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952B1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2952B1 KR102342952B1 KR1020180167941A KR20180167941A KR102342952B1 KR 102342952 B1 KR102342952 B1 KR 102342952B1 KR 1020180167941 A KR1020180167941 A KR 1020180167941A KR 20180167941 A KR20180167941 A KR 20180167941A KR 102342952 B1 KR102342952 B1 KR 102342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refrigerator
- cold air
- door
- f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쪽에 마련된 저장공간에 별도로 냉기를 공급하여 도어 쪽의 저장 공간과 캐비닛의 고내의 정온 냉장이 가능한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고내와 구분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된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의 덕트 구조로서, 상기 고내의 후방공간에 마련되어 상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고내로 냉기를 토출하는 멀티덕트; 상기 멀티덕트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토출구; 상기 연결토출구와 통하며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전방덕트; 및 상기 전방덕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저장 공간에 냉기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덕트 구조 및 이것이 적용된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structure that allows constant temperature refrigeration in a storage space on the door side and a cabinet in a cabinet by separately supplying cold air to a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door side of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 duc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ulti-duct provided in a rear space of the refrigerator to flow air upward and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refrigerator; a connection outle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ulti-duct; a connection duct communicating with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utlet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ront duc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nozzle unit provided under the front duct and discharg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의 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 쪽에 마련된 저장공간에 별도로 냉기를 공급하여 도어 쪽의 저장 공간과 캐비닛의 고내의 정온 냉장이 가능한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structure that allows constant temperature refrigeration in a storage space on the door side and a cabinet in a cabinet by separately supplying cold air to a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will be.
도 1은 외부도어(25)와 내부도어(30)를 갖춘 도어(20)를 포함하는 냉장고(10)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캐비닛(11) 내부 공간에는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은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선반을 설치하면 냉장고의 내부 공간은 선반을 경계로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또한 냉장고의 도어(20) 쪽에는 음료 등 자주 꺼낼 필요가 있는 음식물들이 저장되기 위한 바스켓 내지 저장 공간이 마련된다.1 shows a
특히 외부도어(25)와 내부도어(30)를 갖춘 도어의 경우, 내부도어를 따로 설치한 취지가 도어를 여닫을 때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냉장고의 도어 안쪽에는 고내의 공간과 도어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커버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칸막이커버에는, 상기 도어의 고내와 연통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어 고내의 냉기가 도어 쪽 저장공간에도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oor equipped with an
그런데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바닥판을 구비하는 선반은, 바닥판이 막혀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선반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개의 분할 공간 간에는 원활한 공기 유동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선반 위에 놓여진 음식물이 캐비닛의 후면 쪽에 마련된 멀티덕트에서 전방을 향해 토출하는 냉기를 가로막는 경우, 도어의 저장공간 쪽에 냉기가 공급되는 것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However, since a shelf having a bottom plate made of glass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has a shape in which the bottom plate is blocked, it is difficult to expect smooth air flow between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separated by the shelf. In addition, when food placed on a shelf blocks cold air discharged toward the front from the multi-duc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the cold air is not smooth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게다가 도어에 칸막이커버를 설치한 취지가 제2도어. 즉 내부도어(30)를 열었을 때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인바, 칸막이커버의 개구 역시 그다지 크지 않다.In addition, the effect of installing a partition cover on the door is the second door. That is, this is to minimize the leakage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or when the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 구조에 의하면, 도어의 저장공간 내에 있는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내부도어(30)를 열 때,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이 설계 예측한 냉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고내의 온도와 도어 쪽 저장공간 내의 온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refrigerator structure, whe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내의 공간을 거치지 않고 도어에 마련된 저장공간 쪽에 직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여, 고내의 음식물 저장 위치나 상태와 관계 없이 도어의 저장공간 쪽에 냉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supplying cold air directly to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door without going through the space in the refrigerator, and to provide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regardless of the food storage location or state in the refriger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structure that can supply smoothly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에 마련된 저장공간에 칸막이커버가 되어 있는 경우, 고내 쪽 냉기와 별도로 또는 고내 쪽 냉기 없이도 칸막이커버 내측에 마련된 저장공간에 직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ition cover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door to prevent the outflow of cold air, cold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partition cover separately or without cold air inside the refriger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structure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도어 쪽 저장공간에 직접, 그리고 원활하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cold air directly and smoothly to a door-side storage spa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전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도어의 저장공간에 모두 원활하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덕트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structure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s of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내와 구분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된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의 덕트 구조로서, 상기 고내의 후방공간에 마련되어 상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고내로 냉기를 토출하는 멀티덕트; 상기 멀티덕트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토출구; 상기 연결토출구와 통하며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전방덕트; 및 상기 전방덕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저장 공간에 냉기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덕트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c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door having a storage spac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 a connection outle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ulti-duct; a connection duct communicating with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utlet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ront duc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nozzle unit provided under the front duct and discharg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고내를 거치지 않고 캐비닛 후방에 마련된 덕트의 냉기를 직접적으로 도어 쪽에 공급함으로써 도어의 저장공간의 정온 유지가 유리하고 도어 쪽 저장공간과 캐비닛 고내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by supplying cold air from the duc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directly to the door without go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space at the door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상기 멀티덕트는 하부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좌우 2분할하여 유동하는 제1분할부 및 제2분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 중 상기 연결토출구가 마련된 분할부의 폭이 나머지 분할부의 폭보다 더 넓도록 함으로써, 연결덕트 쪽으로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냉기의 공급량을 확보할 수 있다. The multi-duct is provided with a first divided portion and a second divided portion that flows by dividing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lower left and right into two, and the width of the divided portion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outlet among the first divided portion and the second divided portion is By making i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emaining divis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pply amount of cold air so that cold ai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connection duct.
상기 연결토출구는 상기 멀티덕트의 상단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토출구에 이르는 멀티덕트 유동공간에는 상기 연결토출구로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벽이 마련된다. 이는 공기의 유동 경로가 멀티덕트의 단부에 오기 전에 미리 냉기를 분기함으로써, 연결덕트 쪽으로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냉기의 공급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connecting outle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multi-duct, and a guide wall for guiding the flow of cold air to the connecting outlet is provided in the multi-duct flow space reaching the connecting outlet.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supply amount of cold air so that the cold ai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connecting duct by branching the cold air in advance before the air flow path comes to the end of the multi-duct.
상기 멀티덕트는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삼각분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멀티덕트는 중앙에 가까이 배치하면서도 연결덕트를 단부 쪽 가까이 설치할 수 있어, 냉장고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삼각분지 형태의 상부 변이 상기 멀티덕트의 최상단에 마련된 토출구와 연결토출구 사이의 벽 부분을 모두 차지하도록 설치되면, 냉기의 유동이 막다른 내벽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 유동 손실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multi-duct may have a triangular branch shape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upper end, and the guide wall becomes wider toward the upper en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ulti-duct can be arranged close to the center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installed close to the end, so that the space in the refrigerator can be used to the maximum. In particular, if the upper side of the triangular branch is installed so that it occupies all the wall portions between the outlet provided at the top of the multi-duct and the connected outlet, the flow of cold air does not collide with the dead-end inner wall, thereby preventing a flow loss. can
상기 연결토출구는 멀티덕트의 상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마련되고, 상기 연결덕트의 후단부는 제1굴절부를 통해 상기 연결토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멀티덕트를 캐비닛의 천장부까지 연장하지 않을 수 있어 멀티덕트 설치가 용이하고, 제1굴절부와 연결덕트를 캐비닛의 천장부 쪽에 배치할 수 있어, 기존의 캐비닛의 형상 변경 없이 전방 쪽으로 냉기를 보낼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outlet may be provid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multi-duct,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utlet through a first bending part.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ulti-duct can not be extended to the ceiling of the cabinet, so it is easy to install the multi-duct, and the first bending par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arrang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cabinet, so that cold air flows forward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xisting cabinet. can send
여기서 상기 제1굴절부는 연결덕트와 별개의 부품인 굴절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굴절관을 연결부재 혹은 멀티덕트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면 각 부품의 생산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규격의 냉장고에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호환성도 높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fra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refraction tube, which i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nection duct. If the refraction tube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part from the connecting member or multi-duct, the production of each part can be simplified, and the parts can be shared in refrigerator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the compati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연결덕트의 유동 단면은 좌우로 더 넓은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연결덕트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동 단면을 좌우로 2분할하는 분할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할벽은 납작하고 긴 연결덕트 내의 공기의 유속을 높여주게 된다.The flow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duct has a rectangular shape wider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connecting duct includes a dividing wall dividing the flow cross-section into two in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dividing wall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in the flat and long connecting duct.
또한 상기 전방덕트에는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제2굴절부가 마련된다. 상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자연스럽게 전방덕트 쪽으로 전환시켜주는 유선형 유동궤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duct is provided with a second be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eamlined flow trajectory that naturally convert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toward the front duct.
상기 제2굴절부는 상기 전방덕트의 좌우로 연장된 내부 유동공간을 가지는 매니폴드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2굴절부와 매니폴드부 사이에는 제2굴절부에서 매니폴드부로 갈수록 점점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안내가속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긴 유동 경로를 거친 냉기의 유속을 다시 한번 증가시킬 수 있다. 도어의 저장공간에 냉기의 양이 많이 공급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장공간 내에 어느 정도 이상의 유속으로 공급되어야 도어의 저장공간 내에서도 냉기가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술한 가속 구조는 저장공간의 정온 운전과 온도편차 감소에 효과적이다.The second bending portion communicates with a manifold portion having an internal flow space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duct, and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the manifold portio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from the second bending portion to the manifold portion. Since the guide accelerato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once again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col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ng flow path. It is important that a large amount of cold air is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but considering that the cold air must be supplied at a certain flow rate into the storage space to be evenly delivered even in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the above-described acceleration structure is It is effective for constant temperature operation and reduction of temperature deviation.
또한 상기 매니폴드부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부에는 토출 단면을 분할하는 분할베인이 마련되어 있어서, 최종적으로 도어의 저장공간에 냉기를 토출할 때 냉기의 유속을 증가시킴과 함께 냉기의 토출 방향을 최적의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uni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nifold is provided with a split vane that divides the discharge cross section, so that when cooling air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the flow rate of the cold air is increased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ld air is adjusted to the optimal direction. can be controlled with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고내 공간이 마련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고내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상기 고내와 구분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된 도어; 상기 고내의 후방공간에 마련되어 상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고내로 냉기를 토출하는 멀티덕트; 상기 멀티덕트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토출구; 상기 연결토출구와 통하며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전방덕트; 및 상기 전방덕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저장 공간에 냉기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food therein; a doo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space in the cabinet, the door having a storage space that is distinct from the space in the cabinet; a multi-duct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refrigerator to flow air upward and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refrigerator; a connection outle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ulti-duct; a connection duct communicating with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utlet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ront duc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nozzle unit provided under the front duct and discharging cold ai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의 외측부를 구성하는 제1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의 저장 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2도어가 마련되어 있어서, 도어 전체를 열지 않고 제2도어만을 열어 도어의 저장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The door is provided with a second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can be access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door constituting the outer part of the door, so that only the second door is opened without opening the entire door to store the door space can be accessed.
상기 도어는 좌우 한 쌍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두 도어의 저장공간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어서, 두 도어의 저장공간 모두에 냉기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the nozzle uni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two doors, respectively, so that cold air can be smoothly provided to both the storage spaces of the two doors.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고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칸막이커버가 있음에도 상기 저장 공간 내에 냉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A partition cover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is provided inside the door, and col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into the storage space even with the partition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덕트와 전방덕트를 통해 고내의 공간을 거치지 않고 도어에 마련된 저장공간 쪽에 직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여, 고내의 음식물 저장 위치나 상태와 관계 없이 도어의 저장공간 쪽에 냉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d ai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door through the connecting duct and the front duc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pace in the refrigerator, and cold ai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regardless of the food storage location or state in the refrigerator. ca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에 저장공간에 칸막이커버가 마련된 경우에도, 상기 칸막이커버 내측의 저장공간에 직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어 도어 쪽 저장공간의 정온 냉장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섭씨 1도 내에서 정온냉장을 하는 경우 식품의 보존기간이 40% 이상 늘어나는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은 도어의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식품의 보존기간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artition cover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door to prevent the outflow of cold air, cold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partition cover,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refrigeration of the storage space on the door side is also smoothly can do.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preservation period of food is increased by more than 40% when refriger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within 1 degree Celsius,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extend the preservation period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도어 쪽 저장공간에 직접, 그리고 원활하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에 적용된 각 부품을,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다른 냉장고에도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유지 관리가 간단하고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d air can be supplied directly and smoothly to the door-side storage spac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each part applied to the structure can be used in common or interchangeably with other refrigerator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Product quality and maintenance are simple and eas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전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도어의 저장공간에 모두 원활하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어 냉장고 내부 전체의 공간에 대한 정온 운전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all the storage spaces of the plurality of door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so that a constant temperature operation is possible for the entir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상술한 발명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며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More specific effect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상부에 좌우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하고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구비하는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형식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덕트 구조의 멀티덕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멀티덕트만을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덕트 구조와 함께 멀티덕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덕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후방 상부에서 덕트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
도 7은 도 2의 덕트 구조의 굴절관, 연결덕트 및 전방덕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8은 덕트 구조의 연결 덕트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전방덕트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부 및 분할베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doors on the upper portion, and an outer door and an inner door;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multi-duct from the rear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duct of the duct structure of FIG.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duct together with the duct structure of Figure 2,
5 is a plan view of the duct structure of FIG. 2 viewed from abov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duct structure is applied from the rear upper part;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active tube, the connecting duct and the front duct of the duct structure of FIG. 2 viewed from the rear;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necting duct part of the duct structure, and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ozzle unit and the split van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du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o complete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냉장고의 구조][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도 1은 상부에 좌우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하고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를 구비하는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형식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과 함께, 후방 상부에서 덕트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구조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doors on the upper portion and an outer door and an inner door.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duc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show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duct structure is applied from the rear upper part together with FIG. 1 .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냉장고(10)는 하부에 냉동실이 구비되고 상부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로서, 하부에는 냉장고의 폭과 일치하는 하나의 도어를 가지는 냉동실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냉장고의 폭 방향으로 두 개의 도어(20)가 구비되어 중앙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양측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양문형의 냉장실이 구비된다.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도 1의 도면 상 우측) 도어(20)는 도어 인 도어(door in door) 형태의 도어가 구비되고, 타측(도 1의 도면 상 좌측) 도어(20)는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쪽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23)이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은 수납공간의 저면과 측면을 지지한다.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6 , the general type door has a
반면 도어 인 도어 구조의 도어는 제1도어(25) 내에 제2도어(30)가 설치된 구조로서, 제1도어(25)는 도어(20)의 외곽부를 구성하는 외부도어가 되며, 제2도어(30)는 도어(20)의 면을 구성하는 내부도어가 된다. 상기 제1도어에는,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안쪽에 바스켓과 함께, 상기 바스켓에 수납되는 음식물의 저장공간과 캐비닛(11) 쪽의 고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커버(21)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of the door-in-door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제1도어(25)를 개방하면, 제2도어(30)와 함께 도어의 후방에 구비된 바스켓과 칸막이커버(21)가 함께 거동하여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고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제1도어(25)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2도어(30)만 개방하면, 도어(20)의 전면부만 열리면서 외부, 즉 냉장고의 전방에서 도어의 저장공간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저장공간은 칸막이커버(21)에 의해 고내의 공간과 구획된 상태를 유지한다. 칸막이커버(21)는 고내의 공간과 도어의 저장공간 사이에 약간의 공기 유동은 허용하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어(30)만 개방되었을 때,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고내에는 복수 개의 선반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하로 배열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이들 각 공간에는 캐비닛(11)의 후방에 마련된 멀티덕트(60)의 토출구(63; 도 2 참조)에서 냉기가 토출되어 냉각이 이루어진다. 도어(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멀티덕트(60)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냉기의 일부는 고내의 공간을 거친 후 상기 칸막이커버(21)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도어(20) 쪽 저장공간에도 유입된다.A plurality of shelves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are divided into three spaces arranged vertically. In each of these spaces, cold air is discharged from the
[덕트 구조][duct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덕트 구조의 멀티덕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멀티덕트만을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덕트 구조와 함께 멀티덕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덕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후방 상부에서 덕트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 도 7은 도 2의 덕트 구조의 굴절관, 연결덕트 및 전방덕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8은 덕트 구조의 연결 덕트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전방덕트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부 및 분할베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multi-duct from the rear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duct of the duct structure of FIG. 2, and FIG. 4 is the duct of FIG.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duct together with the structure, FIG. 5 is a plan view of the duct structure of FIG. 2 viewed from abov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duct structure is applied from the upper rear, and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structure, the connecting duct and the front duct viewed from the rear,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duct part of the duct structure, and FIG. 9 is a nozzle unit and a split vane structure provided under the front duct the drawing shown.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냉각하기 위해 냉기를 유동하는 통로가 되는 덕트들의 설치 구조는, 캐비닛의 후방에 설치되는 멀티 덕트(60), 상기 멀티 덕트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멀티 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연결덕트(80), 상기 연결덕트(80)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한 냉기를 냉장고의 폭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전방덕트(90)를 포함한다.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ducts serving as passages for flowing cold air to cool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ulti-duct 6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ulti-duct, and extending forward and forming the multi-duct
멀티 덕트(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flat type)이며,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에서 송풍되는 냉기는 도면 상 좌측(일측)의 제1분할부(61) 쪽 유로와, 우측(타측)의 제2분할부(62) 쪽 유로로 나뉘어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분할부(61)와 제2분할부(62)에는 앞서 설명한 선반에 의해 구분되는 고내의 각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내의 각 공간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63)들이 마련된다. The multi-duct 60 is of a flat type as shown, and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s provided. Referring to FIG. 3 , the cold air blown from the lower part is divided into a flow path toward the first divided
멀티 덕트(60) 내의 하부에서 상부로 냉기가 유동해 가면서 일부 냉기들이 각 토출구(63)로 토출됨에 따라, 상부로 전해지는 냉기의 양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냉기의 양이 점점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상하의 덕트의 폭이 모두 동일하다면, 상부로 올라갈수록 냉기의 유속이 줄어들게 되고, 이는 상단부에 있는 토출구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부(61)와 제2분할부(62)의 상단부의 부근의 소정 구간(i)에서 폭을 감소시켜 그 하부보다 공기 유동면적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냉기가 최상단의 토출구(63)로도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As the cold air flow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n the multi-duct 60 and some cold air is discharged to each
또한 최상단의 토출구를 상방으로 개구하고, 이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방(즉 고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구조(미도시)를 두면, 최상단 선반 공간에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structure (not shown) is provided for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uppermost outlet opening upward (that is, toward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 flow rate of cold air discharged to the uppermost shelf space is also enough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멀티 덕트(60)의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 중에서 전술한 연결덕트(80)가 연결되는 분할부 쪽은 나머지 분할부보다 그 폭이 더 크게 됨으로써, 연결덕트를 통해 캐비닛 전방으로 유동해야 하는 냉기의 양만큼 해당 분할부에 더 많은 냉기가 유동하도록 한다. 도시된 멀티덕트(60)에는 제1분할부(61) 쪽에 연결덕트(80)가 연결되어 있는바, 제1분할부(61)의 폭이 제2분할부(62)보다 더 크며, 분배 비가 대략 6 : 4 정도로서, 제1분할부가 제2분할부보다 약 50% 정도 폭이 더 넓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냉기가 연결덕트 쪽으로 더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ivisions of the multi-duct 60, the side of the division to which the above-described
상기 연결덕트(80)는 멀티덕트(60) 부재의 상단부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분할부(61)의 상단부는 제2분할부(62)로부터 멀리 배치된 일측과 제2분할부(62)에 가까이 배치된 타측을 구비하고, 연결덕트(80)는 멀티덕트(60)의 제1분할부(61)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다. 연결덕트(80)를 최대한 외측에 배치하게 되면, 토출구(63)들을 통해 고내로 분배되어 토출되는 냉기의 유동량과 유속 등을 제어함에 있어서 연결덕트(80)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덕트(80)는 캐비닛의 상부 부재 쪽에 매립되는 형태인데, 가령 조명과 같이 캐비닛의 천장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이나 부품들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 단부에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된다.The connecting
연결덕트(80)로 보내어지는 냉기는 멀티덕트(60)의 일측 상단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짧은 덕트 형태의 연결토출구(65)를 통해 연결덕트(8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토출구(65)와 연결덕트(80) 사이에는 굴절관(70)이 배치된다. 굴절관에는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전방으로 전환시켜주는 제1굴절부(71)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토출구(65)는 상기 제1굴절부(7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제1굴절부(71)의 전방에 결합된다.The cold air sent to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덕트(60)와 굴절관(70) 및 연결덕트(80)는 모두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비된다. 먼저, 멀티덕트(60)는 캐비닛의 고내 공간의 후방에 마련되며, 앞서 설명한 최상단의 토출구(63)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멀티덕트(60)의 상단은 캐비닛의 천장 부근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굴절관(70)이 멀티덕트(60)의 상단에서 상방 돌출된 연결토출구(65)에 끼워지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도 3 및 도 4 참조), 굴절관(70)이 캐비닛의 천장 부분과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덕트(80)는 이러한 굴절관(70)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캐비닛의 천장 부분에 매립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duct 60, the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기존의 냉장고와 대비하여 캐비닛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설계 변경을 하지 않거나 이를 최소화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기능별로 개별 부품으로 제작하게 되면, 각 부품의 생산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규격의 냉장고에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호환성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duc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hanging the shape of the cabinet, not changing the design, or minimizing the shape of the cabinet compared to the existing refrigerator. 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dividual parts are manufactured for each function, the production of each part can be simplified, and the parts can be shared in refrigerator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compatibility can be improv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부(61)의 상단부에 배치된 토출구(63) 및 연결토출구(65) 쪽에 이르는 제1분할부(61)의 전체 폭은 멀티덕트의 제1분할부의 상부의 소정 구간(i)의 상단 높이로부터 제1분할부의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더 넓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분할부의 상단부에는 상단부로 유동되어 올라온 냉기들 중 연결토출구(65)로 공급되는 냉기를 안내하고 그 양을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벽(64)이 마련되며, 이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삼각분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삼각분지는 상기 제1분할부(61)의 상단부에서 제1분할부(61)가 넓어지는 구간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벽(64)의 일측에 마련된 연결토출구(65)로의 유로의 유동단면적(폭)은 가이드벽(64)의 타측에 마련된 토출구(63)로의 유로의 유동단면적(폭)보다 작다. 상기 삼각분지는 상기 상부로 갈수록 제1분할부가 넓어지는 정도와 유사한 정도로 점점 그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벽(64)에 의해 분할되는 두 유로(가이드벽 일측의 연결토출구로의 유로 및 가이드벽 타측의 토출구로의 유로)의 폭이 각각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shown, the total width of the first divided
이처럼 가이드벽(64), 즉 삼각분지는 공기의 유동 경로가 멀티덕트의 제1분할부의 단부에 오기 전에 미리 냉기를 분기함으로써, 냉기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냉기를 연결덕트 쪽으로 더 원활히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가이드벽(64)이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넓어짐으로 인해, 상기 연결토출구(65)를 그만큼 토출구(63) 구조에서 이격 배치할 수 있게 되므로, 토출구(63)의 냉기 토출 설계와 연결토출구(65) 쪽 냉기 토출 설계를 독립적으로 할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하다. 그리고, 연결토출구를 그만큼 단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비닛의 천장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As such, the
연결덕트(80)는 납작하고 속이 빈 관(pipe) 형태이다. 연결덕트의 유동 단면은 높이보다 폭이 더 넓은 납작한 직사각형 형태로서, 캐비닛의 천장 공간에 매립됨에 있어서 연결덕트의 하부와 상부 쪽에 충분한 두께의 단열 충진재가 분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결덕트에는, 도 7 그리고 그 단면을 표시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유동단면을 좌우로 2분할하는 분할벽(8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벽은 납작한 단면을 가지는 연결덕트의 내부 공기의 유속을 높여주게 된다. The connecting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벽에 의해 2분할된 각 유동단면도 여전히 그 높이보다 폭이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분할벽(88)이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분할벽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각 유동단면의 형상이 높이보다 폭이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이기만 하면 분할벽을 3개 또는 4개를 두는 것도 가능하며, 분할벽에 의해 분할되는 각 유동단면의 단면이 반드시 서로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즉 설계적인 의도가 있다면 다른 형태와 개수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each flow section divided into two by the dividing wall is still a rectangular shape whose width is longer than its heigh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a form in which 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덕트(80)는 후술할 전방덕트(90)와도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연결덕트(80)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연결덕트(80)의 전방 단부, 즉 선단부는 전방덕트(90)와 연결된다. 전방덕트(90)는 캐비닛의 천장의 전방 내부에 매립되며, 전방덕트의 하면에 마련되는 노즐부(95)는, 상기 도어(20)를 닫았을 때 저장공간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front end of the
상기 전방덕트(90)는, 상기 연결덕트(80)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연결덕트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던 공기의 유동방향을 측방으로 전환해주는 제2굴절부(92)가 마련된다. 제2굴절부의 공기유동 내벽 구조가, 갑작스럽게 공기의 유동방향을 바꾸는 형상이 되면 난류가 발생하여 공기 유동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유동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 부분의 형상에는 유선형의 내벽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2굴절부(92)는 후방으로 개구된 부분이 상기 연결덕트(80)와 삽입 연결되고, 측방으로는 매니폴드부(94)와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부(94)는 캐비닛의 천장부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즉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어서, 상기 제2굴절부(92)에서 방향 전환된 냉기 유동을 냉장고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유동시키는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굴절부(92)와 매니폴드부(94) 사이에는 제2굴절부에서 매니폴드부로 갈수록 점점 그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면 내지 사선 형태의 안내가속부(93)가 마련된다. 제2굴절부(92)를 지나 유동 방향이 전환된 냉기가 이렇게 테이퍼 형태를 가지는 안내가속부(93)를 지남에 따라 냉기의 유속은 한층 빨라진다. 도어의 저장공간에 어느 정도 이상의 유속으로 냉기가 공급되어야 도어의 저장공간 내에서 냉기가 골고루 유동/전달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술한 가속 구조는 저장공간의 정온 운전과 온도편차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다.A portion of the second
상기 매니폴드부(94)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부(95)가 마련된다. 노즐부(95)의 위치는 도어(20)의 저장공간의 상부이며,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노즐부(95)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과 방향은 노즐부의 전방에 마련된 분할베인(96)에 의해 제어된다. 분할베인(96)은 캐비닛의 천장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노즐부(95)가 마련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분할베인이 형성되지 않고, 캐비닛의 폭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어서, 외적인 미감을 고려하였다.A
상기 전방덕트(90)는 상기 제2굴절부(92), 안내가속부(93), 및 매니폴드부(94)이 형상이 형성된 상부 부품과, 상기 노즐부(95) 및 분할베인(96)이 형성된 하부 부품으로 분할 제작하며, 이들 중 상부 부품은 캐비닛 내부에 매립되고 충진재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외관에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으나, 하부 부품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캐비닛의 내벽 색상과의 조화, 재질의 통일성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전방덕트를 캐비닛 천장 내부에 매립되는 상부 부품과 캐비닛 천장 저면으로 노출되는 하부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으며, 이렇게 분할하여 제작하는 경우 제작 자체가 더 단순하고 용이할 수 있다.The
상술한 멀티덕트, 굴절관, 연결덕트, 전방덕트를 통해 유동한 냉기는, 최후에 두 도어(20)의 저장공간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노즐부(95)를 통해 저장공간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고내를 거치지 않고 도어의 저장공간 내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덕트 구조(50)를 적용하면, 도어의 저장공간의 정온 유지가 유리하고 도어 쪽 저장공간과 캐비닛 고내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The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multi-duct, the refraction tube, the connecting duct, and the front duct is finally direct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앞서 설명된 덕트 구조는, 냉장실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장실의 전방에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중 일측 도어는 도어 인 도어 형태이고 나머지 하나는 일반 도어 형태인 냉장고에 적용된 것이 예시되었다.In the duct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 double-door type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one door is a door-in-door type and the other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having a general door type.
그러나 본 발명의 덕트 구조는, 도어가 하나만 있는 냉장고의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덕트 구조는, 도어 인 도어 형태가 아닌 일반도어가 적용된 냉장고에 적용하더라도 도어의 바스켓에 저장된 음식물에 충분한 냉기를 공급하여 냉장실의 정온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탑 프리저(top freezer) 방식의 냉장고에서 하부에 배치된 냉장실에도 이러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덕트 구조의 연결덕트는 상부의 냉동실과 하부의 냉장실을 구획하는 캐비닛 부분에 매립될 것이다.However, the duc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structure of a refrigerator having only one door. In addition, even when the duc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to which a general door is applied instead of a door-in-door type, sufficient cold air is supplied to the food stored in the basket of the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refrigerator at a constant temperatur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structure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isposed below in a top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this structure, the connecting duct of the duct structure will be embedded in the cabinet portion dividing the upper freezer compartment and the lower refrigerating compartmen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멀티덕트의 제1분할부에서만 연결덕트를 연결한 구조, 즉 양문형 냉장고를 적용할 때 각 도어에 공급되는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덕트를 양 쪽에 모두 구성하지 않고 한 쪽에만 연결한 구조를 적용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duct is connected only in the first division of the multi-duct, that is, when the double-door refrigerator is applied, the connecting duct is not formed on both sides, but only one side is connected to supply the cold air supplied to each door. The application of the structure is exemplified.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를 균등하게 분할하고, 연결덕트를 양측 단부, 즉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에 각각 모두 마련하며, 캐비닛의 전방에서는 캐비닛 폭의 약 1/2 정도 또는 그 이하의 길이를 가지며 각 연결덕트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방덕트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부품수와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보다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However, un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vided portion and the second divided portion are equally divided, and the connecting ducts are provided at both ends, that is, the first divided portion and the second divided portion, respectively, an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A pair of front ducts having a length of about 1/2 the width of the cabinet or less and connected to each connecting duct may be installed. However, this structure may be somewhat cumbersome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increased.
가령 서로 다른 냉장고 구조, 가령 양문형 냉장고 중 For example, among different refrigerator structures, such as double door refrigerators
i)한쪽은 도어 인 도어 구조이고, 다른 한쪽은 일반 도어 구조인 경우와, i) When one side has a door-in-door structure and the other side has a general door structure;
ii)두쪽 모두 도인 인 도어 구조인 경우ii) In case both sides have a door-in-door structure
를 예로 들자면, 위 두 냉장고는, 냉장고의 다른 구조는 변하지 않으면서 단지 도어를 달리 설치하는 것만으로 i)의 냉장고 형태와 ii)의 냉장고 형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two refrigerator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refrigerator type of i) and the refrigerator type of ii) simply by installing different doors without changing other structures of the refrigerator.
이때 만약 연결덕트를 양쪽에 모두 설치한 구조를 적용하고자 한다면, i)의 경우에는 도어 인 도어 구조의 도어가 달린 쪽에만 연결덕트가 마련되도록 설계 변경을 해야 할 것이다. 즉 도어 인 도어 구조가 적용된 도어마다 대응하는 연결덕트를 구비하도록 설계한다면, 이는 위 i)의 냉장고와 ii)의 냉장고의 덕트 구조를 달리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app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duc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case of i), the design must be changed so that the connecting duct is provided only on the side with the door of the door-in-door structure. That is, if the door to which the door-in-door structure is applied is designed to have a corresponding connecting duct,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duc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in i) and the duc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in ii) above must be applied differently.
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한쪽에만 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좌우로 긴 하나의 전방부재가 설치된 구조인 경우, 냉장고의 도어를 i)의 형태로 설치하든 ii)의 형태로 설치하든 덕트 구조에 변경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on only one side and one long front member is install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hanges to the duct structure are made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the form i) or ii).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in that parts can be shared.
[덕트 구조를 통하는 냉기의 유동][Flow of cold air through the duct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덕트 구조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팬(미도시)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은 증발기(미도시)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상기 멀티덕트(60)의 하부로 공급된다. 상기 멀티덕트(60)의 하부에 공급된 냉기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분할부(61)와 제2분할부(62)로 나뉘어 공급된다. 상기 제1분할부(61)의 유동 단면이 제2분할부(62)의 1.5배 정도이므로, 냉기는 이와 유사한 비율로 분배되어 각 분할부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cold air flows in the duc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a fan (not shown)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an evaporator (not shown) and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multi-duct 60 .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multi-duct 60 is divided and supplied into the first divided
상부로 이동하는 냉기의 일부는 멀티덕트(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토출구(63)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어, 선반에 의해 구분되는 캐비닛의 고내 공간에 공급된다. 상기 멀티덕트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냉기는 각 토출구(63)를 통해 고내에 적정의 냉기를 공급한다. 제2분할부(62)로 분배되어 유동한 냉기는 제1, 제2 및 최상단의 제3 토출구를 거쳐 고내로 공급되는데 사용된다.A part of the cold air moving upward is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반면 제1분할부(61)로 분배되어 유동한 냉기는, 제1, 제2 및 최상단의 제3 토출구를 거쳐 고내로 공급되는데 사용됨은 물론, 제2분할부보다 0.5배 정도 더 많이 공급된 냉기는 연결토출구(65) 쪽으로 공급된다. 이때 연결토출구(65)는 제1분할부의 토출구와는 상당히 이격되어 있으므로, 연결토출구(65)로 공급되는 냉기의 유동이 토출구(63) 쪽의 냉기의 유동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결과 고내의 냉기 유동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air distributed to and flowing through the
연결토출구(65) 쪽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가이드벽(64)에 의해 확실히 유동이 분할된 상태로 연결토출구(65) 쪽으로 안내되므로, 막다른 벽에 냉기의 유동이 부딪혀 발생하는 와류(turbulence)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연결토출구(65)와 최상단의 토출구(63) 사이의 간격에는 삼각분지 형태의 상기 가이드벽의 상단 변이 위치하여, 냉기가 막다른 내벽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하여 유동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Since the air that has flowed toward the
연결토출구(65) 쪽으로 안내된 냉기는 제1굴절부(71)의 유선형 내벽을 따라 흐름으로써 유동 손실의 발생이 최소화되면서 그 유동 방향이 전방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분할벽(88)에 의해 구분된 유동단면을 가지는 연결덕트(80)를 따라 가속되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ld air guided toward the
전방에 다다른 냉기는 다시 제2굴절부(92)에서 측방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제2굴절부 역시 유선형의 유동궤적을 제공함으로써 냉기의 방향전환 과정에서 유동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제2굴절부(92)에서 방향이 전환된 냉기는 안내가속부(93)를 지나며 가속되어 매니폴드부(94)에 진입하고, 매니폴드부(94)에 진입한 냉기는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부에 마련된 노즐부(95)를 통해 하방으로 가속되며 도어의 저장공간에 토출된다. 그리고 저장공간에 가속 토출된 냉기는 저장공간 내에 골고루 분포되며 저장공간의 냉각을 골고루 이루게 된다. The cold air that has reached the front is again redirected laterally in the
상기 저장공간에 토출된 냉기의 온도는 상기 멀티덕트에서 고내로 토출된 냉기의 온도와 동일하므로, 저장공간에서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와 고내의 공간의 온도 편차를 섭씨 1도 안쪽으로 줄임으로써, 식품의 무게 감소율 5% 기준, 식품의 보관 기간을 40% 이상 늘릴 수 있다.Since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discharged into the storage space is the same as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multi-duct into the refrigerator,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ol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space in the storage space to within 1 degree Celsius, food Based on the weight reduction rate of 5%, the storage period of food can be increased by more than 40%.
도어를 개방할 때 냉기가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어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커버(21)가 오히려 고내의 냉기가 저장공간으로 골고루, 그리고 원활히 공급되는 것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칸막이커버 구조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때 냉기가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칸막이커버 내측의 저장공간에 직접적으로 냉기를 충분하고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도어의 저장공간의 정온 냉장을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leakage of cold air when the door is opened,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냉장고
11: 캐비닛
111: 제1공간
112: 제2공간
113: 제3공간
20: 도어
21: 칸막이커버
22: 저장공간
23: 바스켓
25: 제1도어(외부도어)
30: 제2도어(내부도어)
50: 덕트 구조
60: 멀티덕트
61: 제1분할부
62: 제2분할부
63: 토출구(제1,제2,제3(최상단))
64: 가이드벽(삼각분지)
65: 연결토출구
70: 굴절관
71: 제1굴절부
80: 연결덕트
88: 분할벽
90: 전방덕트
92: 제2굴절부
93: 안내가속부(경사면, 테이퍼진 면)
94: 매니폴드부
95: 노즐부
96: 분할베인10: refrigerator
11: Cabinet
111: first space
112: second space
113: third space
20: door
21: partition cover
22: storage space
23: basket
25: 1st door (external door)
30: 2nd door (inside door)
50: duct structure
60: multi-duct
61: first division
62: second division
63: outlet (first, second, third (topmost))
64: guide wall (triangular branch)
65: connection outlet
70: refractive tube
71: first refractive part
80: connecting duct
88: dividing wall
90: front duct
92: second refractive part
93: guide acceleration part (sloping surface, tapered surface)
94: manifold unit
95: nozzle unit
96: split vane
Claims (11)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
상기 고내의 후방공간에 마련되고, 하부로부터 공급된 냉기를 일측과 타측으로 2분할하여 상부로 유동시키는 제1분할부 및 제2분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분할부의 폭이 상기 제2분할부의 폭보다 더 넓은 멀티덕트;
상기 제1분할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기를 고내로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제1분할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멀티덕트를 유동한 냉기가 전방으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되, 상기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 중 상기 제1분할부에만 연결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토출구에 이르는 제1분할부 유동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토출구로 냉기의 흐름을 분기하는 가이드벽;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연결덕트에 이르는 구간의 폭은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토출구에 이르는 구간의 폭보다 더 좁은, 냉장고.
cabinets with built-in space;
a door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A first division and a second division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refrigerator to divide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lower side into two and flow to the upper side,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division is equal to the second division Multiduc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installment;
a discharge po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dividing unit to discharge the cold air into the refrigerator;
a connection duc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visio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multi-duct flows forward, the connection duct being connected only to the first division among the first division and the second division; and
and a guide wall provided in the flow space of the first divided portion reaching the connection duct and the discharge port, and branching the flow of cold air to the connection duct and the discharge port; and
The width of the section branched by the guide wall to reach the connection duc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tion branched by the guide wall to the outlet, the refrigerator.
상기 멀티덕트는 평평한 형태이고, 상기 연결덕트의 유동 단면은 좌우로 더 넓은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연결덕트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동 단면을 좌우로 2분할하는 분할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duct has a flat shape, the flow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duct has a wider rectangular shape from side to side, and the connection duct includes a dividing wall dividing the flow cross-section into two from side to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frigerator.
제1분할부(61)와 제2분할부(62)의 분배비는 6 : 4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irst division unit 61 and the second division unit 62 is 6: 4, the refrigerator.
상기 제1분할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2분할부로부터 먼 일측과 상기 제2분할부와 가까운 타측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제1분할부 상단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분할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vided portion has one side far from the second divided portion and the other side close to the second divided portion,
The connection duct is connected to the first divided part at on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vided part, the refrigerator.
상기 제1분할부와 제2분할부 각각의 상단부 부근의 소정 구간은, 그 하부보다 폭을 감소시켜 공기 유동면적을 줄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predetermined section near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irst divided portion and the second divided portion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portion to reduce an air flow area.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소정 구간보다 상부에서 상기 제1분할부의 상단부에 마련된,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wall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vided portion above the predetermined section, the refrigerator.
상기 가이드벽이 마련된 구간에서 상기 제1분할부의 전체의 폭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더 넓어지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삼각분지 형태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tion in which the guide wall is provided, the overall width of the first divided part becomes wider as it goes up,
The guide wall is in the form of a triangular branch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top, the refrigerator.
상기 삼각분지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정도는,
상기 가이드벽이 마련된 구간에서 상기 제1분할부의 전체의 폭이 상부로 올라갈수록 더 넓어지는 정도와 대응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egree to which the width of the triangular branch in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is,
The refrigerator, which corresponds to a degree to which the width of the whole of the first divided part becomes wider as it goes upward in the section in which the guide wall is provided.
상기 삼각분지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에 의해,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연결덕트에 이르는 구간의 폭과,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토출구에 이르는 구간의 폭은, 각각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As the width of the triangular branch in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the width of the section branching by the guide wall to the connection duct and the section branching by the guide wall reaching the outlet are substantially constant, respectively. Refrigerator kept.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로부터 유입된 냉기가 측방으로 흐르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방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와 전방덕트는 고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매립된, 냉장고.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t further includes; a front duc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and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ld air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duct flows laterally,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connecting duct and the front duct are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상기 전방덕트에는 상기 연결덕트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제2굴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굴절부는 상기 전방덕트의 좌우로 연장된 내부 유동공간을 가지는 매니폴드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2굴절부와 매니폴드부 사이에는 제2굴절부에서 매니폴드부로 갈수록 점점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안내가속부가 마련된,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ront duct is provided with a second refra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duct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second refraction portion communicates with a manifold portion having an internal flow space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duct. and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guide acceleration part between the second refractive part and the manifold par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becoming narrower from the second refractive part to the manifold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941A KR102342952B1 (en) | 2016-10-26 | 2018-12-21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9960A KR20180045516A (en) | 2016-10-26 | 2016-10-26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KR1020180167941A KR102342952B1 (en) | 2016-10-26 | 2018-12-21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9960A Division KR20180045516A (en) | 2016-10-26 | 2016-10-26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865A KR20190000865A (en) | 2019-01-03 |
KR102342952B1 true KR102342952B1 (en) | 2021-12-23 |
Family
ID=7917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941A Active KR102342952B1 (en) | 2016-10-26 | 2018-12-21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29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05678A1 (en) * | 2023-11-14 | 2025-05-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4775B2 (en) * | 1997-02-20 | 2001-07-09 | 大宇電子株式會▲社▼ | Refrigerator with a function of discharging cool air from doors using an air curtain generator |
KR19990060422A (en) * | 1997-12-31 | 1999-07-26 | 구자홍 | Cold air flow path in the refrigerator of the refrigerator with the upper refrigerator compartment |
KR20060030760A (en) * | 2004-10-06 | 2006-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070080338A (en) * | 2006-02-07 | 2007-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130016987A (en) * | 2011-08-09 | 2013-02-1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Refrigerator mounted with cooling shelf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941A patent/KR102342952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05678A1 (en) * | 2023-11-14 | 2025-05-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865A (en) | 2019-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1109B2 (en) |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do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
KR102749081B1 (en) | Refrigerator | |
SK120395A3 (en) | Canal for cooling air for refrigerators | |
KR20090101525A (en) | Refrigerator | |
KR20180039871A (en) | Refrigerator | |
KR102147213B1 (en) | Refrigerator | |
KR102342952B1 (en) | A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a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30016987A (en) | Refrigerator mounted with cooling shelf | |
JP6567918B2 (en) | refrigerator | |
KR200207421Y1 (en) | Cooling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 |
EP4090897B1 (en) | Refrigerator | |
KR20110089575A (en) | Refrigerator | |
KR20000016404U (en) | Cooling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 |
KR100398497B1 (en) |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 |
KR20140046618A (en) | Refrigerator | |
US20240230204A9 (en) | Refrigerator | |
KR100404467B1 (en) | Structure for cooling air supply in refrigerator | |
KR20070080338A (en) | Refrigerator | |
KR20030018840A (en) | Structure for cooling air supply in refrigerator | |
KR102348017B1 (en) | Supercooled storage | |
KR20250068159A (en) | grille-fan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grille-fan assembly | |
KR100512714B1 (en) | Refrigerator | |
KR100408237B1 (en) | Apparatus for cooling air supply in refrigeration | |
KR960001983B1 (en) | Refrigerator room cold air supply and food storage preservation method | |
KR20250058576A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10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3996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81221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