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6518B1 -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 Google Patents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518B1
KR102346518B1 KR1020210031593A KR20210031593A KR102346518B1 KR 102346518 B1 KR102346518 B1 KR 102346518B1 KR 1020210031593 A KR1020210031593 A KR 1020210031593A KR 20210031593 A KR20210031593 A KR 20210031593A KR 102346518 B1 KR102346518 B1 KR 10234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s
track
grooves
array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달수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18B1/ko
Priority to PCT/KR2022/002853 priority patent/WO2022191486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2003/20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with linear rolling bearings between raceway and trunnion mounted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2003/202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with trunnion rings, i.e. with tripod joints having rollers supported by a ring on the trun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엔진과 같은 차량의 구동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을 휠(wheel)로 전달하기 위해 등속 조인트가 사용된다.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축방향 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로 플런징(plunging) 타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의 인보드(inboard) 조인트로 주로 사용되며, 차량의 NVH 성능의 향상을 위한 보다 작은 내부 마찰, 그리고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기 위한 소형화 등의 특성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세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저널(journal)을 포함하는 이너 조인트 멤버(inner joint member)(스파이더(spider)라고도 불림), 그리고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롤러 유닛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롤러 유닛은 링 형태의 아웃터 롤러와 이너 롤러, 및 아웃터 롤러와 이너 롤러 사이에 개재되는 니들 베어링을 포함하며, 이러한 타입의 롤러 유닛은 내부 마찰 감소 및 사이즈 감소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미국 등록특허 US8,550,924 (2013.1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사이즈를 가지면서 감소된 내부 마찰을 갖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다.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순환 경로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직선 구간, 그리고 상기 직선 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동력 전달 면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직선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상기 곡선 구간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직선 구간의 개구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트랙 레이스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그루브는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과 수직인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윈도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다.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트랙 레이스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은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동력 전달 면을 각각 마주하는 한 쌍의 직선 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구간을 각각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곡선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직선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다.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은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과 수직인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윈도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 유닛이 저널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어레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를 가지면서 내부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베어링 유닛의 복수의 볼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며 볼의 직경(d1)과 트랙 레이스의 입구 높이(d2)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트랙 레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며 볼과 하우징의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c1)과 트랙 레이스와 하우징의 작용 면 사이의 유격(c2)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트랙 레이스와 리테이너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일부 확대도이며 볼의 직경(d3)과 리테이너의 입구 높이(d4)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3의 일부 확대도이며 볼과 하우징의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c3)과 리테이너와 하우징의 작용 면 사이의 유격(c4)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1)는 하우징(housing)(11), 스파이더(spider) (12) 그리고 베어링 유닛(bearing unit)(13)을 포함한다.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는 동력 전달 요소, 예를 들어 동력 전달 샤프트에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유닛(13)은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 전달 매개 및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1)은 축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실린더 형상의 중심 캐비티(central cavity)(14), 그리고 중심 캐비티(14)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track groove)(15)를 형성한다.
스파이더(12)는 하우징(11) 내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파이더(12)는 허브(hub)(16), 그리고 허브(16)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저널(17)을 포함한다. 허브(16)는 하우징(11)의 중심 캐비티(14)에 배치되며, 세 개의 저널(17)은 허브(16)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세 개의 저널(17)은 허브(16)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하우징(11)의 트랙 그루브(15)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스파이더(12)는 하우징(11)에 대해 축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고 하우징(11)에 대한 절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틸트 가능하게 구성된다.
동력 전달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허브(16)와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16)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 샤프트가 허브(16)에 형성된 관통공(22)에 삽입되어 스플라인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세 개의 베어링 유닛(13)이 세 개의 저널(17)에 각각 체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어링 유닛(13)은 저널(17)에 체결되는 상태로 하우징(11)의 트랙 그루브(15)에 배치된다. 베어링 유닛(13)은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 사이에서 베어링 기능을 하면서 동력 전달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저널(17)에 체결된 베어링 유닛(13)은 트랙 그루브(15)에서 길이방향, 즉 하우징(11)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트랙 그루브(15) 내에서의 베어링 유닛(13)의 이동은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의 상대 구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베어링 유닛(13)은 저널(17)에 대해 틸트 가능하도록 저널(17)에 체결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의 절각 상태에서 저널(17)에 대한 베어링 유닛(13)의 틸트 각도의 변경 및 베어링 유닛(13)의 선형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어링 유닛(13)은 트랙 레이스(track race)(31)와 볼 어레이(ball array)(41, 42)를 포함한다. 베어링 유닛(13)은 동력 전달 요소인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 사이에 개재되어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며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베어링 유닛(13)은 한편으로는 스파이더(12)의 저널(17)의 길이방향(도 2에서 반경방향)에 대한 상대 이동 및 틸트 거동이 가능하게 저널(17)에 체결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11)의 트랙 그루브(15) 내에서 선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널(17)은 허브(16)에 연결되는 목부(neck portion)(18)와 목부(18)의 반경방향 외측 단에 이어지는 접촉부(contact portion)(19)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9)는 트랙 레이스(31)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대략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접촉부(19)는 구면(spherical surface)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레이스(31)는 접촉부(19)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랙 레이스(31)는 실린더 형상의 관통홀(3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저널(17)의 접촉부(19)가 관통홀(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면 형태의 접촉부(19)가 실린더 형태의 트랙 레이스(31)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저널(17)와 트랙 레이스(31) 사이의 상대적인 틸트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 트랙 레이스(31)는 스파이더(12)의 저널(17)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하우징(11)의 트랙 그루브(15)에 구름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볼 어레이(41, 42)는 복수의 제1 및 제2 볼(ball)(43, 44)을 각각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볼 어레이(41, 42)는 조인트의 반경방향, 즉 저널(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41에 의해 지시된 볼 어레이는 도면부호 42에 의해 지시된 볼 어레이보다 조인트의 중심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볼 어레이(41)와 제2 볼 어레이(42)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트랙 그루브(15)는 천장 면(24), 그리고 천장 면(2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동력 전달 면(25)을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랙 레이스(31)는 둘레 면(33) 중 조인트의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양 부분이 트랙 그루브(15)의 동력 전달 면(25)을 각각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볼(43, 44)은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면(33)과 트랙 그루브(15)의 동력 전달 면(25)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 전달의 매개체로 작용한다.
제1 및 제2 볼(43, 44)은 조인트의 작동 시 트랙 레이스(31)의 둘레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볼(43)은 하우징(11)과 스파이더(12)의 회전 방향 및 절각에 따라 도 7에서 시계 방향 회전 및 반시계 방향 순환을 반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랙 레이스(31)는 제1 및 제2 볼(43, 44)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기 위한 내측 볼 그루브(45, 46)를 형성하며, 볼 그루브(45, 46)는 볼(43, 44)이 순환하는 볼 순환 경로를 형성한다. 볼 그루브(45, 46)는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면(33) 상에서 트랙 레이스(31)의 둘레를 일주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방향으로의 볼 순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43, 44)은 일부가 볼 그루브(45, 46)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볼 그루브(45, 46)에 수용된다. 이때, 볼(43, 44)의 노출된 부분 중 일부는 트랙 그루브(15)의 동력 전달 면(25)에 형성되는 외측 볼 그루브(27, 28)에 수용된다. 즉, 볼(43, 44)은 트랙 레이스(31)의 볼 그루브(45, 46)와 트랙 그루브(15)의 볼 그루브(27, 28)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거동이 가이드된다.
스파이더(12)의 저널(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두 개의 볼 어레이(41, 42)가 구비됨으로써, 각 볼 어레이(41, 42)의 볼(43, 44)이 저널(17)의 길이방향으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접촉하는 상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볼 어레이에 의해 접촉 지점을 형성하거나 실린더 형태의 롤러에 의해 넓은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두 개의 볼 어레이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등속 조인트의 전체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마찰 감소 및 반경방향으로의 접촉 영역(두 개의 접촉 점 사이의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인트 작동 시 트랙 레이스의 흔들림이 감소하고 그로 인한 GAF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볼 그루브(45, 46)는 조인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루브(451, 461) 및 조인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루브(452, 462)를 포함한다. 조인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그루브(451, 461)는 직선으로 연장되며 하우징의 볼 그루브(27, 28)와 조합을 이루어 동력 전달에 관여하는 볼(43, 44)의 거동을 가이드하고, 조인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그루브(452, 462)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그루브(451,461)을 연결하며 각각 단독으로 볼 순환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면(33)에 형성되는 볼 그루브(46)의 개구의 높이(d2)는 볼 그루브(46)에 수용되는 볼(44)의 직경(d1)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44)이 볼 그루브(46)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44)은 구(sphere)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볼 그루브(46)는 볼(4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볼 그루브(46)의 단면을 형성하는 원의 중심이 개구보다 내측(도 9에서 좌측)에 있도록 함으로써, 볼 그루브(46)의 개구의 높이(d2)는 볼 그루브(46)에 수용되는 볼(44)의 직경(d1)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그루브(46)의 개구는 서로 가까워지게 오므라든 형태의 단부(38, 39)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트랙 레이스(3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트랙 레이스(31)의 오므라든 단부(38, 39)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 부분을 기계 절삭 가공, 프레스 가공 또는 롤링 가공 등을 통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형태의 볼 그루브(45, 46)의 단면이 일부가 제거된 원의 형태를 가지고, 볼 그루브(45, 46)의 단면의 원의 직경이 볼(43, 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각 볼(43, 44)이 트랙 레이스(31)와 한 점에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작은 마찰로 안정적인 토크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7, 28) 역시 단면이 일부가 제거된 원의 형태를 가지고 볼 그루브(27, 28)의 단면의 원의 직경이 볼(43, 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각 볼(43, 44)이 하우징(11)과 한 점에서 접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볼과 트랙 레이스, 그리고 볼과 하우징이 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볼(43, 44)이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51, 461)와 곡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61, 462)를 순환하며, 순환하는 볼(43, 44)에 그루브(451, 452, 461, 462)를 이탈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볼(43, 44)을 이탈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은 특히 곡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52, 462)에서 크게 작용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곡선 구간의 그루브(452, 462)의 개구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곡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52, 462)의 개구의 높이(B)가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51, 461)의 개구의 높이(A)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43, 44)을 이탈시키려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곡선 구간을 형성하는 그루브(452, 462)에서 볼(43, 44)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작동 중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면(33)이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레이스(31)의 둘레 면(33)과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 사이의 유격(c2)이 볼(44)과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8) 사이의 유격(c1)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유격은 저널(17)의 길이방향(즉 조인트의 반경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두 부재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조인트 작동 중 하우징(11)과 트랙 레이스(31) 사이의 상대 거동에 의해 트랙 레이스(31)와 볼(43, 44)이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접근하는 경우, 볼(43, 44)이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7, 28)의 바닥면에 먼저 닿게 되므로, 트랙 레이스(31)가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가 하우징(11), 스파이더(12), 그리고 베어링 유닛(50)을 포함한다. 세 개의 베어링 유닛(50)이 스파이더(12)의 세 개의 저널(17)에 각각 체결된다. 베어링 유닛(50)의 전반적인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동일한다.
베어링 유닛(50)은 트랙 레이스(51), 복수의 볼(54, 55)를 각각 포함하는 볼 어레이, 그리고 리테이너(retainer)(56)를 포함한다. 트랙 레이스(51)는 볼 어레이의 볼(54, 55)을 각각 수용하는 내측 볼 그루브(52, 53)를 각각 포함한다. 볼 그루브(52, 53)는 트랙 레이스(51)의 둘레를 따라 볼(54, 55)이 각각 순환할 수 있는 볼 순환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위에서 설명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테이너(56)는 트랙 레이스(5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볼(54, 55)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56)는 트랙 레이스(51)을 둘러쌀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5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레이스(51)의 둘레 면에 형성되는 볼 그루브(52, 5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 그루브(72, 73)를 내주면에 구비하고, 볼(54, 55)이 트랙 레이스(51)의 볼 그루브(52, 53)와 대응하는 리테이너(56)의 볼 그루브(72, 7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순환 가능하게 수용된다.
리테이너(56)는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을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윈도우(59, 60)를 포함한다. 각 윈도우(59, 60)는 볼(54, 55)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윈도우(59, 60)를 통해서 노출된 볼의 외측 부분은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7, 28)에 삽입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56)는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을 마주하는 부분에 수직인 위치에 구비되는 면에 형성되는 윈도우(61, 62)를 포함한다. 볼(54, 55)의 외측 부분이 윈도우(61, 62)를 통해 리테이너(56)의 외부로 노출된다. 윈도우(61, 62)를 통해 볼(54, 55)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를 포함하는 하프 샤프트(half shaft)의 차량 장착 시 베어링 유닛(13)이 하우징(11)에 부딪혀 충격을 받을 때 리테이너(5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56)는 볼(54, 5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56)는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을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윈도우(53)의 높이(d4)가 볼(55)의 직경(d3)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55)이 윈도우(53)을 통해 리테이너(56)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리테이너(56)는 윈도우(53)를 형성하는 부분에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오므라들게 형성된 부분(63, 64)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을 마주하는 부분과 수직인 위치에 형성되는 윈도우(61, 62)의 높이(B)가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을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윈도우(52, 53)의 높이(A)보다 작게 형성된다. 볼(54, 55)의 이탈 힘이 커지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61, 62)의 높이(B)를 더 작게 함으로써, 볼 순환 경로 상의 곡선 구간에서 볼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작동 중 리테이너(56)가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56)의 둘레 면과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 사이의 유격(c4)이 볼(55)과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8) 사이의 유격(c3)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조인트 작동 중 하우징(11)과 리테이너(56) 사이의 상대 거동에 의해 리테이너(56)와 볼(54, 55)이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접근하는 경우, 볼(54, 55)이 하우징(11)의 볼 그루브(27, 28)의 바닥면에 먼저 닿게 되므로, 리테이너(56)가 하우징(11)의 동력 전달 면(25)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1: 하우징
12: 스파이더
13: 베어링 유닛
14: 중심 캐비티
15: 트랙 그루브
16: 허브
17: 저널
25: 동력 전달 면
31: 트랙 레이스
41, 42: 볼 어레이
43, 44: 볼
45, 46: 내측 볼 그루브
27, 28: 외측 볼 그루브
50: 베어링 유닛
51: 트랙 레이스
52, 53: 내측 볼 그루브
54, 55: 볼
56: 리테이너
72, 73: 볼 그루브
59, 60, 61, 62: 윈도우

Claims (23)

  1.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순환 경로를 각각 형성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직선 구간, 그리고 상기 직선 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동력 전달 면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직선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구비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상기 곡선 구간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직선 구간의 개구의 높이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6. 제1항에서,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8. 제6항에서,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큰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9.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트랙 레이스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0. 제9항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2. 제10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과 수직인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윈도우를 더 구비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3. 제12항에서,
    상기 제3 및 제4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4. 제9항에서,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5. 제14항에서,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큰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6.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내측 볼 그루브와 상기 제1 외측 볼 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2 내측 볼 그루브와 상기 제2 외측 볼 그루브는 상기 제1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순환 경로를 각각 형성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7. 제16항에서,
    상기 트랙 레이스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은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큰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8.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동력 전달 면을 각각 마주하는 한 쌍의 직선 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구간을 각각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곡선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직선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의 개구의 높이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19. 제16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20.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관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트랙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세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스파이더, 그리고
    상기 저널에 각각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베어링 유닛은
    상기 저널에 틸트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트랙 그루브에 배치되는 트랙 레이스,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과 상기 트랙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면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어레이 및 제2 볼 어레이, 그리고
    상기 트랙 레이스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는 상기 저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트랙 레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를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에 대응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내측 볼 그루브와 상기 제1 외측 볼 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2 내측 볼 그루브와 상기 제2 외측 볼 그루브는 상기 제1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순환 경로를 각각 형성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21. 제20항에서,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동력 전달 면 사이의 유격은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과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 사이의 유격보다 큰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22. 제20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는 상기 트랙 레이스의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 중 일부 볼의 외측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 면을 마주하는 부분과 수직인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윈도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및 제4 윈도우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높이보다 작은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23. 제20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볼 어레이의 볼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 볼 그루브와 각각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1020210031593A 2021-03-10 2021-03-10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Active KR10234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93A KR102346518B1 (ko) 2021-03-10 2021-03-10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PCT/KR2022/002853 WO2022191486A1 (ko) 2021-03-10 2022-02-28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93A KR102346518B1 (ko) 2021-03-10 2021-03-10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518B1 true KR102346518B1 (ko) 2022-01-03

Family

ID=7934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93A Active KR102346518B1 (ko) 2021-03-10 2021-03-10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518B1 (ko)
WO (1) WO202219148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86A1 (ko) * 2021-03-10 2022-09-15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20230114538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오대 트라이포드 조인트용 볼 베어링 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700742B1 (ko) 2023-12-04 2024-08-29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2741712B1 (ko) 2024-03-13 2024-12-1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2750752B1 (ko) * 2023-10-31 2025-01-09 서한이노빌리티(주) 볼 스플라인 샤프트 유닛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287A (ko) * 1994-11-09 1996-06-17 김재복 트리포드(Tripod)식 등속조인트
JP3184647B2 (ja) * 1992-12-25 2001-07-09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JP2006200631A (ja) * 2005-01-20 2006-08-03 Ntn Corp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8550924B2 (en) 2008-06-24 2013-10-08 Jtekt Corporation Sliding type 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KR101759904B1 (ko) * 2016-12-21 2017-07-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102042976B1 (ko) * 2018-06-14 2019-11-11 현대위아(주) 차량용 트라이포드타입 등속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18B1 (ko) * 2021-03-10 2022-01-0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647B2 (ja) * 1992-12-25 2001-07-09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KR960018287A (ko) * 1994-11-09 1996-06-17 김재복 트리포드(Tripod)식 등속조인트
JP2006200631A (ja) * 2005-01-20 2006-08-03 Ntn Corp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8550924B2 (en) 2008-06-24 2013-10-08 Jtekt Corporation Sliding type 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KR101759904B1 (ko) * 2016-12-21 2017-07-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102042976B1 (ko) * 2018-06-14 2019-11-11 현대위아(주) 차량용 트라이포드타입 등속조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86A1 (ko) * 2021-03-10 2022-09-15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20230114538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오대 트라이포드 조인트용 볼 베어링 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84129B1 (ko) * 2022-01-25 2024-07-12 주식회사 오대 트라이포드 조인트용 볼 베어링 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750752B1 (ko) * 2023-10-31 2025-01-09 서한이노빌리티(주) 볼 스플라인 샤프트 유닛
KR102700742B1 (ko) 2023-12-04 2024-08-29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2741712B1 (ko) 2024-03-13 2024-12-1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486A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518B1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EP1995481B1 (e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US20060252558A1 (en) Plunging sideshaft assembly with joint
JPH03529B2 (ko)
JP5376239B2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KR102361891B1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의 트랙 레이스의 제조 방법
JP4248924B2 (ja) 固定型等速自在継手
CN110100108B (zh) 三球销式等速万向节
JP2002250360A (ja) 改良ケージ・アセンブリを有する等速固定式ジョイント
JP4109425B2 (ja) 等速ジョイント
EP2014941B1 (en) Fixed-center constant velocity joint
JP4681235B2 (ja) 等速ジョイント
JP581719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941351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KR100816430B1 (ko)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2700742B1 (ko)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JP5176717B2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4255678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KR102721602B1 (ko) 트라이포드형 등속 조인트
KR20020062210A (ko) 등속 유니버설 조인트
CN107120358B (zh) 等速万向节
CN111197623B (zh) 等速万向节及其组装方法
JP4797386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5240507B2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WO2022185425A1 (ja) 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