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894B1 -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Google Patents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0894B1 KR102340894B1 KR1020190084238A KR20190084238A KR102340894B1 KR 102340894 B1 KR102340894 B1 KR 102340894B1 KR 1020190084238 A KR1020190084238 A KR 1020190084238A KR 20190084238 A KR20190084238 A KR 20190084238A KR 102340894 B1 KR102340894 B1 KR 102340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e
- halam
- cage
- rods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6—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making use of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n a borehol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가이드부재는 봉 형태로 상기 케이지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다중 할암봉 각각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천공홀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다중 할암봉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다중 할암봉은 가이드부재의 홀더에 거치되며, 각각의 다중 할암봉은 케이지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거치되어 가이드부재를 따라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다중 할암봉은 가이드부재의 홀더에 거치되며, 각각의 다중 할암봉은 케이지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거치되어 가이드부재를 따라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중장비 연결형 암반 절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파쇄기 장착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에서 할암봉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에서 케이지에 안전망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에서 케이지에 안전망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이 적용되는 터널 굴착면 및 수직구에서의 할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 케이지 120, 120a~120n: 다중 할암봉
130: 상단 체결부 130b: 하단 체결부
140: 가이드부재 150: 유압펌프
160: 안전망
121: 할암봉 본체 122: 피스톤
123: 작업 손잡이 124: 유압라인
200: 굴삭기 300: 작업대차
410: 터널 굴착면 420: 수직구
510: 천공홀
Claims (18)
- 터널 굴착면(410) 또는 수직구(420)를 시공하기 위한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210), 상부 선회체(220), 붐(230) 및 암(240)을 구비하고,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의 케이지(110)를 승하강 및 이동시키도록 상기 암(240)의 하부가 상기 케이지(110)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붐(230) 및 암(240)을 작동시키는 유압시스템을 구비한 굴삭기(200); 및
케이지(110), 다중 할암봉(120) 및 가이드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굴삭기(200)에 장착되어, 상기 다중 할암봉(120)이 상기 굴삭기(200)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 작동되어 무진동 및 무소음으로 암반을 할암하는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을 포함하되,
상기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은, 작업자의 승차가 가능한 케이지로서, 그 상부가 상기 굴삭기(200)의 암(240)의 하단에 체결되는 케이지(110);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할암봉으로서, 상기 케이지(110) 내에 배치되고, 다수의 천공홀 각각에 삽입되어 암반을 할암하는 다중 할암봉(120); 상기 케이지(110)를 상기 굴삭기(200)의 암(240) 하단부에 연결하는 상단 체결부(130); 및 상기 다중 할암봉(120)의 좌우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봉 형태로 상기 케이지(110)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천공홀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다중 할암봉(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다중 할암봉(120)은 가이드부재(140)의 홀더에 거치되며, 각각의 다중 할암봉(120)은 케이지(1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거치되어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은,
봉 형상으로, 내부에 실린더가 형성되고, 다수의 천공홀 각각에 삽입되는 할암봉 본체(121);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오일에 의해 동작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피스톤(122);
상기 케이지(110) 내의 작업자가 상기 할암봉 본체(12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후단에 형성된 작업 손잡이(123); 및
상기 굴삭기(200)의 유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오일이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시스템에 연결되는 유압라인(124)을 포함하는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할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결합된 상기 다중 할암봉(120)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위치가 조정된 다중 할암봉(120)을 상기 천공홀(510) 각각에 삽입하여 할암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승차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에 안전망(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어태치먼트 타입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터널 굴착면(410) 또는 수직구(420)를 시공하기 위한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310), 상부 선회체(320) 및 붐(330)을 구비한 전용장비로서,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의 케이지(110)를 승하강 및 이동시키도록 상기 붐(330)의 상부가 상기 케이지(110) 하부에 체결된 작업대차(300); 및
케이지(110), 다중 할암봉(120) 및 가이드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차(300)에 장착되며, 상기 다중 할암봉(120)이 유압펌프(150)를 이용하여 각각 작동되어 무진동 및 무소음으로 암반을 할암하는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을 포함하되,
상기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은, 작업자의 승차가 가능한 케이지로서, 그 하부가 상기 작업대차(300)의 붐(330)의 상단에 체결되는 케이지(110); 수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할암봉으로서, 상기 케이지(110) 내에 배치되고, 다수의 천공홀 각각에 삽입되어 암반을 할암하는 다중 할암봉(120); 상기 케이지(110)를 상기 작업대차(300)의 붐(330)의 상단에 연결하는 하단 체결부(130b); 상기 다중 할암봉(120)의 좌우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 및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15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봉 형태로 상기 케이지(110)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천공홀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다중 할암봉(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110) 내에 다중 배치된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이 상기 케이지(110)에 형성된 유압펌프(150)에 의해 작동하여 터널 굴착면(410) 또는 수직구(420)를 연속 할암하며,
상기 다중 할암봉(120)은 가이드부재(140)의 홀더에 거치되며, 각각의 다중 할암봉(120)은 케이지(1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거치되어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은,
봉 형상으로, 내부에 실린더가 형성되고, 다수의 천공홀 각각에 삽입되는 할암봉 본체(121);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오일에 의해 동작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피스톤(122);
상기 케이지(110) 내의 작업자가 상기 할암봉 본체(12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후단에 형성된 작업 손잡이(123); 및
상기 유압펌프(150)에서 제공하는 오일이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펌프(150)에 연결되는 유압라인(124)을 포함하는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50)는 상기 케이지(110)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지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124)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할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결합된 상기 다중 할암봉(120)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위치가 조정된 다중 할암봉(120)을 상기 천공홀(510) 각각에 삽입하여 할암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승차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에 안전망(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장비 탑재형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 a) 터널(410) 또는 수직구(420) 시공을 위한 벽면에 다수의 천공홀(510)을 형성하는 단계;
b) 케이지(110) 내에 설치된 다중 할암봉(120)을 구비한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을 장착하는 단계;
c) 다수의 천공홀(510) 간격에 대응하도록 할암 시스템(100)의 가이드부재(140)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간격을 정렬하는 단계;
d) 상기 다중 할암봉(120)을 상기 천공홀(510)에 각각 삽입 거치하는 단계; 및
e)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 할암봉(120)을 각각 동작시킴으로써 터널 굴착면(410) 또는 수직구(420)를 연속 할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은, 봉 형상으로, 내부에 실린더가 형성되고, 다수의 천공홀 각각에 삽입되는 할암봉 본체(121);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오일에 의해 동작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피스톤(122); 상기 케이지(110) 내의 작업자가 상기 할암봉 본체(12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후단에 형성된 작업 손잡이(123); 및 굴삭기(200)의 유압시스템 또는 유압펌프(150)에서 제공하는 오일이 상기 할암봉 본체(121)의 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시스템 또는 상기 유압펌프(150)에 연결되는 유압라인(124)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봉 형태로 상기 케이지(110)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다중 할암봉(120) 각각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천공홀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다중 할암봉(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b) 단계의 다중 할암봉(120)이 상기 케이지(110) 내에 다중 배치되어 터널 굴착면(410) 또는 수직구(420)를 연속 할암하며,
상기 다중 할암봉(120)은 가이드부재(140)의 홀더에 거치되며, 각각의 다중 할암봉(120)은 케이지(1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거치되어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100)은 유압을 공급하는 굴삭기(200)에 어태치먼트 되거나 유압펌프(150)를 구비한 전용장비인 작업대차(300)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할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결합된 상기 다중 할암봉(120)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위치가 조정된 다중 할암봉(120)을 상기 천공홀(510) 각각에 삽입하여 할암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238A KR102340894B1 (ko) | 2019-07-12 | 2019-07-12 |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238A KR102340894B1 (ko) | 2019-07-12 | 2019-07-12 |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555A KR20210007555A (ko) | 2021-01-20 |
KR102340894B1 true KR102340894B1 (ko) | 2021-12-21 |
Family
ID=7430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238A Active KR102340894B1 (ko) | 2019-07-12 | 2019-07-12 |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08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2107150D0 (en) * | 2021-05-19 | 2021-06-30 | Element Six Uk Ltd | Disc cutter |
KR102630277B1 (ko) | 2021-10-20 | 2024-01-2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다중 붐 웨지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파쇄 공법 |
CN116497758A (zh) * | 2023-03-22 | 2023-07-28 |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 一种裂岩船装置及其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77916A (ja) * | 2006-04-06 | 2007-10-25 | Kukita:Kk | 割岩装置、割岩方法、割岩装置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割岩装置用圧油供給装置並びに割岩用作業車両 |
JP2017031781A (ja) * | 2015-07-28 | 2017-02-09 | ニシオティーアンドエム株式会社 | トンネル工事用の作業装置及びトンネル工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73305A (ja) * | 1982-10-19 | 1984-04-25 | Aichi Sharyo Kk | 自走式作業車の車軸伸縮装置 |
KR100318287B1 (ko) | 2000-01-20 | 2001-12-22 | 이상휴 | 유압피스톤식 무진동 무소음 암반절개기를 이용한암반절개공법 |
KR200214483Y1 (ko) | 2000-09-27 | 2001-02-15 | 서동소 |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
KR20040087354A (ko) * | 2003-04-07 | 2004-10-14 | 김대영 | 중장비 연결형 암반 절개장치 |
KR20140097736A (ko) * | 2013-01-30 | 2014-08-07 | 이상건설 주식회사 | 굴삭기 작업대 |
KR101364791B1 (ko) | 2013-05-08 | 2014-02-19 | (주)수호산업개발 | 암반 파쇄기 장착유닛 |
KR101657143B1 (ko) | 2014-12-04 | 2016-09-13 | 박재현 | 시공 기간 단축을 위한 무진동 할암 방식 터널시공방법 |
KR101543437B1 (ko) | 2015-03-30 | 2015-08-10 | 주식회사 지인건설 | 무진동 암반 파쇄장치 |
KR101666994B1 (ko) | 2015-06-08 | 2016-10-18 | 지준모 | 멀티스플리터 |
KR200487354Y1 (ko) | 2017-03-31 | 2018-09-05 | 김현준 | 조립식 쓰레기 봉투 거치대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238A patent/KR10234089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77916A (ja) * | 2006-04-06 | 2007-10-25 | Kukita:Kk | 割岩装置、割岩方法、割岩装置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割岩装置用圧油供給装置並びに割岩用作業車両 |
JP2017031781A (ja) * | 2015-07-28 | 2017-02-09 | ニシオティーアンドエム株式会社 | トンネル工事用の作業装置及びトンネル工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555A (ko) | 202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905B1 (ko) |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 |
KR102340894B1 (ko) |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 |
KR102630277B1 (ko) | 다중 붐 웨지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파쇄 공법 | |
US7032692B2 (en) | Drilling device for earth drill | |
KR102314331B1 (ko) | 프론트잭킹(FrontJacking) 공법용 강재 머신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 |
US20020071726A1 (en) | Tool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ylindrical columns and wall using the same | |
JP2019148070A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2001082071A (ja) | トンネル拡幅工法および装置 | |
KR200342739Y1 (ko) | 굴삭기를 이용한 암반천공장치 | |
JP3839819B2 (ja) | リバースサーキュレーションドリル | |
JP2011026887A (ja) | 杭引抜き用作業機 | |
KR20040001623A (ko) |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 |
KR100804751B1 (ko) | 자주식 지반 굴착기 및 그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방법 | |
KR102271813B1 (ko) | 나무뿌리 제거가 가능한 굴삭기용 버킷 | |
JP4416537B2 (ja) | 溝の掘削工法 | |
KR101874708B1 (ko) | 무진동 터널굴착방법 및 무진동 터널굴착장치 | |
KR102707817B1 (ko) | 수직갱의 암파쇄를 위한 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수직갱 암 파쇄공법 | |
JP2001323773A (ja) | 先進導坑を利用したトンネル掘削方法 | |
JPH11200763A (ja) | 地中掘削機 | |
JP2001090465A (ja) | アースドリル用掘削具とアースドリル | |
US11732533B2 (en) | Modular drilling apparatus and ground treatment methods | |
KR102477617B1 (ko) | 레미콘 주입 및 고화제 분사용 다단 배관이 삽입된 켈리바 | |
KR20240039607A (ko) | 암반천공장치 | |
KR100579714B1 (ko) | 지하옹벽 구축용 파일드라이버 | |
JPH08270396A (ja) | 鋼管打設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支保工脚部補強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