에 면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가, 탄성을 가진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명판이 목판과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금속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원형의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오목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 및 상기 저면의 외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금속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기 금속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금속판의 타측 면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타측 면이, 상기 타측 면의 서로 떨어진 복수의 장소에 담긴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피커를 가지고,
    상기 공명판이,
    복수의 상기 스피커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목판과,
    복수의 상기 목판이 장착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목판과 상기 하나의 목판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금속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 장착되고,
    상기 금속판에 장착된 상기 목판의 일측 면에 대향하는 상기 목판의 타측 면이 상기 판부재의 일측 면에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동판인,
    음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망구조체는
    상기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내면보다 상기 표면에서 떨어진 이면(裏面)과,
    상기 내면과 상기 이면의 사이에서 상기 스피커 주위를 둘러싼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내면 및 상기 내측면과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음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망구조체의 상기 이면은, 상기 장착재료를 통해 상기 공명판의 일측 면에 장착되어 있는,
    음향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재료가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아교인,
    음향 장치
  12. 인체의 적어도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재치되는 판상의 받침부재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면에서 상기 인체로 음파를 전달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음향 장치와
    상기음향 장치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가,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2 판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을 가진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부재가 목제의 판부재인,
    음향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글래스 울 또는 암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향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부재가,
    상기 완충 부재에 면한 목제의 상측 판부재와,
    상기 상측 판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목제의 하측 판부재와,
    상기 상측 판부재와 상기 하측 판부재 사이에 삽입된 엘라스토머 시트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가 탄성을 가진 부재에 의해 상기 음향 장치를 보지하는,
    음향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17032311A 2020-07-20 2021-07-02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Active KR102356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23595 2020-07-20
JP2020123595A JP6850510B1 (ja) 2020-07-20 2020-07-20 音響装置及び音響システム
PCT/JP2021/025150 WO2022019091A1 (ja) 2020-07-20 2021-07-02 音響装置及び音響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478B1 true KR102356478B1 (ko) 2022-02-08

Family

ID=7515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11A Active KR102356478B1 (ko) 2020-07-20 2021-07-02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2979A1 (ko)
EP (1) EP3972280A1 (ko)
JP (3) JP6850510B1 (ko)
KR (1) KR102356478B1 (ko)
CN (2) CN113727237B (ko)
WO (1) WO2022019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7827B1 (ja) 2023-11-22 2024-05-02 株式会社クーネル 音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14Y1 (ko) * 2000-06-10 2001-01-15 최보미 음향 진동 전환 장치
JP2003111177A (ja) * 2001-09-28 2003-04-11 Denon Ltd 音楽鑑賞用椅子
KR20060102149A (ko) * 2005-03-23 2006-09-27 이송자 기능성 베개
KR101091781B1 (ko) * 2003-09-29 2011-12-08 아인 컴퍼니 리미티드 테크니컬 센터 쿠션 및 동 쿠션을 갖춘 음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991B1 (ko) 1969-09-26 1974-02-23
US4169516A (en) * 1976-04-26 1979-10-02 Ichiro Honda Speaker system
JPH0298749U (ko) * 1989-01-25 1990-08-07
JPH0833077A (ja) * 1994-07-14 1996-02-02 Toshiba Corp スピーカー取付け装置及び乗車券発行機
JP3769805B2 (ja) * 1996-03-06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2000233025A (ja) * 1998-12-16 2000-08-29 Jewel Power Kaihatsushitsu Kk スピーカーおよび振動発生器を備えたベッド用マットまたは敷きふとん
JP2003250667A (ja) * 2002-02-27 2003-09-09 Ain Kk Sogo Kenkyusho スプリング構造樹脂成形品から成る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09389A1 (ja) * 2005-03-30 2006-10-19 Pioneer Corporation スピーカ内蔵シートおよびパーソナル音場システム
GB2510010A (en) * 2012-10-08 2014-07-23 Flare Audio Holdings Ltd A housing and/or a frame or chassis for a loudspeaker or a microphone
US9147328B2 (en) * 2013-11-04 2015-09-29 Disney Enterprises, Inc. Creating tactile content with sound
CN204733355U (zh) * 2015-07-10 2015-10-28 陈代明 超低频共振音箱低频共振板
EP3244633A1 (en) * 2016-05-13 2017-11-15 Flexound Systems OY A seat arranged for enhanced sound perception via vib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14Y1 (ko) * 2000-06-10 2001-01-15 최보미 음향 진동 전환 장치
JP2003111177A (ja) * 2001-09-28 2003-04-11 Denon Ltd 音楽鑑賞用椅子
KR101091781B1 (ko) * 2003-09-29 2011-12-08 아인 컴퍼니 리미티드 테크니컬 센터 쿠션 및 동 쿠션을 갖춘 음향 시스템
JP4907991B2 (ja) 2003-09-29 2012-04-04 アイン株式会社総合研究所 クッション及び前記クッションを備えた音響システム
KR20060102149A (ko) * 2005-03-23 2006-09-27 이송자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20545A (ja) 2022-02-01
EP3972280A1 (en) 2022-03-23
CN113727237A (zh) 2021-11-30
JP6935961B1 (ja) 2021-09-15
JP6850510B1 (ja) 2021-03-31
WO2022019091A1 (ja) 2022-01-27
JP2022020220A (ja) 2022-02-01
JP6944740B1 (ja) 2021-10-06
JP2022020546A (ja) 2022-02-01
CN216795261U (zh) 2022-06-21
US20220312979A1 (en) 2022-10-06
CN113727237B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488B1 (ko) 음향의 종합적인 감지를 위한 장치
US5442710A (en) Body-felt sound unit and vibration transmitting method therefor
US5314403A (en) Apparatus for the enhancement of the enjoyment of the extremely low frequency component of music
US7722116B2 (en) Acoustic seat vibratory-bone-conduction type
US7127075B2 (en) Acoustic vibration system with speaker for air mattresses
JP6285165B2 (ja) 音響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US2009015291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uneful attenuation
JP3880865B2 (ja) スピーカを備えた椅子
JP2008513138A (ja) 音及び振動の伝達パッド及び装置
US11357332B2 (en) Furniture with integrated acoustical system
KR102356478B1 (ko) 음향 장치 및 음향 시스템
CN115039420A (zh) 音响系统
JP7477827B1 (ja) 音響装置
CN101213867A (zh) 骨振动式音响座椅
JP3245390U (ja) 音響装置
JP5060660B1 (ja)
JPH01288091A (ja) 振動装置
JPH0221798A (ja) 音響振動装置
JP2019004443A (ja) 響胴放射型スピーカ
JPH01288095A (ja) 振動装置
JPH0761194B2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JPS59131308A (ja) 身体に音を感じる椅子・ソフアの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