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8253B1 -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 Google Patents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53B1
KR102348253B1 KR1020210082119A KR20210082119A KR102348253B1 KR 102348253 B1 KR102348253 B1 KR 102348253B1 KR 1020210082119 A KR1020210082119 A KR 1020210082119A KR 20210082119 A KR20210082119 A KR 20210082119A KR 102348253 B1 KR102348253 B1 KR 10234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pper pipe
pipe
head suppor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21008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바리용 고정유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하는 동바리를 적용하여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멍에 및 장선의 수평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는 내부에 나사관부가 형성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나사관부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의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의 상단에 안착결합된 바닥판부가 형성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과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상부 외주연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부가 구비된 헤드받침부와 상기 헤드받침부의 바닥판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수평판부가 구비하되 상기 수평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 끝단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측면부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절곡되어 상기 수평판부 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날개편이 구비된 유격제와 상기 유격제의 수평판부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 내설되는 중심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Fixing control device for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동바리용 고정유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하는 동바리를 적용하여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멍에 및 장선의 수평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동바리용 고정유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기까지 그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사용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파이프 형상의 건축용 서포트가 사용되고, 이 건축용 서포트는 공사현장에 다수개가 사용됨으로써, 공사 중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과다한 상판 구조물의 압축하중을 균일한 분포하중으로 흡수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상, 하의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d)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래브를 시공하여야 할 부분의 하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 시공과정에서 장선 및 멍에목과 같은 가설빔(Beam)들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상기 가설빔들의 하부를 동바리들이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설빔들의 지지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동바리는 일반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이러한 건축용 동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을 중심으로 한쪽은 오른나사(1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왼 나사(13)가 형성된 스크루 봉(10)과 상기의 스크루 봉(10)의 오른나사(12)와 맞물리는 오른나사(21)가 형성되고 단턱(22)이 형성된 부재내입부(23)를 형성한 제1몸체(20)와 상기의 제1몸체(20)의 부재 내입부(23)에 삽입되어 단턱(22)에 고정되는 버팀 부재(30)와 상기의 버팀 부재(30)가 내입되어 고정되는 단턱(41)을 형성한 부재 내입부(42)와 볼트 공(43)을 형성한 제2몸체(40)와 상기의 스크루 봉(10)의 왼 나사(13)와 맞물리는 왼 나사(51)가 형성되고 단턱(52)이 형성된 부재 내입부(53)를 형성한 제1몸체(50)와 상기의 제1몸체(50)의 부재 내입부(53)에 삽입되어 단턱(52)에 고정되는 버팀 부재(30)와 상기의 버팀 부재(30)가 내입되어 고정되는 단턱(61)을 형성한 부재 내입부(62)와 볼트 공(63)을 형성한 제2몸체(60)로 구성되어, 스크루 봉(10)의 회전을 통하여 제2 몸체(40)(60)의 간격이 조절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동바리에 따르면, 스크루 봉(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몸체(20)에 결합된 버팀부재(30)가 상승하거나 하강시킨 후 상기 제2몸체(40)에 멍에목 또는 장선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가설빔(장선 또는 멍에목)을 지지하는 제2몸체에 안착되는 장선 또는 멍에목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충격에 의해 동바리의 중심축으로 부터 이격되어 안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고, 또한 멍에목 또는 장선을 고정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2009-00033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되는 것으로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 또는 장선을 흔들림 없이 수평, 높이,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므로써 시공시간 단축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 할 수 있어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나사관부가 형성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나사관부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의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의 상단에 안착결합된 바닥판부가 형성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과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상부 외주연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부가 구비된 헤드받침부와 상기 헤드받침부의 바닥판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수평판부가 구비하되 상기 수평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 끝단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측면부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절곡되어 상기 수평판부 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날개편이 구비된 유격제와 상기 유격제의 수평판부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 내설되는 중심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용 고정유격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부파이프의 상단측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핀부의 측면부에 내설통공이 형성하되 상기 내설통공 양측단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는 걸림바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핀부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 또는 장선을 설치시 흔들림 없이 수평, 높이,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므로써 시공시간 단축 및 안정성을 확보하므로써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격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유격제를 나타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유격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7b는 도 6에 대한 실시예.
도 8a,8b는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1a,11b는 도 10에 대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1)는 내부에 나사관부가 형성된 하부파이프(100)와 상기 하부파이프(100)의 나사관부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파이프(200)와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300)로 이루어진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중심부에 삽입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상단에 안착결합된 바닥판부(12)가 형성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과 연통된 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부(12)의 양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부(14)가 구비된 헤드받침부(10)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에 안착되도록 수평판부(22)가 구비하되 상기 수평판부(22)의 양측단에는 수용공간부(22-2)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4)의 상단 끝단에는 상기 헤드받침부(10)의 측면부(14)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절곡된 날개편(26)이 구비된 유격제(20)와 상기 유격제(20)의 수평판부(22)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헤드받침부(10)의 통공(12-2)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에 내설되는 중심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유격제(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로 안착시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을 가압하여 내설함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멍에목 또는 장선이 내설시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이 상기 헤드받침부(10)의 측면부(14)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내설된 멍에목 또는 장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로 유입시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이 상기 헤드받침부(10)의 측면부(14)를 지지하는데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편(26-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 끝단에 지지편(26-2)이 더 구비되어 상기 헤드받침부(10)의 측면부(14)과 맞닿은 면적을 크게하므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에 안착되어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삽입되는 멍에목 또는 장선을 더욱더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유격제(20)의 날개편(26)은 상기 유격제(20)의 수평판부(22) 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L1)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면부(12)로 유입되어 안착시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이 상기 유격제(20)의 수평판부(22) 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L1)되어 이루어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멍에목 또는 장선을 내설하여 하부로 가압하면 상기 유격제(20)의 수평판부(22)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면부(12)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유격제(20)의 날개편(26)이 내측 가압되므로써 더욱더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내설된 멍에목 또는 장선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어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 중심부에 안착시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에 구비된 중심핀부(3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에 형성된 통공(12-2)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에 내설되는 구조로써 상기 중심핀부(30)는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 중심부에 내설되도록 유도되는 것으로 보다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 중심부에 위치함과 이동되지 않도록 도 8a,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과 연통된 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핀부(30)의 측면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통공(220)과 상기 중심핀부(30)의 관통공(32)을 관통공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결합핀(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격제(20)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동바리 중심축으로 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과 연통된 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핀부(30)의 측면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통공(220)과 상기 중심핀부(30)의 관통공(32)을 관통공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결합핀(40)으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멍에 또는 장선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심핀부(30)의 관통공(32)과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통공(220)에 삽입되는 결합핀(40)에 의해 상기 유격제(20)이 고정될 수 있으나 다른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에 형성된 통공(12-2) 상부 외주연에는 결합공(12-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유도부재(20)의 수평판부(22) 하부에 돌기부(2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받침부(10)의 바닥판부(12)으로 상기 유도부재(20)가 내설되며 상기 유도부재(20)의 수용공간부(22-2)로 멍에 또는 장선이 내설되며 상기 유도부재(20)가 하부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유도부재의 돌기부(22-4)가 상기 헤드받침부(10)의 결합공(12-4)에 체결결합되어 고정하므로써 보다 용이하게 동바리 중심축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격제(20)가 상기 헤드받침부(10)에 고정됨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체결결합되어 작업의 편리함을 증대 및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상단측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00) 의 삽입공(210)과 연통된 관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에는 단턱부(220-2)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핀부(30)의 측면부에 내설통공(34)이 형성하되 상기 내설통공(34) 양측단에는 힌지축(36)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36)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는 걸림바(38)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핀부(30)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에 형성된 단턱부(220-2)에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축(36)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걸림바(38)는 상기 중심핀부(30)이 상,하로 이동시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관통공(220)으로부터 이탈 및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36-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멍에 또는 장선을 내설시 상기 유격제(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으로 유입된 상기 중심핀부(30)의 걸림바(38)가 회동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200)의 관통공(220)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유격제(20)를 고정시키며,
이와 반대로 상기 유격제(20)의 수용공간부(22-2)에 멍에 또는 장선을 이탈시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핀부(30)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50)에 의해 상승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파이프(200)의 관통공(220)에 체결결합된 상기 중심핀부(30)의 걸림바(38)가 회동하여 상기 상부파이프(200)의 삽입공(210)으로 유입되어 손쉽게 유격제를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바리용 고정유격제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되는 멍에 또는 장선을 설치시 흔들림 없이 수평, 높이,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므로써 시공시간 단축 및 안정성을 확보하므로써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10 : 헤드받침부 12 : 바닥판부
12-2 : 통공 12-4 : 결합공
14 : 측면부
20 : 유격제 22 : 수평판부
22-2 : 수용공간부 22-4 : 돌기부
24 : 측면부
26 : 날개편 26-2 : 지지편
30 : 중심핀부 32 : 관통공
34 : 내설통공 36 : 힌지축
36-2 : 탄성스프링 38 : 걸림바
40 : 결합핀 50 : 탄성스프링
100 : 하부파이프 200 : 상부파이프
210 : 삽입공 220 : 통공
220-2 : 단턱부 300 : 조절나사부

Claims (6)

  1. 내부에 나사관부가 형성된 하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의 나사관부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파이프와 상기 상부파이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의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의 상단에 안착결합된 바닥판부가 형성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과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상부 외주연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부가 구비된 헤드받침부와;
    상기 헤드받침부의 바닥판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수평판부가 구비하되 상기 수평판부의 양측단에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 끝단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측면부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절곡되어 상기 수평판부 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날개편이 구비된 유격제와;
    상기 유격제의 수평판부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헤드받침부의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 내설되는 중심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의 상단측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핀부의 측면부에 내설통공이 형성하되 상기 내설통공 양측단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는 걸림바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핀부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파이프의 삽입공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KR1020210082119A 2021-06-24 2021-06-24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Active KR10234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19A KR102348253B1 (ko) 2021-06-24 2021-06-24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19A KR102348253B1 (ko) 2021-06-24 2021-06-24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53B1 true KR102348253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119A Active KR102348253B1 (ko) 2021-06-24 2021-06-24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648A (ko) * 2022-10-07 2024-04-16 동아종합안전 주식회사 동바리용 지지고정유격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322A (ko) 2006-05-25 2009-0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제어 장치
JP2010168859A (ja) * 2009-01-26 2010-08-05 For Build Co Ltd サポート設置金物
KR20140057034A (ko) * 2012-11-02 2014-05-12 도원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101843315B1 (ko) * 2017-07-11 2018-03-29 김명수 동바리용 헤드 유격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322A (ko) 2006-05-25 2009-0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제어 장치
JP2010168859A (ja) * 2009-01-26 2010-08-05 For Build Co Ltd サポート設置金物
KR20140057034A (ko) * 2012-11-02 2014-05-12 도원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101843315B1 (ko) * 2017-07-11 2018-03-29 김명수 동바리용 헤드 유격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648A (ko) * 2022-10-07 2024-04-16 동아종합안전 주식회사 동바리용 지지고정유격제
KR102744495B1 (ko) * 2022-10-07 2024-12-19 동아종합안전 주식회사 동바리용 지지고정유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783B2 (en) Tie rod for structural projects
KR102348253B1 (ko)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US10612263B2 (en) Columnic actuated spring loader system
CN114150773B (zh) 一种混凝土预埋件加固结构
KR102218166B1 (ko) 철근받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8293B1 (ko)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KR101705202B1 (ko) 폭 조절이 용이한 유헤드 어셈블리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110007618U (ko) 건축용 동바리의 드롭 헤드 서포터
KR10225067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KR102503438B1 (ko)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JP4899210B2 (ja) すべり支承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ならびに免震構造物
KR200498509Y1 (ko) 난간 지주대
KR20050103140A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JP4704851B2 (ja) クレーンの基礎免震受け梁構造
KR102744495B1 (ko) 동바리용 지지고정유격제
KR100880250B1 (ko)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CN205382607U (zh) 一种空心板模方盒固定支架
KR102000619B1 (ko) 인도교의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3765086B2 (ja) Pc基礎部材据付位置調整治具
CN218667615U (zh) 具有定位结构的装配式建筑模具浇筑承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