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695B1 -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7695B1 KR102347695B1 KR1020210070261A KR20210070261A KR102347695B1 KR 102347695 B1 KR102347695 B1 KR 102347695B1 KR 1020210070261 A KR1020210070261 A KR 1020210070261A KR 20210070261 A KR20210070261 A KR 20210070261A KR 102347695 B1 KR102347695 B1 KR 102347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kler
- fire extinguishing
- pattern hole
- pattern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소형 배터리모듈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모듈의 직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집중적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kler nozzle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 battery module that enables early extinguishing of a fire by intensivel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hrough a nozzle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battery module when a fire occurs in a small battery module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이온배터리(LiB) 등의 소형 배터리모듈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모듈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집중적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fire suppression sprinkler nozzle that can extinguish a fire early by intensivel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hrough a nozz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module when a fire occurs in a small battery module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LiB). it's about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In general, a sprinkler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so that when a fire occurs, a sprinkler can be sprayed to suppress the fire at an early stage.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상 건물의 천장 내부를 따라 구비된 메인배관에 연결되는 배관 연결구와, 상기 배관 연결구의 끝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그 끝단이 천장을 관통하여 실내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rinkler facility includes a pipe connector connected to the main pipe provided along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a sprinkler head tha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pe connector and the end is exposed to the interior through the ceiling. may include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9890호(공개일: 2007.06.12.)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For such sprinkler equipment, a prior application has been made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59890 (published on June 12, 2007) and the like.
이 경우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의 끝단에 결합되어 소화수를 소정범위로 살수하는 원형의 노즐(디플렉터)은 되도록 넓은 살수 반경을 얻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되었다.In this case, a circular nozzle (deflector) that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conventional sprinkler head and sprays fire extinguishing water in a predetermined range was used when it was necessary to obtain a spraying radius as wide as possible.
그러나 리튬이온배터리와 같은 소형 배터리모듈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조기에 진압해야 하는데, 종래 원형의 노즐이 적용된 스프링클러는 소화수의 집중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fire occurs in a small battery module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it is necessary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However, the conventional sprinkler to which a circular nozzle is applie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tensively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에서 화재 발생 시 소화수를 집중적으로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데 적합한 스프링클러용 노즐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prinkler nozzle suitable for extinguishing a fire at an early stage by intensivel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when a fire occurs in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소형 배터리모듈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모듈의 직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집중적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fire occurs in a small battery module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fire extinguishing water is intensively sprayed through a nozzle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battery module so that the fire can be extinguished earl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prinkler nozzle for one battery module fire suppress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은, 급수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소정범위로 살수하는 스프링클러 노즐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수구에 구비된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소화수의 살수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출수구의 중심축 선상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체결공 주위에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소정범위로 살수하는 살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fire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prinkler nozzle for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a support provided at the water outlet of the sprinkler is provided. a body por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prinkling dir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as a medium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so as to be fastened on a central axis line of the water outlet; and a watering uni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of the body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outlet in a predetermined range.
이 경우 상기 몸체부와 살수부는, 상기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도록 사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and the water spraying portion may include those formed in a square or polygonal shap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intensively spray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패턴홀; 및 상기 제1패턴홀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 폭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패턴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ing unit may include: first pattern holes form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holes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hole.
또한 상기 제1패턴홀의 길이는, 상기 제2패턴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ength of the first pattern hole may be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second pattern hole.
또한 상기 제1패턴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은, 상기 제2패턴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과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patter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ligned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patter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패턴홀의 폭은, 상기 지지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상기 지지대를 거친 후 상기 제1패턴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irst pattern hol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so that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outlet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attern hole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또한 상기 몸체부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의 이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disposed elongated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or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은,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소형 배터리모듈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모듈의 직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The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fire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by intensivel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nozzle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battery module when a fire occurs in a small battery module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Fire can be extinguished early.
특히, 본 발명은 소화수의 살수 반경을 좁히는 대신 소화수의 살수 밀도를 높여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의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narrowing the sprinkling radius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he sprinkling dens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increased to intensively sprinkling, thereby effectively responding to a fire in the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이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다른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스프링클러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이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for fire suppression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 sprinkler in which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nother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ottom view of the sprinkler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ure 6;
8 is a plan view of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of a sprinkler in which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mark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노즐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for fire suppression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prinkl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급수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몸체부(110), 살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1 , th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스프링클러(10)의 출수구(11)에 구비된 지지대(13)를 매개로 소화수의 살수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이러한 상기 몸체부(110)는 스프링클러(10) 출수구(11)의 중심축 선상인 지지대(13)의 끝단에 체결부재(113)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체결공(111)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상기 지지대(13)는 스프링클러(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13)는 몸체부(110)를 출수구(11)의 직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3)는 출수구(11)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감열부(미도시)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대(13)는 하부가 출수구(11)의 중심축 선상에 다시 합쳐지면서 상기 체결부재(113)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3)가 구비된 스프링클러(10)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상기 살수부(120)는 몸체부(110)의 체결공(111) 주위에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살수부(120)는 출수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원하는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상기 몸체부(110)와 살수부(120)는 출수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도록 사각 또는 다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부(110)와 살수부(120)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살수부(120)는 체결공(111)을 기준으로 몸체부(110)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패턴홀(121)과, 상기 제1패턴홀(121)을 기준으로 몸체부(110)의 양측 폭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패턴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패턴홀(121)의 길이(L1)는 제2패턴홀(123)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턴홀(121)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은 제2패턴홀(123)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과 정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ength L1 of the
즉 상기 체결공(111)의 양측에 배치된 제1패턴홀(121)의 길이(L1)를 제2패턴홀(123)의 길이(L2)에 비해 짧게 형성함으로써 체결공(111) 부근의 구조를 보강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부재(113)의 체결 시 어느 정도의 결합력을 보존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length L1 of the
다시 말해, 상기 제1패턴홀(121)과 제2패턴홀(123)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패턴홀(121)과 체결공(111)과의 거리가 제2패턴홀(123)과 체결공(111)과의 거리보다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부재(113)의 체결 시 체결력에 의해 자칫 몸체부(110)가 틀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패턴홀(121)의 길이는 제2패턴홀(123)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패턴홀(121)의 폭은 지지대(1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지지대(13)를 거친 후 다시 제1패턴홀(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패턴홀(121)으로 유입된 소화수는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width of the
상기와 같은 몸체부(110)와 살수부(120)가 구비된 직사각형의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한 쌍의 지지대(13)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The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한 쌍의 지지대(13)가 이격되는 방향과 소정각도(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 the
즉 상기 몸체부(110)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노즐(1) 설치 시 지지대(13)과 몸체부(110)를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거나(도 4 참조), 또는 지지대(13)와 몸체부(110)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출수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서로 다른 범위로 살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at is, as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직하부 살수 밀도가 적어도 12.2LPM/㎡ 이상, 바람직하게 12.2 ~ 23.2LPM/㎡ 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The
즉, 노즐 직하부 살수 밀도가 12.2LPM/㎡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소화수를 소정 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That is, when the spraying density directly under the nozzle is set to 12.2LPM/m 2 or less, it may be difficult to intensively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반대로, 노즐 직하부 살수 밀도가 23.2LP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소화수가 필요 이상의 밀도로 살수됨에 따라 소화수가 낭비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watering density directly under the nozzle is set to 23.2LPM/m 2 or more,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may be wasted as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s sprayed with a density higher than necessary.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스프링클러 노즐(1)의 살수 반경을 넓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몸체부(110)의 폭을 좀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 in another embodiment,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praying radius of the sprinkler nozzle 1, the width of the
구체적으로, 제1패턴홀(121)을 기준으로 양측 폭방향으로 제2패턴홀(123) 복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턴홀(121)은 폭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폭이 좀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second pattern holes 12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both wid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이처럼 상기 몸체부(110)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경우 살수 반경은 넓어질 수 있으나, 살수 밀도는 손해를 볼 수 있다.As such, when the width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 바람직하게 몸체부(110)의 양측에는 살수범위 조절부재(125)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in another embodiment,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일례로, 상기 살수범위 조절부재(125)는 양측이 몸체부(110)의 폭방향 양측변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살수범위 조절부재(125)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ing
이러한 구조의 살수범위 조절부재(125)를 통해 살수부(120)의 제1, 2패턴홀(121, 123)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대상 배터리모듈(1)의 크기에 따라 스프링클러 노즐(100)을 통해 소화수의 살수 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holes 121 and 123 of the watering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용 스프링클러 노즐(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소형 배터리모듈(1)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모듈(1)의 직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The
특히, 본 발명은 소화수의 살수 반경을 좁히는 대신 소화수의 살수 밀도를 높여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의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narrowing the sprinkling radius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he sprinkling dens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increased to intensively sprinkling, thereby effectively responding to a fire in the battery modu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배터리모듈 10 : 스프링클러
11 : 출수구 13 : 지지대
100 : 스프링클러 노즐 110 : 몸체부
111 : 체결공 113 : 체결부재
120 : 살수부 121 : 제1패턴홀
123 : 제2패턴홀 125 : 살수범위 조절부재1: battery module 10: sprinkler
11: outlet 13: support
100: sprinkler nozzle 110: body part
111: fastening hole 113: fastening member
120: watering unit 121: first pattern hole
123: second pattern hole 125: watering range adjusting member
Claims (8)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수구에 구비된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소화수의 살수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출수구의 중심축 선상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체결공 주위에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소정범위 내에 집중적으로 살수하는 사각 형상의 살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살수부는,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패턴홀;과, 상기 제1패턴홀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 폭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패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홀의 길이는 상기 제2패턴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은 상기 제2패턴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과 정렬되고,
상기 제1패턴홀의 폭은 상기 지지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상기 지지대를 거친 후 상기 제1패턴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수범위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패턴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인 스프링클러 노즐.
In the sprinkler nozzle for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in a predetermined range,
a rectangular-shaped body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a direction of sprinkl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hrough a support provided at the water outlet of the sprinkler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so as to be fastened on a central axis line of the water outlet;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penetrating around the fastening hole of the body part, and a square-shaped watering unit for intensively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outle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es;
The watering unit,
A first pattern hole form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ole; 2 pattern holes; including,
The length of the first pattern hole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attern hole,
Both ends of the first patter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ligned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patter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pattern hol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outlet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attern hole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Sprinkler nozzles that include; on both sides of the body, watering range adjusting members coupled to be slidably and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o that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holes can be selectively adjusted.
상기 몸체부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의 이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노즐.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prinkler nozzles that are arranged long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or ar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상기 스프링클러 노즐의 직하부 살수 밀도는,
12.2 ~ 23.2LPM/㎡ 인 것인 스프링클러 노즐.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ing density directly under the sprinkler nozzle is,
A sprinkler nozzle of 12.2 ~ 23.2LPM/m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261A KR102347695B1 (en) | 2021-05-31 | 2021-05-31 |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261A KR102347695B1 (en) | 2021-05-31 | 2021-05-31 |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7695B1 true KR102347695B1 (en) | 2022-01-07 |
Family
ID=7935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261A Active KR102347695B1 (en) | 2021-05-31 | 2021-05-31 |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76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6634B1 (en) | 2023-01-05 | 2023-07-17 | 신동기 | Thermal runaway fire extinguishing bursting disc device mounted on the battery pack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063A (en) * | 1992-07-07 | 1994-02-01 | Hochiki Corp | Deflector for water-discharge gun for extinguishing fire |
US5829684A (en) * | 1996-10-28 | 1998-11-03 | Grinnell Corporation | Pendent-type diffuser impingement water mist nozzle |
KR20070059890A (en) | 2006-07-14 | 2007-06-12 | 박춘경 | Height adjusting device for fire hydrant pipe |
KR20190098604A (en) * | 2018-02-14 | 2019-08-22 | 주식회사 파라텍 | Sprinkler head for rack warehouse |
KR20200117434A (en)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Sprinkler head installed in ceiling space |
-
2021
- 2021-05-31 KR KR1020210070261A patent/KR1023476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063A (en) * | 1992-07-07 | 1994-02-01 | Hochiki Corp | Deflector for water-discharge gun for extinguishing fire |
US5829684A (en) * | 1996-10-28 | 1998-11-03 | Grinnell Corporation | Pendent-type diffuser impingement water mist nozzle |
KR20070059890A (en) | 2006-07-14 | 2007-06-12 | 박춘경 | Height adjusting device for fire hydrant pipe |
KR20190098604A (en) * | 2018-02-14 | 2019-08-22 | 주식회사 파라텍 | Sprinkler head for rack warehouse |
KR20200117434A (en)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Sprinkler head installed in ceiling spa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6634B1 (en) | 2023-01-05 | 2023-07-17 | 신동기 | Thermal runaway fire extinguishing bursting disc device mounted on the battery p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27402C1 (en) | Kochetov's sprayer | |
KR102472713B1 (en) | Water Mist Nozzles for Fire Suppression Systems | |
US3768736A (en) | Cooling tower sprinkler nozzle | |
US12186605B2 (en) | Long-throw fire protection sprinkler | |
RU2481159C1 (en) | Fluid sprayer | |
RU2474452C1 (en) | Fluid sprayer | |
RU2416444C1 (en) | Fluid sprayer | |
RU2543863C1 (en) | Liquid flow ejector-type spreader by kochetov | |
KR102347695B1 (en) | Sprinkler nozzle for battery module | |
RU2424835C1 (en) | Fluid sprayer | |
US20130043050A1 (en) | Sprinkler device for spraying non-circular areas | |
US4801090A (en) |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 |
RU2647104C2 (en) | Finely divided liquid sprayer | |
RU2615256C1 (en) | Fine-dispersed liquid sprayer | |
US2701165A (en) | Fog nozzle | |
RU2542239C1 (en) | Liquid atomiser | |
CA2180561C (en) | Nozzle for spreading water fog | |
US12157025B2 (en) | Fire sprinkler with pre-deflector flow splitter | |
US20190217137A1 (en) | End cap agent nozzle | |
RU2456042C1 (en) | Foamgenerator of ejection type | |
RU2302272C2 (en) | Spraying device | |
TW200613033A (en) | High pressure nozzle for spraying water mist | |
RU2551063C1 (en) | Fluid sprayer | |
JP2014028020A (en) | Spray head for fire fighting | |
KR101322751B1 (en) | Sprinkle apparatus and sprinkler system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