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6304B1 -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 Google Patents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04B1
KR102356304B1 KR1020190164737A KR20190164737A KR102356304B1 KR 102356304 B1 KR102356304 B1 KR 102356304B1 KR 1020190164737 A KR1020190164737 A KR 1020190164737A KR 20190164737 A KR20190164737 A KR 20190164737A KR 102356304 B1 KR102356304 B1 KR 10235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lation device
signal
tissue
unit
j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4441A (en
Inventor
원영재
김기섭
채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텍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텍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텍메디
Priority to KR102019016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04B1/en
Priority to PCT/KR2020/015113 priority patent/WO2021091176A2/en
Priority to US17/774,183 priority patent/US20220370118A1/en
Publication of KR2021007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2Optical arrangements with mean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69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for ablating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904Automatic detection of targe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절제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절제 장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작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힌 경우에만 상기 신호부가 상기 조직을 스캐닝하도록 상기 절제 장치로 원위 이동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개시한다.Embodiments include an ablation device for ablating tissue; an extension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and a signal unit extending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wherein the manipulation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nd the signal unit operates the tissue only when the ablation device is closed. Disclosed is a tissue ablation device that moves distally to the ablation device for scanning.

Description

조직 절제 장치 및 조직 절제 시스템{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실시예는 조직 절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tissue ablation devices and systems.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계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말한다. 이러한 수술 중 개복 수술은 복강이나 안면의 피부(skin)를 갈라서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수술에 해당한다.Medically, surgery refers to the treatment of diseases by cutting, slitting, or manipulating the skin, mucous membranes, or other tissues using a medical machine. Among these surgeries, open surgery correspond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skin of the abdominal cavity or the face is divided and opened, and the internal organs are treated, molded, or removed.

이러한 개복 수술을 시술할 때에는, 피부를 절개하여 피부와 조직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그 공간을 통해 수술 행위를 수행하게 되므로, 상처가 많이 나고 수술 후 치유가 더디다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강경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When performing such open surgery, sinc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kin and the tissue by incision of the skin, and then the surgical a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a lot of wounds and the healing after surgery is slow. In recent years, laparoscopic surger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수술 부위에 작은 구멍을 뚫은 후 이 구멍을 통해 복강경을 삽입하여 복강 내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수술하는 방식으로, 각종 내과 및 외과 수술, 비뇨기과 및 산부인과 영역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 수술에 비하여 회복기간 단축, 작은 흉터, 통증 및 감염 위험 감소 등과 같은 많은 장점 때문에, 1990년 담낭 절제술을 시작으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Laparoscopic surgery is a method of performing surgery while observing the surgical site in the abdominal cavity by making a small hole in the patient's surgical site and then inserting a laparoscope through this hole. Laparoscopic surger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since cholecystectomy in 1990 because of it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conventional open surgery, such as shorter recovery period, small scarring, reduced pain, and reduced risk of infection.

현재는 대장암수술, 위암수술, 탈장, 간 절제술과 갑성선 수술 등 외과 수술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전체 수술의 약 20~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전체수술의 8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Currently, it is applied to almost all surgical fields such as colorectal cancer surgery, gastric cancer surgery, hernia, liver resection, and thyroid surgery, accounting for about 20-40% of all surgeries, and in the future, it will account for 80% of all surgeries. is expected to

복강경은 신체의 내부기관을 화상 진단하는 장비의 하나로서, 통상적으로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기기를 체내에 삽입하여 소형 카메라로부터 검출된 화상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aparoscope is one of the equipment for diagnosing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and it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sert a device equipped with a small camera into the body to observe imag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mall camera through a monitor installed outside.

복강경 수술은 절제해야 할 조직 내부에 존재하는 혈관의 위치와 크기는 환자에 따라 천차만별이며, 그 정보 또한 알 수가 없어 의사의 해부학적 지식 및 경험을 통해 동맥 등의 혈관 위치를 가늠하여 수술을 진행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조직 절제 시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다분하다.In laparoscopic surgery, the location and size of blood vessels inside the tissue to be excise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patient, and the information is also unknown.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vascular resection during tissue resection.

복강경 수술 중 혈관이 절제된 경우, 출혈을 막기 위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 환자와 의사의 컨디션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대량 출혈로 인해 환자를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치명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If a blood vessel is resected during laparoscopic surgery,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to prevent bleeding can be consumed, which can worse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doctor, and in severe cases, it can be said to be fatal enough to cause death of the patient due to massive bleeding. hav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복강경 조직 절제시 의도치 않은 혈관절제 자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보다는 혈관절제가 이루어진 후 초음파 등의 에너지로 지혈하여 문제를 줄이기 위한 미봉책성 개발에 그치고 있다.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but rather than research to prevent unintentional vasectomy itself during laparoscopic tissue resection, we a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seamless solution to reduce the problem by hemostasis with energy such as ultrasound after vascular resection is performed. is ending

또한, 조직 내부를 지나가는 혈관의 위치는 환자에 따라 다르고 그 크기 또한 천차만별이므로, 조직을 통과하는 광신호의 세기 정보만으로는 조직 내부의 혈관 존재 유무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대변할 수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수술 중 환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 수술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혈관절제 발생 확률은 대략 3%에 해당되며, 이 중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확률은 대략 18% 정도이며, 이처럼 의도치 않은 혈관절제로 인한 치료 소모 비용으로 수십억 달러가 지출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of blood vessels passing through the tissue varies from patient to patient and their size is also different, it cannot be said that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and size of blood vessels inside the tissue can be accurately represented only by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the tissue. , if the device malfunctions, it may pose a significant risk to the patient during surgery. In the actual surgical procedure, the probability of unintentional vasectomy is about 3%, of which the probability of fatal damage is about 18%. It is becoming a situation.

이에, 복강경 등의 조직 절제 장치는 조직 내의 혈관 등을 용이하게 검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such as a laparoscope to easily detect blood vessels in a tissue.

실시예는 절제하고자 하는 조직 내부의 혈관 등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for easily detecting blood vessels inside a tissue to be resected.

또한, 정확한 절제를 위해 일측에 광섬유를 배치하여 육안 또는 광신호를 이용한 내부 영상화를 제공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al imaging using the naked eye or an optical signal by disposing an optical fiber on one side for accurate excision.

또한, 조작자가 용이하게 절제와 라인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issue ablation apparatus that enables an operator to easily perform ablation and line scanning.

또한, 복강경수술, 흉강경수술, 로봇수술 또는 개복수술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술시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issue resection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unintentional vascular resection during various types of surgery, such as laparoscopic surgery, thoracoscopic surgery, robotic surgery, or open surgery.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described below or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는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절제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절제 장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작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힌 경우에만 상기 신호부가 상기 조직을 스캐닝하도록 상기 절제 장치로 원위 이동한다.A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blation apparatus for ablating tissue; an extension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and a signal unit extending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wherein the manipulation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nd the signal unit operates the tissue only when the ablation device is closed. distally to the ablation device for scanning.

상기 조작부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핸드 홀더; 상기 핸드 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스위칭하는 개폐 트리거; 상기 신호부가 원위 이동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캐닝 트리거; 및 상기 신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 트리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신호부를 상기 절제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신호부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may include: a hand holder including a receiving unit; an opening/closing trigger coupled to the hand holder and configured to switch opening/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 scanning trigger that switches the signal part to move distally; and a signal unit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ignal unit to move the signal unit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anning trigger.

상기 개폐 트리거는, 상기 핸드 홀더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trigger may include: a base disposed outside the hand holder; a first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핸드 홀더에서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are movable proximally or distally in the hand holder.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고 근위 이동 시에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힐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nd close the ablation device upon proximal movement.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신호부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unit holder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상기 신호부 홀더는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원위 이동하면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가 근위 이동하면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 해제할 수 있다.The signal unit holder may press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when the second pressing member moves distally, and release the pressurization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when the second pressing member moves proximally.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may mov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절제 장치는, 제1 죠; 및 조직을 절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절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죠 하부에서 상기 제1 죠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죠;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부는, 상기 조직에 신호를 제공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죠는 상기 신호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죠는 상기 신호부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The abl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jaw; and a second jaw that includes a protrusion for ablating tissue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jaw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jaw, wherein the signal unit provides a signal to the tissue and transmits a reflected signal is disposed on the second jaw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out portion, wherein the first jaw does not overlap the signal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jaw overlaps the sign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은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를 포함하는 조직 절제 장치; 상기 조직 절제 장치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조직에서 반사된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 절제 장치는,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절제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절제 장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작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힌 경우에만 상기 신호부가 상기 조직을 스캐닝하도록 상기 절제 장치로 원위 이동한다.A tissu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issue ablation device comprising an ablation device for ablating tissue; an image generator providing a signal to the tissue resection device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by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tissue; and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 wherein 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comprises: an ablative apparatus for resecting a tissue; an extension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and a signal unit extending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wherein the manipulation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nd the signal unit operates the tissue only when the ablation device is closed. distally to the ablation device for scanning.

실시예에 따르면, 절제하고자 하는 조직 내부의 혈관 등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for easily detecting a blood vessel inside a tissue to be resected.

또한, 정확한 절제를 위해 일측에 광섬유를 배치하여 육안 또는 광신호를 이용한 내부 영상화를 제공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issue ablation device that provides visual or internal imaging using an optical signal by disposing an optical fiber on one side for accurate excision.

또한, 조작자는 절제를 수행하기 전에 절제 부위에 대한 라인스캐닝을 용이한 조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line scanning of the ablation site before performing the ablation.

또한, 복강경수술, 흉강경수술, 로봇수술 또는 개복수술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술 시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조직 절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issue resection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unintentional vascular resection during various types of surgery, such as laparoscopic surgery, thoracoscopic surgery, robotic surgery, or open surgery.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1 동작 및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조작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2 동작 및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조작부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3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조직 절제 장치의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3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3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3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issu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top view of an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ide view of a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in FIG. 8;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in FIG. 10;
12 is a view of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opera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oper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issu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1000)는 절제 장치(100), 연장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ablation apparatus 100 , an extension unit 200 , and a manipulation unit 300 .

먼저, 절제 장치(100)는 조직의 원하는 부위가 절제되는 장치로, 제1 죠(jaw, 110), 제2 죠(120), 신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irst, the ablation apparatus 100 is an apparatus for excising a desired portion of a tissue, and may include a first jaw 110 , a second jaw 120 , and a signal unit 13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연장부(200)는 절제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연장부(200)는 플렉시블하게 이동 가능한 관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200)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절제 장치(100)와 외부에 설치된 영상 생성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200)에는 상술한 신호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extension 200 may be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100 . In particular, the extension portion 200 may have a flexible and movable tubular structure. The extension part 200 may connect the ablation apparatus 100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the image generator installed outside. A connection device or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extension unit 200 so that the above-described signal unit is movable.

조작부(300)는 절제 장치(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300)는 절제 장치(100)에 의해 제1죠와 제2 죠의 회전을 조작하여 열림 및 닫힘(또는 개폐)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조직을 절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0)는 신호부(130)의 라인스캐닝을 위해 신호부(130)를 길이 방향(원위 또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100 .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r opening/closing) by manipula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by the ablation device 100 , thereby excising the tissue. 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operate the signal unit 130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tal or proximal direction) for line scanning of the signal unit 130 .

예컨대, 조작부(300)는 자동조작방식 또는 수동조작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자동조작방식은 조작부(300)를 통해 입력이 존재하면(예컨대, 버튼 푸쉬) 신호부를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횟수로 전후 이동하는 방식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300 may function in an automatic operation method or a manual operation method. The automatic operation method may be a method of moving the signal unit back and forth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n input exists through the operation unit 300 (eg, a button push).

수동조작방식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조작부(300)의 전진 또는 후진이동의 속도, 시간 등을 모두 조절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원하는대로 조직의 스캔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manual operation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operator manually controls the speed and time of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300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adjust the scanning distance of the tissue as desired.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은 조직 절제 장치(1000), 영상 생성부(2000) 및 디스플레이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ssue ab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 an image generator 2000 , and a display unit 3000 .

실시예로, 조직 절제 시스템은 조직 절제 장치(1000)의 전단을 인체로 삽입하여, 조직 절제 장치(1000)를 조직 절제 장치(1000)의 절제 장치에 홀딩된 조직에서 비정상조직인 절제부위와 정상조직인 비절제부위가 구분되도록 이미지화시키는 시스템이다.In an embodiment, the tissue ablation system inserts the front end of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into the human body, and inserts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into a normal tissue and an abnormal tissue in the tissue held in the ablation apparatus of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 It is a system that images the non-resected areas so that they can be distinguished.

조직 절제 장치(1000)는 상술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조직 절제 장치(100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function, a description of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1000 will be omitted below.

그리고 영상 생성부(2000)는 신호생성부(미도시됨), 영상신호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미도시됨)는 상술한 조직 절제 장치의 신호부로 신호를 제공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image generator 2000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and an image signal calculator. The signal generating unit (not shown) is a member that provides a signal to the signal unit of the above-described tissue resection apparatus.

신호생성부는 광신호 등을 출사하는 다양한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Various light sources for emitting an optical signal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signal generator.

영상신호 산출부는 조직에서 반사된 신호를 간섭시켜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신호부를 통해 제공받은 절제부에 홀딩된 조직의 일면에서 반사된 신호를 광 간섭시켜 얻을 수 신호일 수 있다. The image signal calculating unit may output an image signal by interfering with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tissue, and transmit the output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00 . Here, the image signal may be a signal obtained by optically interfering with a signal reflected from one surface of the tissue held in the excision unit provided through the signal unit.

여기서, 간섭된 신호는 상술한 스캔신호일 수 있으며, 스캔신호는 x축을 광신호가 조직에서 반사된 깊이, y축을 배면 산란 강도(backscattered intensity)을 하여 산출된 그래프의 요소(예컨대, 기울기)일 수 있다. 예컨대, 조작자는 그래프상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을 절제조직으로, 기울기변화가 완만한 부분을 비절제조직으로 용이하게 판단하여 절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은 수술의 편의성 및 수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interference signal may be the above-described scan signal, and the scan signal may be an element (eg, slope) of a graph calculated by taking the x-axis as the depth at which the optical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tissue and the y-axis as the backscattered intensity. .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perform resection by easily determining a portion with a sharp change in inclination on the graph as excision tissue and a portion with a gentle gradient change as non-ablation tissue. And i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surgery.

또한, 영상신호 산출부는 예컨대 광신호에 대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기술이 적용된 광 간섭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calculat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tical interference optical system to which an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echnology for an optical signal is applied.

디스플레이부(3000)는 영상 생성부(2000)에 연결되어 영상 생성부(2000)에서 출력된 신호(예컨대, 광간섭된 신호)를 영상화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3000)는 조직의 절제부위와 비절제부위로 영상화하여 조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generation unit 2000 to image a signal (eg, optical inter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generation unit 2000 .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00 may provide an image to the operator with the excised portion and the non-resected portion of the tissue.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부가 제1 죠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조작자는 일면에서 절제 조직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조직 내부의 혈관 등의 존재 유무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여 절제 여부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시스템은 카메라 등의 촬영 소자 없이도 용이하게 절제부위/비절제부위를 구분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gnal un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jaw,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location of the resected tissue from one side and at the same time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lood vessels inside the tissue through the imag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section. Able to make good judgmen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unintentional blood vessel resection. In addition, the tissue res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provide an image capable of easily distinguishing an excision site/non-ablation site without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아울러, 초음파절제 또는 고주파절제 기구 이외에,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복강경수술, 흉강경수술 또는 로봇수술 등 다양한 수술에서 혈관과 같은 미세조직을 절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구성부품이 절제 장치에 장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ultrasonic ablation or radiofrequency ablation instruments, various types of components used to excise micro-organisms such as blood vessels in various surgeries such as laparoscopic surgery, thoracoscopic surgery, or robotic surgery are resected within the scope appar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vice may be mounted.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100)는 제1 죠(jaw, 110), 제2 죠(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절제 장치(100)는 신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조직 절제 장치는 신호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신호부(130)는 절제 장치, 연장부, 조작부를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생성부와 연결될 수 있다.3 and 4 , the ab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jaw 110 and a second jaw 120 . Furthermore, the abl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unit 130 . Alternatively,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unit 130 . That is, the signal unit 130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An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generator.

먼저, 제1 죠(1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제1 죠(110)의 연장 방향으로 후술하는 신호부(130)의 연장 라인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하 '길이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은 제1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2 방향(Y축 방향)은 제1 죠에서 신호부를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방향(Z축 방향)은 제2 죠에서 제1 죠를 향한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jaw 11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e extension line of the signa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jaw 110, and hereinaft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length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first jaw toward the signal unit.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an embodiment,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direction from the second jaw toward the first jaw,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vertical direction'.

제1 죠(110)는 절제 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죠(110)는 일부 영역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제1 영역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jaw 110 may be positioned on top of the ablation device 100 .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jaw 110 may have a curvature. In particular, it may have a curvature in a first region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1 죠(110)는 일측에 홈(110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죠(110) 하단에 위치하는 조직에 대한 시야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jaw 110 may have a groove 110a on one side. By this configuration, a view of the tissu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jaw 110 can be easily secured.

제2 죠(120)는 제1 죠(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죠(120)는 제1 죠(11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죠(110) 또는 제2 죠(12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회전 이동에 의하여 제1 죠(110)와 제2 죠(120)는 제1 죠(110)와 제2 죠(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조직을 홀딩(holding)할 수 있다. 또한, 제1 죠(110)와 제2 죠(120)는 제2 죠(120)의 돌기(121a)에 의해 조직을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은 후술하는 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econd jaw 120 may be located under the first jaw 110 . The second jaw 1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jaw 110 . In an embodiment, the first jaw 110 or the second jaw 120 may be rotationally movable. And by the above-described rotational movement,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may hold the tissue tha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 In addition,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can be easily excised at a desired position by the protrusion 121a of the second jaw 120 . In addition, an operation for performing resection may be performed by a manipul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또한, 제2 죠(120)는 리세스(RS1) 및 리세스(RS1)에 안착하는 절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jaw 120 may include a recess RS1 and a cutout portion 121 seated in the recess RS1 .

절제부(121)는 제1 죠(110)를 향한 상부에 돌기(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이 제1 죠(110)와 제2 죠(120) 사이에 없다면, 제1 죠(110)는 제1 죠(110)의 회전에 의해 돌기(121a)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돌기(121a)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이면 복수 개일 수 있다.The cut portion 121 may include a protrusion 121a at an upper portion facing the first jaw 110 . If there is no tissue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 the first jaw 1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1a by rotation of the first jaw 110 . In an embodiment, the protrusions 121a may be plural if they protrude upward.

또한, 절제부(121)는 하부로 돌출된 슬라이딩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1b)는 리세스(RS1) 내에 안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절제부(121)가 제2 죠(120) 내에서 제2 죠(120)와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Also, the cut portion 121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121b protruding downward. The sliding part 121b may be seated in the recess RS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ut-out portion 121 is slidably coupled with the second jaw 120 within the second jaw 120 to improve the mutual coupling force.

리세스(RS1)는 슬라이딩부(121b)와 결합할 수 있는 홈인 슬라이딩홈(RS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제부(121)의 슬라이딩부(121b)가 슬라이딩홈(RS1a)을 따라 리세스(RS1) 내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로써, 절제부(121)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리 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The recess RS1 may include a sliding groove RS1a that is a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the sliding part 121b. Accordingly, the sliding portion 121b of the cut-out portion 121 may slide into the recess RS1 along the sliding groove RS1a. Accordingly,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excision portion 121 may be easily performed, and washing may be performed upon separation.

리세스(RS1)는 일부분에서 제2 죠(120)의 단부면(120k)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리세스(RS1)는 제1 죠(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RS1)는 절제부(121)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The recess RS1 may be formed from a portion to the end surface 120k of the second jaw 120 . In other words, the recess RS1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jaw 110 . And the recess RS1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tout 121 .

또한, 리세스(RS1)는 제2 죠(120)의 일측에 위치하고 리세스(RS1)에 의해 돌출부(120a)는 제2 죠(1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세스(RS1)와 돌출부(120a)는 모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ss RS1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jaw 120 , and the protrusion 120a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jaw 120 by the recess RS1 . Accordingly, both the recess RS1 and the protrusion 120a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2 죠(120)는 일측에 위치하는 돌출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0a)는 리세스(RS1)와 인접할 수 있다. 돌출부(120a) 상에는 후술하는 신호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신호부(130)는 제2 죠(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신호부(130)는 절제부(121)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100)는 절제부(121)에 의해 신호부(130)의 손상 발생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jaw 120 may include a protrusion 120a located on one side. The protrusion 120a may be adjacent to the recess RS1 . A signa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the protrusion 120a. That is, the signal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jaw 120 . Accordingly, the signal unit 1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cision unit 121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b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easily block damage to the signal part 130 by the ablation part 121 .

신호부(130)는 절제부(121)의 연장 방향(또는 길이 방향), 예컨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신호부(130)는 제1 죠(110)와 제2 죠(120)에 의해 홀딩된 조직을 향해 신호(예컨대, 광신호이며 이하 광신호, 광 등의 용어와 혼용함)을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부(130)는 조직에 대해 광신호를 제공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라인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영상생성부가 라인스캐닝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조직에서 절제부위 또는 비절제부위를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ignal unit 130 may move in an extension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cision unit 121 , for example,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ignal unit 130 irradiates a signal (eg, an optical signal, which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optical signal and light) toward the tissue held by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 can In other words, the signal unit 130 may perform line scanning for providing an optical signal to the tissue and receiving the reflected optical signal. Accordingly, an image generat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provide an image of an excision site or a non-ablation site in the tissue by using the optical signal reflected by line scanning.

신호부(130)는 후술하는 조작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이동(근위/원위 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조작부는 신호부의 전후이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signal unit 130 may be controlled to move back and forth (proximal/dist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manipul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may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ignal unit.

신호부(130)는 제1 죠(110)와 제3 방향(Z축 방향),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호부(130)는 제2 죠(120)의 돌출부(120a) 상에 안착하므로 제2 죠(120)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신호부(130)는 하부의 제2 죠(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신호부(130)는 제2 죠(120) 상에서 제1 죠(110)와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죠(120) 상에 놓일 조직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서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죠(120) 상의 조직의 전체 두께(제2 방향으로 길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라인 스캐닝하므로, 조직의 절제부위와 비절제부위를 조작자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signal unit 130 may not overlap the first jaw 110 and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for exampl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signal unit 130 is seated on the protrusion 120a of the second jaw 120 , it may overlap the second jaw 120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signal unit 130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second jaw 120 . Furthermore, the signal unit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jaw 110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second jaw 120 to irradiate the optical signal at an accur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issue to be placed on the second jaw 120 . . In addition, since line scanning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thickness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issue on the second jaw 120 , the operato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excised portion and the non-ablated portion of the tissue.

그리고 신호부(130)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가 조직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신호부(130)는 광섬유를 둘러싸는 커버, 버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unit 130 may include an optical fiber, and an optical signal may be irradiated toward the tissue through the optical fiber. Additionally, the signa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surrounding the optical fiber, a buffer, and the like.

그리고 신호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부와 광수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신호부(130)는 단부에 개구된 송수신부(131)를 가질 수 있으며, 송수신부 (131)를 통해 광신호를 방출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로, 신호부(130)는 조직을 향해 광신호를 방출하는 광조사부와 조직에서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는 후술하는 영상 생성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1)는 조직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송수신부(131)는 제1 죠(110)와 제2 죠(120)의 사이 영역을 향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unit 130 may include bo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signal unit 130 may have a transceiver 131 opened at an end thereof, and may emit an optical signal and receive a reflected optical 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31 . In an embodiment, the signal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n image generator to be described later with a light irradiator that emits an optical signal toward a tissue and a light receiver that receives an optical signal reflected from the tissue. Also, the transceiver 131 may be disposed toward the tissue. That is, the transceiver 131 may have a shape that is opened toward a region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

또한, 신호부(130)는 유연 재질로 이루어져 원하는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unit 13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provide a desired shap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절제 장치의 상면도이다.5 is a top view of an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죠(110)는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제2 죠(120)의 절제부(121)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S1)은 제1 죠(110) 또는 제2 죠(120)의 회전에 의해 제1 죠(110)가 절제부(121)의 돌기(121a)와 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embodiment, the first jaw 110 may include a first area S1 and a second area S2 . The first region S1 may be a region overlapping the cut portion 121 of the second jaw 120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That is, the first region S1 may be a region in which the first jaw 110 contacts the protrusion 121a of the cut-out portion 121 by rotation of the first jaw 110 or the second jaw 120 .

제1 영역(S1)은 일부 영역 또는 전체에서 제1 곡률(r1)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죠(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외측면(F1) 및 제2 외측면(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면(F1)과 제2 외측면(F2)은 제1 곡률(r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직 절제 시 조직에 대한 시야가 용이하게 확보되며 제1 죠(110)에 의한 주변 장기 등에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S1 may have a first curvature r1 in some or all of the regions. In an embodiment, the first jaw 110 may include a first outer surface F1 and a second outer surface F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The first outer surface F1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F2 may have a first curvature r1 . Accordingly, the field of view of the tissue is easily secured during tissue resection, and damage to surrounding organs by the first jaw 110 can be prevented.

이에 대응하여, 제2 죠(120)의 절제부(121)도 제2 곡률(r2)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r1)은 제2 곡률(r2)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죠(110)와 절제부(121) 간의 접촉 면적은 제1 죠(110)와 절제부(121)에 대해 제2 방향으로 동일한 비율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죠(110)와 절제부(121) 간의 접촉(예컨대, 절제 기능)시에 제1 죠(110)와 절제부(121) 간에 가해지는 힘이 일측면에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1 죠(110)와 절제부(121)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cut portion 121 of the second jaw 120 may also have a second curvature r2. The first curvature r1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curvature r2.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cut portion 121 may have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same ratio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jaw 110 and the cut portion 121 .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force applied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cut-out portion 121 is not concentrated on one side when the first jaw 110 and the cut-out portion 121 are in contact (eg, an ablative function). can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first jaw 110 and the cut-out portion 121 may be improved.

또한, 신호부(130)도 제1 영역(S1)에 대응하는 영역(예컨대, 절제부와 제2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3 곡률(r3)을 가질 수 있다. 제3 곡률(r3)은 제1 곡률(r1) 및 제2 곡률(r2)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신호부(130)를 통해 광신호 등이 제1 죠(110)를 향해 출사되고(SG1), 제1 죠(110)와 절제부(121) 사이의 조직에서 반사되더라도(SG2), 거리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unit 130 may also have a third curvature r3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S1 (eg, a region overlapping the cut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he third curvature r3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curvature r1 and the second curvature r2. 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tical signal, etc. is emitted toward the first jaw 110 through the signal unit 130 (SG1), and even though it is reflected from the tissue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excision unit 121 (SG2) ), the error according to the distance can be minimized.

또한, 제2 죠(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에지면(E1) 및 제2 에지면(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지면(E1)은 제1 외측면(F1)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에지면(E2)은 제2 외측면(F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에지면(E1)은 제1 죠(110)에서 홈(110a)이 위치하는 측과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에지면(E2)은 신호부(130) 또는 돌출부(120a)아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jaw 120 may include a first edge surface E1 and a second edge surface E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The first edge surface E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outer surface F1 , and the second edge surface E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surface F2 . That is, the first edge surface E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ide where the groove 110a is located in the first jaw 110 , and the second edge surface E2 is the signal part 130 or the protrusion part 120a. ) and can b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로, 제1 외측면(F1)과 제1 에지면(E1) 사이의 제1 이격 거리(d1)는 제2 외측면(F2)과 제2 에지면(E2) 사이의 제2 이격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죠(120)는 일측에 돌출부(120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부는 제2 외측면(F2)과 제2 에지면(E2)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2 이격 거리(d2)를 제1 이격 거리(d1)보다 크게 가져감으로써 신호부(13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외측면(F1)과 제1 에지면(E1) 사이의 제1 이격 거리(d1)를 감소하여 제1 죠(110)와 제2 죠(120) 사이에 위치하는 조직의 위치 특히, 절제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outer surface F1 and the first edge surface E1 is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uter surface F2 and the second edge surface E2. (d2) may be smaller. By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jaw 120 can easily form the protrusion 120a on one side. In addition, since the signal uni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outer surface F2 and the second edge surface E2, by making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d2 larg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1, the signal unit 130 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space where it can be arranged.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tissu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jaw 110 and the second jaw 120 by reducing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outer surface F1 and the first edge surface E1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eld of view that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ablation.

또한, 홈(11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측면(F1)에 배치되어 절제 대상인 조직에 대한 정확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ove 110a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F1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accurate view of the tissue to be resected.

또한, 제2 죠(120)의 단부면(120k)은 제1 죠(110)의 단부보다 제1 방향(또는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surface 120k of the second jaw 120 may extend further in the first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end of the first jaw 110 .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1 동작 및 제1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조작부의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side view of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8 is a first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a first operation of the abla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in FIG. 8 .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다른 조직 절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인 절제 장치(100), 연장부(200) 및 조작부(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o 9 ,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the ablation apparatus 100 , the extension part 200 , and the manipulation part 300 as described above.

조작부(300)는 핸드 홀더(310), 개폐 트리거(320), 스캐닝 트리거(330), 스위치부(340), 신호부 이동 부재(350), 신호부 홀더(360), 회전부재 (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300 includes a hand holder 310 , an opening/closing trigger 320 , a scanning trigger 330 , a switch unit 340 , a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 a signal unit holder 360 , and a rotating member 370 . may include

먼저, 핸드 홀더(310)는 제1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과 타측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결합 방식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First, the hand holder 3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housing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coupl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herein may be coupled in various coupling methods.

또한, 핸드 홀더(310)는 조작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 holder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an operator.

또한, 핸드 홀더(310)는 내부에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에는 후술하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중 도면 상 절제 장치에 인접할수록 원위로 설명하며, 반대의 경우 근위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hand holder 310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therein. 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In the following,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closer to the ablation device in the drawing, the more distal it will be described, and the opposite case will be described as proximal.

핸드 홀더(310)는 그립 앵커(grip anchor) 또는 새들 표면(saddle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새들 표면은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이 손 상에서 연결되는 갈퀴막(we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and holder 310 may have a grip anchor or a saddle surface. The saddle surface may be located on a web where the thumb and forefinger connect on the hand.

또한, 핸드 홀더(310)의 하부에서 손바닥과 접하는 근위면은 손의 손바닥을 수용하는 피스톨 그립 윤곽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위면은 손의 손바닥을 수용할 수 있는 윤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palm-facing proximal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hand holder 310 may have a pistol grip profile to receive the palm of the hand. The proximal surface may be shaped to have a contour to accommodate the palm of the hand.

또한, 핸드 홀더(310)는 그립 앵커 상부에 근위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핸드 홀더(310)를 구조적으로 안정시키고 핸드 홀더에 대한 조작자의 제어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에 위치된 손의 최상부 손가락 갈퀴막과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 holder 310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proximally above the grip anchor. The protrusion may abut the uppermost finger claw of the hand positioned between the thumb and forefinger to structurally stabilize the hand holder 310 and facilitate operator control over the hand holder.

개폐 트리거(320)는 절제 장치의 개폐를 스위칭(on/off)할 수 있다. 핸드 홀더(310)의 하단에 위치하고, 핸드 홀더(31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트리거(320)는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핸드 홀더(310)와 결합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may switch (on/off) opening/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It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 holder 310 and may be coupled to the hand holder 310 . 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may be coupled to the hand holder 310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개폐 트리거(320)는 회전 구동에 의해 일부가 핸드 홀더(3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개폐 트리거(320)는 인체공학적으로 이루어져, 조작자가 용이하게 인터페이싱(interfacing)할 수 있다. 개폐 트리거(320)는 조작자의 압박력이 가해지면 상술한 일부가 핸드 홀더(310) 내로 삽입되면서 제1 죠와 제2 죠의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서술한다.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and holder 310 by rotational driving.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is ergonomic,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interface it.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may perform rotational driving of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while the aforementioned part is inserted into the hand holder 310 when a pressing force of the operator is appli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below.

개폐 트리거(320)는 베이스(321), 제1 가압부재(322) 및 제2 가압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may include a base 321 , a first pressing member 322 ,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323 .

베이스(321)는 핸드 홀더(310) 외측에 위치하고 조작자의 손가락이 접하여 조작자의 압박력(squeezing force)이 가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321)는 조작자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321 may be located outside the hand holder 310 and may be a portion to which the operator's squeezing force is applied by contacting the operator's finger. The base 321 may be rotated by an operator's pressing forc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제1 가압부재(322)는 베이스(321)에 연결되고 베이스(321)의 근위면에서 개폐 트리거(3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322)는 적어도 일부가 핸드 홀더(3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부재(322)는 핸드 홀더(310)와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321 and extend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321 toward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be located in the hand holder 310 . That is,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overlap the hand holder 3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1 가압부재(322)는 핸드 홀더(310) 내에서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압부재(322)는 핸드 홀더(310)와 연결된 후크(hk)를 통해 핸드 홀더(31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가압부재(322)가 핸드 홀더(310) 내에서 근위로 최대 이동된 경우 후크(hk)는 제1 가압부재(322)에 형성될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제1 가압부재(322)는 핸드 홀더(310) 내에서 근위로 최대 이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 가압부재(322)의 이동 및 후크(hk)에 의해 잠금(locking)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스캐닝 트리거(330)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잠금 상태에서도 소정의 범위로 제1 가압부재(322)의 이동이 일부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move proximally or distally within the hand holder 310 . In this case,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be coupled to the hand holder 310 through a hook hk connected to the hand holder 310 . In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is moved to the maximum proximally in the hand holder 310 , the hook hk may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to be formed on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 Accordingly,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ay be maintained in a proximally and maximally moved state within the hand holder 310 . That is, the locking state may be achiev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and the hook hk. In the locked state, the scanning trigger 330 may be mov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even in the locked state, the movement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may be partially possible.

그리고 제1 가압부재(322)가 근위로 이동하면(A1) 제1 죠 또는 제2 죠의 회전(B1)으로 제1 죠와 제2 죠는 닫힌다. 다시 말해, 제1 죠와 제2 죠는 조직을 파지할 수 있다. And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oves proximally (A1),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re closed by rotation of the first jaw or the second jaw (B1). In other words,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re capable of gripping tissue.

반대로, 제1 가압부재(322)가 원위로 이동하면(A2), 제1 죠 또는 제2 죠의 회전(B2)으로 제1 죠와 제2 죠는 서로 열린다. 다시 말해, 제1 죠와 제2 죠는 조직을 파지하지 않는다.Conversely, when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moves distally (A2),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open to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jaws (B2).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jaws do not grip tissue.

제2 가압부재(323)는 제1 가압부재(32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323)는 제1 연결부재(LE1)를 통해 신호부 이동 부재(3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재(323)는 제1 가압부재(322)와 마찬가지로 베이스(321)의 이동에 따라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 Also, like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move proximally or distal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se 321 .

제2 가압부재(323)는 핸드 홀더(310) 내부에서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323)는 조작자의 압박력에 의해 핸드 홀더(310) 내에서 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가압부재(323)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LE1)가 근위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move proximally or distally within the hand holder 310 .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move proximally in the hand holder 31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or.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move proximally.

제1 연결부재(LE1)는 근위 단부에 배치된 제1 탄성부재(SP1)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연결부재(LE1)가 제2 가압부재(323)에 의해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연결부재(LE1)도 제2 가압부재(323)의 이동에 따라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SP1)를 가압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disposed at the proximal end. In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is moved proximally or distally by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also moves proximally or distal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 It can move upward to press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또한, 잠금 상태에서 제2 가압부재(323)의 단부가 근위로 최대 이동되며, 제1 연결부재(LE1)의 일단부(근위)도 근위로 최대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locked state, the end of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is maximally moved proximally, and one end (proximal)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also be maximally moved proximally.

또한, 제1 탄성부재(SP1)는 제1 연결부재(LE1)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LE1)의 타단부(근위)가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may be compressed or expan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 Also, the other end (proximal)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move proximally or distally.

또한, 이러한 제1 탄성부재(SP1)는 스프링일 수 있다. Also,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may be a spring.

스캐닝 트리거(330)는 상술한 신호부(130)가 제1 방향(예컨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실시예로, 스캐닝 트리거(330)가 조작자의 조작(가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한 경우에 신호부(130)가 원위로 이동하여 라인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캐닝 트리거(330)가 조작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부 및 근위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부(130)의 단부는 제1죠 또는 제2 죠와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신호부(130)를 이용한 조직에 대한 스캐닝이 수행되기 전으로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스캐닝 트리거(330)가 이동하는 동작은 후술한다. The scanning trigger 330 causes the aforementioned signal unit 130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eg, the distal direction). In an embodiment, when the scanning trigger 330 moves downward by the operator's manipulation (pressurization), the signal unit 130 moves distally to perform line scanning. Alternatively, when the scanning trigger 330 is not manipulated by the operator, it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canning trigger 330 moves upward and proximally.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ignal unit 13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jaw or the second jaw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t may be in a standby state before scanning of the tissue using the signal unit 130 is performed. An operation in which the scanning trigger 330 moves by an operator'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스위치부(340)는 핸드 홀더(3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부(340)는 복수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부(340)는 절제 장치에서 절제 또는 회전부재(37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34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hand holder 310 . The switch unit 3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The switch unit 340 may control the ablation or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70 in the ablation apparatus.

실시예로, 스위치가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하는 경우 절제 장치에서 블레이드(blade)가 제1 죠와 제2 죠 사이로 이동하여 조직에 대한 절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는 블레이드(blade)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embodiments, when the switch is moved proximally to distally, a blade in the ablation device may mov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jaws to perform ablation of the tissue. At this time, the switch may be connected to the blade (blade) in various ways.

또한, 스위치가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37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연장부와 절제 장치가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작자는 조직의 방향에 따라 용이한 방향으로 절제 장치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moves from the proximal to the distal,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70 may be performed. This allows the extension and the ablation device to rotate. This allows the operator to rotate the ablation device in an easy direction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tissu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제1 연결부재, 신호부 홀더(360) 그리고 제2 연결부재(LE2)를 통해 스캐닝 트리거(33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be connected to the scanning trigger 33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signal unit holder 360 ,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LE2 .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스캐닝 트리거(330)가 일측(예로, 하부)으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부재(LE2)가 원위로 이동하고, 연결부재(LE2)의 이동으로 신호부 이동 부재(350)도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부 이동 부재(350)에 연결된 신호부 홀더(360)도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원위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반대인 근위로의 이동도 수행될 수 있다. As for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when the scanning trigger 330 moves to one side (eg, the lower side), the connecting member LE2 moves distally, and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due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LE2. It can also move distally. Accordingly, the signal unit holder 360 connected to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also move distally. A movement to the proximal opposite to the movement to the distal described above may also be performed.

또한,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제1 가압부재(322) 및 제2 가압부재(323)가 근위로 최대 이동된 상태에서만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can move distally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are moved to the maximum proximally.

실시예로, 조직 절제 장치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를 지지하는 신호부 홀더(H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부 홀더(HD)는 일단이 제1 연결부재(LE1)와 접하고 제1 연결부재(LE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신호부 홀더(HD)는 제1 연결부재(LE1)의 근위 또는 원위로의 이동에 따라 신호부 이동 부재(35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issue abl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unit holder HD for supporting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 The signal unit holder HD may hav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and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 Also, the signal unit holder HD may press or release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according to the proximal or dist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

제2 가압부재(323)가 근위로 이동하면, 상술한 제1 연결부재(LE1)도 근위로 이동하고, 제1 연결부재(LE1)가 지지하는 신호부 홀더(HD)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재(LE1)의 단부(원위 측)는 상부를 향해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When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oves proximally,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ing member LE1 also moves proximally, and the signal unit holder HD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move upward. . In this case, the end (distal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upward.

제2 가압부재(323)가 원위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신호부 홀더(HD)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압부재(323)가 근위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신호부 홀더(HD)가 상부로 이동하여 신호부 이동 부재(350)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oves distally, the signal unit holder HD may press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oves proximally, the signal unit holder HD may move upward to not press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 Accordingly,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move distally.

또한, 제2 가압부재(323)는 제1 가압부재(322)와 동일한 방향(근위 또는 원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의 일동작(예, 가압)으로 조직의 파지가 수행되고 이후에 신호부의 라인스캐닝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may move in the same direction (proximal or distal) as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 Accordingly, the tissue may be gripped with one operation (eg, pressurized) of the operator, and then line scanning of the signal unit may be possible.

신호부 홀더(360)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의 단부(원위 단부)와 결합할 수 있다. 신호부 이동 부재(350)가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 대응하여 신호부 홀더(360)는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The signal element holder 360 may engage an end (distal end) of the signal element moving member 350 . The signal element moving member 350 moves proximally or distally, an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the signal element holder 360 may move proximally or distally.

신호부 홀더(360)는 내측에 신호부(13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나선형 구조의 홀딩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홀딩 부재는 신호부 홀더(360) 및 신호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홀딩 부재는 신호부 홀더(360)의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에 대응하여 신호부(130)를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신호부 홀더(360)는 이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신호부(130)의 근위 또는 원위로의 이동에 따라 라인 스캐닝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한다.The signal unit holder 360 may have the signal unit 130 positioned therein, and a holding member having a helical structure may be positioned therein. The hold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ignal unit holder 360 and the signal unit 130 . The holding member may move the signal unit 130 proximally or distally in response to the proximal or distal movement of the signal unit holder 360 . The signal unit holder 360 minimizes vibrations generated during movement so that line scanning is accur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ximal or distal movement of the signal unit 130 .

회전부재(370)는 신호부 홀더(360) 근위에 위치하고 연장부와 결합할 수 있다. 회전부재(370)는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조작자가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7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와 연장부에 결합된 절제 장치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혈관의 위치, 형상에 대응하여 절제가 용이한 방향으로 절제 장치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370 may be positioned near the signal unit holder 360 and coupled to the extension unit. The rotating member 370 is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so that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switch unit, the rotating member 370 may rotate in response thereto. Additionally, the extension and the ablation device coupled to the extension may also rotat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rotate the ablation device in a direction for easy ab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blood vessel.

추가적으로, 조작부(300)는 센서(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nipulat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380 .

센서(380)는 신호부의 이동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센서(380)는 핸드 홀더(3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380)는 제2 연결부재(LE2) 또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 연결부재(LE2) 또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의 근위 또는 원위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380 may detect a movement distance of the signal unit. In an embodiment, the sensor 380 may be located in the hand holder 310 . In addition, the sensor 380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LE2 or the signal moving member 350 to control the proximal or distal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LE2 or the signal moving member 350 . can detect

실시예로, 센서(380)는 변위 센서(potential meter)로서 제2 연결부재(LE2)의 회전 각도를 통해 신호부(1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센서(380)는 신호부 이동 부재(350)의 이동 거리를 통해 신호부(1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380 as a displacement sensor (potential meter) may sens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ignal unit 130 through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LE2. Alternatively, the sensor 380 may sen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ignal unit 130 through the moving distance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

이하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작부의 동작을 설명하며, 조작부의 제1 동작은 개폐 트리거(320)가 원위에 위치한 경우이다. 즉, 절제 장치에서 제1 죠와 제2 죠의 단부가 이격되어 오픈된 상태이다. 또한, 제1 동작에서 신호부(130)는 절제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최대 이격되어 라인스캐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부재(322)와 제2 가압부재(323)는 원위로 이동한 상태이고, 제1 연결부재(LE1)도 원위로 이동하여 신호부 홀더(HD)가 신호부 이동 부재(3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이동이 제한되므로 스캐닝 트리거(330)에 의한 신호부 이동 조작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조직 절제 장치는 조직을 파지한 경우에만 절제를 위한 라인 스캐닝을 수행하여 전력 효율을 개선하고 신호부의 이동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the first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i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is located distally. That is, in the ablation device, the ends of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re spaced apart and open. Also, in the first operation, the signal unit 130 is maximally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end of the ablation device, so that no line scanning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are in a distally moved stat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also moves distally so that the signal unit holder HD is moved to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 350) can be pressurized. Accordingly, since the movement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is limited, the operation of moving the signal unit by the scanning trigger 330 may be blocked. Accordingly, 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may perform line scanning for resection only when the tissue is gripped, thereby improving power efficiency and preventing damage due to movement of the signal unit.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2 동작 및 제2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조작부의 단면도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in FIG. 10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작자가 개폐 트리거(320)를 가압한 경우 조작부의 제2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의 가압에 의하여, 제1 가압부재(322)와 제2 가압부재(323)는 단부(근위)가 근위로 최대 이동할 수 있다. 10 and 11 ,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a seco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nd (proximal)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322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3 can be moved to the maximum proximally by the pressure of the operator.

그리고 개폐 트리거(320)의 회전 또는 이동으로 이에 연결된 제1 죠 또는 제2 죠가 회전하여, 제1 죠 또는 제2 죠는 서로 단부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여 닫힌다(k0). 즉, 제1 죠와 제2 죠는 제1 죠와 제2 죠 사이의 조직을 파지할 수 있다.And the first jaw or the second jaw connected thereto rotates by the rotation or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trigger 320, and the first jaw or the second jaw is clos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each other (k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jaws can grip the tissu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jaws.

또한, 제2 동작 시에 제2 가압부재(322)가 근위로 이동하여 제1 연결부재(LE1)가 제1 탄성부재(SP1)를 압축하면서 근위로 이동할 수 있다(k1). 이에, 제1 연결부재(LE1)의 제1 연결부재(LE)에서 최상부에 위치한 원위 단부가 근위로 이동하면서 신호부 홀더(HD)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신호부 홀더(HD)가 제1 연결부재(LE1)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신호부 이동 부재(350)에 대한 가압이 해소될 수 있다(k2). 이에, 신호부 이동 부재(350)는 이동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로써, 파지된 상태의 조직을 라인 스캐닝함과 동시에 제2 죠의 회전 등에 따라 신호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second operation, the second pressing member 322 may move proximally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may move proximally while compressing the first elastic member SP1 ( k1 ). Accordingly, the distal end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LE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gnal unit holder HD while moving proximally. And accordingly, the signal unit holder HD moves upwar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LE1 , and the pressure on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be relieved (k2). Accordingly,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be in a movable st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ignal unit due to rotation of the second jaw while performing line scanning of the tissue in the gripped state.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3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조직 절제 장치의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제3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3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3 동작에 대응하는 절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of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4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third opera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an ablation apparatus, and FIG. 15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abla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3rd operation|movement.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동작 이후에 조작자는 스캐닝 트리거(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캐닝 트리거(330)를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M0) 스캐닝 트리거(330)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LE2)가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M1).12 to 15 , after the second operation, the operator may move the scanning trigger 330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scanning trigger 330 downward (M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LE2 connected to the scanning trigger 330 may move distally (M1).

그리고 제2 연결부재(LE2)에 연결된 신호부 이동 부재(350)가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M2). 이에 대응하여, 신호부 이동 부재(350)와 결합된 신호부 홀더(360)가 신호부를 홀딩한 상태로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M3). 그리고 신호부(130)는 신호부 홀더(360) 내로 인입되고 연장부를 따라 절제 장치의 단부까지 원위 이동할 수 있다(M4). In addition,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LE2 may move distally (M2). Correspondingly, the signal unit holder 360 coupled to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350 may move distally while holding the signal unit (M3). The signal element 130 is then retracted into the signal element holder 360 and can move distally along the extension to the end of the ablation device (M4).

실시예로, 신호부(130)는 스캐닝 트리거(330)의 이동 정도에 따라 원위로 이동하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신호부(130)는 스캐닝 트리거(330)의 이동 시 절제 장치의 단부까지 원위 이동한 후 다시 근위 이동하여 라인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tance the signal unit 130 moves distally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scanning trigger 330 . Alternatively, when the scanning trigger 330 moves, the signal unit 130 may move distally to the end of the ablation device and then move proximally again to perform line scanning.

또한, 조작부의 제3 동작은 제2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1 죠와 제2 죠가 닫힌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조직을 홀딩한 상태에서 신호부를 원위 또는 근위로 이동하여 조직에 대한 라인 스캐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죠와 제2 죠가 닫힌 상태에서 제3 동작이 수행되므로, 신호부를 통해 출사한 광신호는 조직 등을 투과하더라도 적어도 일부가 제1 죠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1 죠와 신호부 간의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제1 죠와 제2 죠가 열린 상태보다 정확한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다.Also, the third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jaws are closed, similar to the second operation.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accurately perform line scanning on the tissue by moving the signal unit distally or proximally while holding the tissue. In addition, since the third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re clo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optical signal emitted through the signal unit may be reflected by the first jaw even though it passes through the tissu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jaw and the signal unit is maintained the same, more accurate scanning can be performed than when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re open.

뿐만 아니라, 제1 죠와 제2 죠를 통한 조직의 파지 및 신호부의 이동을 통한 라인스캐닝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조작자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 의해 조직을 절제 장치에 파지하여 육안으로 절제 부위를 1차 인식하고, 제3 동작에 따른 라인 스캐닝을 2차로 수행하여 절제 부위에 대한 재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라인스캐닝의 전후로 조직을 파지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절제 부위가 변경되지 않으며, 제1 죠와 신호부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아 파지 중에 신호부가 스캐닝을 수행하더라도 조직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ping of the tissue through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jaw and line scanning through movement of the signal un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That is, the operator first recognizes the ablation site with the naked eye by holding the tissue in the ablation device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and then performs line scanning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on to reconfirm the ablation site. can In addition, since the state of holding the tissue before and after line scanning is maintained, the resection site does not change, and since the first jaw and the signal unit do no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f the signal unit performs scanning during gripping, tissue damage can be blocked.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제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조직을 이미지화시키는 외부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직 절제 장치의 손상시에 용이하게 교체한 후 바로 재촬영을 할 수 있어, 복강경수술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system including the same has a structure detachab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imaging tissue, so that when 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is damaged, 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n re-photographed immediately, laparoscopic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rger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 절제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절제하고자 하는 조직 내부 구조 영상을 통해 혈관의 존재 유무 및 그 크기를 육안 등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어, 수술시에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or a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ce or absence and size of blood vessels can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imag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issue to be resected, so that unintentional resection of blood vessels during surgery damage can be minimized.

즉,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절제 조직 내부의 혈관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하여 조직 내부 영상화 모듈을 적용한 조직 절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모니터 상으로 절제하고자 하는 조직 내부 구조 영상을 통해 임상의로 하여금 의도치 않은 혈관 절제를 보호하고 안전한 조직 절제를 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issue resection apparatus to which an intra-tissue imaging module is appli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blood vessels inside the resected tissu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reby allowing a clinician to unintentionally It can protect blood vessel resection and make safe tissue resection.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절제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절제 장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작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힌 경우에만 상기 신호부가 상기 조직을 스캐닝하도록 상기 절제 장치로 원위 이동하고,
상기 조작부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핸드 홀더;
상기 핸드 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스위칭하는 개폐 트리거;
상기 신호부가 원위 이동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캐닝 트리거; 및
상기 신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 트리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신호부를 상기 절제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신호부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트리거는,
상기 핸드 홀더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조직 절제 장치.
an ablation device to ablate tissue;
an extension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and
a signal unit extending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The manipulation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nd moves distally to the ablation device such that the signal unit scans the tissue only when the ablation device is closed;
The operation unit,
a hand holder including a receiving part;
an opening/closing trigger coupled to the hand holder and switch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 scanning trigger that switches the signal part to move distally; and
a signal unit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ignal unit to move the signal unit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anning trigger;
The opening/closing trigger is
a base disposed outside the hand holder;
a first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and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핸드 홀더에서 근위 또는 원위로 이동하는 조직 절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move proximally or distally from the hand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고 근위 이동 시에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히는 조직 절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nd closes the ablation device upon proximal move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신호부 홀더;를 더 포함하는 조직 절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issue abl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gnal holder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부 홀더는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원위 이동하면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가 근위 이동하면 상기 신호부 이동 부재를 가압 해제하는 조직 절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ignal unit holder presses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when the second pressing member moves distally, and releases the pressurization of the signal unit moving member when the second pressing member moves proxim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직 절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are tissue resection apparatus that moves in the sam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장치는,
제1 죠; 및
조직을 절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절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죠 하부에서 상기 제1 죠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죠;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부는, 상기 조직에 신호를 제공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죠는 상기 신호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죠는 상기 신호부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조직 절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blation device is
first jaw; and
A second jaw including a protrusion for ablating tissu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jaw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jaw;
wherein the signal unit provides a signal to the tissue and receives a reflected signal, is disposed on the second jaw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lation portion;
The first jaw does not overlap the signal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jaw overlaps the signal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를 포함하는 조직 절제 장치;
상기 조직 절제 장치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조직에서 반사된 신호를 제공받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 절제 장치는,
조직을 절제하는 절제 장치;
상기 절제 장치와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절제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절제 장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작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절제 장치가 닫힌 경우에만 상기 신호부가 상기 조직을 스캐닝하도록 상기 절제 장치로 원위 이동하고,
상기 조작부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핸드 홀더;
상기 핸드 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절제 장치의 개폐를 스위칭하는 개폐 트리거;
상기 신호부가 원위 이동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캐닝 트리거; 및
상기 신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캐닝 트리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신호부를 상기 절제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신호부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트리거는,
상기 핸드 홀더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근위면에서 상기 개폐 트리거 내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조직 절제 시스템.
a tissue ablation device comprising an ablation device for ablating tissue;
an image generator providing a signal to the tissue resection apparatus and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tissue to output an image signal; and
and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
The tissue resection device,
an ablation device to ablate tissue;
an extension connected to the ablation device;
a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blation device; and
a signal unit extending along the ablation device, the extension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The manipulation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nd moves distally to the ablation device such that the signal unit scans the tissue only when the ablation device is closed;
The operation unit,
a hand holder including a receiving part;
an opening/closing trigger coupled to the hand holder and switch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ablation device;
a scanning trigger that switches the signal part to move distally; and
a signal unit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ignal unit to move the signal unit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ab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anning trigger;
The opening/closing trigger is
a base disposed outside the hand holder;
a first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and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roximal surface of the base into the opening/closing trigger.
KR1020190164737A 2019-11-04 2019-12-11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Active KR102356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37A KR102356304B1 (en) 2019-12-11 2019-12-11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PCT/KR2020/015113 WO2021091176A2 (en) 2019-11-04 2020-11-02 Tissue abl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module, and tissue ab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US17/774,183 US20220370118A1 (en) 2019-11-04 2020-11-02 Tissue abl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module, and tissue ab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37A KR102356304B1 (en) 2019-12-11 2019-12-11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441A KR20210074441A (en) 2021-06-22
KR102356304B1 true KR102356304B1 (en) 2022-02-03

Family

ID=7660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737A Active KR102356304B1 (en) 2019-11-04 2019-12-11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30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34B1 (en) 2005-04-14 2012-11-05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Surgical clip applier methods
JP2015512713A (en) * 2012-03-26 2015-04-30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Optical energy sealing, cutting, and sensing surgical devices
JP6328647B2 (en) 2012-10-22 2018-05-23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icon Endo−Surgery,Inc. Surgeon feedback detec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SURGEONEDEDBACKSENSINGANDDISPLAY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43B1 (en) * 2015-11-03 2018-03-08 (주) 인텍플러스 Dissection tool And Diss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34B1 (en) 2005-04-14 2012-11-05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Surgical clip applier methods
JP2015512713A (en) * 2012-03-26 2015-04-30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Optical energy sealing, cutting, and sensing surgical devices
JP6328647B2 (en) 2012-10-22 2018-05-23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icon Endo−Surgery,Inc. Surgeon feedback detec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SURGEONEDEDBACKSENSINGANDDISPLAY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441A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5064A (en) Fingertip-mounte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KR101835043B1 (en) Dissection tool And Dissection system
EP2368504B1 (en) Clamp and scissor forceps
US20120316601A1 (en) Lever Latch Assemblies for Vessel Sealer and Divider
JP2020508129A (en) Surgical stapler having a bent anvil tip, an angled staple cartridge tip, and a tissue grasping mechanism
US20160175029A1 (en) Tissue sealing and cutting instrument with locking features
EP2248472B1 (en) Surgical instrument
US20120330324A1 (en) Ergonomic, lighted uterine manipulator with cautery
JP2012148074A (en) Latch mechanism for surgical instrument
US10194933B2 (en) Clamp ultrasound probe for lung surgery
US20220354527A1 (en) Soft tissue cutting device with bowing mechanism
JP2012040108A (en) Endoscope distal end cover and endoscope
US20250032197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Cooperative Surgical Instruments
JPH08322787A (en) 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20210007811A (en)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multiple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JP2013000308A (en) Illumination suction injection exclusion outer cylinder for endoscopic surgery forceps
US11944340B2 (en) Suction and irrigation valve and method of priming same in a robotic surgical system
KR102356304B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system
KR102304335B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US20220370118A1 (en) Tissue abl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module, and tissue ab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2386515B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module for generating imag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61383B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JP2010172565A (en) Ultrasonic probe and puncture adapter
KR102666506B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KR20200109702A (en) Medical apparatus module inserting into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