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1891B1 -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 Google Patents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891B1
KR102351891B1 KR1020210143945A KR20210143945A KR102351891B1 KR 102351891 B1 KR102351891 B1 KR 102351891B1 KR 1020210143945 A KR1020210143945 A KR 1020210143945A KR 20210143945 A KR20210143945 A KR 20210143945A KR 102351891 B1 KR102351891 B1 KR 10235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reinforcing bar
underground continuous
continuous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화
Original Assignee
엠씨씨건설 주식회사
김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씨건설 주식회사, 김평화 filed Critical 엠씨씨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8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은,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있어서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빌드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차단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관통되어 고정된 철근의 일측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외측 빌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타측은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에 잔류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으로부터 제거되어, 구축된 단위블록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으로 상기 장착부 철근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Connecting block for earthquake resistant underground continuous wall}
본 발명은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지하건축물을 구축하고자 하여 지반을 굴착하게 되는 경우 굴착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하수가 작업공간 내부로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설치한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은 지반의 조건과 지하건축물의 규모 등의 작업 환경 내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공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슬러리월(slurry wall) 공법 또는 D-wall 공법으로도 불리는 지하연속벽 공법에 의해 구축된 벽체는 차수성과 강성이 매우 높아 본 구조물의 영구벽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도심지의 대규모 공사 또는 지하수가 많이 용출되는 대심도 공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지하연속벽 공법은 지중 굴착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 내부에 철근망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 패널을 구축하고, 다시 구축된 패널에 연장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철근망을 설치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행 패널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행 패널과 후행 패널 사이의 이음부는 취약부가 되어 지하수의 누출 통로가 되기도 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 패널과 후행 패널의 이음부에 차수판을 설치하여 지하 연속벽의 차수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47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연속벽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블록 사이의 전단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은,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있어서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빌드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차단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관통되어 고정된 철근의 일측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외측 빌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타측은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에 잔류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으로부터 제거되어, 구축된 단위블록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으로 상기 장착부 철근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공간형성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빌드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와 이격되며, 빌드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의 전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밀착부와 상기 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잔류부 및 상기 잔류부를 관통한 채 고정되는 철근을 구비하고, 상기 잔류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와 결합되며,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를 관통하여 상기 잔류부의 전면으로 노출된 전방철근과 상기 잔류부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하는 후방철근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철근은, 상기 전방철근과 상이한 단위블록에 종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잔류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잔류부의 전면과 상기 배치부의 전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함입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잔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후방철근이 상기 차단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를 비스듬히 관통하여, 상기 전방철근이 상기 잔류부의 전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철근이 상기 잔류부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형성부는, 구축된 단위블록으로부터의 제거 시, 리프팅 장치에 의해 상향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후방철근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상향 경사진 경로로의 이동 시, 상기 함입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상기 전방철근의 끝단은 절곡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함입부는, 상기 배치부의 전면으로부터 제1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잔류부는,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함입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잔류부의 후면과 이격되어, 상기 잔류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잔류부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잔류부는, 빌드공간과 대향하는 전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잔류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밀착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밀착된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잔류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굴곡형성부 및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굴곡형성부에 결합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몸통부와 상기 함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공간형성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판넬부와 제2 판넬부 및 상기 차단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의 후면과 상기 제2 판넬부의 후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판넬부와 상기 제2 판넬부를 매개하는 매개판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 판넬부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2 판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의 측면, 상기 제2 판넬부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판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판넬부의 측면 및 상기 매개판넬부의 전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1 판넬부 및 상기 제2 판넬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있어서 구축지반을 상기 공간형성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형성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리프팅 장치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구축된 단위블록으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인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부는, 상기 배치부의 전면에 연결되되, 상기 배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양길이부 및 상기 인양길이부의 상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배치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리프팅 장치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한 채, 상기 밀착부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차단공간을 향한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철근유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철근유동제한부는, 상기 후방철근의 끝단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유동과 무게에 따른 상기 전방철근의 위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철근 중 적어도 일부분의 철근은, 전방철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차를 두고 형성되는 단위블록 사이를 철근으로 연결하여, 단위블록 간의 전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행 단위블록에 매립된 철근이 장착된 장착부가 선행 단위블록과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선행 단위블록으로부터 공간형성부 분리 시, 장착부가 선행 단위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유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은,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B1, B2 도 5 참조)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단위블록(B1, B2) 사이에 위치된 채, 단위블록(B1, B2) 간의 전단 결합력을 향상시켜 단위블록(B1, B2)이 일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은, 공간형성부(10) 및 장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빌드공간(S1)에 설치되며, 내부에 차단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빌드공간(S1)이란, 단위블록(B) 구축을 위해 철근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차단공간(S2)이란, 상기 빌드공간(S1)에 단위블록(B)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는,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관통되어 고정된 철근(23)의 일측은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외측 빌드공간(S1)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23)의 타측은 상기 차단공간(S2)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는, 상기 공간형성부(10)에 장착되어, 상기 차단공간(S2)을 상기 빌드공간(S1)으로부터 격리시키며, 상기 빌드공간(S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도, 상기 차단공간(S2)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는, 빌드공간(S1)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B1)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빌드공간(S1)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되어, 구축된 단위블록(B1)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S3)으로 상기 장착부(20)의 철근(23)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철근(23)의 일측은 단위블록(B1)에 종속되어 있고, 상기 철근(23)의 타측은 단위블록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S3)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후 단위블록(B1)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S3)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축되면, 상기 철근(23)의 타측은 상기 철근(23)의 일측과 상이한 단위블록(B2)에 종속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밀착부(11), 배치부(13), 함입부(15) 및 연결부(1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빌드공간(S1)의 길이방향 일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배치부(13)는, 상기 밀착부(11)와 이격되며, 빌드공간(S1)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5)는, 상기 배치부(13)의 전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7)는, 상기 밀착부(11)와 상기 배치부(1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차단공간(S2)은, 상기 밀착부(11), 상기 배치부(13), 상기 함입부(15) 및 상기 연결부(17)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는, 잔류부(21) 및 철근(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잔류부(21)는, 상기 함입부(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23)은 상기 잔류부(21)를 관통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잔류부(21)는,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와 결합되고, 상기 철근(23)은, 전방철근(231) 및 후방철근(2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철근(231)은, 상기 잔류부(21)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후방철근(232)은, 상기 잔류부(21)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차단공간(S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철근(232)은, 상기 전방철근(231)과 상이한 단위블록에 종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철근(231)은, 선행 단위블록(B1)에 종속되고, 상기 후방철근(232)은, 후행 단위블록(B2)에 종속되어, 상기 단위블록(B1, B2)은, 상기 철근(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이 단위블록(B1, B2)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을 위해 구축지반에 먼저 형성된 빌드공간을 선행 빌드공간(S1)이라고 하고, 선행 빌드공간(S1)과 이웃하게 형성된 빌드공간을 후행 빌드공간(S3)이라고 하겠다.
또한, 선행 빌드공간(S1)에 구축된 단위블록을 선행 단위블록(B1), 후행 빌드공간(S3)에 구축된 단위블록을 후행 단위블록(B2)이라고 하겠다.
가장 먼저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선행 빌드공간(S1)을 구축한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선행 빌드공간(S1)의 길이방향 일측벽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20)가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철근(231)은 상기 선행 빌드공간(S1)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철근(232)은 상기 차단공간(S2)에 위치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상기 선행 빌드공간(S1)에는 상기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과 함께 철근망(H)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에 상기 장착부(2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차단공간(S2)이 상기 빌드공간(S1)으로부터 격리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선행 빌드공간(S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선행 단위블록(B1)이 구축되고, 상기 차단공간(S2)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차단공간(S2)에는 선행 단위블록(B1)이 구축되지 않을 수 있다(도 4의 (a) 참조).
이 때문에, 상기 전방철근(231)은 선행 단위블록(B1)에 종속되고, 상기 후방철근(232) 은 상기 차단공간(S2)에 위치된 채, 선행 단위블록(B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후행 빌드공간(S3)이 선행 빌드공간(S1)과 이웃하게 굴착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후행 빌드공간(S3)이 형성된 후, 상기 공간형성부(10)는 선행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후방철근(232)이 후행 빌드공간(S3)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후행 빌드공간(S3)에도 철근망(H)이 삽입되고 이어서, 후행 빌드공간(S3)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후행 단위블록(B2)이 구축되면, 상기 후방철근(232)은 후행 단위블록(B2)에 종속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본 발명의 상기 전방철근(231)은 선행 단위블록(B1)에 종속되고, 상기 후방철근(232)은 후행 단위블록(B2)에 종속됨으로 인해, 선행 단위블록(B1)과 후행 단위블록(B2)의 전단 결합력을 향상시켜, 지중 연속벽의 안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잔류부(21)가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잔류부(21)의 전면과 상기 배치부(13)의 전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잔류부(21)가 상기 함입부(15)의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된 채 삽입되는 것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공간형성부(10)는, 제1 판넬부(191), 제2 판넬부(192) 및 매개판넬부(1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넬부(191) 및 제2 판넬부(19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매개판넬부(193)는, 상기 차단공간(S2)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191)의 후면과 상기 제2 판넬부(192)의 후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판넬부(191)와 상기 제2 판넬부(192)를 매개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5)는, 상기 제1 판넬부(191)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2 판넬부(192)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191)의 측면, 상기 제2 판넬부(192)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판넬부(191)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판넬부(192)의 측면 및 상기 매개판넬부(193)의 전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함입부(15)의 깊이는, 상기 제1 판넬부(191) 및 상기 제2 판넬부(192)의 두께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매개판넬부(193)의 전면에는 상기 잔류부(21)의 후면이 안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개판넬부(193)를 구비함으로써 빌드공간에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상기 장착부(20)의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만약 매개판넬부(193)을 구비하지 않는다면,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된 장착부(20)가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밀려나며 상기 차단공간(S2)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개판넬부(193)를 통해 상기 장착부(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13)는, 상기 제1 판넬부(191) 및 상기 제2 판넬부(19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5)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15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151)은, 상기 잔류부(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후방철근(232)이 상기 차단공간(S2)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151)은, 상기 철근(23)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공간형성부(10)가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후방철근(232)으로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단위블록(B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2 참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2)의 철근은, 상기 잔류부(21)를 비스듬히 관통하여, 상기 전방철근(231a)이 상기 잔류부(21a)의 전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후방철근(232a)이 상기 잔류부(21a)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구축된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 시, 리프팅 장치(미도시)에 의해 상향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방철근(232)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상향 경사진 경로로의 이동 시 상기 함입부(15)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가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후방철근(232)과의 충돌 등에 의해 원활하게 제거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철근(23)을 상기 잔류부(21)를 비스듬히 관통하여 배치시켜 상기 후방철근(232a)이 상기 잔류부(21a)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철근(231)의 끝단은 절곡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철근(231)의 끝단이 절곡됨으로 인해 선행 단위블록(B1)과 상기 전방철근(231)의 전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방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3)의 철근(23b)은, 상기 잔류부(21)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철근 중 적어도 일부분의 철근은 전방철근(231b)의 끝단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빌드공간에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철근(23b)과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잔류부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4)의 함입부(15)는 상기 배치부(13)의 전면으로부터 제1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부(21b)는,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함입부(15)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잔류부(21b)의 두께가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잔류부(21b)는 상기 제1 판넬부(191, 도 6 참조) 및 상기 제2 판넬부(192, 도 6 참조)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이 때문에 상기 공간형성부(10)는, 상기 잔류부(21b)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0)는 빌드공간(S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축된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되는데, 만약, 상기 잔류부(21b)와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접촉면적이 넓으면 상기 공간형성부(10)를 상기 잔류부(21b)로부터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부(10)를 단위블록(B1)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잔류부(21)가 상기 공간형성부(10)와 함께 단위블록(B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잔류부(21b)는,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형성된 채, 상기 함입부(15)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형성부(10)와 상기 잔류부(21b)의 접촉면척을 최소화시켜, 상기 공간형성부(10)가 상기 잔류부(21b)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5)의 잔류부(21c)는, 빌드공간(S1)과 대향하는 전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와 상기 잔류부(21c)의 전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잔류부(21c)의 전면과 콘크리트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상기 잔류부(21c)가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6)의 잔류부(21d)는, 삽입부(211d) 및 연장부(212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1d)는,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되며, 상기 연장부(212d)는 상기 삽입부(211d)의 전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2d)는, 상기 삽입부(211d)가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배치부(13)의 전면과 밀착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밀착된 상기 배치부(13)의 전면과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간형성부(10)의 단위블록(B1)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상기 공간형성부(10)와 콘크리트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하는데, 콘크리트와 상기 공간형성부(10) 사이의 부착력이 강하면,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형성된 단위블록(B1)으로부터 상기 공간형성부(10)를 제거할 때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잔류부(21d)에 상기 연장부(212d)를 구비하여 상기 공간형성부(10)와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7)의 잔류부(21e)는 굴곡형성부(211e) 및 몸통부(212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굴곡형성부(211e)는, 평탄부(2111) 및 오목부(2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2111)는, 평탄면을 제공하고, 상기 오목부(2112)는, 상기 평탄부(2111)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함입부(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12e)는, 상기 오목부(2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112)에 삽입되어 상기 굴곡형성부(211e)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112)는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된 경우, 상기 몸통부(2121)와 상기 함입부(1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2111)는, 상기 오목부(2112)가 상기 함입부(15)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배치부(13)의 전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12e)가 상기 오목부(21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공간형성부(10)와 상기 몸통부(212e)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간형성부(10)가 단위블록(B1)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공간형성부(10)와 접촉된 상기 굴곡형성부(211e)는 상기 몸통부(212e)가 상기 공간형성부(10)와 함께 단위블록(B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8)은, 인양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양부(30)는, 상기 공간형성부(10)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리프팅 장치(L)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형성부(10)의 구축된 단위블록으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양부(30)는, 인양길이부(31) 및 고리삽입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양길이부(31)는, 상기 배치부(13)의 전면에 연결되되, 상기 배치부(1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삽입부(33)는, 상기 인양길이부(31)의 상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배치부(13)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리프팅 장치(L)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양길이부(31)와 상기 고리삽입부(33)의 연결부위는, 상기 배치부(13)의 상측단에 걸리도록 상기 배치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리프팅 장치(L)의 고리가 상기 고리삽입부(33)에 삽입된 후 상기 리프팅 장치(L)가 상기 공간형성부(10)의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인양부(30)가 상기 배치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유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9)은, 철근유동제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유동제한부(40)는, 상기 차단공간(S2)에 위치한 채, 상기 밀착부(11)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차단공간을 향한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철근유동제한부(40)는, 상기 후방철근(232)의 끝단이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되도록 하여,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유동과 무게에 따른 상기 전방철근(231)의 위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가 굳기 전,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전방철근(231)은, 빌드공간(S1)에서 차단공간(S2)을 향한 제1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철근(231)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계속 위치 이동된다면, 상기 철근(23)이 상기 잔류부(2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수용홈(41)이 형성된, 철근유동제한부(40)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철근(232)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2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철근(231)이 상기 철근유동제한부(40)의 수용홈(4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콘크리트의 유동과 무게에 따른 상기 철근(23)의 수직운동이나 수평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의 공간형성부(10)의 하측단에는 바닥판(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9)은, 상기 배치부(13)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11)의 하단과 연결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9)은, 상기 배치부(13)로부터 상기 밀착부(11)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은,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될 경우,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과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빌드공간(S1)에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바닥판(19)과 빌드공간(S1)의 바닥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완전히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될 경우, 상기 배치부(13)로부터 상기 밀착부(11)를 향해 하향경사진 상기 바닥판(19)이 빌드공간(S1)의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1)이 빌드공간(S1)의 바닥으로부터 견고하게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10: 공간형성부 13: 배치부
15: 함입부 17: 연결부
20: 장착부 21: 잔류부
23: 철근 231: 전방철근
232: 후방철근 30: 인양부
31: 인양길이부 33: 고리삽입부
40: 철근유동제한부

Claims (13)

  1. 지중 연속벽을 구성하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단위블록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에 있어서,
    구축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빌드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차단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관통되어 고정된 철근의 일측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외측 빌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타측은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에 잔류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단위블록으로부터 제거되어, 구축된 단위블록과 이웃하게 굴착된 빌드공간으로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철근이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형성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빌드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와 이격되며, 빌드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의 전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밀착부와 상기 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잔류부 및 상기 잔류부를 관통한 채 고정되는 철근을 구비하고,
    상기 잔류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와 결합되며,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를 관통하여 상기 잔류부의 전면으로 노출된 전방철근과 상기 잔류부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하는 후방철근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철근은,
    상기 전방철근과 상이한 단위블록에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잔류부의 전면과 상기 배치부의 전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잔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후방철근이 상기 차단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를 비스듬히 관통하여, 상기 전방철근이 상기 잔류부의 전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철근이 상기 잔류부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형성부는,
    구축된 단위블록으로부터의 제거 시, 리프팅 장치에 의해 상향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후방철근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상향 경사진 경로로의 이동 시, 상기 함입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상기 전방철근의 끝단은 절곡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배치부의 전면으로부터 제1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잔류부는,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함입부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잔류부의 후면과 이격되어, 상기 잔류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잔류부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부는,
    빌드공간과 대향하는 전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밀착되어,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밀착된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굴곡형성부 및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굴곡형성부에 결합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몸통부와 상기 함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배치부의 전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판넬부와 제2 판넬부 및
    상기 차단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의 후면과 상기 제2 판넬부의 후면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판넬부와 상기 제2 판넬부를 매개하는 매개판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 판넬부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2 판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판넬부의 측면, 상기 제2 판넬부의 두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판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판넬부의 측면 및 상기 매개판넬부의 전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1 판넬부 및 상기 제2 판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형성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리프팅 장치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구축된 단위블록으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인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부는,
    상기 배치부의 전면에 연결되되, 상기 배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양길이부 및
    상기 인양길이부의 상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배치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리프팅 장치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공간에 위치한 채, 상기 밀착부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차단공간을 향한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철근유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철근유동제한부는,
    상기 후방철근의 끝단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빌드공간의 단위블록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유동과 무게에 따른 상기 전방철근의 위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상기 잔류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철근 중 적어도 일부분의 철근은,
    전방철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KR1020210143945A 2021-10-26 2021-10-26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Active KR10235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45A KR102351891B1 (ko) 2021-10-26 2021-10-26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45A KR102351891B1 (ko) 2021-10-26 2021-10-26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891B1 true KR102351891B1 (ko) 2022-01-18

Family

ID=8005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45A Active KR102351891B1 (ko) 2021-10-26 2021-10-26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40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78A (ja) * 1993-06-15 1995-01-06 Ando Kensetsu Kk 地中連続壁の剛結継手
JP2001200533A (ja) * 2000-01-18 2001-07-27 S X L Corp 小規模連壁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止水装置
JP2007113390A (ja) * 2006-12-25 2007-05-10 Ohbayashi Corp 地中壁の打ち継ぎ部形成具および地中壁の打ち継ぎ部施工方法
KR102214787B1 (ko) 2020-08-21 2021-02-10 주식회사 동아지질 멀티가이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KR102216504B1 (ko) * 2020-07-10 2021-02-17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KR102242163B1 (ko) * 2020-08-25 2021-04-20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78A (ja) * 1993-06-15 1995-01-06 Ando Kensetsu Kk 地中連続壁の剛結継手
JP2001200533A (ja) * 2000-01-18 2001-07-27 S X L Corp 小規模連壁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止水装置
JP2007113390A (ja) * 2006-12-25 2007-05-10 Ohbayashi Corp 地中壁の打ち継ぎ部形成具および地中壁の打ち継ぎ部施工方法
KR102216504B1 (ko) * 2020-07-10 2021-02-17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KR102214787B1 (ko) 2020-08-21 2021-02-10 주식회사 동아지질 멀티가이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KR102242163B1 (ko) * 2020-08-25 2021-04-20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40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2601492B1 (ko) 2022-02-24 2023-11-1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0401279B1 (ko) 지하 구조물 시공법
KR1020823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KR102581735B1 (ko) 끼움 방식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102351891B1 (ko) 내진 지하연속벽을 위한 연결블록
JP7300841B2 (ja)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及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20210090101A (ko) 타설 막음장치 및 연장 철근을 이용한 연속구조형 슬러리월 시공구조와 방법, 및 그 시공 장치
KR101425030B1 (ko) 래티스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1599931B1 (ko)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KR20200145226A (ko) 벽체를 구성하는 연속형 강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20230166261A (ko) 강관파일과 시트파일의 합성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JP4303512B2 (ja) 大断面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101407632B1 (ko)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 및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JP4130393B2 (ja) 杭と柱の接続構造
JP4429983B2 (ja) 地下構造躯体の構築方法
KR101781058B1 (ko) 콘크리트 기성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KR102587240B1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 엄지파일
KR102633929B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2601493B1 (ko)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N115262533B (zh) 免接头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113565102B (zh) 节约混凝土的腰梁与支护桩连接的施工方法
KR101293329B1 (ko) 차수와 흙막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