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024B1 -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 Google Patents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4024B1 KR102344024B1 KR1020200055170A KR20200055170A KR102344024B1 KR 102344024 B1 KR102344024 B1 KR 102344024B1 KR 1020200055170 A KR1020200055170 A KR 1020200055170A KR 20200055170 A KR20200055170 A KR 20200055170A KR 102344024 B1 KR102344024 B1 KR 1023440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unit block
- air circulation
- prefabricated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6—Flooring, e.g. parquet on flexible web, laid as flexible webs; Web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flooring; Parquet on flexible web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제1 단위 블록 매트에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제1 단위 블록 매트와 이웃하는 제2 단위 블록 매트에 배치된 제2 결합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제1 단위 블록 매트 및 제2 단위 블록 매트 각각은 조립식 매트가 깔리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배치된 단위 블록, 단위 블록을 정의하고 저면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간격을 가지며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 및 공기 순환 통로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단위 블록의 평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는 매트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공기 순환 패턴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펌프식으로 공기 순환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배치함으로써 조립식 매트의 저면에서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and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disposed on a first unit block mat, and a second adjacent to the first unit block mat A second coupling part disposed on the unit block mat is combined, and each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defines a unit block and a unit block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is laid, and defines the unit block of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spac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arrang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passages and the air circulation passages intersec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lane of the unit block are included. can do. Accordingly,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irculation pattern that allows air to be circulated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in a pump-type air filled in the air circulation patter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t By disposing 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circulate air at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ma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과 접하는 매트 저면에 공기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that facilitates air circula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일반 가정 또는 키즈 카페 등에서 층간소음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다수 개가 서로 조립된 상태로 배열되어 소정 크기의 완충 매트를 형성하는 조립식 매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매트는 실내에서 어린이들이 마음껏 장난치며 뛰어놀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homes or kids caf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ats that are arranged in an assembled state to form a cushioning mat of a predetermined size are widely used. These prefab mats serve to provide a unique space for children to play and run indoors to their heart's content.
이러한 조립식 매트는 두꺼운 판 형태로 각각의 단위 블록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 매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에는 테두리에 다수의 결합홈과 결합편이 일정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편이 서로 결합되어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를 이룬다. This prefabricated mat is mad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t block mats constituting each unit block in the form of a thick plate. In each unit block ma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coupling pieces are alternat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dge. In this way, the coupling grooves and coupling pieces formed in each unit block m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general prefabricated mat.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의 결합홈과 결합편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결합홈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면 결합편 역시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여 그 형태에 맞춰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는 결합홈과 결합편의 형태에 맞게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매트 상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결속력이 떨어져 자꾸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iece of a general prefabricated mat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coupling groov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piece also has a rectangular shape to be coupled according to the shape. However, since the general prefabricated mat is coupled on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iece,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on the mat, the coupling force is lowered and the problem is continuously separated.
또한,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의 저면은 조립식 매트가 깔리는 바닥면과 맞닿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저면에 공기 순환이 잘 되지 않고, 혹여 사용자가 매트 위에 물이나 음료수가 떨어지면 조립식 매트가 결합된 틈새로 물기 등이 스며들게 되고 이를 청소하기 용이치 않아 바닥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bottom of a general prefabricated m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o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is laid, so air circulation on the bottom is not good, and if water or beverages fall on the mat, water may seep into the gap where the prefabricated mat is combined. And it is not easy to clean it,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or is contamin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 매트가 깔리는 바닥면과 맞닿는 조립식 매트의 저면에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형성하여 물이나 습기의 증발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orms an air circulation pattern for air circulation on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mat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is laid, so that water or moisture evaporates easily.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mat having a circulation pattern.
본 발명은 사용자와 맞닿는 조립식 매트의 상면의 패턴을 개선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립식 매트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manage the prefabricated mat by improving the patter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in contact with the user to facilitate cleaning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s.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를 이루는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부를 개선하여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 부분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nit block mat can be made more robust by improv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nit block mat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ma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는 제1 단위 블록 매트에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제1 단위 블록 매트와 이웃하는 제2 단위 블록 매트에 배치된 제2 결합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제1 단위 블록 매트 및 제2 단위 블록 매트 각각은 조립식 매트가 깔리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배치된 단위 블록, 단위 블록을 정의하고 저면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간격을 가지며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 및 공기 순환 통로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단위 블록의 평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는 조립식 매트의 하면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저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조립식 매트의 저면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The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disposed on a first unit block mat, and a second coupling part disposed on a second unit block mat adjacent to the first unit block mat. Each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defines a unit block and unit block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is laid, and a predetermined depth and spac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bottom surfac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passage and the air circulation passage intersect each other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lane of the unit block. Accordingly,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to circulate ai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so that the air of the bottom circulates, thereby managing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mat can be made easi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은 공기 순환 통로의 깊이에 비해 높은 높이를 갖되 단위 블록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may have a height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air circulation passage, but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nit block.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평면부와 복수 개의 오목부가 교번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평면부와 각각의 오목부는 서로 대칭되어 배치되며, 평면부와 오목부의 연결면에는 미세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flat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 block mat, each flat portion and each concave portion ar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surface of the flat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 minute step may be form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부와 오목부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lat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may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are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는 제1 단위 블록 매트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돌출부, 제1 돌출부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 및 결합홈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제1 돌출부와 접하는 제2 돌출부, 제2 돌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결합홈에 수용되도록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와 제2 단위 블록 매트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걸림턱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dispos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 coupling groove formed under the first protrusion,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groove.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under the second protrusio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to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It is disposed between and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shape to accommodate the locking jaw.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의 저면에 저면의 평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펌프식 공기 순환 패턴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매트의 상면에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공기 순환 패턴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공기 순환 통로를 통해 저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물이나 습기의 증발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 순환 패턴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나가면서 공기 순환 패턴이 바닥과 밀접해져 매트의 미끄러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pump-type air circulation pattern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plane of the bottom on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mat,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t is applied, the air filled in the air circulation pattern is air The air on the bottom circulates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to facilitate evaporation of water or moisture, and at the same time, as the air filled in the air circulation pattern exits, the air circulation pattern becomes close to the floor to further prevent slipping of the mat.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의 상면에 미세한 단차를 갖는 평면부와 오목부를 교번 배치하여 상면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매트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mat by alternately arranging a flat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having a fine ste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to form a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의 상면에 평면부와 오목부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 또는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홈을 없애 상면의 청소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to clean the upper surface by eliminating the existing grooves by disposing the flat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or a corresponding shape and size.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를 이루는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부 형상을 2차적으로 끼워지도록 개선함으로써 단위 블록 매트 간의 분리를 방지하여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unit block mats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nit block mat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mat to be fitted secondaril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의 결합부를 개선하여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위 블록 매트 간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위 블록 매트 사이에 이물질의 끼임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trapping of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unit block mats by improv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mat so that a space between the unit block mats does not occu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상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의 상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각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부를 포함한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A.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a general prefabricated mat.
Figure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including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unit block mat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nding state of the unit block mat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t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는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이웃하는 단위 블록 매트(100b)를 서로 조립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1, the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는 동일한 두께와 크기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물질, 예를 들어, EVA 또는 우레탄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는 유연성 있는 물질을 금형에 주입발표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가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삼각형상, 다이아몬드 형상 등 여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Each of the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는 상면(110)과 저면(120)을 포함하고,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의 측면, 즉 테두리에는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의 상면(110)과 저면(120)은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이웃하는 단위 블록 매트(100b)의 결합부(13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부(130)의 형상대로 어느 하나의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이웃하는 단위 블록 매트(100b)가 끼워져 조립식 매트(1000)를 이루게 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의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의 상면(110)의 패턴에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다음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기로 한다. Let's look at each configuration of the unit block mat (100a, 100b) of the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상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의 상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2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2a, Figure 3 is a general view of the top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mat schematically It is a flat view.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를 이루는 각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의 상면(110)은 평면부(111)와 오목부(112)가 교번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2a and 2b, the
평면부(11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매트의 상면(110)을 형성한다. The
오목부(11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평면부(111)와 함께 매트의 상면(110)을 형성한다. 이때, 오목부(112)는 평면부(111)를 기준으로 다소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즉, 오목부(112)는 평면부(111)에 비해 제1 두께(t)만큼 두께가 낮아진 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제1 두께(t)는 사용자가 매트의 상부에 위치해 있을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로 인해, 평면부(111)와 오목부(112)는 서로의 연결면에 미세한 단차가 형성되고, 미세한 단차가 형성된 평면부(111)와 오목부(112)는 상면(110)의 전체적인 패턴을 이루게 되어 매트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의 평면부(111)와 오목부(112)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면(110)의 평면부(111)와 오목부(112)는 서로 대칭되면서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대칭을 이루면서 일대일 대응되는 평면부(111)와 오목부(112)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대칭을 이루는 평면부(111)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분과 오목부(112)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분의 면적은 동일하고, 대칭을 이루는 평면부(111)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부분과 오목부(112)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부분의 면적이 동일하다. 한편, 도 2a에서는 일부 각각의 평면부(111)와 일부 각각의 오목부(112)가 서로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 등을 가진 복수 개의 평면부(111)와 복수 개의 오목부(112)가 서로 교번하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A , the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는 매트의 패턴 형성을 위해 홈(10)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는 매트의 상면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연통하여 형성된 홈(10)의 교차 지점을 기준으로 패턴을 정의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조립식 매트의 상면 상에서 활동을 많이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식 매트의 상면에 형성된 홈(1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낄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매트에 형성된 홈(10)은 대체적으로 좁은 너비를 갖는 골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홈(10)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편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의 상면(110)은 미세한 단차를 갖는 평면부(111)와 오목부(112)를 교번하여 배치하고 서로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하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에 형성된 홈(10)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물질 끼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트의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in a general prefabricated mat, there is a case in which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의 저면(120)의 패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atter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를 이루는 단위 블록 매트(100a)의 저면(120)에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121), 각각의 단위 블록(121)을 정의할 수 있도록 단위 블록(121)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간격을 가지며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122) 및 저면(1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123)이 배치될 수 있다. 4 and 5, the
복수 개의 단위 블록(121)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매트의 저면(120)을 형성한다. 각각의 단위 블록(121)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122)의 교차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blocks 12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o form the
공기 순환 통로(122)는 저면(120)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좁은 너비를 가지면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골의 형태로 배치된다. 공기 순환 통로(122)는 공기 순환 패턴(12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순환 통로(122)가 공기 순환 패턴(123)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기 순환 통로(122)는 사용자가 상면(110) 상에 위치하여 눌리더라도 저면(120)의 공기가 이웃하는 공기 통로를 통해 순환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의 증발이 용이해지도록 한다.The
공기 순환 패턴(123)은 단위 블록(121)의 경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는, 공기 순환 패턴(123)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122)가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순환 패턴(123)의 주변에는 공기 순환 통로(122)가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매트의 상면(110)에 사용자가 위치해 외력이 가해지면 공기 순환 패턴(123)에서의 공기가 공기 순환 통로(122)를 통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The
공기 순환 패턴(123)은 공기 순환 통로(122)의 너비보다는 큰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공기 순환 패턴(123)이 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순환이 될 수 있는 여러 패턴을 가질 수 있다.The
공기 순환 패턴(123)은, 저면(120)의 반대면인 상면(110)을 기준으로 단위 블록(121)의 평면 높이(t1)보다 낮은 높이(t2)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기 순환 패턴(123)은 공기 순환 통로(122)보다는 높은 높이를 갖되 단위 블록(121)의 평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는 단위 블록(121)의 평면의 높이(t1)의 약 1/2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립식 매트(1000)의 저면의 공기 순환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는 공기 순환 통로(122)를 기준으로 단위 블록(121)의 평면 높이의 1/3초과 2/3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혹여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가 단위 블록(121)의 평면 높이의 1/3이하인 경우 단위 블록(121)과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 차로 인해 사용자가 위에서 밟았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공기 순환 패턴(123)의 높이가 단위 블록(121)의 평면 높이의 2/3이상인 경우 공기 순환 효율에 있어 공기 순환 통로(122)만이 배치된 경우와 큰 차이가 없을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저면(120)의 평면을 이루는 단위 블록(121)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공기 순환 패턴(123)은 매트 저면(120)에서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종의 펌프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매트의 상면(110) 상에 위치하면 저면(120)의 평면과는 다른 높이를 갖는 공기 순환 패턴(123)의 공기가 사용자의 압력 작용에 의해 공기 순환 통로(122)를 통해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는 저면(120)에 단위 블록(121)보다 낮은 높이를 갖되 저면(120)에서의 공기 순환에 있어서 펌프 역할을 하는 공기 순환 패턴(123)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순환 통로(122)만을 배치한 경우보다 보다 원활하게 저면(120)에서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는 저면(120)에 공기 순환 패턴(123)을 포함함으로써 바닥과 밀착한 조립식 매트(1000)의 저면(120)에 수분이나 습기가 보다 잘 증발하도록 하거나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저면(120)의 수분이나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 및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such,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의 저면(120)에 형성된 공기 순환 패턴(123)은 매트의 상면(110)에서 사용자가 위치해 있거나 하는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공기 순환 패턴(123)이 눌리면서 공기 순환 패턴(123)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공기 순환 통로(122)를 통해 나가면서 공기 순환 패턴(123)은 바닥과 밀착되게 되어 이로 인해 매트의 미끄러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의 결합부(130) 및 조립식 매트(1000)의 결합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부를 포함한 각 단위 블록 매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단위 블록 매트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6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each unit block mat includ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combined state of the unit block mat of the prefabricated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plan view of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는 단위 블록 매트(100a) 및 이웃하는 단위 블록 매트(100b) 각각에 배치된 결합부(130)에 의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블록 매트(100a)는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라 지칭하고, 이웃하는 단위 블록 매트(100b)는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로 지칭하며,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결합부를 제1 결합부(130a)로 지칭하고,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결합부를 제2 결합부(130b)로 지칭하고자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6A , the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제1 결합부(130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측면으로부터 제1 길이(l1)만큼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a)는 제1 돌출부(131a), 결합홈(132a) 및 걸림턱(133a)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돌출부(131a)는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측면보다 제2 길이(l2)만큼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l2)는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가 결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틈의 최소 폭만큼의 길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돌출부(131a)는 제2 결합부(130b)의 제2 돌출부와 맞닿게 되고 이러한 제1 돌출부(131a)로 인해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결합을 보다 단단히 하면서 미세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00)는 단위 블록 매트(100a, 100b) 간의 결합 영역에 이물질의 끼임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The
결합홈(132a)은 제1 돌출부(131a)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130b)의 결합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32a)은 제2 결합부(130b)의 결합돌기와 끼워 맞춰져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가 결합되도록 한다. The
걸림턱(133a)은 결합홈(132a)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133a)은 제2 결합부(130b)의 결합 돌기가 결합홈(132a)에 수용 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locking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제2 결합부(130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측면으로부터 제4 길이(l4)만큼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길이(l4)는 제1 길이(l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130b)는 제2 돌출부(131b), 결합돌기(132b) 및 걸림홈(13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돌출부(131b)는 제1 돌출부(131a)와 접하고, 돌출된 상하길이는 제1 돌출부(131a)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31b)는 결합돌기(132b)의 측면보다 제5 길이(l5)만큼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길이(l5)는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가 결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틈의 최소 폭만큼의 길이일 수 있다. 이때, 제5 길이(l5)는 제1 돌출부(131a)가 외부로 돌출된 길이인 제2 길이(l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조립식 매트는 각각의 단위 블록 매트들이 결합되는 부분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틈이 발생하고 발생된 틈에 이물질이 끼거나 각각의 결합부가 이탈되어 사용자가 다치게 되거나 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제1 돌출부(131a)와 제2 돌출부(131b)를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 및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더라도 어떠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결합돌기(132b)는 제2 돌출부(131b)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132b)는 제1 결합부(130a)의 결합홈(132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32b)는 결합홈(132a)에 끼워질 수 있다. The
걸림홈(133b)은 결합돌기(132b)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홈(133b)은 결합돌기(132b)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걸림턱(133a)이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홈(133b)은 걸림턱(133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홈(133b)은 결합돌기(133a)와 결합되어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가 보다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cking
이와 같이,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결합홈(132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결합돌기(132b)가 1차적으로 끼워 맞춰지고,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의 걸림턱(133a)과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의 걸림홈(133b)이 2차적으로 끼워 맞춰져 사용자가 어떠한 외력을 가하더라도 제1 단위 블록 매트(100a)와 제2 단위 블록 매트(100b)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조립식 매트 100a, 100b: 단위 블록 매트
110: 상면 111: 평면부
112: 오목부 120: 저면
121: 단위 블록 122: 공기 순환 통로
123: 공기 순환 패턴 130: 결합부1000:
110: upper surface 111: flat portion
112: recess 120: bottom
121: unit block 122: air circulation passage
123: air circulation pattern 130: coupling portion
Claims (5)
상기 제1 단위 블록 매트 및 상기 제2 단위 블록 매트 각각은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 다른 패턴을 갖는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블록 매트 및 상기 제2 단위 블록 매트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조립식 매트가 깔리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배치된 단위 블록;
상기 단위 블록을 정의하고, 상기 저면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일정 깊이와 간격을 가지며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공기 순환 통로; 및
상기 공기 순환 통로가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단위 블록의 평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블록 매트 및 상기 제2 단위 블록 매트 각각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평면부와 복수 개의 오목부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평면부와 각각의 오목부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평면부와 각각의 오목부의 연결면에는 미세한 단차가 형성되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A prefabricated mat comprising a first coupling part disposed on a first unit block mat and a second coupling part disposed on a second unit block mat adjacent to the first unit block mat,
Each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position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upper surface,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a unit block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is laid;
an air circulation passage defining the unit block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spac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bottom surface and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passages intersect,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lane of the unit block;
A plurality of flat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nd the second unit block mat,
Each of the flat portions and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plate shape,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in which a minute step is formed on a connection surface of each of the flat portions and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상기 복수 개의 공기 순환 패턴은 상기 공기 순환 통로가 갖는 깊이에 비해 높은 높이를 갖되 상기 단위 블록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갖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atterns are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having a height that is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air circulation passage bu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nit block.
상기 각각의 평면부와 상기 각각의 평면부와 대응되는 각각의 오목부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면적을 갖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According to claim 1,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having the same shape and the same area as each of the flat portions and the respective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lat portions.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단위 블록 매트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접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2 단위 블록 매트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unit block mat, a coupling groove formed under the first protrusion,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upling groove. do,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under the second protrusio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to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unit block A prefabricated mat having an air circulation pattern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mat and includes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shape to accommodate the locking protru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70A KR102344024B1 (en) | 2020-05-08 | 2020-05-08 |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70A KR102344024B1 (en) | 2020-05-08 | 2020-05-08 |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640A KR20210136640A (en) | 2021-11-17 |
KR102344024B1 true KR102344024B1 (en) | 2021-12-29 |
Family
ID=787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170A Active KR102344024B1 (en) | 2020-05-08 | 2020-05-08 |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402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8589A (en) | 2023-03-08 | 2024-09-20 | 주식회사 코코넷 | Prefabricated mat using coconu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8058B1 (en) * | 2022-09-07 | 2023-02-10 | 배대경 | a prefabricated mat |
KR102696462B1 (en) * | 2022-10-20 | 2024-08-19 | 박광용 |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 with good ventil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878B1 (en) * | 2014-05-09 | 2015-04-07 | 주식회사 루젠 | Upper mat for car mat, car mat includ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7921A (en) * | 2010-06-18 | 2011-12-26 | 김석규 | Building Sound Insulation Materials |
CN112709400A (en) * | 2011-08-29 | 2021-04-27 | 塞拉洛克创新股份有限公司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KR200492540Y1 (en) * | 2018-10-15 | 2020-11-03 | 김한영 | Floor Mat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170A patent/KR1023440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878B1 (en) * | 2014-05-09 | 2015-04-07 | 주식회사 루젠 | Upper mat for car mat, car mat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8589A (en) | 2023-03-08 | 2024-09-20 | 주식회사 코코넷 | Prefabricated mat using coconu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640A (en) | 202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4024B1 (en) |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 |
US5228253A (en) | Modular tile with shock absorbing properties | |
EP0202846B1 (en) | Non-slip floor mat assembly | |
US7918057B2 (en) | Modular floor tile system with sliding lock | |
CA2924162C (en) |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 |
CA2556881A1 (en) | Interlocking modular floor tile | |
US9962878B2 (en) | Multi-level unitary safety surface tiles | |
KR200467911Y1 (en) | Assembly type mat | |
KR102228059B1 (en) | Puzzle type mat and puzzle type mat assembly | |
ZA200606926B (en) | Loosely laid natural stone panel floor | |
KR102203240B1 (en) | Assembly puzzle mats | |
KR20190011490A (en) | Fabricated plastic blocks for indoors and outdoors | |
KR20190002637U (en) | Prefabricated safety mat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 |
KR102498058B1 (en) | a prefabricated mat | |
KR200439412Y1 (en) | Prefabricated Wood Block | |
KR102747019B1 (en) | Teampoline | |
KR102633900B1 (en) | Assembly Mat with Foreign Object Storage Space | |
PT1880067E (en) | Floor | |
KR101758781B1 (en) | Combinable Block Baseplate and Assembly of That | |
KR20220067798A (en) | Element Mat for Assembly | |
KR100699464B1 (en) | Multi-layered Permeable Block | |
KR102270696B1 (en) |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 |
JP3996676B2 (en) | Mat for flooring | |
KR102082446B1 (en) | Fabricated plastic blocks for indoors and outdoors | |
KR100590409B1 (en) | Prefab Building Floor Pan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