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92B1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1392B1 KR102351392B1 KR1020210036667A KR20210036667A KR102351392B1 KR 102351392 B1 KR102351392 B1 KR 102351392B1 KR 1020210036667 A KR1020210036667 A KR 1020210036667A KR 20210036667 A KR20210036667 A KR 20210036667A KR 102351392 B1 KR102351392 B1 KR 102351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ed
- treated water
- water
- outle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하우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처리수가 필터유닛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여과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과 필터유닛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흡입유닛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 및 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의 제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B2: 배출구 밸브
B3: 주입구 밸브
F: 오물
H: 이동홀
I: 인입구
O: 배출구
S: 흡입홈
10: 여과장치
20: 판단장치
30: 정화장치
100: 하우징유닛
120: 제1 공간
140: 제2 공간
142: 압축공간
160: 개폐부
180: 주입구
200: 필터유닛
220: 제1 여과부
240: 제2 여과부
300: 흡입유닛
320: 회전부
322: 결합홈
340: 세척부
342: 브러쉬부재
344: 제거부재
Claims (3)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포함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여과수에 포함된 비료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수의 활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장치에 의해 정수하여 방류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여과수를 정수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단장치는, 상기 여과수를 방류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상기 정화장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화장치를 통해 상기 여과수가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수로 정수하도록 상기 여과수의 비료 성분 농도에 따라 필터링을 반복하기 위한 기 설정된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처리수가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오물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여과장치로서, 상기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인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가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며 상기 오물이 여과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가 상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홀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상기 이동홀에서 탈락시키도록 회전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오물의 일부를 여과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을 여과시켜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며, 상기 인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오물이 1차적으로 여과되는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와 연통되고,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나머지 상기 오물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 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 여과부가 위치된 공간 및 상기 제2 여과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오물이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탈락시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에 의해 상기 처리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에 밀착된 상기 오물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유닛과 맞닿아 상기 오물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부재에 의해 분쇄되거나 상기 처리수 내부를 부유하는 상기 오물을 내부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처리수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내부로 상기 오물이 이동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유닛의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오물도 함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서 회전하는 개방된 일부분의 길이가 뒤따라서 회전하는 개방된 타부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거부재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상기 오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부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상기 오물 및 상기 처리수, 혹은 상기 여과수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상기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는 지속적으로 상기 하우징유닛 내측을 향해 상기 처리수를 주입하고, 지속되는 압력 상승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제거부재로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구, 상기 배출구, 상기 슬러지 배출구에 각각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오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의 밸브를 통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하우징유닛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오물, 상기 처리수, 상기 여과수가 상기 슬러지 배출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방류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667A KR102351392B1 (ko) | 2021-03-22 | 2021-03-22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667A KR102351392B1 (ko) | 2021-03-22 | 2021-03-22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1392B1 true KR102351392B1 (ko) | 2022-01-13 |
Family
ID=7934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6667A Active KR102351392B1 (ko) | 2021-03-22 | 2021-03-22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139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2643A (ko) * | 1999-12-16 | 2000-03-06 | 지은상 | 축산폐수처리방법 |
KR20110119225A (ko) * | 2010-04-27 | 2011-11-02 | (주)클린솔루션 |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폐 슬러지 정제 방법 |
KR102046694B1 (ko) * | 2017-08-22 | 2019-11-19 | 주식회사 영인 |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
-
2021
- 2021-03-22 KR KR1020210036667A patent/KR1023513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2643A (ko) * | 1999-12-16 | 2000-03-06 | 지은상 | 축산폐수처리방법 |
KR20110119225A (ko) * | 2010-04-27 | 2011-11-02 | (주)클린솔루션 |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폐 슬러지 정제 방법 |
KR102046694B1 (ko) * | 2017-08-22 | 2019-11-19 | 주식회사 영인 |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0854B1 (ko) | 여과장치 | |
KR20190083289A (ko) |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KR101736743B1 (ko) |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 |
KR101468655B1 (ko) | 수처리용 여과장치 | |
KR102351392B1 (ko) | 농축산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정화 방류시스템 | |
KR100894646B1 (ko) |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 |
KR100343198B1 (ko) |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 |
CN100438945C (zh) | 压滤式净水方法及其装置 | |
KR20220131690A (ko) | 내부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류시스템 | |
RO201400001U1 (ro) | Dispozitiv pentru tratarea şi post-tratarea biologică a apei uzate şi metodă de tratare şi post-tratare biologică a apei uzate | |
JPS6216125B2 (ko) | ||
KR200206446Y1 (ko) | 오수정화장치 | |
RU2232618C1 (ru) |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KR20010059504A (ko) | 스트레이너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복합식 밸브 | |
KR20230134237A (ko) | 역세정 자동필터 장치 | |
KR200171118Y1 (ko) | 자동 여과장치 | |
KR100894645B1 (ko) |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 |
KR200242570Y1 (ko) | 오폐수 처리용 여과기 | |
KR20030024518A (ko) | 산업용 스트레이너 | |
KR20040033932A (ko) | 폐수 정화시스템 | |
KR100293903B1 (ko) | 유입유로 변경에 의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 |
KR100424346B1 (ko) |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 |
RU213877U1 (ru) | Блок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RU209470U1 (ru) | Комби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 |
KR20050102428A (ko) |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