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4618B1 -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618B1
KR102354618B1 KR1020167018655A KR20167018655A KR102354618B1 KR 102354618 B1 KR102354618 B1 KR 102354618B1 KR 1020167018655 A KR1020167018655 A KR 1020167018655A KR 20167018655 A KR20167018655 A KR 20167018655A KR 102354618 B1 KR102354618 B1 KR 10235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modulation
metering
signal
gateway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992A (ko
Inventor
로베르 라꼬스뜨
쟝-루이 도르스떼떼르
Original Assignee
제에르데에프
수에즈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에르데에프, 수에즈 그룹 filed Critical 제에르데에프
Publication of KR2016012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6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12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using digital generation of carrie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0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continuous phase modulation
    • H04L27/2007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continuous phase modulation in which the phase change within each symbol period is constrained
    • H04L27/201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continuous phase modulation in which the phase change within each symbol period is constrained in which the phase changes in a piecewise linear manner during each symbol period, e.g. minimum shift keying, fast frequency 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출 장치에서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계량 장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로부터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은 주파수 천이 변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천이 변조가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를 가지며, 상기 변조에 따라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Y RADIOFREQUENCY LINK IN A REMOTE-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격 검침 장치에서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 장치는 물, 가스, 전기 등을 계량하는 계량기와 같은 복수의 계량 장치들로 구성된다. 또한, 원격 검침 장치는 게이트웨이 통신을 이용하는 계량 장치로 구성되거나 외부의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계량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는 물 소비량 데이터 또는 좀 더 일반적으로, 유체 또는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또는 온도, 오염 등의 측정량에 기초한 데이터 등을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전송한다. 각각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원격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은 비용을 청구하고 누설 또는 오류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다시 분석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 각각은 주변의 게이트웨이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주파수 모듈은 169MHz, 433MHz 또는 868MHz의 반송파 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범위의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빌딩의 서비스 룸에 설치된 허브 장치 또는 수집 캐비넷과, 계량 장치의 무선 주파수 모듈과의 통신을 위해 예를 들어 빌딩의 지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허브 장치에 전송되고, 허브 장치는 데이터를 조합하고, 외부의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설치 운영자에게 전송한다.
원격 검침 장치는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충분한 숫자 및 좋은 위치를 가질 수 있기 위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의 배치를 요구한다. 이러한 배치는 신뢰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링크를 계량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데이터 허브에서 계량 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데이터의 최선의 수집을 보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현재 시점에서, 원격 검침 장치의 장비의 다양한 아이템 사이의 무선 통신은 유럽 표준(European Standard) EN 13757-4에 따른 무선주파수 프로토콜의 사용에 기초한다. 여기서, 표준 프로토콜은 모드에 따라 FSK, GFSK 또는 4GFSK 주파수 변조로 특정될 수 있다. 상기 표준의 기술적 제약에 따라, 관련된 수신기는 비간섭성(non-coherent) FSK 수신기이어야 하며,
Figure 112016066969704-pct00001
의 이진 에러율에서 약 12dB의 Eb/N0 비율(여기서, Eb는 전송된 비트당 에너지, N0는 잡음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의미한다.)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수신기에 대해 달성할 수 있는 감도는 약 -174dBm + 10log(B) + Eb/N0 + NF이고, 여기서, B는 비트 전송 속도(bit rate)이고 NF는 상기 수신기의 잡음 팩터(noise factor)이다. 예를 들어, B = 2400bps, Eb/N0 = 12dB, NF = 5dB일 때 최대 감도는 약 -123dBm(decibels per milliwatt)일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신호가 수신기에서 인식되기 위하여, 마지막 신호는 충분한 감도를 가져야 한다. 즉, 수신된 신호의 유효 전력이 수신기의 감도보다 커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수신된 신호는 사용할 수 없다.
통신의 신뢰성을 높일 목적으로, 계량 장치의 무선주파수 모듈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계량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소비에 의하여 배터리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우 좁은 대역 변조에 의해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특허 문헌 FR2961054 및 FR2977943에 공지되어 있다. 각 송신기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의 매우 좁은 서브 밴드에서 신호가 전송되도록 미리 구성되어, 다른 송신기에 의하여 전송된 신호와의 충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FR289400은 디지털 상관기(correlator)와 수신단에 연결된 다이렉트 스펙트럼 확산 시퀀스(direct spread spectrum sequence, DSSS)에 전송된 신호의 코딩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단지 계량 장치의 무선주파수 모듈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의 복잡성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원격 검침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주파수 통신 프로토콜의 기초를 형성하는 현재의 표준 방식과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원격 검침 장치에 배치된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주파수 링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무선주파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현재의 표준 방식을 지원하는 원격 검침 장치의 무선주파수 링크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복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장치로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계량 모듈 및 무선주파수 모듈을 포함하는 각 계량 장치는 상기 장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로부터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전송은 주파수 천이(shift) 변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carrier)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천이 변조는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modulation index)를 가질 수 있다. 즉, 1/2을 곱한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조 및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에 따라 수신된 신호는 변조에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상 고정 루프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하기 위한 검출기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측에서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phase-coherent) 변조이므로,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에는 위상 불연속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변조 방법은 상기 반송파의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수신 측에서 유리하게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적어도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가 동기 검출기에 의해 검색되는 동안 동기화를 위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전송 제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동기 복조와 비교하여, 3dB의 이득을 제공하는 동기 복조 및 상기 Eb/N0 비율 측면에서 수신단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를 갖는 주파수 천이 변조는 전송된 비트의 동기 검출이 가능하도록 수신단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동기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검출은 변조와 동기화된 레퍼런스(reference)가 요구되며, 이는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위상 고정 루프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은 전송되는 비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하는 검출기를 구동하기 위한 변조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신호 파라미터, 특히, 주파수 및 위상은 동기화의 결과로 수신기에서 수집할 수 있고, 코히런트(coherent) 수신기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더 긴 전송 거리의 이점을 이용할 수 있고, 기존 장치에 설치된 장비의 변형을 제한하여 원격 검침 장치의 적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득 수신 감도를 위하여, 원격 검침 장치에서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 및 계량 장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요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의 수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들의 설치 인프라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나중에 공급된 모든 데이터가 실제로 수신되는 동안, 계량 장치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도 이득을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계량 장치의 무선주파수 모듈이 일반적으로 약 15-20년간 동작하는 배터리로 구동되므로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수신 감도 증가는 검색이 어려운 계량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도 있을 수 있으나, 특히, 계량 장치에 의한 전송이 무선주파수 링크에 의한 정확한 전송을 방해할 수 있는 환경에 놓일 수 있다.
전술한 현재 표준 방식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변조를 보다 정확히 지정하여, 위상 간섭 송신기를 특정하고 수신을 위해 제공되는 위상 간섭 수신기를 이용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원격 검침 장치의 장비 간의 무선주파수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원격 검침 장치에 설치된 장비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장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위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계량 장치는 이러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모듈 및 계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통신 허브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원거리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로부터 위상 간섭 주파수 천이 변조 신호(phase-coherent frequency shift modulation signal)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기화 수단은 상기 변조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검출기는 생성된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된 신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검출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는 반송파의 주파수 천이 변조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조 수단은 정확히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 변조일 수 있다.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검침 장치의 계량 장치는 상기 원격 검침 장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모듈 및 계량 모듈을 포함하는 타입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은 반송파의 주파수 천이 변조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조 수단은 정확히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이고 상기 계량 장치의 무선주파수 모듈은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부터 위상 간섭 위상 천이 변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수단은 상기 변조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검출기는 상기 생성된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된 신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함수로서 동기화될 수 있다.
무선주파수 모듈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저비용 주파수 합성 송/수신기 및/또는 DSP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출 장치(특히, 물이나 가스 계량을 위한 원격 검출 장치)는 복수의 계량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물 계량의 원격 검침에 적용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기 계량, 가스 계량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검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검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특성 및 이점은 제한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수 있다.
원격 검출 장치(10)는 계량 장치 세트 또는 계량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계량 장치(20)는 물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 모듈(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물 계량을 검출하기 위한 원격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량 장치(20)의 계량 모듈은 유체, 에너지 등의 소비를 측정하거나 파라미터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량 모듈은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레벨 센서 등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 또는 에너지 분배 네트워크의 원격 모니터링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계량 장치(20)는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30)와 통신하는 무선주파수 모듈(22)(특히,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22)은 169MHz 주변의 자유 대역에서 전파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20)가 각각의 집에 설치된다. 또한,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은 건물마다 또는 주거 그룹마다 하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은 계량 장치(20) 세트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은 데이터 허브 장치(5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의 다양한 계량 장치에 의하여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데이터 허브 장치(50)는 빌딩의 입구에 있는 수거함에 설치되고, 세 개 또는 네 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가 빌딩의 옥상 또는 벽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허브 장치(50) 및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30) 사이의 링크는 이더넷 링크(ethernet link)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1)를 통하여, 유체 또는 에너지 분배 네트워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중앙 서버(6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서버(3)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40) 사이의 원격 통신 네트워크(1)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WAN(wide area network)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대부분의 원격 검출 장치는, 계량 장치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 간의 통신은 유럽 표준 EN13757-4에 따른 무선주파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여기서, 표준 프로토콜은 모드에 따라 FSK, GFSK 또는 4GFSK 주파수 천이 변조(frequency shift modulation)로 특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천이는 2400 bps(bits per second)의 비트 전송 속도에서 +/-2.2 kHz 에서 +/-2.6 kHz 범위(latitude)로 특정될 수 있고, 계량 장치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 방사되는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계량 장치에 할당된 채널을 특성화하는 중심 값으로부터 천이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비트의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각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천이 값을 추가 또는 감산하여 비트 값에 따른 천이 사인(sign)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계량 장치(20)의 무선주파수 모듈(22)은 EN13757-4 표준 방식을 따르는 FSK 변조 수단(231)을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송신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변조 수단(231)은 상기 표준 방식을 따르면서 좀 더 제한적인 규격으로 정의될 수 있고,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모듈(22)의 출력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송/수신 장치(30)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위상 불연속성이 없다. 이를 위해, 변조 수단(231)은 주파수 합성기 및 디지털 변조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송신 집적 회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1/2을 곱한 값의 변조 지수의 FSK 타입의 반송파 변조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일 수 있다.
FSK 타입의 위상 간섭 주파수 천이 변조의 신호(SIGN)는 계량 장치(20)에서 게이트웨이 시스템(4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30)는 Eb/N0 비율의 수신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조의 특정 특성을 이용하는 무선주파수 수신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신된 위상 간섭 변조 신호(SIGN)가 위상 고정 루프(310)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동안, 무선주파수 수신기(31)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상 고정 루프(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상 고정 루프(310)는 상기 변조와 수신된 변조 신호(SIGN)의 비트 전송 속도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SCLK)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고정 루프(310)의 출력은 무선주파수 수신기(31)의 검출기(311)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생성된 동기 신호( SCLK)에 의해 전송된 비트의 동기 검출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함수로 동기화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시스템(40)의 송/수신 장치(30)의 수신기(31)는 종래의 타입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software defined radio, SDR)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31)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I/Q 또는 low-IF)와 관련된 zero-IF 또는 low-IF 타입의 필터링, 사전 증폭 및 주파수 전이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의 아날로그 처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바에 따라 신호를 복조하고, 특히, 필요한 경우 디지털 필터링, 위상 고정, 디지털 복조 및 오류 정정 기능을 지원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형태의 디지털 처리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위상 간섭 FSK 수신기는
Figure 112016066969704-pct00002
의 2진 에러율에서 약 Eb/N0 = 9dB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EN13757-4 표준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3 dB로 링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2.4 kHz의 변조이고, 비트 전송 속도가 2400 bps이며, 변조 지수가 2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기 반송파의 +/-2.4 kHz에서 높은 진폭(전체 전력의 50%)의 개별 라인 쌍(a pair of discrete lines)을 이용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중심 주파수 및 비트 전송 속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조 검출기는 이런 점에 기초하여 신호의 확정적인(deterministic) 부분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1.2 kHz의 변조이고, 비트 전송 속도가 4800 bps이며, 변조 지수가 0.5인 경우, 수신기는 코딩의 차이를 제외하고 오프셋(offset) QRSK 변조와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스스로 동기화하기 위하여 헤더(headers) 및 프리앰블(preambles)의 사전 지식과 선형 근사식(linear approximation)을 이용할 수 있고, 동기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시스템 또는 시스템(40)의 송/수신 장치(30)와 계량 장치(20) 간의 양방향 링크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업 링크(uplink) 방향의 무선주파수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구조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계량 장치로의 다운 링크(downlink)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 장치(30)는 EN13757-4 표준의 규격에 따른 FSK 변조 수단(321)을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송신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 장치(30)는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할 수 있고, 여기서, 생성된 변조는 위상 간섭일 수 있다. 또한, 각 계량 장치(20)의 무선주파수 모듈(22)은 상기 변조의 특정 특성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주파수 수신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무선주파수 수신기(24)는 수신된 신호의 변조 및 비트 전송 속도와 스스로 동기화되는 위상 고정 루프(240) 및 전송된 비트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 검출기(241)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전송된 프레임의 검색에 문제가 있는 경우, 계량 장치에서 게이트웨이 시스템 방향의 업 링크 방향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변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간적인 방법은 동기화를 위한 계량 장치의 무선 주파수 모듈의 수신기를 업그레이드하지 않으면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업 링크 방향의 무선주파수 링크를 위한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계량 장치에서의 종래의 수신기를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에서의 보다 강력한 송신기와 연계하고/하거나 링크 버짓(link budget)을 균형있게 하기 위해 느린 변조와 연계할 수 있으며 또한 선호될 수 있다.

Claims (5)

  1. 원격 검출 장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위한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계량 장치로서,
    각각의 계량 장치는 계량 회로 및 무선주파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계량 장치 중 하나 이상의 무선주파수 회로와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원격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허브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계량 장치; 및
    무선주파수 수신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로부터 위상 간섭 주파수 천이 변조 신호(SIGN)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 신호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SCLK)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 신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기 검출이 상기 변조 신호에 따른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무선주파수 수신기;
    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송파의 주파수 천이 변조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주파수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송신기는, 생성된 변조가 위상 간섭이 되도록,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
  3. 원격 검출 장치를 위한 계량 장치로서, 상기 계량 장치는 계량 회로 및 상기 원격 검출 장치의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 회로를 갖고,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는,
    반송파의 주파수 천이 변조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주파수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송신기는 생성된 변조가 위상 간섭이 되도록, 2로 나눈 정수 값의 변조 지수에 따라 상기 반송파를 변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는 무선주파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수신기는,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로부터 위상 간섭 주파수 천이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 신호와 동기화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 신호의 동기 검출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기 검출이 상기 변조 신호에 따른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계량 장치.
  4. 물 계량기 또는 가스 계량기와 사용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제3항에 청구된 복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고,
    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1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출 장치.
  5. 물 계량기 또는 가스 계량기와 사용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제3항에 청구된 복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고,
    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2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출 장치.
KR1020167018655A 2013-12-26 2014-12-23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ctive KR10235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3582 2013-12-26
FR1363582A FR3016107B1 (fr) 2013-12-26 2013-12-26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par liaison radiofrequence dans une installation de telereleve
PCT/FR2014/053533 WO2015097405A1 (fr) 2013-12-26 2014-12-23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par liaison radiofrequence dans une installation de telerele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92A KR20160128992A (ko) 2016-11-08
KR102354618B1 true KR102354618B1 (ko) 2022-01-24

Family

ID=5054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655A Active KR102354618B1 (ko) 2013-12-26 2014-12-23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35801B2 (ko)
EP (1) EP3087712B1 (ko)
KR (1) KR102354618B1 (ko)
CN (1) CN106105125B (ko)
ES (1) ES2923646T3 (ko)
FR (1) FR3016107B1 (ko)
MA (1) MA39178B1 (ko)
PL (1) PL3087712T3 (ko)
PT (1) PT3087712T (ko)
WO (1) WO2015097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5146A1 (en) * 2007-07-17 2010-04-29 Meeusen Richard A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Quality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FR3016107B1 (fr) * 2013-12-26 2017-03-24 Grdf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par liaison radiofrequence dans une installation de telerelev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0237A1 (en) * 2001-02-28 2007-06-28 Quadlogic Control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metering
US20100075611A1 (en) * 2008-09-24 2010-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reless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performance in process contro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181A (en) * 1976-01-30 1979-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remote meter reading and control system
US4204195A (en) * 1977-05-23 1980-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er terminal unit for use in automatic remote meter reading and control system
GB2308949B (en) * 1996-01-08 1999-11-10 Ramar Technology Ltd Remote meter reading system
EP1466418B1 (en) * 2002-01-07 2006-1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ceiver with multi-state direct digital synthesizer driven phase locked loop
US7203254B2 (en) * 2003-03-25 2007-04-1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in a frequency shift keying receiver
US7016661B2 (en) * 2003-10-10 2006-03-21 Motorola, Inc. Multi-mode receiver for frequency error mitigation
US8014468B2 (en) * 2004-12-15 2011-09-06 Microsoft Corporation Energy detection receiver for UWB
US7502408B2 (en) * 2005-04-21 2009-03-10 Broadcom Corporation RF transceiver having adaptive modulation
FR2894100B1 (fr) 2005-11-29 2008-04-18 Stmicroelectronics Sas Soc Par Dispositif de reception numerique pour signaux codes dsss
EP2359556B1 (en) * 2008-11-21 2012-09-19 Nxp B.V. Devices and methods implementing frequency offset determination for fsk receivers
US20110109472A1 (en) * 2009-07-30 2011-05-12 Google Inc. Resource monitoring on a mobile device
KR20110039684A (ko) * 2009-10-12 2011-04-20 영우통신 주식회사 이동 통신용 잡음 제거 중계기 및 잡음 제거 방법
FR2961054A1 (fr) 2010-06-08 2011-12-09 Sigfox Wireless Procede d'utilisation d'une ressource frequentielle partagee, procede de configuration de terminaux, terminaux et systeme de telecommunications
WO2012173573A1 (en) * 2011-06-14 2012-12-20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Frequency shift keying transmitter
FR2977943B1 (fr) 2011-07-11 2013-08-02 Sigfox Wireless Procede et module d'estimation de biais frequentiel, procede et systeme de telecommunications numeriques
FR3016107B1 (fr) * 2013-12-26 2017-03-24 Grdf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par liaison radiofrequence dans une installation de telerele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0237A1 (en) * 2001-02-28 2007-06-28 Quadlogic Control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metering
US20100075611A1 (en) * 2008-09-24 2010-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reless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performance in process contro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6107B1 (fr) 2017-03-24
CN106105125B (zh) 2019-10-01
EP3087712A1 (fr) 2016-11-02
EP3087712B1 (fr) 2022-04-27
ES2923646T3 (es) 2022-09-29
PT3087712T (pt) 2022-07-22
US9935801B2 (en) 2018-04-03
FR3016107A1 (fr) 2015-07-03
MA39178A1 (fr) 2016-10-31
CN106105125A (zh) 2016-11-09
PL3087712T3 (pl) 2022-08-16
KR20160128992A (ko) 2016-11-08
MA39178B1 (fr) 2017-07-31
US20160330054A1 (en) 2016-11-10
WO2015097405A1 (fr)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203B2 (en) Medium communication system using log detector amplifier
CN106160784B (zh) 蜂窝频带中的通信设备和方法
US5717718A (en) Multipoint to point radiocommunications network
CN203734658U (zh) 高速数传电台
RU2009136418A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повторителя
JP2010534423A (ja) 遠隔通信装置の間の見通し線(los)距離を判定する方法
CN102577289A (zh) 无线接收机
JP6866483B2 (ja) データコレクタと、複数の自律型の測定ユニットと、の間の送信品質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70061090A (ko) 카오스 초광대역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및 그 방법
US9001933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smart utility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102354618B1 (ko) 원격 검침 장치에서 무선주파수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N102447527A (zh) 信道质量判断电路与其相关方法
US20220247436A1 (en)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matching and node
US20180128646A1 (en) Very narrowband mesh system using single-mode transponders
US20060114969A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using SAW filters
US9560541B2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VSWR determination device, and VSWR determination method
CN108476038B (zh) 信号检测的方法、第一网络设备、电源设备及其系统
JP2013250731A (ja) 自動検針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無線通信方法
JP2000244397A (ja) ミリ波無線・光ファイバ伝送方式および装置
Nilsson Evaluation of Secur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in Non-Urban Environments
US85939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dividual receiving power using identification signal
Soldatkin et 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and Computer Model of a Prototype of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Automatic Relay Protection at Substations
JP5840378B2 (ja)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
KR20250105528A (ko) 원격검침 계량기 데이터 집중 시스템
US10312933B1 (en) Chord modulatio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