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810B1 - Golf glove - Google Patents
Golf glo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5810B1 KR102345810B1 KR1020210080255A KR20210080255A KR102345810B1 KR 102345810 B1 KR102345810 B1 KR 102345810B1 KR 1020210080255 A KR1020210080255 A KR 1020210080255A KR 20210080255 A KR20210080255 A KR 20210080255A KR 102345810 B1 KR102345810 B1 KR 102345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coupling part
- insertion hole
- main coupling
- finger inse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2—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hooks and loops fastening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도록 엄지 삽입구와 검지 삽입구와 중지 삽입구와 약지 삽입구 및 소지 삽입구가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중지 삽입구와 약지 삽입구의 마주하는 일측을 연결하고, 상부에 결합면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결합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연결 밴드부와,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메인 결합부와, 제1메인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유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메인 결합부와, 엄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조 결합부 및, 제1보조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검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조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glove, comprising: a body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so that a user's hand is inserted; a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nsertion port; A finger insertion part provided with a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a holding device insertion hol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opposite sides of the middle finger insertion hole and the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having a coupling surface formed thereon, and a fixed end of one longitudinal side ar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opposite A connecting band part extending so that the free end of the other side is bendable, a first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ree en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 a first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humb insertion hole,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윙시 골프채의 그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골프장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glove in which the grip of a golf club does not separate from a user's hand during a swing.
일반적으로 골프장갑은 골프 경기 혹은 골프 연습시 착용하는 것으로, 그립의 파지력을 높여 스윙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골프공 타격시 그립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과 외부로 온도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Generally, golf gloves are worn during a golf game or golf practice, and are used to prevent slipping during swing by increasing the gripping force of the grip, and to protect hands from the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grip and external temperature when hitting a golf ball. do.
이러한 골프장갑은 사용자의 손을 외부에서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몸체 및,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 등으로 구성되고, 몸체는 골프채의 그립을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재(면, 가죽 등)를 이용해 제작하고 있다.This golf glove is composed of a body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can wrap the user's hand from the outside, and a finger inser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insert the user's finger, and the body prevents slippage when gripping the grip of the golf club. It is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cotton, leather, etc.) to prevent it.
그런데, 종래의 골프장갑은 사용자의 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만 골프채의 그립과 밀착력이 작용하는 구조이므로, 골프채를 파지하는 악력이 풀리거나 스윙시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 그립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탈될 염려가 있었고, 스윙시 그립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으므로 골프공의 비행 방향과 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golf gl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 and adhesion of the golf club act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grip force acts, the position of the grip may be changed or separated if the grip force holding the golf club is released or the centrifugal force acts greatly during the swing. There was concern, and since the position of the grip during the swing was not fixed, it was difficult to keep the flight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golf ball constant.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664호(2009년 09월 2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통기성 및 그립 파지력이 향상된 골프장갑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9664 (September 24, 2009),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golf glove with improved breathability and gripping force.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시 골프채의 그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골프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glove in which the grip of the golf club does not separate from the user's hand during the swing.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도록 엄지 삽입구와 검지 삽입구와 중지 삽입구와 약지 삽입구 및 소지 삽입구가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부와, 상기 중지 삽입구와 상기 약지 삽입구의 마주하는 일측을 연결하고, 상부에 결합면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연결 밴드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메인 결합부와,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자유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메인 결합부와, 상기 엄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조 결합부 및, 상기 제1보조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검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밴드부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파지시 벤딩되어 상기 그립의 외부를 감싸고, 상기 제2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메인 결합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유단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보조 결합부와 상기 제2보조 결합부는 상호 부착되어 상기 엄지 삽입구와 상기 검지 삽입구를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inserting a user's hand, a thumb insertion hole, an index finger insertion hole, and a middle finger insertion hol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dy, so that the user's fingers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A finger insertion part having a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a holding device insertion hol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one side opposite the middle finger insertion hole and the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having an engagement surface formed thereon, and a fixed en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engagement surface and a connecting band part having the opposite free end extended so as to be bendable, a first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ee en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A second main coupling portion, a first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humb insertion hole,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ortion, the connection The band part is bent when the user grips the grip of the golf club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grip,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to fix the free end, and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and the first coupling part are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to fix the free end. The two auxiliary coupling parts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fix the thumb insertion hole and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 in a closely contacted state.
또한, 일측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제1메인 결합부의 상면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메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ably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so as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with the first main coupling portion. It may include a third mai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또한, 상기 제3메인 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4메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상기 제2메인 결합부를 결합 후 상기 제3메인 결합부와 상호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ourth mai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ee end so as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from the third main coupling portion, the fourth main coupling portion is the first main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ain coupling After combining the parts, they may be mutually attached to the third main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연결 밴드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n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시키는 탄성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연결 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and for connecting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the elastic ban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nd portion.
본 발명은 골프채의 그립이 골프장갑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그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인 스윙이 가능하고, 스윙시 그립이 이탈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손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골프장갑에 그립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몸통을 이용한 스윙 연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ip of the golf club is firmly fixed to the golf glove, the grip does not separate from the user's hand, enabling a stable swing, and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because the grip does not come off during swinging, and does not give force to the hand Since the grip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olf glove even when not in the state, swing practice using the body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스윙시 슬립 등으로 인해 그립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골프공 타격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윙시 힘이 분산되지 않으므로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골프채의 그립을 큰 악력으로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통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when hitting the golf ball because the position of the grip is not changed due to slip during the swing, and the flying distan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force is not dispersed during the swing, and the grip of the golf club can be changed with a large grip force.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grippe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ser's finger pa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사용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채의 그립을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고, 연결 밴드부를 벤딩시켜 제1메인 결합부를 제2메인 결합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보조 결합부와 제2보조 결합부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에 탄성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에 탄성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를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고,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벤딩시켜 제1메인 결합부를 제2메인 결합부에 각각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제1보조 결합부와 제2보조 결합부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몸체에 보조 덮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몸체에 보조 덮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보조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for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grip of the golf club while wearing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by opening the cover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ending the connection band part.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are attached to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n use for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cover portion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band part is applied to a connection band part of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band part is applied to a connection band part of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and portion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first connecting band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band portion.
1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by opening the cover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ending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are attach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1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clos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1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cover part is applied to the body of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ver part is applied to the body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auxiliary cover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을 사용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채의 그립을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고, 연결 밴드부를 벤딩시켜 제1메인 결합부를 제2메인 결합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보조 결합부와 제2보조 결합부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lan view for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for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grips a grip of a golf club while wear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opens the cover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s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by bending the band part, and FIG. 6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are attached to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age state diagram to show.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에 탄성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에 탄성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연결 밴드부를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고,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벤딩시켜 제1메인 결합부를 제2메인 결합부에 각각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제1보조 결합부와 제2보조 결합부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part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use state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part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the first connecting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band part, and FIG.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i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by bending the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and FIG. 12 is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in use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are attache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band part is appli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제1연결 밴드부와 제2연결 밴드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몸체에 보조 덮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몸체에 보조 덮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의 보조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1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clos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nd FIG. 14 is an auxiliary cover on the body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 is applied, and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ver part is applied to the body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16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auxiliary cover portion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은 몸체(100)와, 손가락 삽입부(200)와, 연결부(300)와, 연결 밴드부(400)와, 제1메인 결합부(510)와, 제2메인 결합부(520)와, 제1보조 결합부(610) 및, 제2보조 결합부(620)를 포함한다.1 to 16 ,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몸체(100)는 사용자의 손(왼손 등)을 외부에서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몸체(1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몸체(100)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손을 삽입 및 분리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후단에는 수용공간(110)의 개구부를 확장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0)에는 수용공간(110)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목을 탄성력에 의해 감싸기 위한 손목 밴드부(130)가 구비될 수 있고, 손목 밴드부(130)는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길이가 신장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고무 밴드 등)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손가락 삽입부(200)는 골프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몸체(100)의 전방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손가락 삽입부(200)는 수용공간(110)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도록 일측으로부터 엄지 삽입구(210)와 검지 삽입구(220)와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 및 소지 삽입구(250)로 구분될 수 있고, 엄지 삽입구(210)와 검지 삽입구(220)와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 및 소지 삽입구(250)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엄지 삽입구(210)는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검지 삽입구(220)는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중지 삽입구(240)는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약지 삽입구(240)는 사용자의 약지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소지 삽입구(250)는 사용자의 소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연결부(310)는 후술될 연결 밴드부(40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을 상호 연결한다. 연결부(310)의 상부에는 연결 밴드부(4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의 결합면(310)이 형성되고,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전단은 연결부(31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연결부(310)는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폭방향을 서로 연결시키므로, 후술될 연결 밴드부(400)의 인장력이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전방으로 작용될 수 있고, 연결 밴드부(400)의 폭방향 일면의 지지력에 의해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가 파지 방향을 향해 굽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Since such a
연결 밴드부(400)는 사용자가 골프채(10)의 그립(11)을 손으로 파지시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상면을 골프채(10)의 그립(11)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 밴드부(400)는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연결부(300)의 결합면(310)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된다.The
또한, 연결 밴드부(400)는 몸체(100)의 전방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밴드부(400)의 폭방향은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된 후 몸체(100)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되어 후술될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갑은 도 8과 9에서처럼 연결 밴드부(400)의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시키는 탄성 밴드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밴드부(410)는 연결 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고, 연결 밴드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즉 탄성 밴드부(410)는 연결 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므로 연결 밴드부(4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골프채(10)의 그립(11)을 파지하는 경우, 도 4에서처럼 엄지 삽입구(210)가 그립(11)의 외주면을 상방에서 파지하고, 검지 삽입구(220)와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 및 소지 삽입구(250)가 그립(11)의 외주면을 하부에서 파지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이 상태에서 연결 밴드부(400)의 자유단은 도 5 내지 7에서처럼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그립(11)의 폭방향을 감싼 후, 사용자 손목의 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된 후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후술될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된다. 이후 후술될 덮개부(12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유단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이때, 연결 밴드부(400)의 일면이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상면을 골프채(10)의 그립(11) 방향으로 지지하고, 연결 밴드부(400)의 폭방향 일면에 의해 지지되는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가 그립(11)을 파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가 그립(11)을 파지한 상태로 고정되고, 몸체(100)에 골프채(10)의 그립(11)이 견고히 고정되므로, 스윙 동작시 골프채(10)의 그립(11)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에 의한 스윙이 아닌 몸통을 이용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onnecting
제1메인 결합부(510)는 연결 밴드부(400)의 자유단을 몸체(100)의 상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메인 결합부(510)는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후술될 제2메인 결합부(52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제2메인 결합부(520)는 제1메인 결합부(51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 밴드부(40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메인 결합부(520)는 연결 밴드부(400)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제1메인 결합부(51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갑은 일측이 몸체(100)의 상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제1메인 결합부(510)의 상면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120) 및, 제1메인 결합부(51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덮개부(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메인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A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제3메인 결합부(53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4메인 결합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메인 결합부(540)는 도 7과 13에서처럼 제1메인 결합부(510)와 제2메인 결합부(520)를 부착시킨 후 덮개부(120)에 결합된 제3메인 결합부(530)과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ourth
제3메인 결합부(530)는 제1메인 결합부(510) 및 제4메인 결합부(54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제4메인 결합부(510)는 제3메인 결합부(53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third
예를 들어, 덮개부(12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3메인 결합부(530)에 부착시 개구부의 사이즈가 고정되므로, 개구부를 사용자의 손목과 대응하는 직경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3메인 결합부(530)를 제1메인 결합부(5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제1메인 결합부(51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연결 밴드부(400)의 제2메인 결합부(520)를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size of the opening is fixed when it is attached to the third
이후, 덮개부(12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 제3메인 결합부(530)가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된 제4메인 결합부(540)와 부착되고, 연결 밴드부(400)의 자유단이 덮개부(12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때 제3메인 결합부(530)의 일부분이 제1메인 결합부(510)의 일부분과 암수로 부착될 수 있다.Then, when the
제1보조 결합부(610)는 엄지 삽입구(210)와 검지 삽입구(220)를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보조 결합부(610)는 엄지 삽입구(210)의 외면에 결합되고, 후술될 제2보조 결합부(62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제2보조 결합부(610)는 엄지 삽입구(210)와 검지 삽입구(220)를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보조 결합부(620)는 검지 삽입구(220)의 외면에 결합되고, 제1보조 결합부(61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이와 같은 제1보조 결합부(610)는 골프채(10)의 그립(11)을 외부에서 감싸는 엄지 삽입구(210)와 검지 삽입구(220)를 부착된 상태로 고정하므로, 스윙시 골프채(10)의 그립(11)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연결 밴드부(400)와 함께 2중 부착 구조를 제공하므로 골프장갑과 그립(11)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is fir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밴드부(400)는 도 10 내지 13에서처럼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연결부(300)의 결합면(310)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1연결 밴드부(401) 및, 제1연결 밴드부(401)의 폭방향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연결부(300)의 결합면(310)에 결합되며,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2연결 밴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여기서,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는 몸체(100)의 전방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된 후 몸체(100)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되어 후술될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2메인 결합부(520)는 제1메인 결합부(51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고, 제2메인 결합부(520)는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의 자유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골프채(10)의 그립(11)을 파지하는 경우, 엄지 삽입구(210)가 그립(11)의 외주면을 상방에서 파지하고, 검지 삽입구(220)와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 및 소지 삽입구(250)가 그립(11)의 외주면을 하부에서 파지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이 상태에서 제1연결 밴드부(401)의 자유단은 도 11과 12에서처럼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그립(11)의 폭방향을 감싼 후, 사용자 손목의 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된 후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된다.In this state, the free end of the first
반면, 제2연결 밴드부(402)의 자유단은 도 11과 12에서처럼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그립(11)의 폭방향을 감싼 후, 사용자 손목의 후방을 통해 몸체(100)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된 후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제1메인 결합부(510)에 부착된다. 이후 덮개부(12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유단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이때,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의 폭방향 일면이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의 상면을 골프채(10)의 그립(11)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의 폭방향 일면에 의해 지지되는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가 그립(11)을 파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중지 삽입구(230)와 약지 삽입구(240)가 그립(11)을 파지한 상태로 고정되고, 몸체(100)에 골프채(10)의 그립(11)이 견고히 고정되므로, 스윙 동작시 골프채(10)의 그립(11)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에 의한 스윙이 아닌 몸통을 이용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또한, 제1연결 밴드부(401)가 사용자 손목의 전방에서 골프채(10)의 그립(11)을 감싸고, 제2연결 밴드부(402)가 사용자 손목의 후방에서 골프채(10)의 그립(11)을 추가적으로 감싸므로, 골프채(10)의 그립(11)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제1연결 밴드부(401)와 제2연결 밴드부(402)의 2중 결합 구조가 적용되므로 골프채(10)의 그립(1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밴드부(400)는 도 14 내지 16에서처럼 일측이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봉재 등)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덮개부(120)의 회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덮개부(140)와,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3보조 결합부(630) 및, 제3보조 결합부(63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보조 덮개부(14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4보조 결합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보조 덮개부(140)는 일측이 덮개부(120)의 회동 방향과 직교하는 몸체(100)의 사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덮개부(120)의 회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보조 덮개부(14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보조 덮개부(140)의 하면이 덮개부(120)의 상면을 하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제3보조 결합부(630)는 덮개부(120)를 기준으로 보조 덮개부(140)와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제4보조 결합부(64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4보조 결합부(630)는 보조 덮개부(14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 제3보조 결합부(630)와 부착되어 보조 덮개부(140)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제3보조 결합부(630)와 대응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third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20)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3메인 결합부(530)와 제1메인 결합부(510)를 부착시키고, 보조 덮개부(14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보조 덮개부(140)가 덮개부(12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로 교차되고, 보조 덮개부(140)의 하면에 결합된 제3보조 결합부(630)가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된 제4보조 결합부(640)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16 , the third
반면, 제3보조 결합부(630)와 제4보조 결합부(640)를 분리시켜 보조 덮개부(14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덮개부(12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보조 덮개부(140)가 덮개부(120)를 몸체(100) 방향으로 지지하므로, 덮개부(120)의 제3메인 결합부(530)와 몸체(100)의 제1메인 결합부(510) 및 연결 밴드부(400)의 제4메인 결합부(54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력을 보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separating the thir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골프채(10)의 그립(11)이 골프장갑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그립(11)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인 스윙이 가능하고, 스윙시 그립(11)이 이탈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손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골프장갑에 그립(11)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몸통을 이용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다. 또한 스윙시 슬립 등으로 인해 그립(1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골프공 타격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윙시 힘이 분산되지 않으므로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골프채(10)의 그립(11)을 큰 악력으로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통증을 줄일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갑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golf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veyed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골프채 11: 그립
100: 몸체 110: 수용공간
120: 덮개부 130: 손목 밴드부
140: 보조 덮개부 200: 손가락 삽입부
210: 엄지 삽입구 220: 검지 삽입구
230: 중지 삽입구 240: 약지 삽입구
250: 소지 삽입구 300: 연결부
310: 결합면 400: 연결 밴드부
401: 제1연결 밴드부 402: 제2연결 밴드부
410: 탄성 밴드부 510: 제1메인 결합부
520: 제2메인 결합부 530: 제3메인 결합부
540: 제4메인 결합부 610: 제1보조 결합부
620: 제2보조 결합부 630: 제3보조 결합부
640: 제4보조 결합부10: golf club 11: grip
100: body 110: accommodation space
120: cover portion 130: wrist band portion
140: auxiliary cover part 200: finger insertion part
210: thumb insertion hole 220: index finger insertion hole
230: middle insertion hole 240: ring finger insertion hole
250: holding hole 300: connection part
310: coupling surface 400: connection band portion
401: first connection band portion 402: second connection band portion
410: elastic band portion 510: first main coupling portion
520: second main coupling part 530: third main coupling part
540: fourth main coupling unit 610: first auxiliary coupling unit
620: second auxiliary coupling unit 630: third auxiliary coupling unit
640: fourth auxiliary coupling unit
Claims (5)
상기 몸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도록 엄지 삽입구와 검지 삽입구와 중지 삽입구와 약지 삽입구 및 소지 삽입구가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부;
상기 중지 삽입구와 상기 약지 삽입구의 마주하는 일측을 연결하고, 상부에 결합면이 형성되는 연결부;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연결 밴드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메인 결합부;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자유단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메인 결합부;
상기 엄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보조 결합부; 및
상기 제1보조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검지 삽입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밴드부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을 파지시 벤딩되어 상기 그립의 외부를 감싸고, 상기 제2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메인 결합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유단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보조 결합부와 상기 제2보조 결합부는 상호 부착되어 상기 엄지 삽입구와 상기 검지 삽입구를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되,
일측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제1메인 결합부의 상면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메인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메인 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4메인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상기 제2메인 결합부를 결합 후 상기 제3메인 결합부와 상호 부착되며,
상기 연결 밴드부는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1연결 밴드부 및, 제1연결 밴드부의 폭방향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며, 반대되는 타측의 자유단이 벤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2연결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 밴드부와 상기 제2연결 밴드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해 길이를 갖고, 상기 몸체의 손바닥 방향으로 벤딩된 후 상기 몸체의 손등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메인 결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메인 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연결 밴드부와 상기 제2연결 밴드부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메인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 밴드부와 상기 제2연결 밴드부의 자유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 밴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덮개부의 회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덮개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3보조 결합부 및, 상기 제3보조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덮개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4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a body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user's hand is inserted;
a finger insertion uni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thumb insertion hole, an index finger insertion hole, a middle finger insertion hole, a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a small insertion hole so that the user's fingers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pposite side of the middle insertion hole and the ring finger insertion hole and having a coupling surface formed thereon;
a connection band having a fixed end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ree end of the opposite side extending to be bendable;
a first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second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ree en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a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humb insertion hole; and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The connection band portion is bent when the user grips the grip of the golf club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grip, and the second main coupl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ortion to fix the free end, and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each other to fix the thumb insertion hole and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 in a closely contacted stat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other opposit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so as to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to be rotatably opened and closed, an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It includes a third main coupling part,
and a fourth main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ee end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third main coupling part, wherein the fourth main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and then the It is mutually attached to the third main coupling part,
The connecting band portion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first connecting band portion in which a fixed end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ree end of the opposite side extends so as to be bendable, and the first connecting ba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band part having a fixed end of one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free end of the opposite side extending so as to be bendable,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have a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are bent in the palm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n are bent in the palm direction of the body and are attached to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is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nd part so as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main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main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band part. 2 Each is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and,
The connecting band portion has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auxiliary cover portion is provided rotatabl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a third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fourth auxiliary coupling par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part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ird auxiliary coupling part.
상기 연결 밴드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band portion is a golf glov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시키는 탄성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연결 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and connecting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Golf gl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and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n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55A KR102345810B1 (en) | 2021-06-21 | 2021-06-21 | Golf glo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55A KR102345810B1 (en) | 2021-06-21 | 2021-06-21 | Golf glo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5810B1 true KR102345810B1 (en) | 2021-12-31 |
Family
ID=791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255A Active KR102345810B1 (en) | 2021-06-21 | 2021-06-21 | Golf glo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581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4685A (en) * | 2001-06-13 | 2002-12-18 | 정경진 | Golf glove for correcting grip of hands on club |
KR200351973Y1 (en) * | 2003-12-22 | 2004-06-02 | 김태용 | Golf glove for grip |
KR200422593Y1 (en) * | 2006-05-12 | 2006-07-27 | 김승범 | Golf Gloves with Grip Holding Band |
KR20120122391A (en) * | 2011-04-29 | 2012-11-07 | 신이산업 주식회사 | Gloves for sports |
-
2021
- 2021-06-21 KR KR1020210080255A patent/KR1023458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4685A (en) * | 2001-06-13 | 2002-12-18 | 정경진 | Golf glove for correcting grip of hands on club |
KR200351973Y1 (en) * | 2003-12-22 | 2004-06-02 | 김태용 | Golf glove for grip |
KR200422593Y1 (en) * | 2006-05-12 | 2006-07-27 | 김승범 | Golf Gloves with Grip Holding Band |
KR20120122391A (en) * | 2011-04-29 | 2012-11-07 | 신이산업 주식회사 | Gloves for spor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63271A (en) | Athlete{3 s glove and pad | |
US5898944A (en) | Athletic glove for gripping bats, clubs and racquets | |
US4187557A (en) | Athletic glove | |
JPH09234265A (en) | Golf glove | |
US5511247A (en) | Sports glove with forefinger stiffener | |
US3930271A (en) | Golf glove | |
KR101783803B1 (en) | Right hand golf glove | |
KR100686319B1 (en) | Left Hand Gloves with Grip Strap | |
US7058984B2 (en) | Golf gloves | |
US7314459B2 (en) | Digit-supporting therapeutic device for the hand | |
KR102345810B1 (en) | Golf glove | |
KR200422593Y1 (en) | Golf Gloves with Grip Holding Band | |
KR102028672B1 (en) | Golf glove | |
KR200434359Y1 (en) | Golf Gloves with Hook Band | |
KR100976036B1 (en) | Golf glove having strong griper and griping method | |
KR101230928B1 (en) | Golf gloves | |
KR101257635B1 (en) | Golf glove for fixing grip | |
KR20110000214U (en) | Golf finger band | |
KR200351973Y1 (en) | Golf glove for grip | |
KR101670436B1 (en) | Gloves for golf | |
KR200297111Y1 (en) | A glove for golf | |
KR200497449Y1 (en) | Golf glove | |
CN217822055U (en) | Erhu bow holding aid | |
JP2008240164A (en) | Sport glove | |
JPH0824392A (en) | Wrist holder and wrist holder glo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