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8281B1 - Movable Robot Cable - Google Patents

Movable Robot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81B1
KR102348281B1 KR1020170067918A KR20170067918A KR102348281B1 KR 102348281 B1 KR102348281 B1 KR 102348281B1 KR 1020170067918 A KR1020170067918 A KR 1020170067918A KR 20170067918 A KR20170067918 A KR 20170067918A KR 102348281 B1 KR102348281 B1 KR 10234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sition
binding tape
core
cable
rob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1219A (en
Inventor
최홍석
양영훈
박홍근
양훈철
황현주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81B1/en
Priority to CN201780090794.7A priority patent/CN110663092B/en
Priority to PCT/KR2017/011830 priority patent/WO2018221793A1/en
Priority to JP2019562583A priority patent/JP2020520068A/en
Priority to EP17911707.2A priority patent/EP3633692B1/en
Publication of KR2018013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8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comprising synthetic filaments
    • H01B7/182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comprising synthetic filaments forming part of a high tensile strength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은 중심 개재,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코어,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재, 상기 내부코어와 제1 개재를 둘러싸서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구성되는 내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코어,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재, 상기 외부코어와 제2 개재를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 상기 차폐층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or a robot, wherein the cable for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interposition, at least one inner core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and at least one agent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interposition and the inner core. One interposition, an inner binding tape configured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for binding to surround the inner core and the first interposition, at least one outer core enclos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an outer 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At least one second interposition provided in the outer binding tape binding the outer core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and composed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a shield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binding tape, the shielding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ea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escription

로봇용 케이블 {Movable Robot Cable}Cable for Robot {Movable Robot Cable}

본 발명은 로봇용 케이블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로봇에 사용될 수 있도록 반복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 굽힘 수명을 극히 향상시킨 로봇용 케이블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able having extremely improved durability against repeated twisting and bending lifespan so that it can be used in industrial robots.

일반적으로 산업용 로봇은 기계 부품 생산 라인에서 용접, 도장, 이송 등의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은 로봇용 케이블에 의해 중앙 제어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로봇용 케이블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나아가 각종 작업에 필요한 정보 등을 송수신하게 된다.In general, industrial robots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welding, painting, and transport in a machine part production line. Such an industrial robot is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by a robot cable, receives power required through the robot cable, and further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ous tasks.

그런데,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상기 산업용 로봇은 지속적으로 이동 또는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산업용 로봇에 연결된 로봇용 케이블에 반복적인 인장, 비틀림, 굽힘 등의 피로하중이 가해진다.However, in this work process, the industrial robot is continuously moved or moved, and thus, fatigue loads such as repetitive tension, torsion, and bending are applied to the robot cable connected to the industrial robot.

이 경우, 로봇용 케이블의 도체의 단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선 발생에 의해 생산라인이 정지될 경우, 케이블 교체를 위한 상당한 시간적, 비용적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높은 내구성을 보장하는 로봇용 케이블이 요구된다.In this case, disconnection of the conductor of the cable for the robot may occur, and when the production line is stopped due to the disconnection, significant time and cost loss for cable replacement occur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robot cable that guarantees high dur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빈번하게 비틀림 또는 벤딩 등이 작용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내구성, 피로수명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로봇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for a robot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durability and fatigue life even when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torsion or bending frequently ac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 개재;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코어;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재; 상기 내부코어와 제1 개재를 둘러싸서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코어;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재; 상기 외부코어와 제2 개재를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외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intervening; at least one inner core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at least one first interposition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cores; an inner binding tape that surrounds and binds the inner core and the first interposition and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at least one outer cor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at least one second interpositi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an external binding tape binding the outer core to the second interposition and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a shield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and a shea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layer.

이 경우, 상기 내부코어는 복수의 제1 선재가 미리 결정된 제1 피치로 꼬여진 제1 도체와, 상기 제1 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1 도체의 외경의 15배 내지 30배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core includes a first conducto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wire rods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first pitch,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provided outside the first conductor, wherein the first pitch is the second It may correspond to 15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one conductor.

또한, 상기 외부코어는 복수의 제2 선재가 미리 결정된 제2 피치로 꼬여진 제2 도체와, 상기 복수의 제2 도체가 미리 결정된 제3 피치로 꼬여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2 도체의 외경의 15배 내지 50배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피치는 상기 코어부의 외경의 10배 내지 30배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ore includes a second conductor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wire rods are twisted at a second predetermined pitch, a core part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are twisted in a third predetermined pitch, and is provided outside the core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to be used, the second pitch may correspond to 15 to 5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third pitch may correspond to 10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part. .

그리고, 상기 내부코어 및 외부코어의 상기 제1 선재 및 제2 선재는 항복강도 증가율이 1% 내지 3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yield strength increase rate of the first wire rod and the second wire rod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may be 1% to 30%.

또한, 상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nsintered (unsintered) fluororesin may be made of unsintered PTFE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여기서,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와 외부 바인딩테이프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inner binding tape and the outer binding tape may have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0.05 and 0.2.

또한, 상기 제1 개재와 제2 개재는 상기 내부코어와 외부코어의 외경에 각각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may have outer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 개재와 제2 개재의 외경은 상기 내부코어와 외부코어의 외경에 비하여 80% 내지 120%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80% to 120%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이 경우, 상기 중심 개재, 제1 개재 및 제2 개재 중에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 얀(elastic yarn)을 꼬아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central interposition,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may be formed by twisting an elastic yarn.

그리고, 상기 신축성 얀은 폴리에스테르 얀(polyester yarn)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etchable yarn may be composed of a polyester yarn.

또한, 상기 차폐층과 상기 시스 사이에 추가 바인딩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binding t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hielding layer and the sheath.

이 경우, 상기 추가 바인딩테이프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ditional binding tape may be composed of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resin.

이 경우, 상기 시스는 튜브식(tube type) 압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eath may be formed by a tube type extrusion.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 단면의 중심 개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부코어; 상기 내부코어 외부를 바인딩하는 내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부코어; 상기 외부코어 외부를 바인딩하는 외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 및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구성되는 로봇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inner core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intervening circular cross-section; an inner binding tape for binding the inner core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outer core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inding tape; an external binding tape binding the outside of the outer core; a shield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and a shea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layer, wherein the inner binding tape and the outer binding tape are made of unsintered fluororesin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0.05 and 0.2. Provides a robot cable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에 따르면, 빈번하게 비틀림 또는 벤딩 등이 작용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내구성, 피로수명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bot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and fatigue lif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when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torsion or bending frequently a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에 따르면, 내구성이 향상되어, 산업 현장에서의 공정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정 중단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ble for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is improved, and si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cess interruption in the industrial si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due to the process interru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틀림 횟수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테이프와 종래 바인딩테이프를 적용한 경우에 마찰계수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Pull-out force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틀림 횟수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ble for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graphs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ist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comparing the difference in friction coefficient when the binding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binding tape are applied;
5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pull-out force of the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ist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robo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ble 100 for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용 케이블(100)은 중심 개재(20), 상기 중심 개재(20)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코어(10), 상기 중심 개재(20)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코어(1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재(22), 상기 내부코어(10)와 제1 개재(22)를 둘러싸서 바인딩(binding)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 바인딩테이프(30),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의 외측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코어(40),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재(50), 상기 외부코어(40)와 제2 개재(50)를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외부 바인딩테이프(32),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32)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60), 상기 차폐층(60)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robot cable 100 includes a central interposition 20 , at least one inner core 10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 and the inner core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vening 20 . (10) at least one first interposition 22 disposed between, and binding (binding) surrounding the inner core 10 and the first interposer 22, and an inner binding tape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30), at least one outer core 40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30, at least one second interposition 50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30, the outer core An external binding tape 32 that binds the 40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50 and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a shielding layer 6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32, and the shielding A sheath 70 provided outside the layer 60 is included.

상기 로봇용 케이블(100)에 있어서 상기 내부코어(10)는 외부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코어(40)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robot cable 100, the inner core 10 may be configured for communication to and from the outside, and the outer core 40 may be configured for power supplying power.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코어(10)는 복수의 제1 선재(12)가 미리 결정된 제1 피치(pitch)로 꼬여진 제1 도체(13)와, 상기 제1 도체(13)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절연층(14)을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inner core 10 includes a first conductor 13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wires 12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first pitch, an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conductor 13 . A first insulating layer 14 is provided.

상기 제1 선재(12)는 구리(copper)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선재(12)로 구성된 제1 도체(13)를 피복한 제1 절연층(140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ire 1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pper,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40 covering the first conductor 13 made of the first wire 12 is polyethylene (PE, PE, Polyethylene) or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etc.

그런데, 상기 내부코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선재(12)를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 상기 제1 선재(12)에 인장응력이 잔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코어(10)를 형성한 후에 상기 제1 선재(12)에 인장응력이 잔류하게 되면 인장의 예변형(tensile pre-strain)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제1 선재(12)의 항복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the first wire 12 is subjected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form the inner core 10 , a tensile stress may remain in the first wire 12 . As such, when the tensile stress remains in the first wire 12 after forming the inner core 10, it means that the tensile pre-strain is high, and in this case, the first wire 12 The yield strength of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it can be increased by 30% or more.

이와 같이, 상기 제1 선재(12)의 항복강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제1 선재(12)의 피로수명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제1 선재(12)에 크랙(crack)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선재(12)의 손상은 저항을 변화시키는 저항변화율(%)로 표시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yield strength of the first wire 12 is increased, the fatigue life of the first wire 12 is reduced, and damage such as a crack occurs in the first wire 12 . will do This damage to the first wire 12 can be expressed as a resistance change rate (%) that changes the resistance.

즉, 상기 저항변화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은 상기 제1 선재(12)에 크랙 등의 손상이 많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에는 단선에 이를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sistance change rate (%) is relatively high, it means that a lot of damage such as cracks has occurred in the first wire 12, and in severe cases, it may lead to disconne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틀림 횟수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내부코어(10)를 형성한 후에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1% 내지 30%에 대항하는 선재를 의미하며, 상기 비교예는 상기 내부코어(10)를 형성한 후에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30%를 초과하는 선재를 의미한다. 도 2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비틀림 횟수(x1000회)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저항의 변화율(%)을 도시한다.2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ist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is 1% to 30% after forming the inner core 10, 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after forming the inner core 10 It means a wire rod exceeding this 30%. In the graph of FIG. 2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twists (x1000 time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hange rate (%) of resistan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경우 비틀림 횟수가 10,000회를 넘어가는 경우에도 저항변화율이 대략 7%에 해당하여, 저항변화율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실시예의 선재의 경우 크랙 등의 손상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상기 실시예의 선재에 예변형이 상대적으로 적어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30% 이하, 즉, 1% 내지 30%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even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10,000 times, the resistance change rate corresponds to about 7%, so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is very small.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wire rod of the above embodiment, damage such as cracks is relatively small, which is also due to the relatively small pre-strain in the wire rod of the above embodiment, so that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is 30% or less, that is, 1% to 30% It can be seen that it corresponds to

반면에, 상기 비교예의 경우 비틀림 횟수가 10,000회를 넘어가는 경우 저항변화율이 대략 13% 이상에 해당하여, 저항변화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비교예의 선재의 경우 크랙 등의 손상이 상대적으로 매우 많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상기 비교예의 선재에 예변형이 상대적으로 많아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30%를 초과한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10,000 times, the resistance change rate corresponds to about 13% or more, indicating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is relatively large.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wire rod of the comparative example, damage such as cracks occurred relatively very much, and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exceeded 30% because the wire rod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d a relatively large pre-strain.

따라서, 상기 선재를 가공한 후에 예변형이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피로수명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선재를 가공한 후에 항복강도의 증가율 또는 저항변화율을 통해 간접적으로 피로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atigue life becomes longer as the pre-strain is relatively small after processing the wire rod, and the fatigue life can be predicted indirectly through the increase rate of yield strength or the rate of change of resistance after processing the wire rod.

따라서, 상기 선재를 가공한 후에 항복강도의 증가율 또는 저항변화율을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맞추어 정하게 되면 피로수명을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재를 가공한 후에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1% 내지 30%, 즉 30% 이하인 경우이거나, 또는 저항변화율이 1% 내지 25%, 즉 25% 이하인 경우를 임계치로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or the change rate of resistance is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fter processing the wire rod, the fatigue life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rease rate of yield strength is 1% to 30%, that is, less than 30%, or when the rate of change of resistance is 1% to 25%, that is, 25% or less after processing the wire rod, the threshold is set can

본 발명자는 선재의 저항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도 3은 그 결과를 도시한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an experiment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of the wire rod, and FIG. 3 shows the resul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틀림 횟수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는 복수의 선재가 미리 결정된 피치로 꼬여진 도체를 형성('집합타입')하고, 이러한 복수의 도체가 미리 결정된 피치로 다시 꼬여진 코어부를 형성('복합타입')한 후의 선재를 의미하며, 상기 비교예들은 복수의 선재가 미리 결정된 피치로 꼬여져 도체를 형성('집합타입')한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의 경우 전체 외경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3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ist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 plurality of wire rods form a conductor twisted at a predetermined pitch ('aggregate type'), and the plurality of conductors form a core part twisted at a predetermined pitch again ('composite type'). In the comparative examples, a plurality of wire rods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pitch to form a conductor ('aggregate type').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the entir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be the same.

이때, 비교예1은 선재의 피치가 빅교예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예1은 선재의 피치가 대략 18mm에 해당하며, 상기 비교예2는 선재의 피치가 대략 12mm에 해당한다. 도 3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비틀림 횟수(x1000회)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저항의 변화율(%)을 도시한다.In this case, Comparative Example 1 is formed such that the pitch of the wire rod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Big Bridge Example 2. For example,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pitch of the wire corresponds to about 18 mm, and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pitch of the wire corresponds to about 12 mm. In the graph of FIG. 3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twists (x1000 time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hange rate (%) of resistan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타입 및 복합타입을 거쳐 가공한 후의 실시예의 선재에 대한 비틀림 회수의 증가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살펴보면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wists for the wire rod of the embodiment after processing through the aggregate type and the composite type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s.

즉, 상기 실시예의 선재의 경우 비틀림 횟수가 10,000회를 넘어가는 경우에도 저항변화율(%)은 대략 12% 정도에 해당하여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wire rod of the above embodiment, even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10,000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12% and is very small.

반면에, 집합타입만을 거친 비교예 2의 선재의 경우에는 비틀림 횟수가 대략 2,000회를 넘어가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이 대략 25%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ire rod of Comparative Example 2 that passed through only the set type,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 exceeds about 25%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about 2,000 times.

한편, 상기 비교예 1의 선재의 경우에는 비틀림 회수가 10,000회를 넘어가는 경우에 저항변화율(%)이 대략 23%에 해당하여, 상기 비교예2에 비해서는 우수하지만 실시예에 비해서는 저항변화율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ire of Comparative Example 1,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10,000 times, the resistance change rate (%) corresponds to about 23%, which i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2, but the resistance change rate compared to the Example You can see this is bigger.

결국, 선재를 가공하는 경우에 집합타입 및 복합타입을 모두 거친 경우에 저항변화율이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집합타입만을 거친 경우에는 선재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저항변화율이 작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is relatively the smallest when both the aggregate type and the composite type are processed in the case of processing the wire ro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only the aggregate type is passed, the resistance change rate is small as the pitch of the wire rod is relatively lar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코어(10)의 제1 도체(13)는 집합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제1 선재(12)의 제1 피치는 상기 제1 도체(13)의 외경의 15배 내지 30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15배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선재(12)의 저항변화율이 25%를 초과하거나, 또는 항복강도의 증가율이 30%를 초과하게 된다. 반면에 전술한 30배보다 클 경우에는 피치가 너무 길어지게 되어 제1 도체(13)를 원형의 형상으로 적절하게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 the first conductor 13 of the inner core 10 may be formed in an aggregate type. In this case, the first pitch of the first wire 12 may correspond to 15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or 13 . When it is less than 15 times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change rate of the first wire 12 exceeds 25%, or the increase rate of the yield strength exceeds 30%. On the other hand, if it is greater than 30 times, the pitch becomes too long, so that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form the first conductor 13 in a circular shape.

즉, 상기 제1 선재(12)의 제1 피치가 전술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코어(10)의 제1 선재(12)의 항복강도 증가율은 1% 내지 30%에 해당하며, 저항변화율(%)은 1% 내지 25%에 해당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pitch of the first wire 12 falls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yield strength increase rate of the first wire 12 of the inner core 10 corresponds to 1% to 30%, and the resistance The rate of change (%) corresponds to 1% to 25%.

한편, 상기 내부코어(10)의 중앙부에는 중심 개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 개재(20)는 후술하는 제1 개재(22) 및 제2 개재(50)와 함께 상기 로봇용 케이블(100)의 원형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central interposition 20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re 10 .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serves to maintain the circular shape of the robot cable 100 together with the first intervening intervening 22 and the second intervening intervening 50 to be described later.

종래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기 개재를 구성하는 경우에 PVC 스트링(PVC string),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으로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ble, it is composed of a PVC string,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and the like when constituting the interposition.

종래 케이블의 경우 케이블에 벤딩 또는 비틀림이 작용하는 경우에 코어의 절연체와 개재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마찰이 발생하며, 이때, 상기 코어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응력이 작용하여 도체에 손상 또는 단선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ble, when bending or torsion is applied to the cable, friction occurs rather than slip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interposition of the core. Damage or disconnection may occur.

아래 [표 1]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50만회 비틀림 시험 후에 내부코어(10)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는 중심 개재(20), 제1 개재(22) 및 제2 개재(50)를 폴리에스테르 얀(polyester yarn)으로 이루어진 신축성 얀(elastic yarn)을 꼬아서 형성된 경우를 의미하며, 상기 비교예는 EPDM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내부코어1 내지 내부코어5는 도 1에 도시된 내부코어(10)에 임의적으로 번호를 부여한 것에 해당한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esistance of the inner core 10 after the torsion test of 500,000 tim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The above embodiment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the first intervening material 22, and the second intervening material 50 are formed by twisting an elastic yarn made of a polyester yarn, and the comparison The example shows the case formed by EPDM. The inner core 1 to the inner core 5 correspond to arbitrarily numbering the inner core 10 shown in FIG. 1 .

비교예의 저항(mΩ)Resistance of Comparative Example (mΩ) 실시예의 저항(mΩ)Resistance of the embodiment (mΩ) 내부코어1inner core 1 18.2718.27 7.17.1 내부코어2inner core 2 18.0518.05 7.67.6 내부코어3inner core 3 37.537.5 8.28.2 내부코어4inner core 4 16.0616.06 7.17.1 내부코어5inner core 5 28.0728.07 7.57.5

상기 [표 1]에서 임계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장소, 작업 공정, 고객사의 요청 등에 따라 변화가능하지만 대략 8.25 mΩ에 해당한다.In [Table 1], the threshold valu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cable is installed, the work process, the request of the customer, etc., but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8.25 mΩ.

이 경우, 상기 비교예의 경우 모든 내부코어의 저항값이 임계치 이상의 값을 가지게 되어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values of all internal cores have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thus the reference value is not satisfied.

반면에, 상기 실시예의 경우 최고 저항값이 8.2 mΩ에 해당하여 모두 기준치를 만족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개재가 신축성이 높은 얀(yarn)으로 구성되어 비틀림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내부코어로 상대적으로 적은 응력만을 전달하여 내부응력의 손상에 따른 저항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resistance value corresponds to 8.2 mΩ, which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ince the interposition is made of highly elastic yarn, even when torsion or the like is applied,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inner core,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damage to the internal stress.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중심 개재(20), 제1 개재(22) 및 제2 개재(50) 중에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 얀(elastic yarn)을 꼬아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축성 얀은 폴리에스테르 얀(polyester yar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the first interposition 22,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50 may be formed by twisting an elastic yarn, and the elastic yarn is a polyester yarn. (polyester yar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개재(20)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 개재(20)의 외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내부코어(10)와 제1 개재(22)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at least one inner core 10 and the first intervening intervening 22 are disposed along the outside of the central interposition 20 .

도면에서는 상기 내부코어(10)의 개수를 5개로 도시하고 상기 제1 개재(22)의 개수를 3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s, the number of the inner core 10 is shown as 5 and the numb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22 is shown as 3,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한편, 상기 내부코어(10)와 제1 개재(22)가 함께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제1 개재(22)는 상기 내부코어(10) 외경에 각각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ner core 10 and the first interposition 22 together form a circular shape, the first interposition 22 preferably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10 , respectively.

상기 내부코어(10)의 외경은 상기 로봇용 케이블(100)이 적용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개재(22)의 외경을 상기 내부코어(1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o which the robot cable 100 is applie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22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10 it is preferable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재(22)의 외경은 상기 내부코어(10)의 외경에 비하여 80% 내지 120%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22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80% to 120% of that of the inner core 10 .

상기 제1 개재(22)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되면 비틀림 작용 시에 내부코어(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내부코어(10)의 제1 도체(13)에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재(22)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너무 작게 되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If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22 is relatively larg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inner core 10 during a torsion action, and damage such as disconnection may occur in the first conductor 13 of the inner core 10 . have. In addition,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22 is relatively small, the circular shape cannot be achieved.

한편,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는 상기 내부코어(10)와 제1 개재(22)를 둘러싸서 바인딩하며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Meanwhile, the inner binding tape 30 surrounds and binds the inner core 10 and the first interposition 22 to maintain a circular shape.

종래 케이블의 경우에 부직포 또는 소결(sintered) 불소수지를 바인딩테이프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소결 불소수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강도 및 마찰계수가 높아서 케이블에 비틀림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 응력을 흡수하지 못하고 상기 응력을 내부의 코어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에 비틀림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 바인딩테이프와 내부코어의 마찰에 의해 내부코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ble, a nonwoven fabric or a sintered fluororesin was used as a binding tape. However, in the case of sintered fluororesin, the strength and coefficient of friction are relatively high, and thus, when torsion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cable, the stress cannot be absorbed and the stress is transferred to the inner core. In addition, when torsion or the like acts on the cable, it may cause damage to the inner cor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binding tape and the inner core.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는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윤활성이 강한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inding tape 30 may be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having a relatively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and strong lubricity.

예를 들어, 상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마찰 계수를 갖는 바인딩 테이프(30)는 케이블에 비틀림 인가시 부드러운 슬립이 가능하게 되어 바인딩 테이프와 외부코어(40)의 마찰 손상을 최소화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nsintered fluororesin may be made of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resin.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ner binding tape 3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0.05 and 0.2. The binding tape 30 having such a coefficient of friction enables smooth slipping when torsion is applied to the cable, thereby minimizing frictional damage between the binding tape and the outer core 40,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cab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테이프(B)와 종래 바인딩테이프를 적용한 경우(A)에 마찰계수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4 is a graph comparing the difference in friction coefficient in the case of applying the binding tap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binding tape (A).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테이프(B)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며, 종래 바인딩테이프를 적용한 경우(A)는 소결(sintered) 불소수지를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다.In Figure 4, the binding tap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ase composed of unsintered PTFE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and a case where the conventional binding tape is applied (A) shows a case where a sintered fluororesin is appli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바인딩테이프를 적용한 경우(A)에 마찰계수가 대략 0.146μ에 해당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테이프(B)는 0.092μ에 해당하여 대략 37%의 마찰계수의 감소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ventional binding tape is applied (A), the friction coefficient corresponds to about 0.146 μ, whereas the binding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corresponds to 0.092 μ, which is a friction coefficient of about 37%. It can be seen that a decrease in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Pull-out force(N)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of the pull-out force (N) of th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도 5에서 실시예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내부 바인딩테이프(30)를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며, 비교예는 소결(sintered) 불소수지를 바인딩테이프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Pull-out force는 내부코어를 잡아당기는(pull out) 경우에 외부코어와의 마찰에 의해 소요되는 힘(N)으로 정의된다. 즉, Pull-out force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내부 바인딩테이프(30)에 의해 내부코어와 외부코어 사이에 마찰력이 큰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Pull-out force가 상대적으로 작을록 내부 바인딩테이프(30)에 의해 내부코어와 외부코어 사이에 마찰력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상기 내부코어를 뽑아낸 길이(mm)를 도시하며, 세로축은 소용되는 힘(N)을 도시한다.5, the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he inner binding tape 30 is made of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resi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shows a case where a sintered fluororesin is used as the binding tape. In addition, the pull-out force is defined as a force (N) required by friction with the outer core when the inner core is pulled out. That is, as the pull-out force is relatively larg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by the inner binding tape 30 is greater. It means tha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is small. In FIG. 5 ,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length (mm) from which the inner core is pulled out,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applied force (N).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비교예의 경우 상기 내부코어를 뽑아내는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소요되는 힘이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코어를 뽑아낸 길이가 대략 100mm에 해당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힘은 대략 30 내지 35 N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force required for pulling out the inner core decreases as the length of pulling out the inner core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length from which the inner core is pulled out corresponds to about 100 mm, it can be seen that the required force corresponds to about 30 to 35 N.

반면에 상기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교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요되는 힘이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코어를 뽑아낸 길이가 대략 100mm에 해당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힘은 대략 15 N에 해당하여, 비교예에 비해 대략 50% 내지 57%의 힘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force required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length from which the inner core is pulled out corresponds to about 100 mm, the force required corresponds to about 15 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orce is reduced by about 50% to 57%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전력통신케이블(100)의 경우에는 잦은 이동으로 인해 비틀림, 벤딩 등이 빈번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Pull-out force가 작을수록 내부 바인딩테이프(30)에 의해 내부코어와 외부코어 사이에 마찰력이 작게 되어 내구성 및 피로수명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ower communication cable 100 for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isting, bending, etc. frequently act due to frequent movement, the smaller the pull-out force is, the smaller the pull-out force is between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by the inner binding tape 30 . It can be seen that the frictional force is small, which is advantageous for durability and fatigue life.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3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코어(4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개재(50)를 구비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at least one outer core 40 and at least one second interposition 50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30 .

이때, 상기 외부코어(40)는 전술한 집합 및 복합타입의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core 40 may be formed by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aggregate and complex types.

예를 들어, 상기 외부코어(40)는 복수의 제2 선재(42)가 미리 결정된 제2 피치로 꼬여진 제2 도체(43)와, 상기 복수의 제2 도체(43)가 미리 결정된 제3 피치로 꼬여진 코어부(45)와, 상기 코어부(45)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절연층(44)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core 40 may include a second conductor 43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wire rods 42 are twisted at a second predetermined pitch, and a third third conduc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43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second pitch. It may include a core part 45 twisted at a pitch,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44 provided outside the core part 45 .

이때,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2 도체(43)의 외경의 15배 내지 50배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피치는 상기 코어부(45)의 외경의 10배 내지 30배에 해당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pitch corresponds to 15 to 5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nductor 43 , and the third pitch corresponds to 10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part 45 .

또한, 상기 제2 선재(42)의 제2 피치 및 제3 피치가 전술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코어(40)의 제2 선재(42)의 항복강도 증가율은 1% 내지 30%에 해당하며, 저항변화율(%)은 1% 내지 25%에 해당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pitch and the third pitch of the second wire 42 fall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s, the yield strength increase rate of the second wire rod 42 of the outer core 40 is 1% to 30%. The resistance change rate (%) corresponds to 1% to 25%.

한편, 상기 제2 개재(50)는 상기 외부코어(40)의 외경에 각각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개재(50)의 외경은 상기 외부코어(40)의 외경에 비하여 80% 내지 120%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nterposition 50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core 40 ,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interposition 50 is 80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core 40 . % to 120% of the outer diameter.

또한, 상기 제2 개재(50)는 신축성 얀(elastic yarn)을 꼬아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축성 얀은 폴리에스테르 얀(polyester yar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position 50 may be formed by twisting an elastic yarn, and the elastic yarn may be formed of a polyester yarn.

이러한 상기 제2 개재(5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개재(22)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interposition 50 is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interposition 22 , a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면에서는 상기 외부코어(40)의 개수를 8개로 도시하고 상기 제2 개재(50)의 개수를 1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s, the number of the outer core 40 is shown as 8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interposition 50 is shown as 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한편, 외부 바인딩테이프(32)는 상기 외부코어(40)와 제2 개재(50)를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32)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binding tape 32 binds the outer core 40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50, and is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In this case, the unsintered fluororesin may be made of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resin, and the external binding tape 32 may have a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0.05 and 0.2.

이러한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3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부 바인딩테이프(30)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32 is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internal binding tape 30 described above, a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32)의 외측에는 차페층(60)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층(60)은 구리, 알루미늄 및 구리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료를 적용하여 금속 테이프 형태이거나 금속 편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폐층(60)은 전자파 차폐에 의한 통신 케이블의 통신특성 유지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shield layer 6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32 . The shielding layer 60 may be formed of a metal tape or metal braid by applying a material such as copper, aluminum, a copper alloy, or an aluminum alloy. The shielding layer 60 function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cable by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or to protect the cable from external impact.

한편, 상기 차폐층(60)의 외측에는 시스(70)를 구비한다. 상기 시스(70)의 이동용 전력통신케이블(100)의 최외부층을 담당하며, 전술한 내부 구성품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외부 충격에서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shielding layer 60 is provided with a sheath (70). It is responsible for the outermost layer of the power communication cable 100 for movement of the sheath 70, prevents the aforementioned internal component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serves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이때, 종래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기 시스를 압출하는 경우에 충실식으로 압출하여 성형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압출 후에 내부의 도체 또는 차폐층에 시스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ble, in the case of extruding the sheath, it was faithfully extruded and molded, but this method entails a problem in that the conductor or shielding layer inside is pressed by the sheath after extrus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스(70)를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 튜브식(tube type) 압출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시스(70)를 튜브 형태로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내부 구성품을 상기 시스(70)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압출을 하는 공정으로, 압출 후에 내부의 도체 또는 차폐층에 시스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eath 70 is extrusion-molded, it is molded by a tube type extrusion. It is a process of extruding while inserting internal components into the inside of the sheath 70 in a state in which the sheath 70 is prepared in advance in the form of a tube. can be preven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층(60)과 상기 시스(70) 사이에 추가 바인딩테이프(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인딩테이프(3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로봇용 케이블(100)에 비틀림 또는 벤딩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 내부 마찰력을 보다 줄일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 an additional binding tape 34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hielding layer 60 and the sheath 70 . By providing the additional binding tape 34,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internal frictional force when torsion or bending acts on the robot cable 100.

이 때, 상기 추가 바인딩테이프(34)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지며,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지게 된다. 상기 추가 바인딩테이프(34)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부 바인딩테이프(30) 및 외부 바인딩테이프(32)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생략한다.At this time, the additional binding tape 34 is made of unsintered PTFE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and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0.05 and 0.2.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dditional binding tape 34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inner binding tape 30 and the external binding tape 32, a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틀림 횟수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rate (%)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ist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실시예는 전술한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케이블에 해당하며, 비교예는 개재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EPDM을 적용하며, 바인딩테이프로 소결 불소수지를 적용하며, 시스를 충실식 압출에 의해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6에서 가로축은 비틀림 횟수(x1000회)를 도시하며, 세로축은 저항변화율(%)을 도시한다.In FIG. 6,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cabl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 described abov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pplies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or EPDM as an intervening, and applies a sintered fluororesin as a binding tape, and a sheath is formed by solid extrusion. In FIG. 6 ,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number of twists (x1000 times),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resistance change rate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케이블의 경우에는 비틀림 횟수가 대략 20,000 내지 25,000회에 이른 경우에 저항변화율이 기준치인 25%를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in the case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change rat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f 25% when the number of twists reaches approximately 20,000 to 25,000 times.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경우에 비틀림 횟수가 500,000회를 넘어서는 경우에도 저항변화율이 5.0%를 넘지 않아 기준치인 25%보다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500,000, the resistance change rate does not exceed 5.0%, which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There will be.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ll of them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내부코어
20 : 중심 개재
22 : 제1 개재
30 : 내부 바인딩테이프
32 : 외부 바인딩테이프
34 : 추가 바인딩테이프
40 : 외부코어
50 : 제2 개재
60 : 차폐층
70 : 시스
100 : 로봇용 케이블
10: inner core
20: center intervening
22: first interposition
30: inner binding tape
32: external binding tape
34: additional binding tape
40: outer core
50: second interposition
60: shielding layer
70: sheath
100: cable for robot

Claims (14)

중심 개재;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는 복수의 내부코어;
상기 중심 개재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재;
상기 내부코어와 제1 개재를 접촉한 상태로 둘러싸서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둘러싸는 복수의 외부코어;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재; 상기 외부코어와 제2 개재를 바인딩하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외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코어는 복수의 제1 선재가 미리 결정된 제1 피치로 꼬여진 제1 도체와, 상기 제1 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제1 도체의 외경의 15배 내지 30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central intervening;
a plurality of inner cores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at least one first interposition surrounding the central interposi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cores;
an inner binding tape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which binds by surrounding the inner core and the first interposition in a contact state;
a plurality of outer cores surrounding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inding tape;
at least one second interpositi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inding tape; an external binding tape binding the outer core to the second interposition and made of an unsintered fluororesin; a shield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and, a shea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layer;
The inner core includes a first conducto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wires are twisted at a predetermined first pitch,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conductor, wherein the first pitch is equal to that of the first conductor. A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15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코어는 복수의 제2 선재가 미리 결정된 제2 피치로 집합되어 꼬여진 제2 도체와, 상기 복수의 제2 도체가 미리 결정된 제3 피치로 복합되어 꼬여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2 도체의 외경의 15배 내지 50배에 해당하며, 상기 제3 피치는 상기 코어부의 외경의 10배 내지 30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ore includes a second conductor twis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econd wire rods at a second predetermined pitch, a core part twist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with a third predetermined pitch, and an outer side of the core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Robot cabl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코어 및 외부코어의 상기 제1 선재 및 제2 선재는 항복강도 증가율이 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yield strength increase rat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is 1% to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unsintered (unsintered) fluororesin is a robot cab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unsintered PTFE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와 외부 바인딩테이프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binding tape and the outer binding tape have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0.05 and 0.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재와 제2 개재는 상기 내부코어와 외부코어의 외경에 각각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have outer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respective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재와 제2 개재의 외경은 상기 내부코어와 외부코어의 외경에 비하여 80% 내지 120%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is a robot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er diameter of 80% to 120%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개재, 제1 개재 및 제2 개재 중에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 얀(elastic yarn)을 꼬아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central interposition, the first interposition, and the second interposition is formed by twisting an elastic yar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얀은 폴리에스테르 얀(polyester yar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astic yarn is a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lyester ya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과 상기 시스 사이에 추가 바인딩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Robot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binding tape between the shielding layer and the shea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인딩테이프는 비소결 PTFE(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dditional binding tape is a robot cab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unsintered PTFE (Unsintered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는 튜브식(tube type) 압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sheath is a cable for a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extrusion of a tube type.
원형 단면의 중심 개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선재가 외경의 15배 내지 30배의 피치로 꼬여진 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내부코어; 상기 내부코어 외부를 접촉한 상태로 바인딩하는 내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부코어; 상기 외부코어 외부를 바인딩하는 외부 바인딩테이프;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에 구비되는 시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인딩테이프 및 상기 외부 바인딩테이프는 0.05 내지 0.2 사이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비소결(unsintered) 불소수지로 구성되는 로봇용 케이블.a plurality of inner core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intervening co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plurality of inner cores having a conductor twisted at a pitch of 15 to 30 times the outer diameter and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an inner binding tape for binding the inner core outside in a contact state; a plurality of outer core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inding tape; an external binding tape for binding the outside of the outer core; a shielding lay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binding tape; and a shea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layer, wherein the inner binding tape and the outer binding tape are made of unsintered fluororesin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0.05 and 0.2.
KR1020170067918A 2017-05-31 2017-05-31 Movable Robot Cable Active KR102348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18A KR102348281B1 (en) 2017-05-31 2017-05-31 Movable Robot Cable
CN201780090794.7A CN110663092B (en) 2017-05-31 2017-10-25 Robot cable
PCT/KR2017/011830 WO2018221793A1 (en) 2017-05-31 2017-10-25 Cable for robot
JP2019562583A JP2020520068A (en) 2017-05-31 2017-10-25 Robot cable
EP17911707.2A EP3633692B1 (en) 2017-05-31 2017-10-25 Cable for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18A KR102348281B1 (en) 2017-05-31 2017-05-31 Movable Robot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19A KR20180131219A (en) 2018-12-10
KR102348281B1 true KR102348281B1 (en) 2022-01-06

Family

ID=6445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18A Active KR102348281B1 (en) 2017-05-31 2017-05-31 Movable Robot Cab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33692B1 (en)
JP (1) JP2020520068A (en)
KR (1) KR102348281B1 (en)
CN (1) CN110663092B (en)
WO (1) WO201822179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48A (en) * 2022-03-30 2023-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ductor for acoustic cable and acoustic cable includ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28A (en) * 2005-12-20 2007-07-05 Hitachi Cable Ltd Ultra-fine insulated wire and coaxial cab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ulti-core cable using the same
WO2016084112A1 (en) * 2014-11-25 2016-06-0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Composit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314U (en) * 1979-12-18 1981-07-23
JPS5864012U (en) * 1981-10-23 1983-04-30 日立電線株式会社 Multi-core cable with flexible shield braid
DE3151235A1 (en) * 1981-12-21 1983-06-3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LEXIBLE ELECTRICAL LINE
JPS63125312U (en) * 1987-02-09 1988-08-16
DE4004802A1 (en) * 1990-02-13 1991-08-14 Siemens Ag ELECTRIC CABLE WITH TRAGORGAN AND TWO CONCENTRICALLY LADERS
JPH05298943A (en) * 1992-04-17 1993-1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mposite cable
US5408560A (en) * 1993-02-26 1995-04-18 N.V. Bekaert S.A. Tensile member for communication cables
US6117083A (en) * 1996-02-21 2000-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Ultrasound imaging probe assembly
JP2003007145A (en) * 2001-06-20 2003-01-10 Mitsubishi Cable Ind Ltd Coaxial cable
JP2007179985A (en) * 2005-12-28 2007-07-12 Junkosha Co Ltd Coaxial cable
CN101667473A (en) * 2008-09-04 2010-03-10 尼克桑斯公司 Flexible wire
JP5322755B2 (en) * 2009-04-23 2013-10-23 日立電線株式会社 cable
JP2012146591A (en) * 2011-01-14 2012-08-02 Sumitomo Electric Ind Ltd Multicor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1320B1 (en) * 2011-05-03 2013-05-07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Optical electrical hybrid cable
CN102568680A (en) * 2012-03-14 2012-07-11 四川川东电缆有限责任公司 Wind energy cab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207142B2 (en) * 2012-10-01 2017-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wire
JP2014191883A (en) * 2013-03-26 2014-10-06 Hitachi Metals Ltd LAN cable
CN203536074U (en) * 2013-11-11 2014-04-09 安徽金光神特种电缆有限公司 Medical photoelectric composite cable
CN104036874B (en) * 2014-05-22 2017-01-11 江苏亨通线缆科技有限公司 Shielded flexible cable for robot
CN104036869B (en) * 2014-05-22 2017-05-31 江苏亨通线缆科技有限公司 Stretch-proof endurance type shields soft data cable
JP6245082B2 (en) * 2014-06-05 2017-12-13 日立金属株式会社 Multi-pair cable
KR102244221B1 (en) * 2014-06-05 2021-04-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Optical power signal cable
CN104240818B (en) * 2014-09-03 2016-07-06 苏州科宝光电科技有限公司 The high flexible cable of Tomography medical apparatus and instruments
JP6114331B2 (en) * 2015-04-06 2017-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Bending resistant wire and wire harness
US10043599B2 (en) * 2015-04-24 2018-08-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ulti-core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28A (en) * 2005-12-20 2007-07-05 Hitachi Cable Ltd Ultra-fine insulated wire and coaxial cab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ulti-core cable using the same
WO2016084112A1 (en) * 2014-11-25 2016-06-0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Composit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19A (en) 2018-12-10
JP2020520068A (en) 2020-07-02
WO2018221793A1 (en) 2018-12-06
EP3633692A4 (en) 2021-02-24
CN110663092A (en) 2020-01-07
EP3633692A1 (en) 2020-04-08
EP3633692B1 (en) 2023-07-26
CN110663092B (en)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548B2 (en) Coaxial cable
KR101929582B1 (en) compressed conductor, cab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893496B2 (en) coaxial cable
JP2019102120A (en) Cable with braided shield
JP2019096628A (en) coaxial cable
JP6746438B2 (en) Shielded wire and wire harness
KR102414530B1 (en) Cable provided with braided shield
US7872199B2 (en) Electrical cable
JP7640216B2 (en) Communication Cable
KR102348281B1 (en) Movable Robot Cable
WO2018043392A1 (en) Cable
JP2021082488A (en) Multicore cable
KR102735852B1 (en) Cable for robot having an excellent durability
CN218414009U (en) Flexible cable
JP2019102424A (en) Cable with braided shield
EP2807399B1 (en) Chinese finger attached to steel cord with solder
JP6504489B2 (en) coaxial cable
KR102579741B1 (en) Insulated wire, and multi-core cable
JP7334629B2 (en) Twisted pair cable and multicore cable
JP7540413B2 (en) Coaxial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722675B1 (en) Cable having an excellent flexibility
JP2025036037A (en) cable
KR20230159659A (en) Moving Cable unit
CN115274187A (en) a flexible cable
KR20230147305A (en) Cable for robots with carbon fiber shield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