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99B1 -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6099B1 KR102356099B1 KR1020200027697A KR20200027697A KR102356099B1 KR 102356099 B1 KR102356099 B1 KR 102356099B1 KR 1020200027697 A KR1020200027697 A KR 1020200027697A KR 20200027697 A KR20200027697 A KR 20200027697A KR 102356099 B1 KR102356099 B1 KR 102356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ice
- roller
- motor
- juic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는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착즙기의 착즙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nd a juice method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extend in front of the motor housing, Including a roller unit provided to be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roller unit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by at least one of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It offer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juicer's juicer perform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icer and a juice extraction method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nd a juice extraction method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착즙기란 각종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녹즙기의 일종으로 원심분리방식과 쌍 기어방식을 주로 사용한다.In general, a juicer is a kind of green juicer that extracts juice by squeezing various vegetables or fruits, and mainly uses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a twin gear method.
원심분리방식은 과일 등의 과즙을 추출하는 주서(juicer) 등으로는 적합하지만, 섬유소가 많고 수분량이 적은 채소는 즙 추출을 위해 세절하여 상당히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즙 추출률이 그다지 높지 못하고 잔류 중금속이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is suitable as a juicer for extracting fruit juice, such as fruits, but vegetables with high fiber content and low moisture content are minced for juice extraction and the juice extraction rate is not very high even if they are rotated at a fairly high speed, and residual heavy metals are discharge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이에 반해 쌍 기어방식은 상기 재료를 세절하고 압착하거나 세절과 동시에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구성으로 즙 추출률이 원심분리방식에 비해 수배나 높고 잔류 중금속이 녹즙에 함께 용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착즙기 시장수요의 대부분을 이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가 점유하고 있다.In contrast, the twin-gear method extracts juice by slicing and squeezing the material or simultaneously slicing and compressing the material. The juice extraction rate is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esidual heavy metals are not eluted together in the green juice. Most of the market demand is for this twin-gear type juicer.
이러한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는 헬리컬(Helical) 기어 형태의 한 쌍의 분쇄부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나선 형태의 한 쌍의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부와 이송부를 착즙망이 형성된 하우징 내에 수납시킨 후 상기 하우징과 구동부를 체결부를 통하여 결합시켜 이루어진다.Such a twin-gear juic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crushing units in the form of helical gears and a pair of conveying units in the form of Archimedes spirals, and after accommodating the crushing unit and conveying units in a housing in which the juicer network is formed, It is made by coupling the housing and the driving part through a fastening part.
상기 한 쌍의 분쇄부는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재료를 쇄절하여 분쇄하고 착즙 하면서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부에서 분쇄된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압착시킴으로써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해 낼 수 있다.The pair of crushing units are driven by the driving unit and rotate while interlocking, crushing and pulverizing the input material and transferring it to the conveying unit while juicing, and by pressing while conveying the crushed material in the conveying unit, juice can be extracted from the material. .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는,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상술한 구동부 및 이송부에 의하여 모든 재료에 대해서 동일한 구동력으로 착압 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착즙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juicer has a problem in that the juice rate is significantly reduced as it is provided to press with the same driving force for all materials by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and conveying unit regardless of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속도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착즙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which can improve juice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speed to be variably adjusted by determining the time of forward/reverse rotation of a motor, and a juicer method compris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는, 모터 하우징;One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housing;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and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하되,Containing; including; a roller unit detachably coupled to extend in front of the motor housing and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therein;
상기 롤러부는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roller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by at least one of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는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어 각 단계별로 기설정된 범위의 구동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may be variably adjusted. For example,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steps and set to a driving speed in a preset range for each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may be adjus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속도는 Encoder 또는 Hall IC를 이용하여 전류량에 따라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조절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speed may be adjusted by determining the forward/reverse rotation tim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using an encoder or Hall 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속도는 상기 롤러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조절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speed may be adjusted by determining a forward/reverse rotation time point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lle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에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operating unit,
상기 롤러부를 포함하는 롤러부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작동부와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housing including the roller unit may include a sensor unit including a sensor operated by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sensor oper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1 기어 롤러; 및a first gear rolle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sludge; and
상기 구동부의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기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gear roller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ludge;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의 외면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착즙재료의 최종 배출 전의 슬러지에 착압력을 발생시키는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udge pressur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pressure in the sludge before the final discharge of the juice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contact pressure generating unit,
상기 메인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롤러부의 전단부에 돌출된 연장부와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의 테두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의 이송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housing, and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roller portion and may be provided to provide resistance to the transport force of the slud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이며, 모터는 정회전시에 역회전시보다 작은 출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is a forward/reverse rotation motor, and the motor may be operated with a smaller output during forward rotation than during reverse rotation.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즙기를 이용하는 착즙 방법을 제공하는 바,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juicing using the juicer,
착즙기의 호퍼에 착즙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inputting the juice material into the hopper of the juicer;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t least one of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and
측정된 상기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수치 범위와 비교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with a preset numerical range,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착즙 재료의 분쇄과정에서 분쇄되는 정도에 따라서 복수의 모터 속도조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or speed adjusting ste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inding in the grinding process of the juic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속도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착즙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juice method includ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juice efficiency by determining the tim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and controlling the speed to be variably adjust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이용한 착즙 모습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a)에 센서작동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하우징(200a)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juicing using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opera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showing a juicer process of a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juice compri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2의 가로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정의하고, 도 2의 좌측 방향을 후방, 우측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하며, 도 2의 세로 방향을 상부 및 하부로 정의하고, 도 2의 지면(용지) 방향을 "폭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FIG. 2 is defined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ft direction of FIG. 2 is defined as the rear, the right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2 is upper and lower , and the paper (paper) direction of FIG. 2 is defined as “width direction”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와 착즙부(200)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 includes a
구동부(100)는 착즙부(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이하, '착즙 재료'라 칭함)가 투입된 착즙부(200)를 구동시켜 착즙 재료를 분쇄 가압하여 즙을 추출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착즙부(200)는 착즙 재료가 투입됨과 동시에 착즙하고, 나머지는 슬러지 형태로 외부로 배출하는 실질적인 착즙 공간을 구비한다. 구동부(100)와 착즙부(200)는 후술하는 체결부(300)에 의하여 견고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구동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150)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길이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제1 연결부(130)를 구비한 모터 하우징(110)과, 일단부는 모터(1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연결부(130)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70)과, 제1 연결부(130)에 회전축(170)과 나란하게 돌출 구비된 고정축(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170)은 도시되지 않은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15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제1 연결부(130)의 전방 단부는 판상으로서 중앙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폐색된 구조를 가진다. 중앙 부분의 돌출된 형태는 두 개의 원호 일부가 서로 폭방향으로 겹쳐지는 형태로서 폭방향 일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고정축(190)이 돌출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회전축(170)이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착즙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280)와, 롤러부(280)가 수용되고 구동부(100)의 모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중공의 메인 하우징(20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롤러부(280)는, 분쇄 롤러부(250)와, 분쇄 롤러부(250)의 전방으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착즙 롤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280)는 메인 하우징(200a) 내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착즙 재료를 롤러부(280)의 외주면과 메인 하우징(200a)의 내면 사이에서 분쇄하고, 가압 착즙하면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여기서, 롤러부(280)는 구동부(100)와의 착탈 과정이 모터(15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분쇄 롤러부(25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되고, 회전축(17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되는 제1 분쇄롤러(251)와, 고정축(1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분쇄롤러(25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rushing
회전축(170)은 외주면에 스플라인 형태를 가지거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분쇄롤러(251)의 후단부 중심에 회전축(170)이 삽입되거나 스플라인과 치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인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고정축(190)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분쇄롤러(255)에 고정축(190)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분쇄롤러(255)는 고정축(190)에 회전 지지되어 공회전할 수 있다.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거나 전방을 향하는 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쇄날은 서로 맞물리게 기어 형태(바람직하게는, 헬리컬 기어 형상)로 구비되어, 회전축(170)에 결합된 제1 분쇄롤러(251)가 회전축(170)과 일체로 회전하면 맞물린 분쇄날에 의하여 고정축(19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분쇄롤러(255)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grinding blad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grinding
그리고 맞물려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하여 착즙 재료는 분쇄되어 착즙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도 3에서 정면에서 후방으로 관찰할 때, 회전축(170)에 삽입되는 제1 분쇄롤러(25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분쇄롤러(255)는 제1 분쇄롤러(251)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부터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를 향하여 투입된 착즙 재료가 맞물려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분쇄날은 헤리컬 기어 형태로서 상부에서 볼 때 전방으로 대략 'V'자를 이루어 상기 투입된 착즙 재료는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쇄날의 리드각은 30도보다 작게 형성하여 분쇄되면서 빠르게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juice material is pulverized by the interlocking grinding blade and rotated and transferred to the front while being juic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3 , the first grinding
착즙 롤러부(26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을 이루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착즙 재료를 착즙하기 위해 구성된 착즙부(200)의 롤러부가 제1 분쇄롤러(251) 및 제1 착즙롤러(261)로 구비된 하나의 기어와, 제2 분쇄롤러(255) 및 제2 착즙롤러(265)로 구비된 하나의 기어, 즉 2개의 쌍 기어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또한, 롤러부(280)의 구성 중 구동부(100)의 회전축(170)에 연결되는 분쇄 롤러부(250)와 착즙 롤러부(260)의 구성을 제1기어 롤러(281)라 칭하기로 하고, 롤러부(280)의 구성 중 구동부(100)의 고정축(190)과 연결되는 분쇄 롤러부(250)와 착즙 롤러부(260)의 구성을 제2 기어 롤러(282)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가 결합되도록 제1 분쇄롤러(251)와 제2분쇄롤러(255)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거나, 오목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후방으로 제1 분쇄롤러(251)와 제2분쇄롤러(255)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전방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쇄롤러(251)와 제1 착즙롤러(261)는, 그리고 제2 분쇄롤러(255)와 제2 착즙롤러(265)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각각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와, 그리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rushing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 롤러부(260)의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외주면(266)이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의 각 외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2 and 3, the
제1 기어롤러(281)의 제1 착즙롤러(261)와 제 2기어롤러(282)의 제2 착즙롤러(265) 전단부 각각에는 상술한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지름이 감소된 단차면이 형성된 단턱부(284)를 포함하는 연장부(26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64)의 단부는 후술하는 배출 하우징(240)의 수용부(241)에 형성된 지지 통공(도면부호 미표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Each of the front ends of the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메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이용한 착즙 모습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housing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 and FIG.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juice extraction using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메인 하우징(200a)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분쇄 하우징부(220)와, 분쇄 하우징부(220)로부터 분기되어 길이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는 중공의 착즙 하우징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분쇄 하우징부(220)의 단면은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이 서로 치합 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2개의 원호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룬다. 분쇄 하우징부(220)의 상부에는 착즙 재료를 분쇄 하우징부(220)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호퍼부(210)가 구비되고, 호퍼부(210)가 구비되는 부분의 분쇄 하우징부(22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호퍼부(210)와 분쇄 하우징부(22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 of the grindin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부(210)의 전방으로 분쇄 하우징부(22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1 착즙공(220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fine through-holes,
호퍼부(210)로 착즙 재료가 투입되면 착즙 재료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되고, 착즙 재료가 분쇄되면서 착즙 재료로부터 유출되는 즙의 일부는 제1착즙공(2201)을 통하여 가장 먼저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juice material is put into the
착즙 하우징부(23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2착즙공(2301)이 형성될 수 있고, 착즙 하우징부(230)의 하부로 판상의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는 후술하는 배출 하우징(2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즙부(200)로부터 착즙된 착즙 재료의 착즙액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제1 분쇄롤러(251) 및 제2 분쇄롤러(255)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된 착즙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착즙공(2201)을 통해 1차적으로 착즙액으로써 배출되고, 착즙이 완료되지 않은 착즙 재료가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 측으로 이송되어 착즙 되면서 제2착즙공(2301)을 통해 2차적으로 착즙액으로써 배출된다.The juice material transferred forward by the first crushing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 하우징부(2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배출 하우징(24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240)의 일단부(후단부)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되고, 타단부(전단부) 측에는 수용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241)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배출 하우징(240)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3 and 4, the longitudinal end of the
착즙 하우징부(230)에 수용된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부(264)는 착즙 하우징부(23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배출 하우징(240)의 일부를 지나 수용부(24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기어롤러(281)의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기어 롤러(282)의 제2 착즙롤러(265)의 단부에 각각 구비된 연장부(264)는, 수용부(241)에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된 2개의 지지 통공에 제1 착즙롤러(261)의 제1 연장부(264)와 제2착즙롤러(261)의 제2 연장부(26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배출 하우징(240)에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일단부와 수용부(241) 사이에 하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착즙된 후 착즙 재료의 찌꺼기인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하우징(200a)의 길이방향으로써 슬러지가 배출되는 방향을 '배출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In the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하우징(240)에 일체로 형성되되,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즙 하우징부(230)의 하부로 위치된다. 따라서, 착즙 롤러부(260)에서 착즙되어 제2 착즙공(2301)을 통하여 배출된 즙의 일부는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로 낙하하여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4 and 5 ,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a)에 센서작동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하우징(200a)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opera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00) 및 상기 착즙부(200)에는 센서부(400)가 구비되는데, 센서부(400)는 모터 하우징(110)의 제1 연결부(130) 일측에 구비된 센서(410)와, 하우징(200a)의 제2 연결부(221)에 구비된 센서 작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0)로는, 예를 들어 자기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센서 등과 같이 사물이 다른 사물로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여러 형태의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A sensor unit 400 is provided in the
여기서, 상기 자기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센서(410)는 자석에 의하여 작동하는 리드 스위치, 센서자동수단(430)은 영구자석이 될 수 있다.Here, the use of the magnetic proximity sensor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센서(410)는 센서 작동부(430)가 근접하면 'ON' 상태로 되고 센서 작동부(410)가 멀어지면 'OFF' 상태로 될 수 있다. 선세(410)는 모터와 전원 연결 경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를 통하여 구동부(100)에 착즙부(200)를 결합시키면, 센서(410)와 센서 작동부(430)는 서로 근접하여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제1 센서부(410)는 'ON' 상태로 되며,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켜면 모터(150)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150)가 구동되고, 회전축(170)을 통하여 제1 분쇄롤러(251), 제2 분쇄롤러(255), 제1 착즙롤러(261), 제2 착즙롤러(265)는 하우징(200a)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110)의 센서부(400) 및 센서 작동부(430)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모터(150)가 자동으로 ON/OFF 될 수 있다. 즉, 센서(410)가 센서 작동부(430)가 근접하여 'ON'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모터(150)는 자동으로 'ON' 상태가 되어 동작되고, 센서 작동부(430)가 멀어져서 'OFF'' 상태가 되면 모터(150)는 'OFF' 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juice extraction process of a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착즙기의 호퍼부(210)에 착즙 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S100). 이 때, 상기 착즙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기설정된 설정값에 따라서 착즙기의 모터(150)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즙 재료가 딱딱한 종류인 경우에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높이고 상기 착즙 재료가 무른 종류인 경우에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When the juic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first, the juice material may be put into the
나아가, 착즙기의 모터(150) 회전에 따라서 상기 착즙 재료가 분쇄되는 정도에 따라서 모터(150)의 속도를 복수의 단계의 속도를 가지고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즙 재료가 최초 투입된 시점에는 해당 착즙 재료에 대하여 설정된 범위에서 최고 속도에 의하여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설정되고, 상기 착즙 재료가 분쇄되는 정도에 따라서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이 때, 호퍼부(210)에 착즙 재료가 투입되면, 모터(150)의 회전속도는, 착즙기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감지된 상기 착즙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기설정된 압력, 전류 및 전압이 설정될 수 있고(S200), 이에 의하여 착즙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juice material is put into the
이어서, 착즙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착즙 재료의 분쇄 정도에 따라서 기설정된 상기 압력, 전류 및 전압 범위를 실시간 비교하여 확인 및 판단할 수 있고(S300), 이에 따라서 모터(150)의 회전 속도가 복수의 단계를 갖고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S400).Then, while the juice process is being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heck and determine the preset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r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juice material through the controller in real time (S300), and accordingly, the
특히, 착즙기의 정역회전은 착즙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 및 분쇄 정도에 따라, 롤러부(280)에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고 이에 따라서 정역회전 시점이 실시간 판단됨으로써, 구동부(100)로 공급되는 전류/전압에 의하여 모터(15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juicer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juicer efficiency.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즙되는 재료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Encoder 또는 Hall IC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되는 전류량에 따라서 모터(150)의 역회전(적색 화살표시 참조) 또는 정회전(청색 화살표시 참조) 시점을 판단하고, 모터(150)의 정역회전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즙기의 착즙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urrent and voltage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juiced may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n Encoder or Hall IC.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timing of the reverse rotation (refer to the red arrow) or the forward rotation (refer to the blue arrow) of th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juice compris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within an equivalent rang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구동부 130: 제1 연결부
150: 모터 170: 회전축
190: 고정축 200: 착즙부
200a: 메인 하우징 220: 분쇄 하우징부
230: 착즙 하우징부 240: 배출 하우징
250: 분쇄 롤러부 251: 제1 분쇄롤러
255: 제2 분쇄롤러 260: 착즙 롤러부
261: 제1 착즙롤러 265: 제2 착즙롤러
280: 롤러부 281: 제1기어 롤러
282: 제2 기어 롤러 300: 체결부100: driving unit 130: first connection unit
150: motor 170: rotation shaft
190: fixed shaft 200: juice portion
200a: main housing 220: grinding housing unit
230: juice housing unit 240: discharge housing
250: grinding roller unit 251: first grinding roller
255: second grinding roller 260: juice roller unit
261: first juice roller 265: second juice roller
280: roller unit 281: first gear roller
282: second gear roller 300: fastening part
Claims (12)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는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가 가변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재료의 분쇄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단계로 조절되고,
상기 모터 속도는,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롤러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전류 및 전압이 조절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motor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and
Containing; including; a roller unit detachably coupled to extend in front of the motor housing and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therei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aterial to be juiced,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is variably controlled by at least one of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in a plurality of preset sta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material,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motor speed is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in which current and voltage are regulated by determining the tim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상기 모터 속도는 Encoder 또는 Hall IC를 이용하여 전류량에 따라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조절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or speed is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which is controlled by determining the tim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using an encoder or Hall IC.
상기 구동부에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를 포함하는 롤러부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작동부와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operating unit,
A juicer with improved juicing performance, the roller housing including the roller unit including a sensor unit comprising a sensor operated by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sensor operating unit.
상기 롤러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1 기어 롤러; 및
상기 구동부의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기어 롤러;를 포함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ller unit,
a first gear roll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ludge; and
A juicer with improved juicing performance comprising a; a second gear roller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ludge.
상기 롤러부의 외면과 메인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착즙 재료의 최종 배출 전의 슬러지에 착압력을 발생시키는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The method of claim 1,
a sludge contact pressur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pressure in the sludge before final discharge of the juice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 juicer with improved juicing performanc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롤러부의 전단부에 돌출된 연장부와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의 테두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의 이송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ludge contact pressure generating unit,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housing, is formed in the rim direction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roller portion, and is provided to provide resistance to the transfer force of the sludge. juicer.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이며, 모터는 정회전시에 역회전시보다 작은 출력으로 작동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or is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and the motor is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that is operated with a smaller output than when the motor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압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수치 범위와 비교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착즙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착즙기의 롤러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정역회전 시점을 판단하여 전류 및 전압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압력, 전류 및 전압 범위를 실시간 비교하여 확인 및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복수의 단계를 갖고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착즙 재료의 분쇄과정에서 분쇄되는 정도에 따라서 복수의 모터 속도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착즙 방법.
inputting the juice material into the hopper of the juicer;
Setting at least one of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with a preset numerical r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determines the forward/reverse rotation tim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ller part of the juicer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to be juiced the current and voltage manually or automatically comparing the pressure, current and voltage ranges in real time to confirm and determine, and according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variably adjusted in a plurality of steps;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A method of juicing a juicer with improved juice performance,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a plurality of motor spee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rushing in the crushing process of the juice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697A KR102356099B1 (en) | 2020-03-05 | 2020-03-05 |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
EP20178177.0A EP3874998A1 (en) | 2020-03-05 | 2020-06-04 | Juicer and juic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
CN202010523657.1A CN113349622B (en) | 2020-03-05 | 2020-06-10 | Juicer and juicing method thereof |
US16/900,826 US20210274957A1 (en) | 2020-03-05 | 2020-06-12 | Juicer and juicing method |
RU2020130239A RU2760805C1 (en) | 2020-03-05 | 2020-09-14 | Juicing machine and method for juicing applying said machine |
AU2020233656A AU2020233656A1 (en) | 2020-03-05 | 2020-09-15 | Juicer and juic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697A KR102356099B1 (en) | 2020-03-05 | 2020-03-05 |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3471A KR20210113471A (en) | 2021-09-16 |
KR102356099B1 true KR102356099B1 (en) | 2022-01-28 |
KR102356099B9 KR102356099B9 (en) | 2022-12-05 |
Family
ID=7097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7697A Active KR102356099B1 (en) | 2020-03-05 | 2020-03-05 |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274957A1 (en) |
EP (1) | EP3874998A1 (en) |
KR (1) | KR102356099B1 (en) |
CN (1) | CN113349622B (en) |
AU (1) | AU2020233656A1 (en) |
RU (1) | RU2760805C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1047619S1 (en) | 2023-02-10 | 2024-10-22 | Sharkninja Operating Llc | Juicer apparatus |
USD1034035S1 (en) | 2023-02-10 | 2024-07-09 | Sharkninja Operating Llc | Juice cup |
USD1052358S1 (en) | 2023-02-10 | 2024-11-26 | Sharkninja Operating Llc | Juicer motor hous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388B1 (en) * | 2010-10-15 | 2013-04-12 | 이지혜 | Juic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housing easily assembled and separated |
KR101597990B1 (en) * | 2015-09-22 | 2016-02-26 | 대영공업 주식회사 | A overload elimination circuit of geared bldc motor for juicer and elimination method thereof |
KR101618688B1 (en) * | 2015-09-22 | 2016-05-09 | 대영공업 주식회사 | Geared bldc motor constant velocity driving control device for juicer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9740A (en) * | 1991-02-13 | 1994-06-21 | Moon H Lee | Juicer |
FR2727613B1 (en) * | 1994-12-05 | 1998-06-19 | Moulinex Sa | ELECTRIC JUIC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
KR100334309B1 (en) | 1999-06-21 | 2002-05-03 | 이은숙 | Device for detachably mounting a front case of a juice extractor |
US6029568A (en) * | 1999-07-06 | 2000-02-29 | L'equip, Inc. | Juicer with servo control induction motor |
ITPI20030081A1 (en) * | 2003-10-21 | 2005-04-22 | Alessandro Bertocchi | PROCESS TO OPTIMIZE THE EXTRACTION PERFORMANCE |
JP4427798B2 (en) * | 2005-04-14 | 2010-03-10 | 株式会社石垣 |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differential speed rotary concentrator |
CN100508853C (en) * | 2005-04-26 | 2009-07-08 |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 Food conditioner with self-judging condition |
US7854194B2 (en) * | 2006-09-15 | 2010-12-21 | Breville Pty Limited | Juicer speed control |
CN103906454B (en) * | 2011-11-09 | 2016-02-10 | 李知惠 | The juice extractor being easy to shell assembling and being separated |
AU2014203739A1 (en) * | 2013-07-12 | 2015-01-29 | Sunbeam Corporation Pty Ltd | Juicer |
FR3010613B1 (en) * | 2013-09-18 | 2020-12-04 |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 OBTAINING A JUICE FROM FRESH PLANTS BY THERMOMECHANICAL TREATMENT AND ITS USE IN COSMETICS AND THERAPEUTICS |
KR101502701B1 (en) * | 2013-11-11 | 2015-03-13 | 이문현 | A Juicer |
US20150320105A1 (en) * | 2014-05-12 | 2015-11-12 | Happycall Co., Ltd. |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
KR20150129349A (en) * | 2014-05-12 | 2015-11-20 | 주식회사 해피콜 |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
CN107148234B (en) * | 2014-11-07 | 2019-04-26 | 达仕康电机株式会社 | Electronic conditioner |
CN104490247A (en) * | 2015-01-09 | 2015-04-08 | 中山市欧博尔电器有限公司 | Intelligent energy-saving servo slow juicer |
KR101665639B1 (en) * | 2015-02-16 | 2016-10-13 | (주) 위드닉스 | System for Controlling a Slow Juic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CN106308437B (en) * | 2015-07-10 | 2018-04-27 |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 Juice extractor |
CN105495627B (en) * | 2015-12-01 | 2017-12-12 | 江南大学 | A kind of fruit smashing slurrying enzyme deactivation integrated apparatus |
CN105266556A (en) * | 2015-12-04 | 2016-01-27 |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 Low-speed juicer driven by brushless motor |
SE542996C2 (en) * | 2018-02-09 | 2020-09-22 | Valmet Oy | A system for transporting biomass material and a method for preventing blow back in said system |
CN110448194A (en) * | 2019-08-26 | 2019-11-15 | 深圳市饮之源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tirring equipment and its working method |
-
2020
- 2020-03-05 KR KR1020200027697A patent/KR102356099B1/en active Active
- 2020-06-04 EP EP20178177.0A patent/EP3874998A1/en active Pending
- 2020-06-10 CN CN202010523657.1A patent/CN113349622B/en active Active
- 2020-06-12 US US16/900,826 patent/US202102749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09-14 RU RU2020130239A patent/RU2760805C1/en active
- 2020-09-15 AU AU2020233656A patent/AU202023365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388B1 (en) * | 2010-10-15 | 2013-04-12 | 이지혜 | Juic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housing easily assembled and separated |
KR101597990B1 (en) * | 2015-09-22 | 2016-02-26 | 대영공업 주식회사 | A overload elimination circuit of geared bldc motor for juicer and elimination method thereof |
KR101618688B1 (en) * | 2015-09-22 | 2016-05-09 | 대영공업 주식회사 | Geared bldc motor constant velocity driving control device for juic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3471A (en) | 2021-09-16 |
EP3874998A1 (en) | 2021-09-08 |
US20210274957A1 (en) | 2021-09-09 |
CN113349622B (en) | 2022-07-22 |
AU2020233656A1 (en) | 2021-09-23 |
KR102356099B9 (en) | 2022-12-05 |
RU2760805C1 (en) | 2021-11-30 |
CN113349622A (en)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6099B1 (en) | A jucier and jucier method thereof | |
KR960003079Y1 (en) | Juicer | |
KR20210113470A (en) | A jucier | |
US8863656B2 (en) | Power juicer | |
KR102417129B1 (en) | A jucier | |
KR200322266Y1 (en) | A smasher for making juice | |
CN105797822A (en) | Biomass crushing cut-off machine | |
KR102382422B1 (en) | A jucier | |
KR101693205B1 (en) | Apparatus for crushing materials and separating solid and liquid | |
KR100504364B1 (en) | A smasher for making juice | |
KR200166568Y1 (en) | Pulverizing device for a multipose pulverizer | |
KR101767325B1 (en) | Auto feeding juicer | |
KR200346749Y1 (en) | Vegetable juicer | |
KR20100042849A (en) | Electronic juice extractor | |
KR200264100Y1 (en) | Squeezer for juice | |
CN211246854U (en) | Solid-liquid separator | |
JPS6359325B2 (en) | ||
KR200288605Y1 (en) | juice apparatus | |
KR100441832B1 (en) | juice apparatus | |
KR950009418Y1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
KR20050072263A (en) | Vegetable juic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120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