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2650B1 -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50B1
KR102342650B1 KR1020210150124A KR20210150124A KR102342650B1 KR 102342650 B1 KR102342650 B1 KR 102342650B1 KR 1020210150124 A KR1020210150124 A KR 1020210150124A KR 20210150124 A KR20210150124 A KR 20210150124A KR 102342650 B1 KR102342650 B1 KR 10234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unit
air
water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무남
Original Assignee
이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남 filed Critical 이무남
Priority to KR102021015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01C23/005Nozzles, valves, spl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끼 단위체는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부에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수평팬의 구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유속의 변화없이 이끼 단위체를 통과시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ss unit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and pollutants in the air and supplying oxygen using moss, and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unit passes through the moss unit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through the structure of a horizontal fan that allows air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ly formed moss part, thereby removing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can increase

Description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Moss unit and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산소를 공급하고,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ss unit and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ss unit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air and supplying oxygen and providing a resting space using the moss; It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공기정화(air purification)는 공기 속의 분진, 유해가스, 세균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황사 등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 하에서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Air purification means to purify the air by removing dust, harmful gases, bacteria, etc. in the air. In an environment where air pollution is severe and yellow dust frequently occurs, interest in air purification to keep the environment clean is increasing.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특히 문제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석유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하며, 입자의 크기가 10㎛보다 작은 미세먼지와 25㎛보다 작은 초미세먼지로 나뉘고, 그 성분은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다 사람의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갈 수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실내외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개발하고 있다.Recently, fine dust has been a problem in particular. Fine dust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floating in the atmosphere, and it occurs a lot when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or from exhaust gases from factories and automobiles. It is classified as ultrafine dust, and its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of occurrence, season, and weather conditions. Since the particle size of such fine dust is very small, it can stay in the atmosphere and penetrate the lungs through the human respiratory system, or move into the body through blood vessels, thereby adversely affecting health. Accordingly, recently, a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gradually increases, devices for reducing fine dust in the air indoors and outdoors are being developed.

이끼를 이용한 공기오염 정화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717호의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인출가능하게 복수 개 장착되는 공기청정유닛, 상기 공기청정유닛에 배치되는 이끼 및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공기청정유닛을 통해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 technology related to a device for purifying air pollution using moss, a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using mos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35717. In the prior art, a main fram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air cleaning unit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frame, moss disposed in the air cleaning unit, and provided inside the main fram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There is disclosed an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using moss including a fan that introduces air and then discharges it through the air cleaning unit.

상기 선행기술은 그물망을 이용하여 이끼가 포집되어 있는 공기청정유닛은 메인프레임의 전/후면에 위치하고, 하나의 팬이 공기청정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팬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직각으로 꺽여 공기청정유닛을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공기청정유닛이 많이 적층될 경우, 최하단부에 배치된 공기청정유닛까지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더 높은 회전을 갖는 팬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기청정유닛의 배치 수에 따른 팬을 설치한다 하여도 미세먼지 정화장치 내에서 너무 빠른 공기 순환은 오염된 공기가 이끼를 빠져나가는(이끼와 접촉하는) 시간이 짧아 정화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이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비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In the prior art, the air cleaning unit in which moss is collected using a net is located on the front/rear side of the main frame, and one fa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cleaning unit, and the air introduced by the fan is bent at a right angle to clean the air When a large number of air cleaning units are stacked by discharging through the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an having a higher rotation has to be replaced in order to circulate and discharge external air up to the air cleaning unit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On the other hand, even if a fa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ches of air cleaning units is installed, too fast air circulation within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reduces the time for polluted air to escape (contact with the moss) the moss, resulting in poor purification efficiency. have. In addition,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fertilizer to promote the growth of moss.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717호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57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ss unit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and pollutants in the air and supplying oxygen using moss and an air purifier using the same. will be.

또한 본 발명은 최소단위인 이끼 단위체들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자연의 풍경을 연출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고, 영양 성분을 공급하여 이끼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끼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that can create a natural landscape by simply connecting the moss units, which are the minimum units, to realize a desired size and shape, and a moss unit that can create a moss growth environment by supplying nutrients And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끼 단위체는 이끼가 생육되는 이끼부, 이끼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이끼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면 프레임, 이끼부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이끼 뿌리가 안착되고, 수평 분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여 계속적으로 이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 유지부, 수평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수평 분사부, 공기 및 수평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물을 이끼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팬 및 전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이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ss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ss part where moss is grown, a front frame for fixing the moss by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moss part, and a vertically formed moss flowing down by being located on the back of the moss part A support frame to prevent the moss from occurring, a moss root is seated, a moisture retention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moss by absorbing and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spraying part, a horizontal spraying part for spraying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ir And i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an and the front fram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horizontal spray unit to the moss, it may include a main frame for accommodating the moss therei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끼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분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끼모듈(M)은 지지프레임의 둘레에 형성된 가장자리에 다수의 걸림홈에 줄을 이용하여 이끼부 및 수분유지부를 감아 밀착시킴으로써 이끼부 및 수분유지부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module (M) comprising the moss part, the support frame,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uses a line in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on the edge formed around the support frame for the moss part and moisture reten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the moss part and the moisture retaining part from being pushed down by gravity by winding the holding part in close cont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끼모듈(M)은 비료 입자들이 충진되는 주머니 및 주머니의 형상이 이끼부의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비료 패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module (M) is a fertilizer patch unit including a bag filled with fertilizer particles and at least one guide bar positioned inside the bag so that the shape of the bag maintains the same shape as the area of the moss part. may include mo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프레임은 하부에 이끼 표면을 세척한 물을 수집하여 메인 프레임의 하부 개구로 유도하는 물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침대는 메인프레임의 하부 개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부 개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수집한 물을 하부 개구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is formed with a water tray that collects water from the surface of the moss and guides it to the lower opening of the main frame, and the water tray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opening of the main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llected by being formed with a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opening is guided to the lower ope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공기정화장치는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끼가 생육하고 있는 이끼부에 수평방향으로 하우징 내부 공기 및 물을 배출하는 이끼 단위체(10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이끼 단위체가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the side thereof,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moss portion where the moss is growing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t includes a moss unit 100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and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moss units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연결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또 다른 공기정화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groove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is connected to another air purifier using a slide bar in the connection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와 분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패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패치부는 물에 있는 미세불순물 및 고형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라믹 볼이 충진되는 여과부, 이끼에 영양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료 입자가 충진되는 영양부 및 살균 입자가 충진되어 미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composite patch part positioned between the pump and the spraying part, and the composite patch part is a filtration part filled with ceramic balls to remove micro impurities and solids in water, nourishing the moss. In order to supply the ingredients, it may include a nutrient part filled with fertilizer particles and a sterilization part filled with sterilizing particles to sterilize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끼부 내에 위치한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humidity sensor located in the moss par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ump to operate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from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humid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합 패치부의 구성에 따라 펌프의 분사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force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patch.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끼 단위체는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부에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수평팬의 구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유속의 변화없이 이끼 단위체를 통과시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ss unit passes through the moss unit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through the structure of a horizontal fan that allows air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ly formed moss un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이끼 성장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양으로 이루어진 비료 입자를 비료 패치부에 충진할 수 있으며, 다 녹아 없어지는 경우, 이끼 단위체를 하우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후 다시 충진할 수 있음으로 이끼 생육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ill the fertilizer patch part with fertilizer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amount set in advance for moss growth, and when it is all melted away, the moss un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then filled again, so that the moss growth Management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단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 패치부를 포함하는 이끼 단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1A to 1D are views showing the outside of an air purifier using a mos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upper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s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ss unit including a fertilizer pa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merely an example, and only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most useful and easy to explain purposes.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Accordingly, it is not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structure more than necessary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various for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sub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illustrated through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to 1D are views showing the outside of an air purifier using a mos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d를 참고하면, 공기정화장치(1000)는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끼가 생육하고 있는 이끼부에 수평방향으로 하우징 내부 공기 및 물을 배출하는 이끼 단위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1A to 1D , the air purifier 1000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air inle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the side thereof,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ntroduces external air to grow moss. It may include a moss unit 100 for discharging air and water inside the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moss part.

하우징(10) 내부에는 이끼 표면 및 이끼 뿌리쪽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50), 제1 저장탱크(5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수구(51)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60) 및 제2 저장탱크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분사부(150,400)로 배출하는 펌프(80),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1_도 5참조)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82_도 3b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센서(82)는 이끼 단위체(100)의 이끼가 생육하는 이끼부(120) 내에 위치하여 이끼가 자라는 환경의 직접적인 습도값을 제어부(500)로 전송함으로써 공기정화장치는 이끼 생육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side the housing 10, a first storage tank 50 that receives and stores water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surface of the moss and the root of the moss,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tank 50, and is A second storage tank 60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a pump 80 for sucking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tank and discharging it to the injection units 150 and 400,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81_refer to FIG. 5), and A humidity sensor (82_refer to FIG. 3b) for measuring humidity may be located. Here, the humidity sensor 82 is located in the moss part 120 in which the moss of the moss unit 100 grows, and transmits the direct humidity valu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oss grows to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air purifier efficiently promotes moss growth. can be managed with

공기정화장치(10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끼 단위체(100)가 상호 조립되어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음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요구되는 이끼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끼 단위체(100)는 하우징(10) 내부에 소정의 공간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바(미도시)에 끼우거나, 메인 프레임(170)간의 나사결합, 끼움 결합 등을 통하여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이끼 단위체(100) 상호 연결에 따라 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0)은 변경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000 can provide a moss area required for an installation space because one or two or more moss units 10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nd can be easily expanded. The moss unit 100 may be inserted into a vertical guide bar (not shown)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housing 10 , or may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rough screw coupling or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main frames 170 . According to the interconnection of the moss unit 100, the housing 10 for accommodating it may be changed.

본 발명에서는 이끼 단위체(100) 4개가 조립되어 하나의 공기정화장치(1000)를 형성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요구되는 이끼면적에 따라 다수의 이끼 단위체를 조립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공기정화장치(10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공기정화장치(1000)는 또 다른 공기정화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연결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홈(13)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개의 공기정화장치를 밀착시켜 '├┤' 형상의 연결홈을 유지한 상태에서 '├┤'형의 슬라이드 바를 연결홈에 밀어넣어 두개의 공기정화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두개의 공기정화장치를 연결시키는 구조는 상술한 연결홈에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걸이홈, 돌기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moss units 100 are assembled to form one air purifier 10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moss units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required area of moss to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It may be made of an air purifier 1000 . Meanwhile, the air purifier 100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air purifier. To this end, a connection groove 13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housing 1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groove 13 is formed in a '├' or '┤'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the '├┤' shape is maintained by attaching two air purifiers to maintain the '├┤' shape connection groove. You can connect the two air purifiers by pushing the slide bar of the type into the connection groove.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two air purifiers can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a hanging groove and a protrusion groove, as well as using a slide bar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groove.

이끼 단위체(100)의 수평 팬(160)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 유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P1)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160)을 통과하여 내부공간(P2)로 이동되며, 내부공간(P2)으로 수평 분사부(150)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계속적으로 내부공간(P2)를 통과한 공기는 이끼가 생육하고 있는 이끼부(120)를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이차적으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수평 분사부(150)와 수평 팬(160)은 메인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연결판(151_도 3a참조)상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끼 단위체(100)는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부에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수평 팬의 구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유속의 변화없이 이끼 단위체를 통과함으로써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끼 단위체(100)의 조합에 의하여 확장되더라도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경로는 변함이 없음으로 수평 팬을 구동하는 모터의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설계의 편의성 및 호환성이 증대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P1 through the air inlet 11 by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fan 160 of the moss unit 100 passes through the fan 160 and moves to the inner space P2, and the inner space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may be primarily removed by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horizontal spray unit 150 to (P2).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may be secondarily removed from the air continuously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P2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moss part 120 where the moss is growing. The horizontal spray unit 150 and the horizontal fan 160 may be formed together on a connecting plate 151_refer to FIG. 3A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70 . The moss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y pas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tructure of a horizontal fan that flows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ly formed moss unit, and passes through the moss unit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even if it is expan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oss unit 100,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change of the motor driving the horizontal fan because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flow air flows does not chang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compatibility of the design.

공기정화장치(1000)는 하우징(10)에 연결된 연결부(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온도, 습도 및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패드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한 온도설정, 습도설정, 모터제어모드 등의 제어 입력을 받는 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0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0 through a connection unit 12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current temperature, humidity, and operation state to the outside.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is composed of a touch pad, and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input such as temperature setting, humidity setting, and motor control mode by a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upper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공기정화장치(1000)는 이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메인 프레임(170) 상부에 연결판(175)를 통하여 이끼 표면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상부 분사부(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분사부(400)는 펌프와 연결되는 분사관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분사부(400)의 분사노즐은 메인 프레임(170) 상면에 형성된 개구(171)를 통하여 개구 하측에 위치한 이끼 표면에 물을 공급하여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쌓여있는 이끼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는 분사노즐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개구(171)를 통하여 이끼 표면에 물을 공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판(175)을 수평으로 연장하여 상부 분사부(400)가 메인 프레임(170)의 상부 전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끼 표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부(400)에 의한 이끼 표면에 대한 분사는 이끼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적절한 각도를 가지고 실행될 수 있다. 2, the air purifier 1000 accommodates the moss part therein and has an upper spraying part 400 that can spray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moss surface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175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170. can be located The upper injection unit 400 may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pump. The injection nozzle of the upper injection unit 400 supplies water to the surface of the moss located below the opening through the opening 17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70 to clean the surface of the moss on which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are accumulated. have. He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pray nozzle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ly water to the surface of the moss through the opening 17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ng plate 175 is horizontally extended so that the upper spray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70 ) can spray water on the surface of the moss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front surface. Spraying on the moss surface by the upper spraying unit 400 may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angle for cleaning the moss surface.

이끼 단위체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1000)는 이끼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이끼 표면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상부 분사부(400) 및 수평 팬(160) 측에 위치하여 이끼 생육을 위하여 이끼 뿌리쪽에 물을 공급하는 수평 분사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오염물질 제거 및 이끼 생육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000 formed by assembling the moss unit is located on the upper spraying part 400 and the horizontal fan 160 that sprays water on the surface of the moss to remove fine dus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oss and grows moss. By including a horizontal spray unit 150 for supplying water to the moss root side for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removal of pollutants and moss growth.

이하 공기정화장치(1000)를 이루는 이끼 단위체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3e를 통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s unit constituting the air purifier 1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E .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단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to 3E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s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이끼 단위체(100)는 이끼가 생육되는 이끼부(120), 이끼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이끼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면 프레임(110), 이끼부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30), 이끼 뿌리가 안착되고, 수평 분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여 계속적으로 이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 유지부(140), 수평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수평 분사부(150), 공기 및 수평 분사부(150)로부터 분사된 물을 이끼부(120)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팬(160) 및 전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이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메인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moss unit 100 is a moss part 120 where moss is grown, a front frame 110 for fixing the moss by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moss part, and located at the rear of the moss part vertically A support frame 130 for preventing the formed moss from flowing down, a moss root is seated, and a moisture retention unit 140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moss by absorbing and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spraying unit, horizontal I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an 160 and the front frame 11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horizontal spray unit 150, air and the horizontal spray unit 150 for spraying water in the direction to the moss unit 120, It may include a main frame 170 for accommodating the moss therein.

도 3c 내지 도 3e를 참고하면, 전면 프레임(110)은 수평 바(111)가 제1 수직 프레임(112)에 연결되고, 제2 수직 프레임(113)은 메인 프레임(170)의 전면부(173)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바(111)는 갤러리 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끼 표면에 물리적인 외부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은 하부에 이끼 표면을 세척한 물을 수집하여 메인 프레임(170)의 하부 개구(172)로 유도하는 물받침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물받침대(114)는 메인 프레임(170)의 하부 개부(172)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부 개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수집한 물을 하부 개구(172)로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d를 참고하면, 하부 개구(172)는 제2 저장탱크(60)의 최상단보다 높이 위치하므로 하부 개구(172)를 관통한 물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 가이드부를 따라 제2 저장탱크(60)로 유입되어 다시 재사용될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1000)는 이러한 분사된 물이 하부 개구(172)를 통하여 다시 저장탱크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펌프를 통하여 다시 분사되어 이끼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물 순환구조로 이루어져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3C to 3E , in the front frame 110 , a horizontal bar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2 ,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13 is a front part 173 of the main frame 170 . ) can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111 may form a gallery window, and may prevent a physical external impact on the surface of the moss. The fron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tray 114 that collects the water washed on the surface of the moss at the lower portion and guides it to the lower opening 172 of the main frame 170 . The water tray 114 may be formed with an inclination toward the lower opening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opening 172 of the main frame 170 to guide the collected water to the lower opening 172 . Here, referring to FIG. 1D, since the lower opening 172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second storage tank 60,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172 is not shown, but the second storage tank 60 along the water guide part. and can be reused again. The air purifier 1000 has a water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sprayed water flows back in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lower opening 172, and the introduced water is sprayed again through the pump to supply the moss, so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can be obtained

이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이끼모듈(M)은 이끼부(120), 지지프레임(130) 및 수분유지부(140) 순서로 연결되거나, 이끼부(120), 수분유지부(140) 및 지지프레임(130)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끼모듈(M)은 지지프레임(130)의 둘레에 형성된 가장자리에 다수의 걸림홈(131)에 낚시줄 등의 줄을 이용하여 이끼부(120) 및 수분 유지부(140)를 감아 단단히 밀착시킴으로써 이끼부(120) 및 수분 유지부(140)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e의 (b)를 참고하면, 이끼모듈(M)은 메인 프레임(170) 전면 내부면에 밀착되어 수용되며, 가장자리는 전면프레임(110)의 홀(113a)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끼 모듈(M)에 있어 나사결합된 가장자리부분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것이 어느정도 방지가 된다 하더라도 이외의 영역에 있는 이끼들은 여전히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이끼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3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131)에 줄을 이용하여 전체 이끼 면적을 줄로 감는 것은 흘러내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수분 유지부(140)는 수분을 흡수하는 천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ss module (M) for preventing the moss from flowing down and supplying moisture at the same time is connected to the moss part 120,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140 in order, or the moss part 120, the water The powdered milk unit 140 and the support frame 130 may be connected in this order. The moss module (M) is tightly adhered by winding the moss part 120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140 using a line such as a fishing line in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31 on the edge formed around the support frame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ss part 120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140 from being pushed down by gravity. Referring to (b) of Figure 3e, the moss module (M) is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70), the edge is screwed by a screw penetrating the hole (113a) of the front frame (110) and can be fixed. Even if the screwed edge of the moss module (M)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by gravity to some extent, moss in other areas is still inevitably flowing down by gravity. Therefore, winding the entire moss area with a line using a line in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31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30 to prevent the moss from flowing down can be a means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moss from flowing down. . The moisture retention unit 140 may be made of a cloth or nonwoven fabric that absorbs moistur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 패치부를 포함하는 이끼 단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ss unit including a fertilizer pa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고하면, 이끼모듈(M)은 이끼부(120)의 후면에 이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비료 패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료 패치부(600)는 이끼모듈(M)의 지지프레임(130)과 부직포(14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이끼모듈(M)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비료 패치부(600)는 이끼모듈의 후면에 벨크로, 후크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비료 패치부(600)는 공기나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천 또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비료 입자(602)들이 충진되는 주머니(601) 및 주머니(601)의 형상이 이끼부의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603)를 포함할 수 있다. 비료 입자(602)는 이끼 생장을 위한 옥신계, 지베렐린계, 시토키닌계, 질산,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료 입자(602)는 수평 분사부(150) 및 수평 팬(160)에 의하여 물이 접촉하고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여 입자 표면은 영양성분을 함유한 액체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속적인 공기의 흐름에 따라 비료 입자 표면에 위치한 영양성분을 함유한 액체는 이끼의 뿌리부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moss module M may further include a fertilizer patch unit 600 for promoting moss growth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ss unit 120 . The fertilizer patch unit 6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nonwoven fabric 140 of the moss module (M), or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moss module (M). The fertilizer patch unit 6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ss module using a connecting member such as Velcro or a hook. The fertilizer patch part 6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loth or non-woven fabric that allows air or moisture to pass through, and the shape of the bag 601 and the bag 601 filled with the fertilizer particles 602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moss par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guide bars 603 positioned inside the pocket to hold it. Fertilizer particles 602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uxin-based, gibberellin-based, cytokinin-based, nitric acid,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sulfur for moss growth. Fertilizer particles 602 are in contact with water by the horizontal spray unit 150 and the horizontal fan 160, and moisture penetrates inside, so that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may be in a liquid state containing nutrients, and a continuous flow of air Accordingly, the liquid containing nutrient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ertilizer particles can be supplied to the root part of the moss.

비료 패치부(600)는 이끼 성장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양으로 이루어진 비료 입자가 충진될 수 있으며, 다 녹아 없어지는 경우, 이끼 단위체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후 다시 충진할 수 있음으로 이끼 생육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Fertilizer patch unit 600 may be filled with fertilizer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amount for moss growth, and when they are all melted away, the moss un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and then refil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oss growth management.

이는 저장탱크에 영양성분을 용해한 후 분사부를 통하여 이끼 뿌리에 공급하는 경우와 대비하면, 이끼 뿌리와 근접해 있는 영역에 위치한 비료 패치부(600)로부터 영양성분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 동일 비료량을 저장탱크에 분해했을 때보다 영양공급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끼에 공급되어야 하는 영양성분의 양을 기준으로 고려해보더라도, 저장탱크에 분해했을 때보다 비료 패치부를 통하여 더 적은 양으로 이끼 생육을 위한 영양공급기준에 근접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nutrients are dissolved in the storage tank and then supplied to the moss roots through the spraying unit, the same amount of fertilizer can be supplied directly from the fertilizer patch unit 600 located in the area close to the moss root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of nutrient supply than when it is disassembled in a storage tank. In addition, even considering the amount of nutrients to be supplied to moss as a standard, management costs can be reduced by approaching the nutrient supply standard for moss growth with a smaller amount through the fertilizer patch than when disassembled in a storage tank.

이러한 이끼에 영양을 공급하는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 4b를 참고하면, 이끼의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의 오염물질 제거, 미생물 살균 및 이끼에 영양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복합 패치부(700)는 펌프(80)와 분사부(150,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복합 패치부(700)는 펌프(80)로부터 분사부(150,400)로 이동하는 물에 있는 미세불순물 및 고형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라믹 볼 등이 충진되는 여과부(710), 이끼에 영양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료 입자가 충진되는 영양부(720) 및 살균 입자가 충진되어 미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부(7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부(730)는 자외선 램프 또는 수중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발생장치일 수 있다.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과 연결되는 복합 패치부(700) 양끝단은 암/수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나사산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어댑터에 의하여 복합 패치부는 펌프(80)와 분사부(150,4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여과부(710)의 일측과 영양부(720)의 일측 및 영양부(720)의 타측 및 살균부(730)의 일측은 회전에 의하여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각각의 암/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은 물이 흐름과 동시에 내부에 충진된 물질이 밖으로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패치부(700)는 이끼의 생육환경을 조정하는데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이끼에 영양을 공급하는 시기에 따라 복합 패치부(700)는 영양부(720)를 회전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거하거나 연결한 후, 여과부(710) 및 살균부(730)만으로 구성되거나, 영양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영양부(720)의 복합 패치부에 간편하게 착탁하는 구조는 기존의 저장탱크에 영양성분(액비형태)을 투입한 후 분사하는 것보다 비용적인 면이나 관리면에 있어서 효율적이다.Referring to FIG. 4b as another embodiment of supplying nutrients to such moss, a complex patch unit 700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ter, sterilizing microorganisms and supplying nutrients to moss in order to provide a growth environment for moss.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pump 80 and the injection units 150 and 400 . The composite patch part 700 is a filtration part 710 filled with ceramic balls to remove micro impurities and solids in the water moving from the pump 80 to the injection parts 150 and 400, and supplies nutrients to the moss. In order to do this, the nutrient unit 720 filled with various fertilizer particles and the sterilization unit 730 filled with sterilizing particles to sterilize microorganisms may be included. The sterilizer 730 may be an ultraviolet lamp or a plasma generator through underwater discharge. Both ends of the composite patch part 700 connected to the moving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are made of female/male threads, and the composite patch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pump 80 and the injection parts 150 and 400 by a connection adapt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se threads. can be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iltration unit 710 and one side of the nutrient unit 720 and the other side of the nutrient unit 720 and one side of the sterilization unit 730 are each femal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be detachable by rotation. It is formed and can be easily replaced, a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formed with an opening to the extent that the material filled therein does not come out at the same time as water flows. This composite patch unit 700 is effective in adjus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mos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iming of supplying nutrients to the moss, the complex patch unit 700 is composed of only the filtering unit 710 and the sterilizing unit 730, after the nutrient unit 720 is easily removed or connected by rotation, It may be made by including the nutrition part (720). The structure of easily attaching to the complex patch part of the nutrition part 720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management than injecting nutrients (liquid fertilizer) into the existing storage tank and then spray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공기정화장치(1000)는 공기정화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온도센서(81) 및 습도센서(82)를 통하여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이끼 생육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평 팬(160) 및 펌프(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ir purifi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the control unit 500 may be a microcontroller in which a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hav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horizontal fan 160 and the pump 80 to maintain a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moss growth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81 and the humidity sensor 82. You can control the action.

습도센서가 공기정화장치가 위치한 장소의 대기 습도를 측정하는 경우, 이는 이끼가 생육하는 이끼부의 습도와는 차이가 있음으로 대기 습도에 따라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이끼가 건조해져 이끼의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1000)의 제어부(500)는 이끼부(120) 내에 위치한 습도센서(82_도 3b참조)를 통하여 이끼가 자라는 곳의 직접적인 습도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펌프(80)를 가동하여 상부 분사부(400) 및 수평 분사부(150)를 통하여 이끼의 표면 및 뿌리 부분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이끼가 생육하기 적합한 습도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humidity sensor measures the atmospheric humidity of the place where the air purifier is located, it is different from the humidity of the moss part where the moss grows. This may be lower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500 of the air purifier 1000 receives the direct humidity value of the place where the moss grows through the humidity sensor (82_refer to FIG. 3b) located in the moss unit 120, and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humidity. , by operating the pump 80 and supplying water to the surface and the root of the moss through the upper injection unit 400 and the horizontal injection unit 15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humidity condition suitable for moss growth.

한편 제어부(500)는 복합 패치부(700)의 구성 정도에 따라 외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펌프의 분사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복합 패치부가 영양성분을 공급하지 않아 여과부(710) 및 살균부(730)만으로 이루져 있을 경우,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모드로 입력하고, 제어부는 이에 따라 펌프를 제어하여 수평 분사부 및 상부 분사부를 통하여 이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복합 패치부가 이끼에 영양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여과부(710), 영양부(720) 및 살균부(730)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영양모드로 입력하고 제어부는 이에 따라 펌프를 미리 설정된 기준모드보다 더 센 펌프력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끼 표면 및 뿌리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1000)는 물의 이동 경로상에 영양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영양부를 설치하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어 이끼 성장을 위한 영양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음으로 이끼의 생육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500 may receive an external user's inpu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gree of the composite patch unit 700 to control the spraying force of the pump. When the complex patch unit does not supply nutrients and consists only of the filtering unit 710 and the sterilizing unit 730, the user inputs a preset reference mod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ump accordingly to control the horizontal injection unit and the upper injection unit. You can water the moss through wealth.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osite patch unit is composed of a filtering unit 710, a nutrient unit 720 and a sterilization unit 730 in order to supply nutrients to the moss, the user inputs into a preset nutrient mod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pumps the pump accordingly. By controlling to have a higher pumping force than the preset reference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moss surface and roots. Therefore, the air purifier 1000 using the moss unit installs a nutrient part for supplying nutrients on the movement path of water, and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nutrients for moss growth can be supplied in a timely manne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하우징 11:공기 유입구
13:연결홈 13:디스플레이부
82:습도센서
100:이끼 단위체 111:전면 프레임
114:물받침대 120:이끼부
130:지지프레임 131:걸림홈
140:수분유지부 150:수평 분사부
160:수평 팬 170:메인프레임
400:상부 분사부 500:제어부
600:비료 패치부 700:복합 패치부
710:여과부 720:영양부
730:살균부 1000:공기정화장치
10: housing 11: air inlet
13: connection groove 13: display unit
82: humidity sensor
100: moss unit 111: front frame
114: water tray 120: moss part
130: support frame 131: locking groove
140: moisture holding part 150: horizontal spraying part
160: horizontal fan 170: main frame
400: upper injection unit 500: control unit
600: fertilizer patch part 700: complex patch part
710: filtration unit 720: nutrition department
730: sterilization unit 1000: air purifier

Claims (9)

이끼가 생육되는 이끼부(120), 이끼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이끼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면 프레임(110), 이끼부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이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30), 이끼 뿌리가 안착되고, 수평 분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여 계속적으로 이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 유지부(140), 수평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수평 분사부(150), 공기 및 수평 분사부(150)로부터 분사된 물을 이끼부(120)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팬(160) 및 전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이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메인프레임(170)을 포함하는 이끼 단위체(100),
물에 있는 미세불순물 및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라믹 볼이 충진되는 여과부(710), 이끼에 영양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료 입자가 충진되는 영양부(720) 및 살균 입자가 충진되어 미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부(730)를 포함하고, 펌프(80)와 분사부(150,400)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패치부(700),
이끼부 내에 위치한 습도센서(82) 및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끼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분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끼모듈(M)은 지지프레임의 둘레에 형성된 가장자리에 다수의 걸림홈(131)에 줄을 이용하여 이끼부(120) 및 수분유지부(140)를 감아 밀착시킴으로써 이끼부(120) 및 수분유지부(140)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이끼 단위체가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oss part 120 in which the moss grows, the front frame 110 for fixing the moss by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moss part, the support frame 130 for preventing the vertically formed moss from flowing down by being located at the rear of the moss part, The moss root is seated, and the moisture retention unit 140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moss by absorbing and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spraying unit, the horizontal spraying unit 150 for spraying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ir and Moss including a main frame 170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an 160 and the front frame 11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horizontal spraying unit 150 to the moss unit 120, and accommodating the moss unit therein. unit (100),
A filtration unit 710 filled with ceramic balls to remove micro-impurities and solids in water, a nutrient unit 720 filled with fertilizer particles to supply nutrients to moss, and a sterilizing particle filled with sterilization particles to sterilize microorganisms Composite patch unit 700 including a sterilization unit 730, located between the pump 80 and the injection unit 150,400;
Humidity sensor 82 located in the mos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from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humid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ump to operate,
The moss module (M) including the moss part, the support frame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uses a line in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31 on the edge formed around the support frame to the moss part 120 and the moisture retention part. Mos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moss part 120 and the moisture retaining part 140 from being pushed down by gravity by winding 140 and adhering i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ss units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unit bod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모듈(M)은
비료 입자(602)들이 충진되는 주머니(601) 및
주머니(601)의 형상이 이끼부의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주머니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603)를 포함하는 비료 패치부(600)를 더 포함하는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ss module (M)
A bag 601 filled with fertilizer particles 602 and
An air purifier using a moss unit further comprising a fertilizer patch part 600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bar 603 positioned inside the bag so that the shape of the bag 601 maintains the same shape as the area of the moss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하부에 이끼 표면을 세척한 물을 수집하여 메인 프레임(170)의 하부 개구(172)로 유도하는 물받침대(114)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침대(114)는 메인프레임(170)의 하부 개부(172)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부 개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수집한 물을 하부 개구(172)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frame 110 is formed with a water tray 114 that collects the water washed on the surface of the moss at the lower portion and guides it to the lower opening 172 of the main frame 170,
The water tray 114 is formed with an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opening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opening 172 of the main frame 170 to guide the collected water to the lower opening 172. used air pur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합 패치부의 구성에 따라 펌프의 분사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air purifier using a moss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spraying force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lex patch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는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연결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또 다른 공기정화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단위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groove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where an air inle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nd is connected to another air purifier using a slide bar in the connection groove.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 moss unit.
KR1020210150124A 2021-11-03 2021-11-03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Active KR102342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124A KR102342650B1 (en) 2021-11-03 2021-11-03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124A KR102342650B1 (en) 2021-11-03 2021-11-03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650B1 true KR102342650B1 (en) 2021-12-23

Family

ID=7917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124A Active KR102342650B1 (en) 2021-11-03 2021-11-03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5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422B1 (en) * 2022-02-25 2022-06-30 (주)동보금속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panel
KR102554603B1 (en) 2022-08-29 2023-07-17 이시연 Landscape apparatus based on green moss tower
KR102570242B1 (en) * 2022-04-27 2023-08-29 김시웅 A semi-enclosed stacked structure carbon dioxide absorp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growing system that can be managed remote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77141B1 (en) * 2022-12-16 2023-09-11 (주)미래엔피아 A Smart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through moss growth
KR20230144696A (en) *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타이가 air purifier using plants
WO2024205288A1 (en) * 2023-03-28 2024-10-03 주식회사 타이가 Air purifier using moss, air purify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731886B1 (en) * 2023-12-18 2024-11-19 주식회사 푸름 Moss growth typ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116A (en) * 2012-05-08 2013-11-18 신운섭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using moss
KR20190135717A (en) 2018-05-29 2019-12-09 (주)미래인더스트리 Fine dust reducing device using mos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227576B1 (en)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A Indoor moss planting natur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3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116A (en) * 2012-05-08 2013-11-18 신운섭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using moss
KR20190135717A (en) 2018-05-29 2019-12-09 (주)미래인더스트리 Fine dust reducing device using mos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227576B1 (en)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A Indoor moss planting natur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3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422B1 (en) * 2022-02-25 2022-06-30 (주)동보금속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panel
KR20230144696A (en) * 2022-04-07 2023-10-17 주식회사 타이가 air purifier using plants
KR102640806B1 (en) * 2022-04-07 2024-02-28 주식회사 타이가 air purifier using plants
KR102570242B1 (en) * 2022-04-27 2023-08-29 김시웅 A semi-enclosed stacked structure carbon dioxide absorp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growing system that can be managed remote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54603B1 (en) 2022-08-29 2023-07-17 이시연 Landscape apparatus based on green moss tower
KR102577141B1 (en) * 2022-12-16 2023-09-11 (주)미래엔피아 A Smart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through moss growth
WO2024205288A1 (en) * 2023-03-28 2024-10-03 주식회사 타이가 Air purifier using moss, air purify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731886B1 (en) * 2023-12-18 2024-11-19 주식회사 푸름 Moss growth typ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650B1 (en) Moss assembly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using thereof
KR102791290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429678B1 (en) All-in-one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vices
CN105101783B (en) Air system is planted in pressurization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ultivation system
KR101214564B1 (en) An air purifilter using wall greening
JP4588029B2 (en) Filtration device for fish tank and filtration method for water in fish tank
KR20090123175A (en) Air cleaner with CO2 reduction
CN102512948B (en) Air purifying device
KR101281110B1 (en) A wall type bio-filtration system by air blower
KR101214108B1 (en) Gas filtration system
KR102198125B1 (en) Biowall device with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KR102399438B1 (en)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moss-purifying devices
JP6460912B2 (en) Plant growing apparatus and plant growing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 ship
KR102535425B1 (en) Moss-based purification system
CN105805855A (en) Intelligent air-purification plant wall
CN109392815A (en) Fish pond purification device
KR200423012Y1 (en) Air Purifier for Livestock
JPH03296410A (en) Air cleaning device
KR100810996B1 (en) Fish tank with water purifier
KR20200012620A (en) Retreatent system for muddy nutrient solution
KR102067030B1 (en) Air filter using vegetation block
KR101977563B1 (en) Environment-friendly laminated air purifier using nature friendly air purification medium
KR102570337B1 (en) Plant cultivation type air cleaning apparatus with fog sterilizing device
KR101488108B1 (en) Water supply system for Biofilter Flowerpot
CN204880380U (en) Intelligence biological purification 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