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258B1 -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Google Patents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9258B1 KR102349258B1 KR1020210075509A KR20210075509A KR102349258B1 KR 102349258 B1 KR102349258 B1 KR 102349258B1 KR 1020210075509 A KR1020210075509 A KR 1020210075509A KR 20210075509 A KR20210075509 A KR 20210075509A KR 102349258 B1 KR102349258 B1 KR 102349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opening
- hot air
- fan casing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s
-
- B08B1/00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와 텐터기의 정지동작시를 구분하여 팬 케이싱에 형성된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동작시키고, 팬 케이싱 내부의 열풍을 연통공을 통해 챔버 내부로 배출시킨 후에, 상측으로 배출된 열풍이 챔버의 내부 상측면이나 가이드판에 부딪혀 난류화된 형태로 상부 분사노즐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팬 케이싱 내부의 열풍을 연통공을 통해 챔버 내부로 배출시켜 상부 분사노즐의 상측에 적층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텐터기 정지동작시 이송이 중단되어 멈춰 있는 섬유 원단에 스톱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의 챔버에 마련된 각각의 연통공들을 여닫이방식의 개폐수단으로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an casing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the stop operation of the tenter machine, and after discharging the hot air inside the fan casing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 hot air discharged upward is As it collides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or the guide plate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injection nozzle in a turbulent form, the hot air inside the fan casing is discharged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nozzle. It can be easily removed to reduce the risk of fi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stop mark on the textile fabric that is stopped due to the transfer of the tenter when the tenter is stopped. It relates to a chamber interior cleaning apparatus for a tenter machin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an opening and closing type.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와 텐터기의 정지동작시를 구분하여 팬 케이싱에 형성된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동작시키고, 팬 케이싱 내부의 열풍을 연통공을 통해 챔버 내부로 배출시킨 후에, 상측으로 배출된 열풍이 챔버의 내부 상측면이나 가이드판에 부딪혀 난류화된 형태로 상부 분사노즐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부 분사노즐의 상측에 적층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텐터기 정지동작시 이송이 중단되어 멈춰 있는 섬유 원단에 스톱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의 챔버에 마련된 각각의 연통공들을 여닫이방식의 개폐수단으로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side of a chamber for a tenter machine. In particular, i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an casing by dividing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stop operation of the tenter machine, and blows hot air inside the fan casing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fter discharging to the upper side, as the hot air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collides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r guide plate of the chamber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injection nozzle side in a turbulent for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nozzle are easily removed. It can reduce the risk of fire and prevent the formation of a stop mark on the textile fabric that is stopped due to the transfer of the tenter when the tenter is stopped. It relates to a chamber interior cleaning apparatus for a tenter machin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simultaneously by means.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In general, in the processing process of textile fabrics such as woven fabrics or knitted fabrics, a heat setting process performed as a pre-dyeing treatment process, a drying process performed as a post-dyeing treatment process, and heat treatment There is a shrinkage process, etc., and a tenter machine is mainly used a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is process.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tenter machine includes: a chamber through which a fabric passes horizontally in the upper space and is provided with a fabric entrance and a fabric outlet a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ends of the fabric in the transport direction, respectively; a hot air generating duct disposed in the space below the chamber; a heat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 hot air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t air outlets opened on the upper side toward one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 channel-type nozzle body having an inlet end mounted at the hot air outlet of the hot air supply duct and having the other end closed; upper and lower hot air jet nozzles coupled to a surface of the nozzle body opposite to the fabric fabric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ot air supply duct, sucks air in the chamber through the heater and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nd blows it into the hot air jet nozzle through the hot air supply duct, so that the hot air flows through the nozzle hole of the hot air jet nozz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to be spray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The overall length of the chamber is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feeding speed and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processing the fabric. The chambe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chambers having a length obtained by dividing the entire length into equal parts. The fabric entrance and the fabric outlet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upper and downstream unit chambers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chambers.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In performing the heat setting process, the drying process, and the shrinking process by the conventional tenter machine, when the blower and the heater are operated while the fabric is transferred, the air inside the chamber is sucked into the hot air generating duct by the blower through the heater, and sucked The heated air is heated by heat exchange while in contact with the heater to generate hot air of about 180° C. to 220° C., and the generated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jet nozzle through the hot air supply duct by the blower.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jet nozzle is spray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abric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formed on the nozzle plate of the hot air jet nozzle to perform a heat setting process, a drying process, or a shrinkage process.
기존 텐터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375호 "텐터기 배기가스 폐열회수 시스템"(등록일자 : 2012.12.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섬유 원단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다수의 분사관이 구비된 텐터기 챔버와, 상기 텐터기 챔버에 연결되어 섬유 원단의 건조 후 생성되는 타르가 포함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유도 배출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의 루트 상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덕트를 2개로 분기시키는 제1분기덕트 및 제2분기덕트; 상기 각 분기덕트 내에 설치되어 고온의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르를 표면에 융착시켜 타르를 수거할 수 있도록 섹션별로 다수 설치되는 제1열교환수단; 상기 각 제 1열교환수단의 사이에 섹션별로 배치되어 타르를 표면에 융착시키는 동시에 열을 가하여 제 1열교환수단의 표면에 융착된 타르와 함께 타르를 탄화시키는 탄화수단; 상기 제 1열교환수단에 의해 수거된 열을 제 2열교환수단을 이용하여 치환하여 상기 텐터기챔버의 각 분사관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분사관과 연결되는 제 2덕트; 및 상기 제 1,2분기덕트 중 어느 하나의 분기덕트 내 포함된 제 1열교환수단이 가동되어 타르를 수거하면, 다른 하나의 분기덕트는 고온을 배기가스를 차단함과 동시에 탄화수단만을 가동하여 타르가 탄화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2분기덕트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고온을 열풍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tenter machin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11375 "Tenter Machine Exhaust Gas Waste Heat Recovery System" (Registration Date: 2012.12.06), the textile fabric can be dried inside. A tenter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for supplying high-temperature hot air, and a first duct connected to the tenter chamber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high-temperature exhaust gas containing tar generated after drying of the textile fabric; a first branch duct and a second branch duct integrally connected on the root of the first duct to branch the first duct into two; a first heat exchange means installed in each branch duct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to collect tar by fusing the tar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to the surfac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high-temperature exhaust gas; a carbonization mean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heat exchange means for each section to melt the tar to the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apply heat to carbonize the tar together with the tar melt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means; a second duct connected to each injection pipe so as to supply high-temperature hot air to each injection pipe of the tenter machine chamber by replacing the heat collected by the first heat exchange means using a second heat exchange means; And when the first heat exchange means inclu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ducts is operated to collect tar, the other branch duct blocks the exhaust gas from high temperature and operates only the carbonization means to operate the tar The valve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ducts to control the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hot air can be carbonized.
기존 텐터기용 배기가스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6505호 "텐터기 배기가스 전기 흄 집진장치"(등록일자 : 2012.11.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단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텐터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배기가스 전기 흄 집진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연결된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 중의 섬유성 먼지 및 악취물질을 세정수를 분사하여 1차로 제거하는 스프레이부; 스프레이부의 일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유입된 배기가스 중의 오일미스트를 포함한 입자성물질을 음(-)으로 대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부; 스프레이부 하부에 설치되어 분사된 세정수가 저장되는 순환수집수조; 순환수집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전기집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수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회수조; 전기집진부의 타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통에 타단이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송풍기; 및 송풍기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흡입한 배기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연돌을 포함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exhaust gas for the existing tent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6505 "Tentor exhaust gas electric fume dust collector" (registration date: 2012.11.23), the process of drying the fabric In the exhaust gas electric fume dust collector installed with a heat exchanger to recover the heat of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tenter in a spray unit to remove by car;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by negatively charging particulate matter including oil mist in the exhaust gas,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pray unit; a circulation collecting water tank installed under the spray unit to store the sprayed washing water;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irculation collection water tank to circulate the stored washing water; an oil recovery tank installed under the electric dust collector to store recovered oil; a blower having one end coupled to a communication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to suck exhaust gas; And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will include a stack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sucked from the blower to the atmosphere.
기존 텐터기는 송풍팬을 통해 버너의 열풍이 상,하부 분사덕트측으로 공급되고, 상,하부 분사덕트의 노즐을 통해 챔버의 내부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측에 상,하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있으며, 상기 노즐을 통해 배출된 열풍이 덕트를 통해 다시 버너측으로 재유입되어 챔버 내에서 순환되는 사이클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섬유 원단의 건조 중에 발생되는 먼지, 원단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에 쌓이게 되며, 정전기 등의 원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시 대형 화재의 요인이 될 우려가 있으며, 배기덕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을 챔버 내부로 유도하여 대형 화재로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In the existing tenter machine, the hot air from the burner is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through the blower fan, and the hot air is suppli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 the textile fabric sid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hamber through the nozzles of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 since it has a cycle structure in which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is re-introduced to the burner side through the duct and circulated in the chamb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fabric residue generated during drying of the textile fabric are remov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When a fire occurs due to static electricity, etc., there is a fear that it may become a factor of a large fire.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에 쌓인 이물질을 텐터기 정지동작시 덕트의 상부를 청소하고 있으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upper part of the duct is cleaned with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during the tenter stop operation, bu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and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operator.
또한, 텐터기의 정지시 열풍이 노즐 내부로부터 섬유 원단측으로 배출될 경우 스톱마크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nter machine is stopped, when the 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nozzle toward the fabric end, a stop mark is generated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duct qualit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시와 텐터기의 정지동작시를 구분하여 팬 케이싱에 형성된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동작시키고, 팬 케이싱 내부의 열풍을 챔버 내부로 배출시켜 상부 분사노즐의 상측에 적층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텐터기 정지동작시 이송이 중단되어 멈춰 있는 섬유 원단에 스톱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an casing by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the stop operation of the tenter machine, and to control the hot air inside the fan cas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fire by discharging into the chamber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hat are deposi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nozzle, an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stop mark on the textile fabric that is stopped because the transfer is stopped when the tenter is stopp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nal cleaning apparatus for a tenter machin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prevent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챔버에 마련된 각각의 배기구들을 여닫이방식의 개폐수단으로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side of a chamber for a tenter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each exhaust port provided in a plurality of chambers can b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an opening and closing typ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 원단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상,하부 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과; 상기 팬 케이싱의 상부에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 및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부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개폐공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inside the chamber,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for drying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discharge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and guide it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pray duct An opening/closing means for removing accumulated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wherein the opening/clo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hamber and includes an actuator having a rod member that is stretch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is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and the actu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plate that is connected to interlock with the rod member of the rod member and has an opening/clos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rod memb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 원단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상,하부 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과; 상기 팬 케이싱의 상부에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 및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며 손잡이를 갖는 이송바와,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바의 전,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개폐공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inside the chamber,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for drying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exhaust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during an opening operation and guide it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which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an opening/closing mean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e opening/clo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hamber and stretches and contracts forward and backward, and a transfer bar having a handle, is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and interlocks with the transfer b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ole that is connected as possible and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transfer ba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 원단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상,하부 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과; 상기 팬 케이싱의 상부에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 및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챔버의 일측면 좌측과 타측면 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각각 갖는 제1,2액츄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챔버들 중 홀수열 챔버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로드부재 전진동작시 상기 홀수열 챔버 각각의 연통공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1개폐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챔버들 중 짝수열 챔버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로드부재 전진동작시 상기 짝수열 챔버 각각의 연통공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2개폐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inside the chamber,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for drying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discharge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and guide it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pray duct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removing accumulated foreign substances, wherein a plurality of the chamber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one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respectively, and include rod members that are stretched and contracted before and after,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are alternately connected by a connecting plate in the middle so as to be disposed in each odd-numbered row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and the communication holes of each of the odd-numbered chambers are formed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rod member of the first actuator. A first opening/closing plate that opens and closes at the same time,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plate so as to be disposed in every even-numbered row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communication hole of each of the even-numbered chambers when the rod member advances of the second actua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m at the same time.
상기 팬 케이싱은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난류화시켜 상기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다.The fan casing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and includes a guide plate for turbulizing the hot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guiding it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팬 케이싱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으로 난반사시키는 경사부로 구성된다.The guide plate include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diffusely reflect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munication hol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는 챔버의 하측에 마련된 버너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송풍팬에 의해 상측으로 공급되고 댐퍼수단에 의해 열풍이 분기되어 공급되는 것이다.In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hot air supplied from a burner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is supplied upward by a blower fan, and the hot air is branched and supplied by a damper means.
본 발명은 텐터기 챔버 내에 배치된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에 쌓이는 먼지나 원단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텐터기의 정지동작시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팬 케이싱의 연통공을 개방시키고 팬 케이싱 내의 열풍을 챔버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부 분사덕트의 상측에 쌓인 이물질을 강제 송풍방식으로 배기덕트를 통해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덕트를 청소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opening/closing mean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fabric residues that accumu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ray duct disposed in the tenter chamber when the tenter machine is stopped by using an opening/closing means to open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fan casing and blow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into the chamber. It has a useful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fire by cleaning the duct by discharging it to the inside and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through the exhaust duct in a forced blow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연통공의 상측에 연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난반사시켜 난류화시키는 가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상부 분사덕트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advantag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upper jet duct by providing a guide plate that diffusely reflects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o make it turbulent at the uppe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본 발명은 복수의 챔버에 각각 마련된 상부 분사덕트의 연통공들을 제1,2개폐플레이트가 연결판을 이용하여 연동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복수의 챔버에 마련된 제1,2개폐플레이트를 액츄에이터로 동시에 슬라이딩 동작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의 유지 보수작업이 간편해지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plates are provided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s of the upper injection duc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hambers are interlocked using a connecting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plate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chambers are simultaneously slid with an actuator.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ying maintenance of pa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개폐수단의 전진동작시 상부 분사덕트의 청소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개폐플레이트가 전진동작되어 연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개폐플레이트가 후진동작되어 연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개폐수단이 챔버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가 복수의 챔버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가 다른 변형 예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개폐수단의 다른 변형 예.
도 11은 개폐수단의 또 다른 변형 예.
도 12는 개폐수단의 다른 변형 예.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mber interior cleaning apparatus for a t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leaning use stat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orward and the communication hole is opened.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ackward and the communication hole is closed.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opening/closing means is applied to the chamber.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nter machine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hambers.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5;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nter chamber internal cleaning device is applied to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9 is a front view of Fig. 8;
10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1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2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챔버(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섬유 원단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상,하부 분사덕트(20,30)와;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90)과;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95); 및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공(95)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10)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for a t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s are arranged inside the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는 챔버(10)의 하측에 마련된 버너(40)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송풍팬(50)에 의해 상측으로 공급된 후에, 댐퍼수단(70)에 의해 열풍이 분기되어 공급되는 경로를 갖는다.1 and 5 , the upper and
상기 상부 분사덕트(20)는 하나의 챔버(10)에 복수의 열로 배치된다.The
상기 팬 케이싱(90)은 각 상부 분사덕트(20) 마다 대응되도록 상부에 각각의 연통공(9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115)를 갖는 액츄에이터(110)와, 상기 팬 케이싱(9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10)의 로드부재(115)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재(115)의 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95)과 연통되는 개폐공(125)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The opening/
상기 액츄에이터(110)는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모터나 실린더를 채택할 수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The
이에 따라 상기 개폐플레이트(120)는 상기 복수의 연통공(95)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폐공(125)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opening and
또한, 상기 개폐수단(100)은 텐터기의 정지 동작시 상,하부 분사덕트(20,30)의 노즐을 통해 열풍이 정지중인 섬유 원단측에 공급되어 섬유 원단측에 스톱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함과 아울러, 열풍을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stop mark on the fabric fabric side by supplying the hot air to the fabric fabric side while the hot air is stopped through the nozzles of the upper and
상기 개폐플레이트(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재(115)의 전진동작시 연동되도록 전진 동작되고 상기 개폐공(125)들이 상기 연통공(95)들에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연통공(95)과 개폐공(125)들이 여닫이방식으로 연통됨에 따라, 상,하부 분사덕트(20,30) 내의 열풍이 개폐공(125)과 연통공(95)을 통해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되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상부면에 부딪히면서 난류화되어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에 쌓여 있는 먼지나 원단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불어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 the opening/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재(115)의 복귀를 위한 후진 동작시 상기 로드부재(115)의 후진동작과 연동되도록 연결된 개폐플레이트(120)가 후진동작되면서 상기 연통공(95)을 개폐플레이트(120)로 막아서 폐쇄시킴으로써, 텐터기의 정상동작시 상,하부 분사덕트(20,30) 내의 열풍이 외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4 ,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has an opening/
도 2b는 본 발명 팬 케이싱에 가이드판(200)이 더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팬 케이싱(90)은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95)을 통해 상방향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난류화시켜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200)을 구비한다.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가이드판(200)은 팬 케이싱(90)의 상측면에 형성된 연통공(95)과 근접된 부위에 상측으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10)와, 상기 수직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통공(95)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난반사시키는 경사부(22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복수의 챔버(10)들이 병렬로 배치된 경우의 개폐수단(100)을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복수의 챔버(10)들이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챔버(10)들을 홀수열과 짝수열로 구분할 경우, 홀수열에 해당하는 챔버들에 배치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20A)와, 짝수열에 해당하는 챔버(10)들에 배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120B)가 배치된다.6 and 7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when a plurality of
이 경우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좌측과 타측면 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115)를 각각 갖는 제1,2액츄에이터(110A,110B)와, 상기 복수의 챔버(10)들 중 홀수열 챔버(10a)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130)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110A)의 로드부재(115) 전진동작시 상기 홀수열 챔버(10a) 각각의 연통공(95)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1개폐플레이트(120A)와, 상기 복수의 챔버(10)들 중 짝수열 챔버(10b)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130)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2액츄에이터(110B)의 로드부재(115) 전진동작시 상기 짝수열 챔버(10b) 각각의 연통공(95)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2개폐플레이트(120B)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one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개폐수단(100)의 제1개폐플레이트(120A)는 홀수열의 제1,3,5...n-1 챔버(10-1,10-3...)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3,5...n-1 챔버 사이의 짝수열 챔버(10b)에 배치된 상기 연결판(130)이 각각 홀수열 챔버(10a)에 배치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20A)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opening/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수단(100)의 제2개폐플레이트(120B)는 짝수열의 제2,4,6...n-2 챔버(10-2,10-4...)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4,6...n-2 챔버 사이의 홀수열 챔버(10a)에 배치된 상기 연결판(130)이 각각 짝수열 챔버(10b)에 배치되는 제2개폐플레이트(120B)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contrary, the second opening/
또한, 상기 짝수열 챔버(10b)와 상기 홀수열 챔버(10a)는 서로 연통공(95)이 일측과 타측에 번갈아 형성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제1,2액츄에이터(110A,110B)가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as the even-numbered
상기 제1액츄에이터(110A)는 로드부재(115)를 전진동작시킬 경우 홀수열 챔버(10a) 내에 배치된 제1개폐플레이트(120A)를 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켜 홀수열 챔버(10a)에 배치된 상부 분사덕트(20)에 형성된 연통공(95)들을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20A)의 개폐공(125)에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부 분사덕트(20)의 열풍이 개방된 연통공(95)과 개폐공(125)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고, 상측으로 배출된 열풍이 홀수열 챔버(10a)의 내부 상측면에 부딪혀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난류화된 상태로 전달됨에 따라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적층된 원단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기덕트(미도시)측으로 강제 송풍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한편, 상기 제2액츄에이터(110B)는 로드부재(115)를 전진동작시킬 경우 짝수열 챔버(10b) 내에 배치된 제2개폐플레이트(120B)를 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켜 짝수열 챔버(10b)에 배치된 상부 분사덕트(20)에 형성된 연통공(95)들을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20B)의 개폐공(125)에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부 분사덕트(20)의 열풍이 개방된 연통공(95)과 개폐공(125)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고, 상측으로 배출된 열풍이 짝수열 챔버(10b)의 내부 상측면에 부딪혀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난류화된 상태로 전달됨에 따라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적층된 원단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기덕트측으로 강제 송풍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상기한 덕트의 청소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텐터기를 정상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로드부재(115)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1,2액츄에이터(110A,110B)를 후진동작시키면, 상기 로드부재(115)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상기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가 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가 연통공(95)를 덮어서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After the cleaning of the duct is completed, when the first and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 개폐수단(100)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각 홀수열 챔버(10a)들과 짝수열 챔버(10b)들을 좌측과 우측 구간으로 구분하여 총 4개의 제1~제4 액츄에이터(110A,110B,110C,110D)로 각각의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를 전,후진동작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8 and 9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odd-numbered
복수의 챔버(10)들이 길게 병렬로 배치될 경우 하나의 액츄에이터(110)로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수의 챔버(10)를 좌측과 우측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4개의 액츄에이터(110A,110B,110C,110D)를 배치함으로써, 각 구간별 개폐동작이 각 액츄에이터(110)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되어 개폐동작에 대한 구간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반응 응답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When the plurality of
이로 인해 본 발명 개폐수단(100)의 다른 변형 예는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를 각각 좌측과 우측의 동작구간으로 구획하여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의 개폐동작시 원활하게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or this reaso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도 10은 본 발명 개폐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며 손잡이(105a)를 갖는 이송바(105)와,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105)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바(105)의 전,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95)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개폐공(125)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120)를 구비한 것이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 개폐수단의 다른 예는 챔버 내부의 청소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챔버의 외측에서 이송바(105)의 손잡이(105a)를 파지한 상태로 잡아 당길 경우, 상기 개폐플레이트(120)의 개폐공(125)과 팬 케이싱(90)의 연통공(95)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이 챔버(10) 내부로 배출되도록 연통되고, 상기한 연통공(95)을 통해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이 챔버(10) 내부로 배출된 후에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배출되어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에 적층된 원단 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nother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he operator pulls the
이와 반대로 상기한 청소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텐터기의 정상동작을 위해 작업자가 챔버(10)의 외측에서 이송바(105)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플레이트(120)를 팬 케이싱(90)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개폐공(125)과 연통공(95)의 연통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통공(95)의 상측에 개폐플레이트(120)가 덮을 수 있게 되어 열풍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한다.On the contrary,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rator moves the
위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챔버(10)의 외측에서 수작업으로 이송바(105)를 이용하여 개폐플레이트(120)를 전,후진동작시켜 팬 케이싱의 연통공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전원의 공급없이 수작업으로 연통공의 개폐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above case, the operator manually moves the opening and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개폐수단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복수의 챔버(10)들의 각 팬 케이싱(90)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플레이트(120)를 상측에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17)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17)는 각 챔버(10)들에 배치된 상기 개폐플레이트(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연결브라켓(119)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ening/
상기 연결파이프(117)는 단부가 앞서 설명한 개폐수단의 로드부재 또는 이송바(10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 또는 이송바(105)의 전,후진 동작을 개폐플레이트(120)측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end of the
위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파이프(117)가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에서 설명한 연결판의 기능을 대체하게 되므로, 각 챔버(10)들 사이의 개폐플레이트(120)들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텐터기 챔버(10) 내에 배치된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에 쌓이는 먼지나 원단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텐터기의 정지동작시 개폐수단(100)을 이용하여 상부 분사덕트(20)의 연통공(95)을 개방시키고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을 챔버(10)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에 쌓인 이물질을 강제 송풍방식으로 배기덕트를 통해 챔버(1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덕트를 청소하여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fabric residue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본 발명은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연통공(95)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난반사시켜 난류화시키는 가이드판(200)을 구비함으로써, 상부 분사덕트(20)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본 발명은 복수의 챔버(10)에 각각 마련된 상부 분사덕트(20)의 연통공(95)들을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가 연결판(130)을 이용하여 연동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복수의 챔버(10)에 마련된 제1,2개폐플레이트(120A,120B)를 액츄에이터(110)로 동시에 슬라이딩 동작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의 유지 보수작업이 간편해지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holes 95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챔버 10a : 홀수열 챔버
10b : 짝수열 챔버 20 : 상부 분사덕트
30 : 하부 분사덕트 40 : 버너
50 : 송풍팬 70 : 댐퍼수단
90 : 팬 케이싱 95 : 연통공
100 : 개폐수단 105 : 이송바
105a : 손잡이 110 : 액츄에이터
110A,110B : 제1,2액츄에이터
115 : 로드부재 117 : 연결파이프
119 : 연결브라켓 120 : 개폐플레이트
120A,120B : 제1,2개폐플레이트
125 : 개폐공 130 : 연결판
200 : 가이드판 210 : 수직부
220 : 경사부10:
10b: even row chamber 20: upper injection duct
30: lower injection duct 40: burner
50: blowing fan 70: damper means
90: fan casing 95: through hole
100: opening and closing means 105: transfer bar
105a: handle 110: actuator
110A, 110B: first and second actuators
115: rod member 117: connecting pipe
119: connection bracket 120: opening and closing plate
120A, 120B: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s
125: opening and closing hole 130: connecting plate
200: guide plate 210: vertical part
220: inclined part
Claims (6)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90)과;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95); 및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95)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10)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115)를 갖는 액츄에이터(110)와,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10)의 로드부재(115)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재(115)의 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95)과 연통되는 개폐공(125)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and dried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90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a communication hole (95)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9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an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9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95, and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90 is discharged into the chamber 10 and the upper injection duct ( 20) by inducing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20;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and has an actuator 110 having a rod member 115 that is stretch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is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90 . and an opening/closing plate 120 that is connected to be linked with the rod member 115 of the actuator 110 and has an opening/closing hole 125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95 when the rod member 115 moves forward. A chamber interior cleaning device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90)과;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95); 및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95)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10)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며 손잡이(105a)를 갖는 이송바(105)와,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바(105)와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바(105)의 전,후진 동작시 상기 연통공(95)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개폐공(125)이 형성되는 개폐플레이트(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and dried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90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a communication hole (95)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9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an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9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95, and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90 is discharged into the chamber 10 and the upper injection duct ( 20) by inducing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20;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and is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transfer bar 105 having a handle 105a and the fan casing 90 are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n opening/closing plate 120 in which an opening/closing hole 125 that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95 is formed when the transfer bar 105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connected to interlock with the transfer bar 105 A chamber interior cleaning device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one.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측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 케이싱(90)과;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공(95); 및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95)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개방동작시 상기 팬 케이싱(90) 내의 열풍을 상기 챔버(10)의 내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개폐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챔버(10)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되,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챔버(10)의 일측면 좌측과 타측면 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전,후로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115)를 각각 갖는 제1,2액츄에이터(110A,110B)와, 상기 복수의 챔버(10)들 중 홀수열 챔버(10a)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130)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110A)의 로드부재(115) 전진동작시 상기 홀수열 챔버(10a) 각각의 연통공(95)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1개폐플레이트(120A)와, 상기 복수의 챔버(10)들 중 짝수열 챔버(10b)마다 배치되도록 중간의 연결판(130)에 의해 연결되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제2액츄에이터(110B)의 로드부재(115) 전진동작시 상기 짝수열 챔버(10b) 각각의 연통공(95)들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제2개폐플레이트(120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and dried by spraying hot 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ward the textile fabric;
a fan casing 90 hav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hot air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a communication hole (95)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an casing (9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an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9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95, and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the hot air in the fan casing 90 is discharged into the chamber 10 and the upper injection duct ( 20) by inducing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20; and
A plurality of the chamber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one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110A and 110B having the plurality of chambers 10 are connected and alternately arranged by a connecting plate 130 in the middle so as to be arranged for each odd-numbered row chamber 10a among the plurality of chambers 10, and the first actuator ( A first opening/closing plate 120A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s 95 of each of the odd-numbered chambers 10a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rod member 115 of 110A, and an even-numbered chamber among the plurality of chambers 10 Each of the communication holes 95 of the even-numbered chamber 10b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plate 130 in the middle so as to be arranged for each 10b and arranged alternately, and when the rod member 115 of the second actuator 110B advances. A chamber interior cleaning apparatus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late (12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m at the same time.
상기 팬 케이싱(90)은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95)을 통해 상방향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난류화시켜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2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an casing 9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and has a guide plate 200 for turbulizing the hot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95 and guiding it upward of the upper injection duct 20 . A chamber interior cleaning device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one.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팬 케이싱(90)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10)와,
상기 수직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통공(95)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상부 분사덕트(20)의 상측으로 난반사시키는 경사부(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guide plate 20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2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fan casing 90,
Clean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210 and comprises an inclined part 220 that diffusely reflects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munication hole 95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injection duct 20. Device.
상기 상,하부 분사덕트(20,30)는 챔버(10)의 하측에 마련된 버너(40)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송풍팬(50)에 의해 상측으로 공급되고 댐퍼수단(70)에 의해 열풍이 분기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upper and lower injection ducts 20 and 30 ,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burner 4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10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by the blowing fan 50 , and the hot air is branched by the damper means 70 . A cleaning device inside the chamber for a tent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509A KR102349258B1 (en) | 2021-06-10 | 2021-06-10 |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CN202210137649.2A CN115463908A (en) | 2021-06-10 | 2022-02-15 | Chamber interior cleaning device for tenter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509A KR102349258B1 (en) | 2021-06-10 | 2021-06-10 |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9258B1 true KR102349258B1 (en) | 2022-01-10 |
Family
ID=7934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5509A Active KR102349258B1 (en) | 2021-06-10 | 2021-06-10 |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9258B1 (en) |
CN (1) | CN11546390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13563A (en) * | 2022-03-01 | 2022-07-08 | 长沙振安机电设备有限公司 | Motor cleaning device |
CN115971113A (en) * | 2023-03-16 | 2023-04-18 | 烟台亮远液压技术有限公司 | Hydraulic rod cleaning equipment for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hydraulic power machiner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505B1 (en) | 2011-11-28 | 2012-11-29 |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 Electric Fume Collector To Process Exhaust Gas Of Tenter Facility |
KR101211375B1 (en) | 2010-10-21 | 2012-12-1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For Tenter Exhaust Fumes |
KR101538735B1 (en) * | 2014-06-18 | 2015-07-23 |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 Hot wind supply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3898B1 (en) * | 2005-02-28 | 2006-08-21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Hot air supply distribution structure of tenter machine |
DE202008006131U1 (en) * | 2007-06-18 | 2009-01-08 | Globlek, Damir | Ventilation unit with cleaning device |
JP5479165B2 (en) * | 2010-03-10 | 2014-04-2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Tenter device, method of removing foreign matter in tenter device, and solution casting apparatus |
KR101229347B1 (en) * | 2012-09-05 | 2013-02-05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Hot air spray nozzle for tenter machine and hot air sprayer for tenter machine |
CN203009878U (en) * | 2012-12-18 | 2013-06-19 | 北京雅驿欣科技有限公司 | Insertion plate type electric air valve |
JP2015169422A (en) * | 2014-03-11 | 2015-09-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KR101548652B1 (en) * | 2015-07-10 | 2015-08-31 |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 A hot wind supply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
WO2020027324A1 (en) * | 2018-08-02 | 2020-02-06 | 日立造船株式会社 | Cleaning device |
KR102078032B1 (en) * | 2019-06-12 | 2020-02-17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Dryer chamber structure |
CN212615445U (en) * | 2020-06-23 | 2021-02-26 | 浙江金盾风机股份有限公司 | But high-efficient centrifugal induced fan of blowback |
-
2021
- 2021-06-10 KR KR1020210075509A patent/KR102349258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2-15 CN CN202210137649.2A patent/CN11546390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1375B1 (en) | 2010-10-21 | 2012-12-1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For Tenter Exhaust Fumes |
KR101206505B1 (en) | 2011-11-28 | 2012-11-29 |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 Electric Fume Collector To Process Exhaust Gas Of Tenter Facility |
KR101538735B1 (en) * | 2014-06-18 | 2015-07-23 |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 Hot wind supply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13563A (en) * | 2022-03-01 | 2022-07-08 | 长沙振安机电设备有限公司 | Motor cleaning device |
CN114713563B (en) * | 2022-03-01 | 2023-03-07 | 长沙振安机电设备有限公司 | Motor cleaning device |
CN115971113A (en) * | 2023-03-16 | 2023-04-18 | 烟台亮远液压技术有限公司 | Hydraulic rod cleaning equipment for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hydraulic power machin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463908A (en) | 2022-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9258B1 (en) | Chamber cleaning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 |
CN101821558B (en) | Air conditioner | |
WO2018074644A1 (en) | Soot blower and method for cleaning tubular heat exchanger by using same | |
KR102366933B1 (en)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
KR101211375B1 (en) |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For Tenter Exhaust Fumes | |
CN1969086B (en) |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of a filter net of a pulp dryer's fan tower, a pulp dryer's fan tower and a pulp dryer | |
CN100501293C (en) | A waste gas heat recovery device and a tenter setting machine with the waste gas heat recovery device | |
US7316042B2 (en) | Machine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a fabric | |
KR101972717B1 (en) | Heat recovery apparatus using steam pipe | |
JPH09296998A (en) | Moving type bundle washing apparatus | |
KR200326329Y1 (en) | Drying system with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 |
KR101848429B1 (en) | A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of a Tenter | |
CN103521405A (en) | Mechanical flocking plant | |
CN112048872A (en) | A high-intelligence self-clean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ergy-saving shaping dryer | |
US4337585A (en) | Heat recovery and air preheating apparatus for textile dryer ovens | |
KR101056804B1 (en) | Waste heat recovery method of dryer and its apparatus | |
CN101738135A (en) | Heat exchanger unit for heat energy utilizing device | |
KR100902564B1 (en) | Dry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device | |
KR102568135B1 (en) | Clean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cooling facility in fabric finishing facility | |
KR102568134B1 (en) | Clean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cooling facility in fabric finishing facility | |
CN106337258B (en) | The warm-air supply structure of stenter | |
KR100547397B1 (en) | Cell washer | |
CN111118771B (en) | Fiber drying and setting machine with automatic filtering device | |
KR102208721B1 (en) | a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for tenter which reactor heat recycle | |
KR102388562B1 (en) | Combustion system including cyclone dust coll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