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854B1 - Optical terminal box - Google Patents
Optical terminal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0854B1 KR102350854B1 KR1020190133858A KR20190133858A KR102350854B1 KR 102350854 B1 KR102350854 B1 KR 102350854B1 KR 1020190133858 A KR1020190133858 A KR 1020190133858A KR 20190133858 A KR20190133858 A KR 20190133858A KR 102350854 B1 KR102350854 B1 KR 102350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optical cable
- cable
- fixing part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끼움홈의 크기를 접속함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광케이블을 접속함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하여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고정부에 구비된 끼움홈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직경이 다른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고정부에 구비된 끼움홈의 사이즈를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변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광케이블을 과도하게 압축하여 광케이블이 찌그러져 변형되거나 외피부분이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압축됨에 따라 야기되는 광케이블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variably adjusting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formed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optical cable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that is drawn into or out of the splice box, it is stable and robust for connecting the optical cable. It relates to a terminal box that can be securely fixed.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iably adjust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cable fixing part to fix the optical cable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so that even when optical cables of different diameters are installed, the optical cable can be easily fix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flexibly to situa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cable fixing part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so that the optical cable is not deformed or deformed or the outer skin is damaged by excessively compressing the optical cabl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optical cable caused by excessive compression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끼움홈의 크기를 접속함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광케이블을 접속함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variably adjusting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formed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optical cable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drawn into or out of the splice box, it is stable and robust for connecting the optical cable. It relates to a terminal box that can be securely fixed.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In general, an optical cable is a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and unlike a cabl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quickly transmitted without loss.
또한 광케이블은 다수의 광케이블 클러스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케이블 클러스터는 다수의 광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n optical cable consists of a set of a plurality of optical cable clusters, and each optical cable cluster consists of a set of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무한정 긴 길이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2Km 정도의 길이로 제조되어 드럼에 감겨지며, 따라서 광케이블을 먼 거리까지 설치하기 위해서는 중간 중간에서 이를 연결하여야 한다.Since the optical cable cannot be manufactured in an infinitely long length by the manufacturer, it is usually manufactured with a length of about 2Km and wound on a drum.
이렇게 광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거나 또는 광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이 사용되며, 광케이블 접속함은 크게 나누어 광케이블이 인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이 되는 하부 함체와, 하부 함체에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필요시 개방이 가능한 상부 함체와, 하부 함체 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트레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In this way, an optical cable junction box is used to connect the optical cable in the middle or to branch the optical cable, and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is divided into a lower housing, which is a part where the optical cable is introduced and connected, and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o form an enclosed space. It consists of an upper housing that can be opened at the time of opening, and one or more connection trays mounted in the lower housing.
그리고 하부 함체의 양측에는 광케이블을 하부 함체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복수의 광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의 광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은 트레이 부분에서 서로 연결 접속되거나 분기된다.And a plurality of optical cable inlets for introducing the optical cable into the lower hous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optical cables introduced through the optical cable inlet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branched in the tray portion.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에서 광케이블 인입구로 인입된 광케이블은 케이블 자체의 장력 등에 의해 항상 하부 함체의 바깥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힘으로 부터 광케이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에는 인입된 광케이블을 하부 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The optical cable introduced from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as described above to the optical cable inlet always receives a pulling force to the outside of the lower housing due to the tension of the cable itself.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optical cable to the lower housing should be provided.
종래에는 하부 함체 내의 광케이블 인입구 부분에 광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 또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볼트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클램프 또는 브라켓을 하부 함체 측으로 조이면서 클램프 또는 브라켓을 광케이블의 외표면에 밀착시켜 광케이블을 하부 함체에 고정하였다.Conventionally, a clamp or bracket for fixing the optical cable is installed in the optical cable inlet in the lower housing, and the clamp or bracket is tightened to the lower housing side using a bolt or screw, etc. fixed to the lower enclosure.
그러나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클램프 또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장치는 볼트나 스크류 등의 조임력에 의해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볼트나 스크류를 조이는 강한 힘에 의해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찌그러지면서 압축되어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때로는 광케이블의 외피가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였다. 또한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압축되면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섬유의 성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ixing device such as a clamp or bracket provided in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is a structure that fixes the optical cable by a tightening force such as a bolt or screw, the optical cable is excessively crushed and compressed by the strong force of tightening the bolt or screw to cause deformation. In some cases, the outer sheath of the optical cable was damaged. In addition, if the optical cable is compressed excess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fiber constituting the optical c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케이블을 과도하게 압축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terminal box that can be easily fixed without excessively compressing an optical cable.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하여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장치에 구비된 끼움홈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광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광케이블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fixing device to fix the optical cable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so that the optical cable can be easily fixe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is changed, so that it is flexible in the field si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rminal box that can cope with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광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된 광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광어댑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어댑터장착모듈이 설치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접속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설치부에 장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끼움홈이 마련된 케이블고정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맞춰 상기 끼움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ounting plate having an adapter mounting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so as to mount an optical adapter connectable to an optical connector coupled to an end of an optical cable; a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install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nnection tray and having an opening thereon; a cable fix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installat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to insert and fix the optical cable; and a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cable fixing part is form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fitting groove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1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메인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l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fixin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that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xing bracket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 main fixing part including two fixing brackets is provided, and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by a predetermined area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메인고정부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브고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3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3고정브라켓과, 상기 제3고정브라켓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4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4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4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고정브라켓과 상기 제4고정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le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ub fixing part stacked on the main fixing part, and the sub fixing part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ird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 plurality of third fixing protrusions spaced apart are formed, a pair of third fixing bracket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ird fixing bracket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third fixing brackets, and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fourth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4 fitting grooves, and a pair of fourth fixing brackets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the third fixing bracket and the fourth fixing groove are formed. The fixing bracke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taggered by a predetermined area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서브고정부를 상기 메인고정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서브고정부를 상기 메인고정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결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l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lose coupling part for pressing the sub fixing part toward the main fixing part to closely fix the sub fixing part to the main fixing part.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up and down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어댑터장착모듈은 상기 어댑터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 내측에 끼움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apter mount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tti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so that the adapter can be inserted, an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lower part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하여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고정부에 구비된 끼움홈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직경이 다른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iably adjust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cable fixing part to fix the optical cable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so that even when optical cables of different diameters are installed, the optical cable can be easily fix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flexibly to situations.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고정부에 구비된 끼움홈의 사이즈를 광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변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광케이블을 과도하게 압축하여 광케이블이 찌그러져 변형되거나 외피부분이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압축됨에 따라 야기되는 광케이블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ize of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cable fixing part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so that the optical cable is not deformed or deformed or the outer skin is damaged by excessively compressing the optical cabl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optical cable caused by excessive compress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케이블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케이블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ble fixing portion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ble fixing portion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자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terminal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본체(100)와, 장착플레이트(200)와, 케이블고정부(300)와, 덮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show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본체(100)는 장착플레이트(200) 및 접속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100)의 일 측에는 케이블고정부(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 측면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된 설치부(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부(103)의 하방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광케이블(10)을 본체(100)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된다.The
장착플레이트(200)는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을 접속트레이가 설치되는 하부공간부와 복수의 광케이블(10)이 배열 및 배치되는 상부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 측에 케이블고정부(300)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광케이블(1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 광커넥터(20)와 접속 가능한 광어댑터(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어댑터장착모듈(40)이 복수개 설치된다.The
장착플레이트(200)는 광케이블(10)이 얹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 배열플레이트(210)와, 어댑터장착모듈(40)이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220)로 구성되며, 설치플레이트(220)는 평평한 바닥플레이트(221)와, 바닥플레이트(221)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경사플레이트(225)로 구성된다. The
또한, 장착플레이트(200)는 본체(100)의 네 측면 중에서 길이가 긴 측면의 상단 측에 폭 방향 가장자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플레이트(200)는 힌지부(201)에 의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부(201)가 설치된 측면과 대향되는 측에는 장착플레이트(20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부(23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잠금부(230)는 일 측으로 젖힐 수 있는 레버 형태로 구비되며, 본체의 측면을 향하는 일 면에 본체에 구비된 걸림턱에 간섭되는 간섭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잠금부(230)를 본체의 측면과 먼 측 또는 장착플레이트 측으로 잡아당기면 간섭돌기가 본체(100)의 걸림턱에 간섭 해제되면서 장착플레이트(2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어댑터장착모듈(40)은 광어댑터(3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 내측에 끼움결합홀이 형성되고, 장착플레이트(200)의 경사플레이트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마련된 축부(41)가 경사플레이트(225)에 구비된 회전 결합홈부(226)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경사플레이트(225)에는 복수의 어댑터장착모듈(40)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 어댑터장착모듈(40)이 경사플레이트(22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케이블고정부(300)는 장착플레이트(200)의 일 측에 구비되고, 본체(1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설치부(103)에 장착 결합되며,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끼움홈이 마련된다. The
케이블고정부(300)는 메인고정부(301)를 구비하고, 메인고정부(301)는 제1고정브라켓(310)과, 제2고정브라켓(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1고정브라켓(310)은 장착플레이트(200)의 일 측에 일 체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설치부(103)에 결합되며,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1끼움홈(312)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311)가 형성된다. 제1고정브라켓(31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제1고정브라켓(310)의 하단 측에는 본체(100)의 설치부(103) 가장자리를 끼워 넣어 메인고정부(301)를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인입된 안착홈이 형성된다.At the lower end side of the
제2고정브라켓(320)은 제1고정브라켓(310)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2끼움홈(322)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321)가 형성된다. 제2고정브라켓(320)의 하부에는 제1고정브라켓(310)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제2고정브라켓(320)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리브가 더 구비된다.The
한 쌍의 제1고정브라켓(310)들 중 적어도 어느 일 측 제1고정브라켓(310)의 제1고정돌기(311)의 상부에는 광케이블(10)이 제1고정돌기(311)들 사이의 제1끼움홈(312)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끼움홈(312) 내측으로 인입된 광케이블(10)이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경사면과 걸림턱이 형성된 제1고정돌기(311)는 화살표 모양을 가진다.On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한 쌍의 제2고정브라켓(320)들 중 적어도 어느 일 측 제2고정브라켓(320)의 제2고정돌기(321)의 상부에는 광케이블(10)이 제2고정돌기(321)들 사이의 제2끼움홈(322)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끼움홈(322) 내측으로 인입된 광케이블(10)이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경사면과 걸림턱이 형성된 제2고정돌기(321)는 화살표 구조를 가진다.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케이블고정부(300)는 광케이블(10)의 직경에 맞춰 광케이블(10)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메인고정부(301)의 제1고정브라켓(310)과 제2고정브라켓(320)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거나 중첩되게 배치된다.The
일 예로, 제1고정브라켓(310)의 제1고정돌기(311)들과 제2고정브라켓(320)의 제2고정돌기(321)들은 각각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제1고정돌기(311)들 또는 제2고정돌기(321)들 중 어느 일 측이 다른 타 측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제1고정돌기(311)들과 제2고정돌기(321)들이 서로 일정 영역 엇갈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이 경우, 제1고정돌기(311)들 사이의 제1끼움홈(312)의 일 측은 제2고정돌기(321)에 의해 그 폭이 좁아지고 되고, 제2고정돌기(321)들 사이의 제2끼움홈(322)의 일 측은 제1고정돌기(311)에 의해 그 폭이 좁아지며, 폭이 좁아진 제1끼움홈(312)과 제2끼움홈(322)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어 광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파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312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고정부(301)는 설치될 광케이블(10)의 직경에 맞추어 제1고정브라켓(310)에 대해 복수의 제2고정브라켓(320)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켜 제1끼움홈(312) 또는 제2끼움홈(322)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확장시킬 수 있다. The
그리고, 복수의 제2고정브라켓(320)은 각각 제1고정브라켓(310)의 제1고정돌기(311)들과 엇갈리거나 중첩된 영역이 다르도록 제2고정돌기(321)들이 배치된 구조를 적용하였다.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일 예로, 어느 한 제2고정브라켓(320)은 제1고정브라켓(310)의 제1고정돌기(311)들과 엇갈리거나 중첩되는 영역을 넓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광케이블(10)에 맞춰 제1끼움홈(312) 또는 제2끼움홈(322)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고, 다른 제2고정브라켓(320)은 제1고정브라켓(310)의 제1고정돌기(311)들과 엇갈리거나 중첩되는 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광케이블(10)에 맞춰 제1끼움홈(312) 또는 제2끼움홈(322)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이는 제1고정브라켓(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광케이블(10)일수록 제1고정돌기(311)와 제2고정돌기(321)들 상호간 중첩되는 영역이 넓게 형성된 제2고정브라켓(320)을 선택하고, 직경이 작은 광케이블(10)일수록 제1고정돌기(311)와 제2고정돌기(321)들 상호간 중첩되는 영역이 좁게 형성된 제2고정브라켓(320)을 선택함으로써 광케이블(10)의 직경에 맞춰 제1끼움홈(312) 또는 제2끼움홈(32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케이블고정부(300)는 광케이블(10)의 수가 많아 메인고정부(301)에 광케이블(10)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경우, 메인고정부(301) 상에 적층되어 광케이블(10)을 파지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고정부(302)를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서브고정부(302)는 제3고정브라켓(330)과, 제4고정브라켓(340)을 구비한다.The
제3고정브라켓(330)은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3끼움홈(332)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3고정돌기(331)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제3고정브라켓(33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고정브라켓(310)의 상부에 제1고정브라켓(310)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The
제4고정브라켓(340)은 제3고정브라켓(330)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광케이블(1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4끼움홈(342)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4고정돌기(341)가 형성된다. The
제4고정브라켓(34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고정브라켓(320)의 상부에 제2고정브라켓(320)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The
제3고정브라켓(330)과 제4고정브라켓(340)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게 배치되어 제3끼움홈(332) 또는 제4끼움홈(342)의 크기를 축소 및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제3고정브라켓(330) 및 제4고정브라켓(340)은 각각 제1고정브라켓(310) 및 제2고정브라켓(320)과 각각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The
일 예로, 제3고정브라켓(330)의 제3고정돌기(331)들과 제4고정브라켓(340)의 제4고정돌기(341)들은 각각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제3고정돌기(331)들 또는 제4고정돌기(341)들 중 어느 일 측이 다른 타 측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제3고정돌기(331)들과 제4고정돌기(341)들이 서로 일정 영역 중첩 또는 엇갈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fixing protrusions 331 of the
한편, 제3고정브라켓(330)은 회전지지부(250)에 의해 장착플레이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Meanwhile, the
회전지지부(250)는 장착플레이트(200)의 일 측에 구비된 회전지지브라켓(251)과, 회전지지브라켓(251)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제3고정브라켓(330)에 연결되는 회전링크(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회전지지부(250)를 회전링크(25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제3고정브라켓(330)을 제1고정브라켓(31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회전링크(252)를 하방으로 내려 제3고정브라켓(330)을 제1고정브라켓(310) 상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케이블고정부(300)는 서브고정부(302)를 메인고정부(301) 측으로 가압하여 서브고정부(302)를 메인고정부(301)에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결합부(350)를 더 구비한다.And, the
밀착결합부(350)는 일 측이 서브고정부(302)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 측이 서브고정부(302) 하방의 메인고정부(301)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타 측 단부에는 메인고정부(301)의 하단 측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훅이 형성된다. The close coupling part 350 has one sid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밀착결합부(350)는 훅이 메인고정부(301)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서브고정부(302)가 메인고정부(301) 상방으로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서브고정부(302)를 메인고정부(301) 측으로 가압하여 서브고정부(302)를 메인고정부(30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고정부(301)의 하단 측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서브고정부(302)를 메인고정부(301)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The close coupling part 350 is coupled so that the hook is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fix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광케이블
20 : 광커넥터
30 : 광어댑터
40 : 어댑터장착모듈
100 : 본체
200 : 장착플레이트
210 : 배열플레이트
220 : 설치플레이트
300 : 케이블고정부
301 : 메인고정부
302 : 서브고정부
310 : 제1고정브라켓
320 : 제2고정브라켓
330 : 제3고정브라켓
340 : 제4고정브라켓
400 : 덮개10: optical cable
20: optical connector
30: optical adapter
40: adapter mounting module
100: body
200: mounting plate
210: arrangement plate
220: installation plate
300: cable fixing part
301: main fixing part
302: sub fixed part
310: first fixing bracket
320: second fixing bracket
330: third fixing bracket
340: fourth fixing bracket
400 : cover
Claims (6)
상기 장착플레이트 및 접속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설치부에 장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끼움홈이 마련된 케이블고정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광케이블의 직경에 맞춰 상기 끼움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1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메인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메인고정부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브고정부는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3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3고정브라켓과, 상기 제3고정브라켓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복수의 제4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4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4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고정브라켓과 상기 제4고정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일정 영역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a mounting plate having an adapter mounting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so as to mount an optical adapter connectable to the optical connector coupled to the end of the optical cable;
a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install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nnection tray and having an opening thereon;
a cable fix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installat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to insert and fix the optical cable;
and a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The cable fixing part is form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fitting groov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The cabl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fixin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xing bracket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2 A main fixing part including a fixing bracket is provided,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by a predetermined area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cable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ub fixing parts stacked on the main fixing part,
The sub-fixing par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ix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ird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nd a pair of third fixing protrus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fourth fix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third fixing bracket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fourth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are formed. and a pair of fourth fixing brackets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The third fixing bracket and the fourth fixing bracket are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be staggered by a predetermined area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서브고정부를 상기 메인고정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서브고정부를 상기 메인고정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결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fixing part presses the sub fixing part toward the main fixing part, and a close coupling part for closely fixing the sub fixing part to the main fixing part is further provided.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late is a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up and down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어댑터장착모듈은 상기 어댑터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 내측에 끼움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er mounting module is a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so that the adapter can be inserted, an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lower part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58A KR102350854B1 (en) | 2019-10-25 | 2019-10-25 | Optical terminal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58A KR102350854B1 (en) | 2019-10-25 | 2019-10-25 | Optical terminal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9500A KR20210049500A (en) | 2021-05-06 |
KR102350854B1 true KR102350854B1 (en) | 2022-01-13 |
Family
ID=7591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858A Active KR102350854B1 (en) | 2019-10-25 | 2019-10-25 | Optical terminal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08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1007B1 (en) | 2023-04-11 | 2023-10-19 |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 Case for arranging optical cab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335Y1 (en) * | 2003-07-25 | 2003-10-08 | 주식회사 선일 | apparatus fixing optical cable in the optical cable box |
KR200385420Y1 (en) * | 2005-03-11 | 2005-05-27 | (주)우진씨앤에스 | A optical terminal box having with cable within part |
KR101694313B1 (en) * | 2016-08-19 | 2017-01-09 | 주식회사 파워링크 | Movable Optical Fiber Cable Accommodated Terminal Box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9650Y1 (en) | 2000-04-19 | 2000-10-02 | 삼진공업주식회사 | A gloss cable connection box |
KR100408134B1 (en) * | 2001-04-11 | 2003-12-03 | 김명대 | Strut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fiber optic cable |
KR100779155B1 (en) | 2006-09-29 | 2007-11-23 |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 Optical splice enclosure for telegraph poles for extra optical cable storage |
KR101451606B1 (en) | 2013-04-17 | 2014-10-23 | 빛샘전자주식회사 | optical cable divergence method in Fiber Optic Splice Closure for Aerial Line |
KR101963311B1 (en) * | 2017-03-22 | 2019-03-28 |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 Connecting box for optical cable |
-
2019
- 2019-10-25 KR KR1020190133858A patent/KR1023508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335Y1 (en) * | 2003-07-25 | 2003-10-08 | 주식회사 선일 | apparatus fixing optical cable in the optical cable box |
KR200385420Y1 (en) * | 2005-03-11 | 2005-05-27 | (주)우진씨앤에스 | A optical terminal box having with cable within part |
KR101694313B1 (en) * | 2016-08-19 | 2017-01-09 | 주식회사 파워링크 | Movable Optical Fiber Cable Accommodated Terminal Box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1007B1 (en) | 2023-04-11 | 2023-10-19 | (주) 오에이씨 네트웍스 | Case for arranging optical cab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9500A (en) | 2021-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95645C2 (en) | Device for cable clamp with unloading cable ten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of | |
US6788871B2 (en) | Optical fiber connection housing with an outlet connector element and a splice connection to an optical line group | |
RU2164357C2 (en) | Device for distributing optical fiber joints | |
US7889962B2 (en) | Compact high density central office fiber distribution system | |
CN101743496B (en) | Fiber optic splice and distribution enclosure | |
CA2757977C (en) | Cable tie-down bracket | |
AU720876B2 (en) | Signal transmission media routing arrangement | |
US20230129717A1 (en) | Cable fixation devices and arrangements with improved installation and space utilization at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 |
CN101384938A (en) | Fiber Splitter Module | |
US6009223A (en) | Bracket assembly for strain relief of optical fiber jumpers | |
US11099344B2 (en) | Fiber cassette | |
KR102350854B1 (en) | Optical terminal box | |
US20250007262A1 (en) | Pathway isolation fitting for a fiber trough system | |
US6091876A (en) | Extra length accommodation structure for optical fiber | |
US8824851B2 (en) | Communications enclosure having rear mounted bracket and method of securing a cable bundle to a communications enclosure using a rear mounted bracket | |
US6973249B2 (en) | Optical fiber trough for an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 |
CN220137459U (en) | Firm in connection just is convenient for install and remove optic fibre box | |
KR200329335Y1 (en) | apparatus fixing optical cable in the optical cable box | |
KR101819113B1 (en) | Optical cable connection box | |
EP4485030A1 (en) | A retaining element | |
US20240201462A1 (en) | Mounting bracket assembly structurally configured to mount optical fiber management components, including different size communication devices, in an enclosure | |
KR101125146B1 (en) | Extension and expansion type optical cable connector for fiber to the home | |
KR100606805B1 (en) | Cable and tension line fixing device of underground optical intermediate transfer device | |
KR200183917Y1 (en) | Cable support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
JPH09222519A (en) | Optical connection part storage tr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