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83B1 -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8383B1 KR102348383B1 KR1020210080670A KR20210080670A KR102348383B1 KR 102348383 B1 KR102348383 B1 KR 102348383B1 KR 1020210080670 A KR1020210080670 A KR 1020210080670A KR 20210080670 A KR20210080670 A KR 20210080670A KR 102348383 B1 KR102348383 B1 KR 102348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bracket
- coupled
- coupling part
- instal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브라켓에 턱트를 고정할 때 일방향으로 삽입하면 삽입 위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덕트를 적정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있는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은, 천장에 설치되어 덕트를 고정하는 것으로,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 결합부가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이 천장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지지하는 보강편 및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 덕트 결합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가 구비된 덕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uct is fixed to the bracket in installing the duct, when the duct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teeth that engage with each other are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osi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duct is installed It relates to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tha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in an appropriate position.
To this end, the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fix the duct. It includes a duct provided with a bracket coupling part inserted into the duct coupling part to b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reinforcement piece that support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xing bracket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cei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브라켓에 턱트를 고정할 때 일방향으로 삽입하면 삽입 위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덕트를 적정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있는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uct is fixed to the bracket when the duct is installed, when the duct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teeth that engage with each other are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osition, so that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duct is installed It relates to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tha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in an appropriate position.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 공조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덕트를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하여 설치한다.In general, when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the duct is fixed to the ceiling or wall and installed.
이러한 덕트 설치 구조는 전산볼트를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This duct installation structure is mainly used for fixing using computerized bolts.
하지만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덕트를 정확한 위치로 설치하기에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installation work is not easy, an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limitation in installing the duct in an accurate position.
특히 공조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맞게 덕트를 설치할 때에는 벽체의 조적이 완료되기 전 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공조 장치의 설치부와 일치시키기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installing the duct to match the location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air conditioner before the wall masonry is completed.
또한, 설치 위치가 잘못되면 조적 과정에서 공조 장치와의 연결이 어려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 기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f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wrong, it becomes difficult to connect to the air conditioning device during the masonry process, and thus the construction period is delayed.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881914 스파이럴 덕트용 원터치 행거)에서는 덕트의 외측을 행거로 감싼 상태에서 전산볼트와 연결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is, in Prior Document 1 (Registration Patent No. 10-1881914 One-touch hanger for spiral duct), a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a duct by connecting it with a computerized bolt in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of the duct is wrapped with a hanger is disclosed.
이러한 선행문헌 1은 덕트를 지지한 상태에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1인 작업이 어렵고, 설치 과정에서 적정 위치에 행거를 위치시키고 전산볼트와 위치를 맞추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this prior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work by one person because it has to be constructed in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supported, and since the hanger must be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installation must be aligned with the computerized bo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atigue of the worker increases. will do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 설치 위치에 맞게 고정 브라켓을 먼저 설치하고, 고정 브라켓에 덕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브라켓 결합부를 이용해 끼워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이동 후에는 서로 역방향으로 맞물리는 톱니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 위치에 맞게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적정 위치로 덕트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정편을 끼워 고정함에 따라 설치된 덕트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덕트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ixing bracket is first installed to match the duct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is simple because the fixing bracket can be installed by using the bracket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ct,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simple. After moving, the duct is easi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by preventing it from being separated by the teeth that eng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move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that can be fixed so as not to flow.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은, 천장에 설치되어 덕트(300)를 고정하는 것으로,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 결합부(120)가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100),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100)이 천장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지지하는 보강편(200) 및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 결합부(120)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결 합부(310)가 구비된 덕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fix the
여기서, 상기 덕트(300)가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결합부(310)가 결합된 고정 브라켓(10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덕트 결합부(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4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덕트 결합부(120) 내측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다른쪽 방향은 수직 상태로 이루어진 일방향 톱니(12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300)의 브라켓 결합부(310)의 외측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122)와 맞물리는 구조로 상기 일방향 톱니(122)와 반대 방향으로 마주보게 이루어지되, 한쪽은 경사면을 이루고 다른 쪽은 수직 상태를 이루는 역방향 톱니(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side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설치 위치에 덕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an accurate position in installing the duct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둘째, 고정 브라켓을 설치 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덕트를 밀어 결합하는 동작에 의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the operation of pushing and combining the duct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racket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셋째, 고정 브라켓과 덕트에는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톱니가 형성되되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레칫 형태의 톱니라 형성되어 덕트를 브라켓에 삽입 설치하면서 결합 위치에서 다시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ird, interlocking teeth are formed on the fixed bracket and the duct, but ratchet-shaped teeth that can move in only one direction are formed.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과 덕트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의해 덕트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고정편이 더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기존의 덕트 클립을 이용해 덕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덕트 분리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서 덕트 분리부재에 의해 덕트의 고정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state in which a fixing bracket and a duct are combined in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is constructed by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e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a duct using an existing duct clip to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separa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of the duct is released by the duct separating member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의 덕트 설치 위치에 미리 브라켓을 설치하고, 설치된 브라켓에 덕트를 끼워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브라켓과 덕트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들이 형성되어 톱니 간격에 의해 적정 위치로 덕트를 삽입한 상태를 유지하여 시공이 간편한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installed simply by installing the bracket in advance at the duct installation location on the ceiling, inserting the duct to the installed bracket, and coupling the du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lates to a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which is easy to construct 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duct is inserted into the proper position by the tooth spacin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천장에 설치되어 덕트(300)를 설치 및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10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0)을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보강편(200) 및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끼워지며 결합 설치되는 덕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 상부에 상기 보강편(200)이 끼워지며 천장에 고정 브라켓(100)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보강편 설치홈(110)이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고정 브라켓(100)의 하부 내측은 덕트(300)가 삽입되며 결합되는 덕트 결합부(120)가 형성된다.An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상기 덕트 결합부(120)는 하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수직 절곡되어 덕트(300)와 결합되며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 절곡부(121)가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지지 절곡부(121)의 내측에는 덕트(300)까 삽입되는 방향은 경사면을 이루고 그 반대 방향은 수직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일방향 톱니(122)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to which the
상기 덕트(300)는,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서 덕트 결합부(120)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310)가 구비된다.The
상기 브라켓 결합부(310)는, 상기 덕트 결합부(120)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 결합부(120)의 지지 절곡부가 삽입되며 결합되는 결합홈(311)과, 덕트 결합부(120)의 일방향 톱니(122)와 맞물리며 일방향으로만 결합 고정되는 역방향 톱니(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로 인해 천장에 고정 브라켓(100)을 설치하고 보강편(200)을 이용해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덕트(300)의 브라켓 결합부(310)를 고정 브라켓(100)의 덕트 결합부(120)에 끼워줌에 따라 일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위치에서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간편하고 정교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서 고정 브라켓과 덕트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racket and the duct are coupled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덕트 결합부(120)에 형성된 일방향 톱니(122)와 브라켓 결합부(310)의 역방향 톱니(312)는 서로 경사면끼리 마주보며 일방향으로 끼워지게 결합되고 경사면이 끝난 후 수직 형태의 단부끼리 서로 맞물리며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one-
이로 인해 결합하려던 위치까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게 유지되며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ed state to the position to be coupled, and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coupled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의해 덕트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constructed by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천정에 덕트(300)를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100)을 천장에 고정 설치하고, 보강편(200)을 이용해 보강 고정한 상태에서 덕트(300)를 삽입하여 적정 위치로 설치한다.Referring to FIG. 4 , in installing the
이때, 덕트(300)의 벽체 측 단부에는 조적 전 상태의 벽체에서 조적 예정 위치의 벽체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wall side end of the
이후 조적에 의해 벽체를 시공하고, 덕트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이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한 상태로 조적 완료하게 된다.After that, the wall is constructed by masonry, and the masonry is complet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flexible pipe connected to the duct is formed.
이후 공기 조화기(A)와 플렉시블 관을 이용해 연결하여 공기 조화를 위한 배관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pipe installation for air conditioning by connecting it with the air conditioner (A) using a flexible pipe.
이로 인해 건물에서 덕트(300)를 설치함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 브라켓(100)을 결합한 상태로 빠르고 간편하게 덕트(300)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서 덕트(300)가 후진되지 않고 고정 유지되어 시공 과정에서 덕트(30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ue to this, when install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고정편(400)이 더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5를 참조하면, 덕트(300)가 고정 브라켓(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방향 톱니(122)와 역방향 톱니(312)가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고정편(400)은, 고정 브라켓(100)에 덕트(300)가 결합된 양쪽 끝부분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먼저 고정 브라켓(100)에 상기 고정편(400)이 결합되는 고정편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The
상기 고정편 결합부(130)는 덕트 결합부(120)와 브라켓 결합부(310)가 결합되는 경로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편(400)이 덕트 결합부(120)의 양측 외측으로 삽입되는 고정편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결합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편 삽입홈(131)의 뒤쪽에는 고정편(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고정편 고정홈(132)이 형성된다.The fixing
그리고 상기 고정편(40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측이 상기 고정편 결합부(130)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것으로, 개방된 내측을 향해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 후크(410) 및 덕트 결합부(120)와 브라켓 결합부(310)를 동시에 막아주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가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상기 고정편(400)의 설치는 체결 후크(410)가 고정편 삽입홈(131)으로 삽입되고, 고정 가드(420)가 덕트 결합부(120)와 브라켓 결합부(310)가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편 고정홈(132)을 따라 하강하며 고정편 고정홈(132)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에 따라 덕트 결합부(120)와 브라켓 결합부(310)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기존의 덕트 클립을 이용해 덕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a duct using an existing duct clip to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 결합부(310)는 덕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 결합부(310)의 하부에는 덕트(300)를 감싸며 지지하는 덕트 고정 클립(320)을 설치할 수 있는 덕트 클립 설치부(313)가 더 구비된다.To this end, a duct
상기 덕트 클립 설치부(313)는 볼트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여기에 덕트 고정 클립(320)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duct
이로 인해 규격이 다양한 덕트나 형상이 다른 사각 덕트 등 기존의 덕트를 덕트 고정 클립(320)을 이용해 덕트 클립 설치부(313)에 설치하여 덕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Due to this, the existing ducts, such as ducts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or square ducts having different shapes, can be installed in the duc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 덕트 분리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separa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00)에는 덕트(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반대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덕트 분리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xing
상기 덕트 분리부재(140)는,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덕트 결합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덕트 결합부(120)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확장편(141) 및 상기 확장편(141)의 중간 부분에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손이나 도구를 삽입하여 확장편(141)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치용 브라켓에서 덕트 분리부재에 의해 덕트의 고정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8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of the duct is released by the duct separating member in the duct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 분리부재(140)는 덕트 결합부(120) 사이에서 조작홈(142)을 하부로 눌러 조작할 경우 확장편(141)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덕트 결합부(120)를 양측으로 벌려주게 되고, 이에 따라 일방향 톱니(122)와 역방향 톱니(312)는 해제되면서 덕트(300)가 결합된 반대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 when the
이로 인해 덕트 설치 작업 중 과도하게 결합될 경우 결합 방향으로 전체를 분리할 필요 없이 덕트 분리부재(140)를 이용해 결합된 반대방향으로 필요한 만큼만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For this reason, when excessively coupled during the duct installation work,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only as much as necessar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upling using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덕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일방향으로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00)과 브라켓 결합부(310)에 의해 덕트 설치 위치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덕트를 시공할 수 있고,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최소화 하여 덕트의 시공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constructing the duct, the duc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constructed at the duct installation location by the fixing
100 : 고정 브라켓 110 : 보강편 설치홈
120 : 덕트 결합부 121 : 지지 절곡부
122 : 일방향 톱니 130 : 고정편 결합부
131 : 고정편 삽입홈 132 : 고정편 고정홈
140 : 덕트 분리부재 141 : 확장편
142 : 조작홈 200 : 보강편
300 : 덕트 310 : 브라켓 결합부
311 : 결합홈 312 : 역방향 톱니
313 : 덕트 클립 설치부 320 : 덕트 고정 클립
400 : 고정편 410 : 체결 후크
420 : 고정 가드100: fixing bracket 110: reinforcing piece installation groove
120: duct coupling portion 121: support bent portion
122: one-way tooth 130: fixed piece coupling part
131: fixed piece insertion groove 132: fixed piece fixed groove
140: duct separation member 141: extended piece
142: manipulation groove 200: reinforcement piece
300: duct 310: bracket coupling part
311: coupling groove 312: reverse tooth
313: duct clip installation part 320: duct fixing clip
400: fixed piece 410: fastening hook
420: fixed guard
Claims (3)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100)이 천장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지지하는 보강편(200); 및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 결합부(120)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310)가 구비된 덕트(3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300)가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결합부(310)가 결합된 고정 브라켓(10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덕트 결합부(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4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덕트 결합부(120) 내측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다른쪽 방향은 수직 상태로 이루어진 일방향 톱니(12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300)의 브라켓 결합부(310)의 외측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122)와 맞물리는 구조로 상기 일방향 톱니(122)와 반대 방향으로 마주보게 이루어지되, 한쪽은 경사면을 이루고 다른 쪽은 수직 상태를 이루는 역방향 톱니(3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는 덕트(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반대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덕트 분리부재(1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덕트 분리부재(140)는,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덕트 결합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덕트 결합부(120)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확장편(141) 및 상기 확장편(141)의 중간 부분에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손이나 도구를 삽입하여 확장편(141)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홈(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설치용 브라켓.
A fixing bracket 100 tha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fix the duct 300, the duct coupling part 120 to which the duct is coupled is formed to open downward;
a reinforcing piece 2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100 and supporting the fixing bracket 1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xing bracket 100 while the fixing bracket 100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duct 300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100, the duct 300 is provided with a bracket coupling part 310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uct coupling part 120;
A fixing piece ( 400)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duct coupling part 120 of the fixing bracket 100, one-way teeth 122 are formed that ar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re vertical in the other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bracket coupling part 310 of the duct 300, it is made to face the one-way teeth 122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 structure engaged with the one-way teeth 122, and one side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is vertical Reverse teeth 312 forming a state are formed,
The fixing bracket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uct separating member 140 that can be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duct 300 is coupled in the coupled state,
The duct separation member 140 is provided between the duct coupling portions 120 of the fixing bracket 100 ,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plate and an extension piece 141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uct coupling portion 120 side. ) and an operation groove 142 provided to form a concave shape in the middle of the extension piece 141 to operate the extension piece 141 by inserting a hand or a too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670A KR102348383B1 (en) | 2021-06-22 | 2021-06-22 |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670A KR102348383B1 (en) | 2021-06-22 | 2021-06-22 |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8383B1 true KR102348383B1 (en) | 2022-01-06 |
Family
ID=7934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670A Active KR102348383B1 (en) | 2021-06-22 | 2021-06-22 |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838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9236B1 (en) * | 2022-10-20 | 2023-12-01 | 오기성 |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fabric duct |
KR20240021267A (en) | 2021-06-18 | 2024-02-16 | 아우키 랩스 아게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ositioning and orient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 shared virtual spa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464Y1 (en) * | 2004-07-30 | 2004-10-22 | 서일봉 | a pipe clamp |
KR20120000714U (en) * | 2010-07-20 | 2012-02-02 | 주식회사 미래정공 | Bracket for pipe coupling |
KR200473891Y1 (en) * | 2014-04-22 | 2014-08-07 | 윤두태 | pipe support |
KR101881914B1 (en) | 2017-09-07 | 2018-07-26 | 김인수 | One-touch hanger for spiral duct |
-
2021
- 2021-06-22 KR KR1020210080670A patent/KR1023483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464Y1 (en) * | 2004-07-30 | 2004-10-22 | 서일봉 | a pipe clamp |
KR20120000714U (en) * | 2010-07-20 | 2012-02-02 | 주식회사 미래정공 | Bracket for pipe coupling |
KR200473891Y1 (en) * | 2014-04-22 | 2014-08-07 | 윤두태 | pipe support |
KR101881914B1 (en) | 2017-09-07 | 2018-07-26 | 김인수 | One-touch hanger for spiral duc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1267A (en) | 2021-06-18 | 2024-02-16 | 아우키 랩스 아게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ositioning and orient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 shared virtual space |
KR102609236B1 (en) * | 2022-10-20 | 2023-12-01 | 오기성 |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fabric du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8383B1 (en) | Bracket for duct installation | |
KR101573304B1 (en) | Mounting clip | |
US7217058B2 (en) |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ounting rails | |
US20030177724A1 (en) | H-shaped boot-to-register cover mounting adapter | |
KR101548905B1 (en) | Metal Ceiling Fixture Reinforced for Separation Prevention | |
KR20080026076A (en) | Hanger rod for ceiling finishing | |
KR100758346B1 (en) | Prefab Workbench For Formwork | |
KR20190095738A (en) | connection clip for ceiling frame and ceiling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KR102014677B1 (en) | Through sleev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length by one-touch operation | |
KR100751893B1 (en) | Hanger for attaching ceiling material | |
KR101870420B1 (en) | Construction louver assembly | |
KR101717746B1 (en) | Fixing apparatus of out wall Panels for bullding | |
KR101331124B1 (en) | A structure for mounting overhead screen louvers | |
CN115997062A (en) | Fastening system for covering elements | |
KR101661034B1 (en) | Water pipe bracket for wall construction | |
KR200481132Y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assembly of framework | |
JP6782144B2 (en) | Field edge fixing member, suspended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ceiling structure | |
KR20090023019A (en) | Carrier channel and carrier channel hanger | |
KR101848560B1 (en) | Fixing structure of form | |
KR102231258B1 (en) | Damper for duct | |
KR100956330B1 (en) | Flat duct sleeve structure | |
KR200438699Y1 (en) | Bracket for installing pipes to prevent bending of formwork | |
KR101685946B1 (en) | Fastener of building panel | |
KR101367849B1 (en) | Ceiling panel for preventing deflection | |
KR102701688B1 (en) | Clips, Ceiling Substrates and Ceiling Substrate Installation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