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1624B1 -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24B1
KR102341624B1 KR1020200091334A KR20200091334A KR102341624B1 KR 102341624 B1 KR102341624 B1 KR 102341624B1 KR 1020200091334 A KR1020200091334 A KR 1020200091334A KR 20200091334 A KR20200091334 A KR 20200091334A KR 102341624 B1 KR102341624 B1 KR 10234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ltra
section
cross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630A (ko
Inventor
신 리앙
셩시앙 청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01Q5/55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for horn or waveguid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5Ultra-wideband [UWB] systems, e.g. multiple resonance systems; Puls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6Waveguide mou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8Resonant slot antennas the slot being backed by, or formed in boundary wall of, a resonant cavity ; Open cav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는 개구 단면을 포함하는 도파관 캐비티를 포함하는 방사체; 및 상기 개구 단면 중 하나에 설치되는 급전단자를 포함하는 초광대역(UWB)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관련 기술에서 혼 안테나의 자체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가공이 어려워 일체화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를 극복한다.

Description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ULTRA WIDE BAND ANTENNA AND COMMUNICATION TERMINAL}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20102462886이고 출원일자가 2020년 3월 31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안테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기술은 무선 반송파 통신 기술로서, 정현파 반송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나노초 크기의 비정현파 협소 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이가 차지하는 주파수 스펙트럼 범위는 아주 넓다. UWB 기술은 주파수대가 넓고, 전송 속도가 빠르며, 전력이 낮고, 안전성이 높으며, 시스템 복잡도가 낮은 등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무선 통신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테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주요 구성 부분으로, 개구 안테나는 디자인이 간단하고, 환경 및 서로 간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주파수대가 넓은 등 장점을 가지므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 혼 안테나는 개구 안테나의 한 종류이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혼 안테나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 안테나(100)는, 도파관 섹션(110)와 혼부(120)가 서로 연통된 방사체, 및 도파관 섹션(110) 내에 위치한 급전 프로브(130)와 급전 프로브(130)의 단부에 설치된 금속 볼(140)로 구성된 급전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급전 수단은 도파관 섹션(110)의 저부에 위치한다. 비록 혼 안테나는 환경 요소의 영향을 크게 받고 대역폭이 좁은 문제를 극복하였지만, 무선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TV, 휴대폰)의 발전에 따라, UWB 안테나의 소형화, 마이크로메이션 등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개구 안테나를 완제품 등 일체화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것인가는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관련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광대역 안테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로 대향되는 개구 단면을 포함하는 도파관 캐비티를 포함하는 방사체; 및 개구 단면 중 하나에 설치되는 급전단자를 포함하는 초광대역 안테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단자는 상기 개구 단면의 중축선에서 이탈된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단자가 개구 단면의 중축선으로부터 떨어진 길이는 기설정된 길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파관 캐비티의 절단면은 직사각형이고, 도파관 캐비티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쌍 내측벽, 및 서로 대향되는 제2 쌍 내측벽으로 형성되며, 제1 쌍 내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2 쌍 내측벽의 길이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단자는 제1 쌍 내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쌍 내측벽은 제1 상측벽 및 제1 하측벽을 포함하고; 급전단자는 상기 제1 하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며; 초광대역 안테나는 제1 상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 및 상기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초광대역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의 급전단자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도파관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 쉘 또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복수 개의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혼 안테나의 자체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가공이 어려워 일체화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를 극복한다.
개구 단면을 통해 급전하는 방식으로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테나에 대한 완제품의 다른 금속 부재의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성능에 영향주지 않는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서세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혼 안테나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초광대역 안테나의 전체적 구성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 중 초광대역 안테나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 중 초광대역 안테나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일 안테나 구성의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복수 개의 안테나 구성의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복수 개의 안테나 구성 사이의 이격도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안테나 구성의 방사 효율 시뮬레이션 결과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그 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련될 경우,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관련 기술에서, 초광대역 안테나(이하, UWB 안테나라고 지칭함)의 주요 타입에는 헬리컬 안테나, 코니컬 안테나, 대수 주기 안테나, 피라미드형 나팔 안테나, 구형 안테나, 반사면 안테나, 혼 안테나, 어골형 안테나 등이 있다.
UWB 안테나는 작업 원리에 따라 크게 선재 안테나(linear element antenna), 진행파 안테나, 배열 안테나, 개구 안테나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선재 안테나, 진행파 안테나(예를 들면, 평면 헬리컬 안테나) 및 배열 안테나에는 모두 디자인이 복잡하고, 가공 정밀도 요구가 높으며, 디버그, 유지보수가 어렵고, 환경 요소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안테나 사이에서 서로 간섭을 받고, 대역폭이 좁은 등 결점이 존재하므로, 완제품(스마트 TV, 휴대폰 등) 일체화 기기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하다. 여기서, 개구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에 비해 디자인이 간단하고, 환경 및 안테나 서로 간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주파수대가 넓은 등 장점을 가지므로, 사람들이 항상 완제품 일체화 기기에 적용할 것을 갈망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 안테나(100)는 개구 안테나의 한 종류로, 비록 환경 요소의 영향을 크게 받고 대역폭이 좁은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혼 안테나(100)를 일체화 기기(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에는 하기와 같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1. 혼부 가공 난이도가 크다.
2. 급전 수단이 프로브 및 금속 볼 구조이고, 또한 도파관 섹션의 저부에 위치하므로, 디버그, 유지보수에 불편하다.
3. 대량으로 가공할 경우, 급전 수단과 연결되는 플랜지 위치가 조금만 이탈되어도, 다시 말해 플랜지에서의 나사의 조임이 조금만 크거나 조금만 작아도 안테나의 가공 정밀도에 영향줌으로써, 안테나의 성능에 영향주고, 또한 가공 일치성이 떨어지게 된다.
4. 급전 프로브의 높이(길이)는 작업 주파수의 적어도 1/4 파장을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저주파수 대역이 6 GHz ~ 9 GHz일 경우, 도파관 섹션의 높이는 적어도 15 mm 이상이여야 하고, 또한 급전 프로브가 도파관 섹션의 후단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도 적어도 12 mm 이상이여야 한다. 따라서, 높이와 길이를 막론하고, 사이즈가 모두 비교적 크므로,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 완제품의 사이즈가 제한된 일체화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극히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서 혼 안테나의 자체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가공이 어려워 일체화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는 초광대역(UWB) 안테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UWB 안테나의 전체적 구성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 중 UWB 안테나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 중 UWB 안테나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이 제공하는 UWB 안테나(200)는 방사체(210) 및 급전단자(230)를 포함한다.
방사체(210)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구조이다. 방사체(210)는 금속 방사체이다. 방사체(210)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쌍 측면(좌, 우)(211, 211’), 서로 대향되는 제2 쌍 측면(상, 하)(212, 212’), 및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단면(전, 후)(213, 213’)을 포함한다.
방사체(210)는 도파관 캐비티(220)를 포함하고, 도파관 캐비티(220)는 서로 대향되는 개구 단면(213, 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파관 캐비티(220)의 개구 단면(213, 213’)은 방사체(210)의 한 쌍의 단면(전, 후)(213, 213’)과 각각 동일한 평면에 있다. 이로써, 도파관 캐비티(220)는 방사체(210)의 내부에서 연통된 도파관 캐비티(220)를 형성한다.
도파관 캐비티(220)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형이고, 절단면은 직사각형이다. 도파관 캐비티(220)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쌍 내측벽(상, 하)(222, 222’) 및 서로 대향되는 제2 쌍 내측벽(좌, 우)(221, 2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쌍 내측벽(상, 하)(222, 222’)과 제2 쌍 내측벽(좌, 우)(221, 221’)은 함께 도파관 캐비티(220)를 형성한다.
급전단자(230)는 도파관 캐비티(220)의 개구 단면 중 하나의 개구 단면(213 또는 213’)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급전단자(230)는 제1 쌍 내측벽(222, 222’)의 단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급전단자(230)가 도파관 캐비티(220) 후단의 제1 쌍 내측벽(222, 222’)의 단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쌍 내측벽(222, 222’)은 제1 상측벽 및 제1 하측벽을 포함하고; 급전단자(230)는 제1 하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된다. 안테나는 제1 상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한다.
실시할 경우, 급전단자(230)는 연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도파관 캐비티(220)의 제1 쌍 내측벽(222’)의 단면에 용접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편직망)를 도파관 캐비티(220)의 제1 쌍 내측벽(222)의 단면에 용접한다.
일 실시예에서, 급전단자(230)는 도파관 캐비티(220)의 개구 단면의 중축선에서 이탈된다. 신호는 도파관 캐비티의 개구 단면의 중축 위치(즉, 중심 급전 위치)에서 에너지 소모가 지극히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중심 이탈 급전 방식을 통해 신호의 에너지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초광대역(UWB) 안테나는 혼 안테나에 비해 혼 개구가 제거되었으므로, 가공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도파관 캐비티가 상대적인 개구 단면을 구비하는데, 즉 도파관 캐비티의 양단은 연통되므로, 개구 단면을 통해 급전하는 방식은 관련 기술에서의 혼 안테나가 일단의 개구를 사용하여 급전하는 방식에 비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이 밖에, 단면을 통해 급전하는 방식은 도파관 캐비티의 높이를 크게 감소시켜(혼 안테나의 도파관 섹션 높이의 1/7임), 안테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조를 치밀하게 하며, 다양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또는 안테나 송수신 장치에 탑재 가능한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스마트 TV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미도시),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UWB 안테나를 포함한다. UWB 안테나의 급전단자(230)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급전단자(230)는 연결 부재를 통해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절연 자켓의 외경이 1.13 mm인 IPX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안테나에 급전한다. IPX 동축 케이블은 동축선에서의 고차모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할 경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도파관 캐비티의 급전단자, 즉 도파관 캐비티의 하측벽에 용접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편직망)를 도파관 캐비티의 상측벽에 용접한다. 용접하는 연결 방식을 사용하는 외에, 압접 등 다른 적합한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되, 연결 위치의 전기전도 성능을 확보할 수만 있으면 된다. 안테나와 메인보드에서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의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IPX 동축 케이블은 예컨대 30 mm ~ 40 mm인 적합한 길이를 구비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UWB 안테나(200)는 관련 기술에서의 혼 안테나(100)에 비해, 혼 안테나의 유효 대역폭을 보류하고 환경 요소의 영향을 적게 받는 등 장점을 가지는 기초상에서, 단면을 통해 급전하는 방식으로 방사체(210)의 도파관 캐비티(220)의 높이를 크게 감소시켜,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 실제적으로 적용하도록 방사체(21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더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람들이 개구 안테나를 통신 단말 기기에 적용할 것을 갈망하는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여, 개구 안테나가 통신 단말기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밖에, 본 실시예의 UWB 안테나는 완제품에서 안테나에 대한 금속의 간섭을 제거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UWB 안테나(200)의 도파관 캐비티(220)가 형성되는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한다. 금속 부재는 스마트 TV의 금속 프레임(320)일 수 있고, 스크린의 금속 패널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금속 부재가 금속 프레임(320)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무선 통신 단말기(300)의 사이즈는 132.9 mm × 74.8 mm × 30 mm일 수 있고, 본체 및 스크린(310)을 포함한다. 본체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배면 쉘(미도시) 및 금속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금속 프레임(320)은 스크린(310)의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금속 프레임(320)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10 mm ~ 20 mm 사이이다. 두께는 3 mm 이상일 수 있다. 금속 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전도하고 산화시킬 수 있으며, 아연 도금 황동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 및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TV의 금속 프레임(320)을 매트릭스로 이용할 수 있다. 두께가 3 mm인 금속 프레임(320)에 폭 25 mm × 높이 2 mm인 홈을 개방 설치하고, 또한 전후를 관통시키므로, 방사체인 상기 도파관 캐비티(2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파관 캐비티(220)의 하측벽의 두께는 1 mm ~ 3 mm 사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파관 캐비티(220)의 각 측벽의 두께는 사이즈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스마트 TV의 모델 사이즈가 상이함에 따라, 금속 프레임의 두께도 상이할 수 있고, 도파관 캐비티(220)의 각 측벽의 두께는 금속 프레임의 두께에 따라 변한다. 도파관 캐비티(220)의 절단면의 사이즈가 25 mm × 2 mm만 만족시키면 된다.
도파관 캐비티(220)의 개구 단면의 중축선에서 이탈되는 위치에는 피드-인(feed-in) 단자가 구비되고, 피드-인 단자는 동축 전송선의 신호 양극 단자에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 커플링되며, 안테나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파관 캐비티(220)의 개구 단면에서 피드-인 단자와 대체적으로 평행되는 위치에는 접지단자가 설치되고, 접지부는 동축 전송선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 발생기의 신호 음극 단자 및 시스템 접지면에 커플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마트 TV의 예컨대 금속 쉘과 같은 다른 금속 부재를 매트릭스로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쉘에는 폭 25 mm × 높이 2 mm인 홈이 개방 설치하고, 또한 전후를 관통시키므로, 방사체인 상기 도파관 캐비티(22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300)는 복수 개의 UWB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안테나는 각각 독립된 안테나일 수 있고, 무선 통신 단말기(300)에서의 금속 부재를 매트릭스로 이용할 수도 있다. 금속 부재에는 복수 개의 도파관 캐비티(220)가 설치된다. 복수 개의 도파관 캐비티(220) 사이는 서로 간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 없다. 복수 개의 도파관 캐비티(220) 사이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금속 부재에서의 각 안테나는 동일한 안테나, 또는 상이한 안테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에 세 그룹의 동일한 안테나를 설치하였고, 여기서, 한 그룹은 메인 안테나이며, 다른 두 그룹은 보조 안테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일 안테나 구성의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6 Hz ~ 9 Hz인 광대역 안테나에 있어서, 반사 손실 S11은 -6 dB이면 된다. 본 실시예의 안테나의 반사 손실은 -8 dB이므로, 광대역 안테나의 요구에 완전히 부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복수 개의 안테나 구성의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복수 개의 안테나 구성 사이의 이격도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안테나 구성(3개로 도시됨) 사이의 이격도는 모두 20 dB보다 낮지 않으므로, 디자인 요구에 부합된다. 3개의 안테나 구성은 서로간의 이격도를 만족시키는 전제 하에, 각자의 반사 손실 S11, S22, S33은 모두 디자인 요구를 만족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안테나 구성의 방사 효율 시뮬레이션 결과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성의 방사 효율은 1(100 %)보다 좀 큰데, 이는 본 실시예의 안테나 구성의 방사 효율이 확실히 비교적 높은 것을 설명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0)

  1. 초광대역 안테나로서,
    서로 대향되는 개구 단면을 포함하는 도파관 캐비티를 포함하는 방사체; 및
    상기 개구 단면 중 하나에 설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연결되는 급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관 캐비티의 절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도파관 캐비티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쌍 내측벽, 및 서로 대향되는 제2 쌍 내측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쌍 내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2 쌍 내측벽의 길이보다 크며,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제1 쌍 내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쌍 내측벽은 제1 상측벽 및 제1 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제1 하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는 상기 제1 상측벽이 위치하는 개구 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제1 하측벽의 단면에 위치되며,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제1 상측벽의 단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개구 단면의 중축선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가 상기 개구 단면의 상기 중축선으로부터 떨어진 길이는 기설정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광대역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의 급전단자는 상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의 도파관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 쉘 및 금속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초광대역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KR1020200091334A 2020-03-31 2020-07-23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Active KR102341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46288.6A CN111430921B (zh) 2020-03-31 2020-03-31 超宽带天线及通信终端
CN202010246288.6 202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630A KR20210122630A (ko) 2021-10-12
KR102341624B1 true KR102341624B1 (ko) 2021-12-21

Family

ID=7154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34A Active KR102341624B1 (ko) 2020-03-31 2020-07-23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0958B2 (ko)
EP (1) EP3890107B1 (ko)
JP (1) JP7079290B2 (ko)
KR (1) KR102341624B1 (ko)
CN (1) CN111430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3417B1 (ko) * 2022-03-15 202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사 기능을 갖는 도파관-스트립 선로 급전 천이 소자
US20240097318A1 (en) * 2022-05-16 2024-03-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Transparent antenna and touch display on a wearab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7196A (en) 1983-04-01 1986-03-18 Hughes Aircraft Company Missile mounted waveguide antenna
JP2002084117A (ja) 2000-06-21 2002-03-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端末、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0114A (en) * 1943-05-21 1946-08-27 Edward Cecil Cor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mitting or receiving aerials
US3573835A (en) 1969-01-14 1971-04-06 Hughes Aircraft Co Impedance matched open-ended waveguide array
JPS54129951U (ko) * 1978-03-01 1979-09-10
GB2292482A (en) * 1994-08-18 1996-02-21 Plessey Semiconductors Ltd Antenna arrangement
JPH0936633A (ja) * 1995-07-24 1997-02-07 Sony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装置
US6307520B1 (en) * 2000-07-25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xed-in slot antenna with space-saving configuration
EP1858112B1 (en) * 2006-05-19 2010-07-07 AMC Centurion AB Metal housing with slot antenna for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599089B2 (en) * 2010-03-30 2013-12-03 Apple Inc.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near-field-coupled parasitic slot
CN103531905A (zh) * 2012-07-06 2014-01-22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TWI552430B (zh) 2013-09-26 2016-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連接器、天線及電子裝置
WO2017123558A1 (en) 2016-01-11 2017-07-20 Mimosa Networks,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antenna and waveguide interface
CN106486782A (zh) * 2016-09-29 2017-03-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缝隙天线及终端
JP2019009780A (ja) * 2017-06-26 2019-01-17 株式会社Wgr 電磁波伝送装置
CN111279548B (zh) * 2017-12-20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
CN208798088U (zh) * 2018-11-09 2019-04-26 深圳市中天迅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
CN109599660A (zh) * 2018-11-23 2019-04-09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开口波导相控阵单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7196A (en) 1983-04-01 1986-03-18 Hughes Aircraft Company Missile mounted waveguide antenna
JP2002084117A (ja) 2000-06-21 2002-03-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端末、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5695A1 (en) 2021-09-30
US11450958B2 (en) 2022-09-20
CN111430921B (zh) 2024-03-01
EP3890107B1 (en) 2025-05-07
EP3890107A1 (en) 2021-10-06
JP7079290B2 (ja) 2022-06-01
KR20210122630A (ko) 2021-10-12
CN111430921A (zh) 2020-07-17
JP2021164145A (ja) 202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60031B2 (en) Feed network of base station antenna,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US9466884B2 (en) Connector,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EP3852194B1 (en) Terminal device antenna
KR102341624B1 (ko) 초광대역 안테나 및 통신 단말기
US20230352807A1 (en) Terahertz Carrier Sending Apparatus and Terahertz Carrier Receiving Apparatus
WO2022063280A1 (zh) 天线单元、阵列、装置及终端
EP4340124A1 (en) Radiation unit and base station antenna
WO2024139652A1 (zh) 天线装置与馈电网络组件
EP4262096A1 (en) Terahertz carrier sending device and terahertz carrier receiving device
WO2023000557A1 (zh) 天线结构、终端和终端的处理方法
CN112909541B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210092339U (zh) 一种球型天线及电子产品
CN112448140B (zh) 天线模组及终端
CN203367475U (zh) 天线单元、多天线组件及无线互连设备
CN110048219B (zh) 一种集成超宽带5g天线的电子设备
US20240413540A1 (en) Antenna
JP7407487B1 (ja) 伝送装置及びアンテナ
CN218602745U (zh) 一种阵列天线
CN219575939U (zh) 5g多制宽频智能天线
KR102550761B1 (ko) 종단 급전 동축 도파관 어뎁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EP4518030A1 (en) Antenna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EP4579954A1 (en) Antenna and control device
Suresh et al. Design of spider web spaced antenna for medical applications
CN115244781B (zh) 天线和天线阵列
CN115954666A (zh) 一种阵列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