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5195B1 -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95B1
KR102355195B1 KR1020200125061A KR20200125061A KR102355195B1 KR 102355195 B1 KR102355195 B1 KR 102355195B1 KR 1020200125061 A KR1020200125061 A KR 1020200125061A KR 20200125061 A KR20200125061 A KR 20200125061A KR 102355195 B1 KR102355195 B1 KR 10235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advertisement
recognition means
layers
bill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찬식
윤성진
박상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9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판을 보는 소비자들의 상태에 따라 소비자가 보다 광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to output advertisements so that consumers can focus more 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nsumers viewing the advertisement board.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onsumer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advertisement board, including a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each of a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scription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4차 산업혁명의 주제 중 하나인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산업에 접목하는 것이 사회, 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으며 광고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거리에서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되는 전자 정보 표시 도구인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는 포스터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하였다.The application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one of the them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industry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hroughout society and companies, and the field of advertising is no exception. In particular, digital signage, an electronic information display tool used for marketing and advertising on the street, has emerged to replace the poster.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옥외광고판으로써 공공장소에서 광고 및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포스터와 광고영상을 출력할 뿐 아니라, 얼굴 인식과 같은 일부 기술이 적용되어 새로운 미디어로써 주목받고 있다.Specifically, digital signage is an outdoor billboard using a display device, and has been serving to serve as an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in a public place. The digital signage market has continued to grow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Recently, digital signag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dium by not only printing posters and advertisement images, but also applying some technologies such as face recognition.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와 연산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장치로부터 광고 교체 명령을 받고 예정된 순서로 이용한 포스터 또는 영상을 송출하는데 그치는 방식이었다. 즉,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는 사람들과의 쌍방향 소통이 아닌, 단방향 소통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such digital signage is composed of a display and hardware capable of calculation, digital signage simply receives an advertisement replacement command from the control device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transmits posters or images used in a predetermined order. In other words, it is not a two-way communication with people who see digital signage, but only one-way communication.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3958호("지능형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시스템, 공개일 2020.08.06.)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93958 (“Intelligent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published on Aug. 6, 202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목적은, 광고판을 보는 소비자들의 상태에 따라 소비자가 보다 광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with the layers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nsumer to focus on the advertisement mo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s who view the billboa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board and a camera for outputting advertisements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located consumer, and a controller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광고판과 인식된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recognized consumer, and the controll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ing board and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type o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increases, and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sumer, the closer th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reduced and output.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상기 소비자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consumer, and the control unit moves at least one lo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to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do it with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에 소비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f the consumer is not recognized at a reference distance based on the advertisemen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advertisement as a default setting.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안면영역의 면적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of the face area of the consumer,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sumer using the recognized area of the face area.

또한, 상기 인식수단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상기 인식수단은 스테레오 비전기법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ameras, and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using a stereo vision technique, or the camera is a Time of Flight (ToF) camera. do.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라이다 또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dar or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과 상기 소비자의 안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상기 소비자의 안구의 면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consumer's face region and the consumer's eyeball, and the control unit position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consumer's eyeball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typ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리면,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sumer frowns,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ize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enlarged and outpu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린 후 풀면, 확대했던 레이어의 확대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sumer grimaces and then loose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larged layer stops enlarged.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이 상기 광고판의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face direction of the consumer,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face direction of the consumer is out of the area of the billbo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advertisement as a default setting.

또한,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of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surrounding, where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surrounding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at least one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brightness, color or transparency.

또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lluminance sensor measures the illuminance for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n the illuminance for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의하면,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시력 및 거리에 따른 광고 시청의 한계를 일부 극복할 수 있고,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고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yer-separat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form of advertisements output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sum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It is possible to partial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iew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eyesight and distance of consumers by changing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광고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중, 광고의 주체가 강조하고 싶은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레이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형을 이용해 광고 주체가 특정 기획을 해당 광고에 포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illboard, among a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form of the layers that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wants to emphasize is changed so that the consumer’s Concentration on advertisement can be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n advertiser can include a specific plan in a corresponding advertisement by using a trans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se laye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의 안구의 상태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umer on the advertisement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form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ye of the consum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광원이 광고판을 비춰 가시성이 저하되더라도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가시성 저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xternal light source illuminates the billboard and visibility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isibi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n be overcome by changing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shape of the lay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 간격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인식수단에서 소비자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소비자의 안구영역 상태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dvertisement output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combined to be output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interval between a billboard and a consumer of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a consumer and a billboard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divided into lay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recognizing an eyeball region of a consumer's face in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 state of a consumer's eye area in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each area of the billboard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divided into lay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광고판(100), 인식수단(2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board 100 , a recognition unit 200 , and a control unit.

상기 광고판(100)은 디지털 방식으로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광고판(100)은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더 포함되는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해 출력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별도의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광고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광고에 소리 또는 음성이 포함될 경우 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벽면, 기둥 및 기타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The billboard 100 is a device for digitally outputting advertisements. That is, the billboard 100 may be a digital signage, and may receive and output an advertisement from a server furth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board 100 may include a separate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the advertisement from the ser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eans for visually outputting the advertisement, and a means for outputting the advertisement when sound or voice i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can The billboard 100 may be installed on a wall, a pillar, and other structur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일 수 있다.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apparatus divided into lay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dvertisement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combined.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dvertisemen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ayers output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광고는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가 조합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일 수 있다.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들은 출력되는 우선순위가 있을 수 있으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전면에 출력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후면에 출력될 수 있다. 단, 상술한 레이어별 우선순위는 일예일 뿐이며, 광고물 제작자가 의도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선순위는 특정 조건이나 임의로 변경 또는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광고에서는, 강조 레이어(12)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배경 레이어(11)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져, 각각의 레이어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있을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레이어가 우선적으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2 ,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mage or an image in which the background layer 11 , the emphasis layer 12 , and the text layer 13 are combined. The background layer 11 , the emphasis layer 12 , and the text layer 13 may have an output priority, and as the priority is higher, they may be output to the front side, and as the priority is lower, they may be output to the rear surface.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ity for each layer is only an example, 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design intended by the advertisement producer, the priority may be arbitrarily changed or set under specific conditions or arbitrarily. In the advertisement shown in Fig. 2, the emphasis layer 12 has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background layer 11 has the lowest priority. The branch layer is output firs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수단(200)은 카메라를 포함하여, 광고판(100)과 함께 설치되거나, 광고판(100)과 분리되어 설치되되, 광고판(100)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인식수단(200)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고, 인식수단(200)은 카메라 외에도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a에 도시된 형태는 광고판(100)과 인식수단(200)이 함께 일체화되어 설치된 경우고, 도 1b에 도시된 형태는 광고판(100)과 인식수단(200)이 서로 별개로 분리되어 설치되되, 인식수단(200)은 광고판(100)이 설치된 공간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된 형태이며, 도 1c에 도시된 형태는 인식수단(200)이 광고판(100)과 동일한 구조물에 설치되되, 광고판(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형태이다.As shown in FIG. 1 , the recognition means 200 including a camera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or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and may be installed near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The camer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means 200 may be one or a plurality, and the recognition means 20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 addition to the camera. This is the case where they are integrated and installed, and in the form shown in FIG. 1b , the advertisement board 100 and the recognition means 200 are install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 recognition means 2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pace where the advertising board 100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in a hanging form, and in the form shown in FIG. 1C , the recognition means 200 is install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bu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인식수단(200)은 카메라와 센서 등을 이용해,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소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수단(200)이 소비자를 인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신체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거나, 소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인식수단(200)은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스테레오 비전 기법을 이용해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영상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카메라 자체가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ToF 카메라란 3D카메라의 일종으로 적외선을 촬영대상을 향해 발산하고 반사되어 다시 입사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대상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인식수단(200)은 상기한 카메라 외에도 라이다(LiDAR)나 적외선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수단(200)이 영상처리 방식으로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할 때,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고, 안면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픽셀의 개수, 즉 안면의 면적을 이용해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means 200 may recognize a consumer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billboard 100 using a camera and a sensor. Recognizing the consumer by the recognition means 200 may specifically mean recognizing a specific area of the consumer's body 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consumer. Fo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mean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using a stereo vision technique, or use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The distance between them may be measured, or the camera itself may be a Time of Flight (ToF) camera. The ToF camera is a type of 3D camera that emits infrared rays toward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camera using the time it takes to be reflected and re-entered. The recognition means 2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lidar (LiDAR) or an infrared sens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amera. In addition, when the recognition means 200 measures or estim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umer 1 and the billboard 100 in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 number of pixels that recognize the face of the consumer 1 and occupy the face area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umer 1 and the advertisement board 100 may be measured or estimated using the area of the face.

제어부는 인식수단(200)에서 인식한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크게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을 이용해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소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안면 중 안구의 움직임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때, 제어부는 레이어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거나, 레이어 자체를 다른 레이어로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가 특정 레이어의 출력형태를 변경한다는 것은, 가로세로비율을 무시하고, 가로방향의 확대/축소 비율을 세로방향의 확대/축소 비율과 다르게 하던지, 레이어에 포함되는 객체의 형태 자체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controller may individually control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20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largely controls each of a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u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or recognizes the consumer's face, and individually controls the face through eye movement. can do. When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dividually,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shape of the layer, or replace the layer itself with another layer. When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changes the output form of a specific layer, it means that the aspect ratio is ignored, the horizontal direction enlargement/reduction ratio is different from the vertical direction enlargement/reduction ratio, or the shap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layer is changed. means to do

먼저,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을 이용해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controls each of a plurality of layers u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 간격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3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interval between a billboard and a consumer of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어들은 원본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도 3e에 도시된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가 원본 비율의 광고이다. 도 3e에 도시된 원본 비율의 광고를 기본설정이라 한다.The layers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have an original ratio, and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shown in FIG. 3E is an advertisement with the original ratio. The advertisement of the original ratio shown in FIG. 3E is referred to as a default setting.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광고판(100)에서 소비자(1)가 멀게 위치했을 때, 시각적 한계로 인하여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광고판(100)에서 소비자(1)가 멀게 위치할 때,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전체를 동일한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몇몇의 레이어만을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각각의 레이어들의 확대 비율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광고의 주체가 강조하고 싶은 내용만을 강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 when the consumer 1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front of the billboard 100 , the control unit enlarges and outputs at least one layer among the advertisement layers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 can do. This is because, when the consumer 1 is located far from the billboard 100 , the consumer 1 cannot easily recognize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due to a visual limitation. When the consumer 1 is located far from the billboard 100, the control unit does not enlarge and output all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t the same rate, but enlarges and outputs only some layers, or enlarges the enlargement ratio of each layer By differentiating from each other, only the content that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wants to emphasize can be emphasized.

도 3a를 참조하면, 도 3e에 도시된 원본 비율의 광고보다,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는 모두가 확대되어 출력되지만, 강조 레이어(12)와 텍스트 레이어(13)가 배경 레이어(11)보다 더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배경 레이어(11)에 포함되는 이미지 또는 객체보다 강조 레이어(12)와 텍스트 레이어(13)에 포함되는 이미지 또는 객체가 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3A , the background layer 11 , the highlight layer 12 and the text layer 13 are all enlarged and output, but the emphasis layer 12 and the text layer than the advertisement of the original ratio shown in FIG. 3E . It can be seen that (13) is more enlarged than the background layer (11). This is because the image or object included in the highlight layer 12 and the text layer 13 is more important than the image or object included in the background layer 11 .

제어부는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근접할수록 도 3a와 같이 확대 출력했던 각각의 레이어들을 원본비율에 가깝게 출력할 수 있으며, 도 3d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 근처를 벗어난 경우, 각각의 레이어들을 원본비율인 기본설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근처를 벗어나 확대되었던 레이어를 원본비율인 기본설정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과정 자체를 애니메이션 형태로 점진적으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B and 3C , as the consumer 1 approaches the billboard 100 , the controller can output each of the enlarged and output layers as shown in FIG. 3A close to the original ratio, as shown in FIG. 3D , the consumer 1 When is out of the vicinity of the billboard 100, each layer may be output with a default setting that is the original ratio. When the consumer 1 changes and outputs the enlarged layer out of the vicinity of the billboard 100 to the default setting that is the original ratio, the changing process itself may be gradually changed in the form of an anima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특정 레이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식은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1)에게 효율적으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체 레이어들 중 특정 레이어만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함으로써, 광고의 주체가 광고하고 싶어 하는 품목을 강조하거나, 광고의 주체가 특정 이벤트 또는 기획을 광고에 삽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method of enlarging or reducing a specific layer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consumer 1 and the billboard 100 is that even if the consumer 1 is far from the billboard 100 , the consumer (1) It has the advantage of efficiently sending advertisements to users, and by enlarging or reducing only a specific layer among all layers and outputting it,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emphasizes the item that he/she wants to advertise, or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advertises a specific event or plan. It can be inserted into the , so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efficient advertisement is possible.

도 3에 도시된 특정 레이어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방식은 일예에 불과하며,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강조 레이어(12)가 조립된 특정 제품을 출력하는 경우,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가까이 갔을 때, 강조 레이어(12)를 변경하여 조립된 특정 제품의 분해도를 보여주거나, 해당 제품의 특장점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부분의 밝기를 향상시키거나, 특정 부분 또는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으며,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특정 레이어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The method of enlarging and outputting a specific layer shown in FIG. 3 is only an example, and an advertisement may be output in another metho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 consumer 1 and the billboard 100 . For example, when outputting a specific product in which the highlight layer 12 is assembled, when the consumer 1 approaches the billboard 100, the emphasis layer 12 is changed to show an exploded view of the assembled specific product, There may also be embodiments such as improving the brightness of a specific part 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a specific part or layer to emphasize the features of the product, and the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 consumer 1 and the billboard 100 Accordingly, there may also be embodiments such as changing the priority of a specific lay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4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a consumer and a billboard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식수단(200)은 소비자(1)의 위치를 측정하면서, 광고판(100)과 소비자(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왼쪽으로 벗어났을 경우, 제어부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광고가 소비자(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들 각각이 이동하는 정도를 달리 제어하여, 특정 레이어를 보다 강조하면서, 광고 자체의 입체감을 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레이어가 기준에 위치하도록 기준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우측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특정 레이어를 보다 강조할 수 있으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을 떠나면, 각각의 레이어가 기준에 위치하도록 기준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외에도 소비자(1)가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에 따라서, 레이어들 각각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광고를 보면서 풍경을 보는듯한 느낌이 들게 할 수 있다. 이때, 각 레이어들의 이동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이 그려진 강조 레이어(12)는 가장 빠르게, 텍스트 레이어(13)는 중간 속도로, 배경 레이어(11)는 가장 느리게 이동시키거나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The recognition means 200 detects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1 while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consumer 1 . As shown in FIG. 4A , when the consumer 1 deviat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billboard 100 to the left, the control unit moves at least one of the layers to the left, so that the advertisement can be moved to the consumer 1 side.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ifferently control the degree of movement of each of the background layer 11 , the emphasis layer 12 , and the text layer 13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advertisement itself while further emphasizing a specific layer. As shown in FIG. 4B , when the consumer 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illboard 100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reference value as a reference value so that each layer is positioned in the reference. As shown in Fig. 4c, when the consumer 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ront of the billboard 100, the control unit can move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layers to the right to further emphasize a specific layer, As shown in FIG. 4D , when the consumer 1 leaves the billboard 100 , each layer may be output as a reference value so that each layer is positioned on the referenc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consumer 1, by adjus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each layer, it is possible to feel as if viewing a landscape while watching an advertisement. . At this time, the movement speed of each layer may be different, and the highlight layer 12 with a human drawing may be moved at the fastest speed, the text layer 13 at a medium speed, and the background layer 11 may or may not be moved the slowest. have.

이하, 인식수단(200)이 소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태에 따라서 광고판(100)에서 광고를 다르게 출력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cognition means 200 recognizes the face of the consumer and outputs an advertisement differently on the billboard 100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tat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인식수단(200)은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소비자(1)는 특정 대상을 볼 때, 잘 보이지 않으면 안구를 찡그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리는 것을 인식하면,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출력하여, 소비자(1)가 광고를 보다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gnition means 200 recognizes the face of the consumer 1, but may recognize the eye area of the face. When the consumer 1 looks at a specific object, he may frown if he cannot see well. In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cognizing that the consumer 1 grimaces, the controller may enlarge and outpu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so that the consumer 1 can see the advertisement better.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인식수단에서 소비자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소비자의 안구영역 상태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of recognizing an eye area of a consumer's face in a recognition means of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divided into lay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s eye area in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제어부는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대할 때, 강조하고 싶은 특정 레이어만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광고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레이어를 확대하는 것 이외에도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enlarges at least one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by enlarging only the specific layer to be emphasized, the control unit can make the advertisement more efficient, and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layer,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There may also be embodiments, such as changing the size or output typ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레이어들을 확대할 수 있다. 단,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확대 한계는 설정되어, 일정 기준 이상으로는 레이어들 각각은 확대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는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이 한계까지 확대되더라도,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리고 있으면, 소정의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보다 근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 when the consumer 1 maintains a state of grimacing, the controller may continuously enlarge the layers. However, since the magnification limit of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is set, each of the layers may not be magnified beyond a certain standard. Even if the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re expanded to the limit, if the consumer 1 frowns,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predetermined guidance voice to induce the consumer 1 closer to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린 상태를 풀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확대를 중단하고, 확대된 상태의 광고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 근처에서 벗어나게 되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C , when the consumer 1 releases the state of grimacing, the control unit may stop expanding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and continuously output the advertisement in the enlarged state, FIG. As shown in 6d, when the consumer 1 moves away from the billboard 100,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may be output as a default setting.

본 발명에서는, 인식수단(200)이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 또한 인식할 수 있다.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은, 인식된 소비자(1)가 현재 광고판(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광고에 관심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인식수단(200)에서 인식된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이 광고판(100)을 바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준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의 상태를 변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means 200 can also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consumer (1).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consumer 1 may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consumer 1 is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currently being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 and the control unit in the recognition means 200 When the recognized face direction of the consumer 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state looking at the billboard 100, the state of the layer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s described above is changed and output is stopped, and the advertisement can be output as the default setting.

제어부는 소비자(1)가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소비자(1)의 안면 방햐잉 광고판(100)에서 벗어나 관심이 없다고 판단되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도록 변경할 경우, 급격히 기본설정으로 변경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삽입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광고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onsumer 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billboard 100 or is not interested in the consumer 1 deviate from the facial heating billboard 100 of the billboard 100 and defaults to the advertisement output from the billboard 100 When changing to output by setting, an animation effect is inserted so that it is not changed to the default setting abruptly, but is changed gradually, so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dvertisement more naturally and smoothly.

상술한 과정에서, 인식수단(200)에서 광고판(100) 주변의 소비자를 적어도 둘 이상 인식했을 경우, 소정 기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소비자만을 기준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소정 기준은, 광고판(100)에서 가까운 소비자를 기준으로 해, 광고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한 명의 소비자만이 인식되었다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고의 확대 기능이 동작하고,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두 명 이상의 소비자가 인식되었다면, 안구의 찡그림에 따른 광고의 확대 기능이 동작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 process, when the recognition means 200 recognizes at least two consumers around the billboard 100,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ased on only one consum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in which the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re may be embodiments such as changing the advertisement and outputting the advertisement based on the consumer who is close to the advertisement board 100 as the reference. In addition, if only one consumer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billboard 100, the advertisement expan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100 and the consumer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perates, If two or more consumers are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billboard 100 , 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an advertisement enlargement func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istortion of the eyes.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는 소비자별로 확대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광고판(100)을 바라본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여, 해당 소비자의 생김새와, 해당 소비자의 거리 또는 안면의 상태에 따른 확대비율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장치에 저장된 소비자의 생김새와 동일한 소비자가 광고판(100)을 바라보면, 제어부는 저장된 확대비율에 따라 광고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apparatus in which the layer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magnific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consum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e storage device to recognize the face of the consumer 1 looking at the billboard 100,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sumer and the enlargement ratio according to the distance or condition of the face of the consumer can be stored. have. When a consumer having the same appearance as the consumer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looks at the billboard 100 , the control unit may enlarge and output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ored enlargement ratio.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in 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도센서는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어부는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조도센서는 광고판(100)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광고판(100)의 영역별 조도에 따라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 serves to measure the illuminance of the advertisement board 100 and its surroundings, and the control unit position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advertisement board 100 and its surroundings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 you can change the brightness, color or transparency. In particular, the illuminance sensor may measure the illuminance of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and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or transparency of at least one of the layers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100 .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7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each area of the billboard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divided into lay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조도센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광고판(100)의 주변에 설치되거나, 광고판(10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판(100)의 특정 영역만 외부광원(20)에 의해 밝아 색조가 달라질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레이어(13)와 같이 특정 레이어만을 외부광원(20)의 영향을 덜 받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FIG. 7 , the illuminance sensor is installed around the billboard 100 or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illboard 100 to measure the illuminance of the billboard 100 and its surroundings. As shown in FIG. 7A, when only a specific area of the billboard 100 is brightened by the external light source 20 and the color tone is changed, as shown in FIG. 7B, only a specific layer such as the text layer 13 ) can be moved to a location less affected by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광원(20)이 광고판(100)의 일부 영역만을 비춰 가시성이 떨어질 경우, 해당 영역인 강조 레이어(12)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강조 레이어(12)를 다른 레이어와 합성하거나 레이어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저하되는 가시성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 when the external light source 20 illuminates only a partial area of the billboard 100 and visibility is reduced,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area, the highlight layer 12 , is adjusted, the transparency is adjusted, or the highlight layer By compositing (12) with other layers or changing the layer itself, the reduced visibility can be overcom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광고판(100) 주변에서 인식되는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광고판(100)에서 출력하는 광고의 레이어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ndependently performed, bu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need, and are recognized by consumers around the billboard 100 . Layers of advertisements output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100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 : 소비자
11 : 배경 레이어
12 : 강조 레이어
13 : 텍스트 레이어
20 : 외부광원
100 : 광고판
200 : 인식수단
1: consumer
11: Background Layer
12 : Highlight layer
13 : Text Layer
20: external light source
100 : billboard
200: recognition means

Claims (14)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과 상기 소비자의 안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상기 소비자의 안구의 면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리면,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해 출력하되, 상기 레이어의 확대는 한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 billboard for outputting advertisements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layers;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onsumer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advertisement board, including a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sumer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including,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face region of the consumer and the eyeball of the consumer,
The control unit changes at least on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form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consumer's eyeball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and the control unit enlarges and outputs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n the consumer frowns, and a limit is set for the enlargement of th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광고판과 인식된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recognized consumer,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to change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transparency, size or output form A separate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is greater, and increases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increases. A layer-separated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reduced and out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상기 소비자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consumer,
and the control unit moves at least one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to the consumer si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sumer measured by the recogni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에 소비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advertisement as a default setting when a consumer is not recognized at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advertisement 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안면영역의 면적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face area of the consumer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using the recognized area of the face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복수개로, 상기 인식수단은 스테레오 비전기법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re are a plurality of cameras included in the recognition means, and the recognition means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illboard and the consumer using a stereo vision technique, or the camera is a Time of Flight (ToF) camera. digital advertising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라이다 또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gnition means, a digital advertisement output device with a divided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dar or infrared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린 후 풀면, 확대했던 레이어의 확대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stops the enlargement of the enlarged layer when the consumer grimaces and then releases the eyeb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이 상기 광고판의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face direction of the consumer,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advertisement as a default setting when the face direction of the consumer is out of the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brightness, color, or transparenc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advertisement board and its surroundings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lluminance sensor measures the illuminance of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n the illuminance for each area of the advertisement boar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KR1020200125061A 2020-09-25 2020-09-25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Active KR102355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61A KR102355195B1 (en) 2020-09-25 2020-09-25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61A KR102355195B1 (en) 2020-09-25 2020-09-25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195B1 true KR102355195B1 (en) 2022-02-07

Family

ID=8025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061A Active KR102355195B1 (en) 2020-09-25 2020-09-25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1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58A1 (en)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displaying web page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22B1 (en)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ext aware video chatting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98706B1 (en) * 2014-08-14 2016-02-2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graphically expressing background of a game
KR101731346B1 (en)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image in multimedia device and thereof
KR20180061835A (en)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or iris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200093958A (en) 2019-01-29 2020-08-06 민경진 Intelligent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22B1 (en)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ext aware video chatting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31346B1 (en)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image in multimedia device and thereof
KR101598706B1 (en) * 2014-08-14 2016-02-2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graphically expressing background of a game
KR20180061835A (en)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or iris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200093958A (en) 2019-01-29 2020-08-06 민경진 Intelligent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58A1 (en)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displaying web page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9813B1 (en) Selective real image obstruction in a virtual realit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9916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integrating sensory content
TWI527429B (en) A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US10366642B2 (en) Interactive multiplane display system with transparent transmissive layers
CN100525441C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95819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using simulated 3D images
CN101438579A (en) Adaptive rendering of video content based on additional frames of content
JP2010102235A (en) Electronic advertisement system
Sandnes et al.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s on the cheap: a DIY approach to sketching and prototyping low-vision assistive technologies
JP2007526501A (en) Message board with dynamic message position change
KR20190108226A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55195B1 (en) 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US11205405B2 (en) Content arrangements on mirrored displays
JP2018151459A (en) Stereo stereoscopic device
JP2015079201A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848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istic virtual exhibition space
JP2018032914A (en)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JP4386298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10873735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object, and object identifying method thereof
WO2024190107A1 (en) Aerial image display device and character display device
KR102354439B1 (en) Target adaptive billboard
JP2010026014A (en) Naked eye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KR102574041B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3d image
CN105446579A (en) Control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O2023105922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