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 및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124)이 위치한다.
게이트선(121)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한다. 게이트 전극(124)은 평면 상에서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선(121)의 연장 방향, 게이트 전극(124)의 돌출 방향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은 저저항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154)가 위치한다. 반도체(154)는 게이트 전극(124)과 중첩한다. 반도체(154)는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154)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도체(154)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데이터선(171) 및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소스 전극(173), 소스 전극(173)과 이격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175)이 위치한다.
데이터선(171)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선(171)은 게이트선(121)과 교차할 수 있다.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게이트 전극(124) 위로 돌출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게이트 전극(124)과 중첩한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게이트 전극(124) 위에 서로 이격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은 U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 전극(175)은 넓은 한 쪽 끝 부분과 막대형인 다른 쪽 끝 부분을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75)의 막대형 끝 부분은 소스 전극(173)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데이터선(171)의 연장 방향,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저저항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룬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드레인 전극(175), 반도체(154) 위에는 보호막(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80)에는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구멍(185)은 드레인 전극(17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특히, 접촉 구멍(185)은 드레인 전극(175)의 넓은 끝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보호막(180)과 게이트 절연막(140) 사이에는 색 필터(230)가 위치할 수 있다. 색 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색 필터(230)가 표시하는 색상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우(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색 필터(230)는 상부 표시판(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색 필터(230)는 기판(210)과 덮개막(2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유지 전극선(199) 및 유지 전극선(199)과 이격되어 있는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유지 전극선(199) 및 화소 전극(19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 및 화소 전극(191)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지 전압을 전달한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 및 데이터선(171)과 중첩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185)을 통해 드레인 전극(175)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때 화소 전극(191)은 드레인 전극(175)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는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화소 전극(191)의 형상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어느 한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포함하는 부분(LU)을 도시하고 있다.
화소 전극(191)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고, 화소 전극(191)은 서로 교차하는 가로 줄기부(192)와 세로 줄기부(193), 이들로부터 뻗어 있는 미세 가지부(194)를 포함한다.
가로 줄기부(192)는 대략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게이트선(121)과 나란하고, 세로 줄기부(193)는 대략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데이터선(171)과 나란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와 세로 줄기부(193)에 의해 4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진다.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및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그 뻗는 방향은 게이트선(121) 또는 가로 줄기부(192)와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4개의 부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부영역에서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왼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고, 다른 하나의 부영역에서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부영역에서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부영역에서 미세 가지부(194)는 가로 줄기부(192) 또는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가 뻗어 있는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곽 줄기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곽 줄기부(195)가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더 위치할 수 있고,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외곽 줄기부(195)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하고, 유지 전극선(199)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1)과 인접한 제1 변(195a), 및 제1 변(195a)과 마주보는 제2 변(195b)을 포함한다. 제2 변(195b)은 미세 가지부(19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변(195b)과 미세 가지부(194) 사이의 경계를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외곽 줄기부(195)와 세로 줄기부(193)가 만나는 지점이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가 된다. 또한,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가 된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제1 변(195a)과 제2 변(195b)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유지 전극선(199)은 외곽 줄기부(195)와 인접한 제1 변(199a), 및 제1 변(199a)과 마주보는 제2 변(199b)을 포함한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제1 변(199a)과 제2 변(199b)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a)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외곽 줄기부(195)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제,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210) 위에 차광 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과 중첩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라고도 하며 빛샘을 막아준다.
차광 부재(220) 위에는 덮개막(240)이 위치한다. 덮개막(240)은 덮개막(240)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을 평탄화시키고, 이들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에 의한 액정층(3)의 오염을 억제하여 화면 구동 시 초래할 수 있는 잔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한다.
덮개막(24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공통 전극(270)은 기판(210) 위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표시판(100, 200)의 안쪽 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두 표시판(100, 200)의 바깥쪽 면에는 편광자(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데, 두 편광자의 투과축은 직교하며 이중 한 투과축은 게이트선(121)에 대하여 나란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편광자는 두 표시판(100, 200) 중 어느 하나의 바깥쪽 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층(3)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310)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입사광은 직교 편광자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액정층(3)과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광 반응성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 반응성 메소겐(reactive mesoge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보다 길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 및 제2 변(195b)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외곽 줄기부(195)의 양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보다 길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외곽 줄기부(195)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어느 한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포함하는 부분(LU)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더미 줄기부(196)를 더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줄기부(196)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미 줄기부(196)가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더 위치할 수 있고,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더미 줄기부(196)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더미 줄기부(196)를 더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보다 길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더미 줄기부(196)를 더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보다 길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선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1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o2c)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o2c)보다 길다.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과 상이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한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작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폭과 유지 전극선(199)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유지 전극선(199)의 일측 변 및 외곽 줄기부(195)가 유지 전극선(199)의 타측 변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폭이 일정하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층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oc1)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oc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oc1)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oc1)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oc2)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제1 변(195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oc2)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과 상이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보다 작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전극선(199)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외곽 줄기부(195)가 유지 전극선(199)의 일측 변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선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층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oc1)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oc1)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oc1)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oc1)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oc2)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oc2)는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oc2)보다 짧다.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 사이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 및 더미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어느 한 층을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지 않으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제1 변(196a), 및 제1 변(196a)과 마주보는 제2 변(196b)을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은 외곽 줄기부(195)와 인접한다. 더미 줄기부(196)와 세로 줄기부(193)가 만나는 지점이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가 된다. 또한,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가 된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제1 변(196a)과 제2 변(196b)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보다 짧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과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보다 크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 줄기부(196)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지 않으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보다 짧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보다 길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과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보다 크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 줄기부(196)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양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지 않으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1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Cd2c)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SEd2c)보다 길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과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과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의 폭(WCd)은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의 폭(WEd)보다 크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 줄기부(196)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중첩하고,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전극선(199)은 게이트선(121)과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중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게이트선(121)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제2 변(196b)과 게이트선(121)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선, 더미 줄기부 및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dc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최단 거리(SEdc1)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dc2)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제1 변(19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dc2)보다 짧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의 폭(WCo)은 외곽 줄기부(195)의 가장자리부의 폭(WEo)보다 크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외곽 줄기부(195)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제2 변(195b)은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와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과 상이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보다 작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전극선(199)의 폭 및 외곽 줄기부(195)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더미 줄기부(196)가 유지 전극선(199)의 일측 변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외곽 줄기부(195)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199)의 일측 변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dc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dc2)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Cdc2)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까지의 거리(SEdc2)보다 짧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의 제2 변(199b)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와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과 상이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의 폭(WCc)은 유지 전극선(199)의 가장자리부의 폭(WEc)보다 작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유지 전극선(199)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전극선(199)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가 유지 전극선(199)의 일측 변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선 및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고,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며,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dc1)와 상이하다.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Cdc1)는 더미 줄기부(19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제1 변(199a)까지의 거리(SEdc1)보다 짧다.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196)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미 줄기부(196)의 폭은 일정하다. 외곽 줄기부(195)와 더미 줄기부(196)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유지 전극선(199)의 폭은 일정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가 유지 전극선(199)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미 줄기부(196)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를 포함하고, 외곽 줄기부(195)는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에 대응하고, 외곽 줄기부(195)가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모든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의 절반 정도에 대응하고, 외곽 줄기부(195)가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있다. 외곽 줄기부(195)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는 세로 줄기부(193)와 인접한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있다. 외곽 줄기부(195)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가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곽 줄기부(195)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미세 가지부(194)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수평 방향 전계(lateral field)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가지부(194)의 단부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에서 텍스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의 절반 정도에 대응하고,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는 앞선 실시예에서보다 좀 더 길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의 절반 정도에 대응하고,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는 앞선 실시예에서보다 좀 더 짧게 형성된다. 즉,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는다.
화소 전극(191)은 더미 줄기부(196)를 더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의 길이는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미 줄기부(196)의 길이는 도시된 것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고, 외곽 줄기부(195)의 길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4개의 부영역 중 좌상측에 위치하는 부영역 및 이와 인접하는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도시하지 않음),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외곽 줄기부(195) 및 더미 줄기부(196)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는 유지 전극선(199)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가 세로 줄기부(193)와 인접한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외곽 줄기부(195)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 줄기부(195)가 세로 줄기부(193)와 인접한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지 않고,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부 미세 가지부(194)를 연결하고 있다. 세로 줄기부(193)와 인접한 일부 미세 가지부(194)는 더미 줄기부(196)에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 중 일부 미세 가지부(194)는 외곽 줄기부(195)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미세 가지부(194)는 더미 줄기부(196)에 연결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유지 전극선과 인접한 복수의 미세 가지부 중 일부 미세 가지부가 외곽 줄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각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와 유지 전극선의 폭은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외곽 줄기부와 유지 전극선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외곽 줄기부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의 가장자리부터로부터 유지 전극선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외곽 줄기부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유지 전극선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더미 줄기부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더미 줄기부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줄기부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앞선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가로 줄기부(192)는 중심부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고, 가장자리부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가진다. 가로 줄기부(192)의 중심부는 가로 줄기부(192)가 세로 줄기부(193)와 교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가로 줄기부(192)의 가장자리부는 세로 줄기부(193)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가로 줄기부(192)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192)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미세 가지부(194)와 가로 줄기부(192) 사이의 경계에서의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텍스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하고,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고, 가장자리부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는 세로 줄기부(193)가 가로 줄기부(192)와 교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세로 줄기부(193)의 가장자리부는 가로 줄기부(192)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192)의 폭 및 세로 줄기부(193)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미세 가지부(194)와 가로 줄기부(192) 사이의 경계 및 미세 가지부(194)와 세로 줄기부(193) 사이의 경계에서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텍스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 및 세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고,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앞선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앞선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고,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고, 가장자리부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줄기부(193)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함으로써, 미세 가지부(194)와 세로 줄기부(193) 사이의 경계에서 액정 제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텍스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중심부로부터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까지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로 줄기부(192)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가로 줄기부(192)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고, 가장자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줄기부 및 세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 및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는 중심부로부터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까지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로 줄기부(192)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로부터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까지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고, 가장자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줄기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 세로 줄기부(193)는 중심부로부터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까지 점차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부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세로 줄기부(193)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영역은 중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고, 가장자리부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하고,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더미 줄기부(196)를 더 포함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외곽 줄기부(195)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줄기부(196)는 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줄기부(196)는 화소 전극(191)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줄기부(196)는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더 위치할 수 있으며, 화소 전극(19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더미 줄기부(196)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192)의 폭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 내지 도 3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로 줄기부(193)의 폭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가로 줄기부(192) 및 세로 줄기부(193)의 폭이 소정의 영역에서는 점차적으로 변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5 내지 도 3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가로 줄기부 및 세로 줄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이 위치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각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것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줄기부 및 유지 전극선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미 줄기부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 가지부의 평면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유지 전극선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 세로 줄기부(193), 미세 가지부(194) 및 외곽 줄기부(195)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과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와 세로 줄기부(193)에 의해 4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앞선 실시예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와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는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와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는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와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는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줄기부 및 유지 전극선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미 줄기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의 형상 등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3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을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이 교차하고 있다. 게이트선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2 소스 전극(17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소스 전극(173a)과 이격되어 있는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과 중첩하고,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과 중첩한다.
게이트선(121)과 나란하도록 유지 전극선(199)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 전극선(199)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소스 전극(173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어 있고,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되어 있는 제3 드레인 전극(175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제3 게이트 전극(124c)과 중첩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부화소 전극(19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부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줄기부(192a)와 세로 줄기부(193a)를 포함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은 가로 줄기부(192a) 및 세로 줄기부(193a)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미세 가지부(194a), 미세 가지부(194a)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곽 줄기부(195a)를 더 포함한다.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줄기부(192b)와 세로 줄기부(193b)를 포함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b)은 가로 줄기부(192b) 및 세로 줄기부(193b)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미세 가지부(194b), 미세 가지부(194b)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곽 줄기부(195b)를 더 포함한다.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외곽 줄기부(195b)와 유지 전극선(199)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 줄기부(196b)를 더 포함한다.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제1 부화소 전극(191a)의 양측에 위치한다.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폭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것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줄기부, 더미 줄기부 및 유지 전극선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의 형상 등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3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본 실시예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가 세로 줄기부(193)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2)가 세로 줄기부(193)보다 짧은 형상을 가진다.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99)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의 폭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데이터선(17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데이터선(17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것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줄기부 및 유지 전극선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미 줄기부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의 형상 등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 층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을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이 교차하고 있다. 게이트선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a)과 중첩하도록 제1 반도체(154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게이트 전극(124b)과 중첩하도록 제2 반도체(154b)가 형성되어 있고, 제3 게이트 전극(124c)과 중첩하도록 제3 반도체(154c)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2 소스 전극(17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소스 전극(173a)과 이격되어 있는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과 중첩하고,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과 중첩한다. 제2 드레인 전극(175b)와 연결되는 제3 소스 전극(173c)이 형성되어 있고,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어 있는 제3 드레인 전극(175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전극(173c)과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제3 게이트 전극(124b)과 중첩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1 부화소 전극(19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 부화소 전극(19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줄기부(192a)와 세로 줄기부(193a)를 포함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은 가로 줄기부(192a) 및 세로 줄기부(193a)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미세 가지부(194a), 미세 가지부(194a)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곽 줄기부(195a)를 더 포함한다.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줄기부(192b)와 세로 줄기부(193b)를 포함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b)은 가로 줄기부(192b) 및 세로 줄기부(193b)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미세 가지부(194b), 미세 가지부(194b)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곽 줄기부(195b)를 더 포함한다.
게이트선(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 유지 전극선(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돌출되어 제1 부화소 전극(191a) 및 제2 부화소 전극(191b)을 둘러싸도록 제2 유지 전극선(135)이 형성되어 있다.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제2 유지 전극선(135)까지의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유지 전극선(135)까지의 거리와 상이하다. 외곽 줄기부(195a, 195b)의 폭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중심부로부터 데이터선(17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곽 줄기부(195)의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데이터선(171)의 적어도 한 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줄기부의 일측 변이 유지 전극선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것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줄기부 및 유지 전극선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이 더미 줄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미 줄기부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선(171)과 중첩하는 차폐 전극(197)이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차폐 전극(197)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199)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