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400B1 -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 Google Patents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400B1 KR102339400B1 KR1020200169414A KR20200169414A KR102339400B1 KR 102339400 B1 KR102339400 B1 KR 102339400B1 KR 1020200169414 A KR1020200169414 A KR 1020200169414A KR 20200169414 A KR20200169414 A KR 20200169414A KR 102339400 B1 KR102339400 B1 KR 102339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panel
- girder
- support
- level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10 fiber-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합성구조로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거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중을 상기 거더로 전달하는 브레이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콘크리트 패널의 레벨과 경사 조절이 용이하며, 건식조인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연속적인 시공이 편리하고, 연결채널의 단면을 확대하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그라우팅 주입의 시공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structure of a bridge slab and a girder, arranged at a distance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 precast concrete panel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girders, the concrete panel and a brac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the girder to the girder.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level and inclination of the concrete panel, and it is convenient for continuous construction in the field including dry joints, and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of grouting injection by enlarg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channel and simplifying the shape. It works.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합성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ructure of a slab and a girder of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structure that improves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a slab for a bridge.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기간 양생을 거쳐 거푸집과 동바리를 제거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거푸집과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 부재의 설치 및 해체에 과도한 작업이 필요하고 현장에서 복잡한 배근 작업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높은 곳에서 전술한 작업을 수행할 때는 작업자의 추락 위험 등 안전상의 문제도 존재한다.The most common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slab, which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to install a formwork, place reinforcing bars, pour concrete, and then remove the formwork and copper bars after cur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in the above method, excessive work is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formwork and the temporary member supporting the formwork, and complex reinforcement work is made in the fiel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work from a high place, there is also a safety problem such as a risk of falling of the operator.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시공한다. 이는 사전에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교량의 거더에 안착하고, 거더와 연결 및 일체화하여 교량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하나인 등록특허 제10-1889964호(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는 프리캐스트 바닥과 슬래브를 완전합성하여 슬래브 거동에 부합하고, 타설 중 안전성이 확보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개시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disadvantage, the prior art constructs a slab of a bridge using a precast concrete slab. This is to install the precast concrete slab made in advance on the girder of the bridge, connect it with the girder, and integrate it to construct the slab of the bridge. Patent Registration No. 10-1889964 (precast flooring for bridges), which is one of the prior art, discloses a precast flooring that meets the slab behavior by completely synthesizing a precast floor and a slab and ensures safety during pouring.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여전히 그 시공상 불편함 존재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거더 상부에 안치할 때 콘크리트 패널과 거더의 받침면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 그리고 경사가 있는 슬라브를 시공시 설계대로 콘크리트 패널을 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 시 발생하는 규격의 오차와 콘크리트의 울퉁불퉁한 표면 등으로 발생한다.However, the prior art still has inconvenience in its construction. When precast concret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gir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concrete panel as designed when constructing a slab with a gap and a slope that occurs between the concrete panel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girder. These problems occur due to errors in the specifications that occur during the production of precast concrete and the uneven surface of the concret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시공상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problems.
본 발명은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로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거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중을 상기 거더로 전달하는 브레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는, 상부플랜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플랜지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받치는 제1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이 거치되는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레벨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홈과, 상기 홈의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싱부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브레이싱받침과, 상기 브레이싱받침에서 지지하는 하중을 상기 거더에 전달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거더 및 상기 브레이싱받침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 측면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a plurality of girders arranged at intervals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 precast concrete panel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the plurality of girders located between the concrete panel and a bracing unit for transmitting a load of A first level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level at which the concrete panel is mounted is provided, wherein the concrete panel includes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under the concrete panel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the groove inside the groove. An opening penetrating through the concrete panel is provided, and the bracing unit includes a bracing support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to support the concrete panel, and a support for transmitting a load supported by the bracing support to the girder, wherein the groove is , to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panel mounted on the top of the girder and the bracing support as one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패널의 레벨과 경사 조절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연속적인 시공이 편리하다. 또한, 연결채널의 단면을 확대하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그라우팅 주입의 시공 효율을 증대하였고, 동시에 구조의 일체성을 개선한다. 또한, 연결채널에 고인장강도의 그라우트 또는 종방향 철근 구조를 활용하여 슬라브의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다양한 요소의 조합에 의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level and inclination of the concrete panel, and continuous construction in the field is convenient.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efficiency of grouting injection was increased by enlarging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channel and simplifying the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grity of the structure was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lab by using a high tensile strength grout or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structure in the connection channel, and econom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의 제1 레벨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에서 콘크리트 패널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에서 콘크리트 패널 간의 건식조인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에서 단위 콘크리트 패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to explain the first level control unit of the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panel is removed from the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dry joint between concrete panels in a composite structure of bridge slabs an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how embodiments of a unit concrete panel in a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합성구조(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좌우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한다.1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bridge slab and
합성구조(100)는 복수의 거더(110)와 거더(110)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20) 및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브레이싱부(130)를 포함한다.The
거더(110)는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거더(110)는 통상의 I-형 단면 거더에서 추가된 구성을 구비한다. 즉, 거더(110)는 제1 받침부(112)와 제1 레벨조절부(113)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제1 받침부(112)는 거더(110)의 상부플랜지(111)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콘크리트 패널(120)을 받치는 면이 상부플랜지(111)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받침부(112)에 의하여 거더(110)의 상부플랜지(111)와 콘크리트 패널(12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플랜지(1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112)와의 높이 차로 인한 철근홈(111a)이 형성된다. 상기 철근홈(111a)에는 후술하는 전단철근(160)이 설치된다.The first supporting
도 2는 합성구조(100)의 제1 레벨조절부(113)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레벨조절부(113)는 제1 받침부(112)에 연결되며, 거치되는 콘크리트 패널(120)의 레벨(높낮이)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레벨조절부(113)는 제1 받침부(112)를 관통하는 볼트(113a)를 구비하며, 나사선에 의해 제1 받침부(112)에 관통 결합된 볼트(113a)를 회전함으로써 볼트(113a)의 상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벨조절부(113)는 볼트(113a) 상단에 볼트(113a)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가진 접촉부(113b)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패널(120)과 면접촉이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교량 슬라브 시공 시 도로의 커브 구간이나 우수의 배수를 위해 슬라브를 경사 시공할 필요가 있다. 이때, 콘크리트 패널 경사 시공은 콘크리트 패널 제작 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패널 자체의 규격 오차 또는 콘크리트 패널 거치 작업 시 발생하는 시공 오차, 단차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정확한 시공이 어렵다. 제1 레벨조절부(113)는 거치된 콘크리트 패널(120)의 레벨을 볼트(113a) 조임을 이용하여 직접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어려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When constructing bridge slab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sloped slabs for the drainage of rainwater or curved sections of the road. In this case, the concrete panel inclined construction is difficult to construct accurately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 specification error of the concrete panel itself that occurs during the manufacture of a concrete panel, a construction error that occurs during a concrete panel mounting operation, and a step difference. The first
콘크리트 패널(120)은 거더(11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2)에 의해 받쳐지며, 상부플랜지(111)의 상면과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면 사이의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The
콘크리트 패널(120)은 하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홈(121)을 구비하고, 홈(121)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콘크리트 패널(120)을 관통한 개구부(122)를 구비한다. 홈(121)의 깊이는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단의 횡철근(123)이 노출되는 정도일 수 있고, 홈(121)의 폭은 상부플랜지(111) 또는 후술할 브레이싱받침(131)의 폭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홈(121)은 상부플랜지(111)와 브레이싱받침(13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때, 홈(121)과 상부플랜지(111)의 철근홈(111a)은 서로 대향되며, 홈(121)의 너비와 철근홈(111a)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패널(120)과 이를 지지하는 거더(110) 또는 브레이싱부(130)의 사이에 공간(이하, “연결채널”이라 함)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므로, 연결채널(150)에 그라우트 침투 효과가 개선되고, 거더(110)와 콘크리트 패널(120)의 일체성 증대로 교량 슬라브의 합성 거동이 용이하다. 연결채널(15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그밖에 다른 모양으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개구부(122)는 연결채널(150)에 그라우트를 주입하기 위해 구비된 통로로서, 교축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2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20)의 폭이 허여하는 범위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구비될 것이다. 개구부(122)를 통해 그라우트를 직접 주입하지 않더라도 연결채널(150)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구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연결채널(150)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재료는 다양하나, 인장 성능을 가진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연결채널(150) 부분의 인장강도 보완이 가능하다. 또는, 콘크리트 패널(120)의 홈(121) 내부에 교축 방향으로 종철근(124)를 배근함으로써 연결채널(150) 부분의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즉, 연결채널(150) 부분의 인장강도 보강은 인장강도가 확보된 그라우트를 주입하거나 연결채널(150)에 종철근(124)을 배근할 수 있다. 경제적 효과를 위해서 상기한 두 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Although the material of the grout injected into the
연결채널(150)에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재료는 건설기준 KCS 14 20 22에서 정의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또는 건설기준 KCS 14 20 32에서 정의된 고유동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grout injected into the
한편, 콘크리트 패널(120)은 내부에 교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강선관통홀(125)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20)을 연결 배치할 때, 강선관통홀(125)에 강선을 통과시켜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한 뒤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20)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연결채널(150)에 위치한 종철근(124) 또는 그라우트의 인장강도 보강 효과에 따라 콘크리트 패널(120)에 구비된 강선관통홀(125)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강선관통홀(125)의 크기와 위치, 간격 등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도 3은 합성구조(100)에서 콘크리트 패널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이싱부(130)는 복수의 거더(110)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중을 거더(110)로 전달하며, 브레이싱받침(131)과 지지대(134)를 포함한다.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panel is removed from the
브레이싱받침(131)은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및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평판보다 높은 레벨에서 콘크리트 패널(120)을 받치는 제2 받침부(132)를 구비한다.The bracing
상기 평판과 제2 받침부(132)는 각각 거더(110)의 상부플랜지(111) 및 제1 받침부(112)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평판과 제2 받침부(132)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20)과 브레이싱받침(1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홈(121)에 의해 상기 공간이 더 넓어진다.The flat plate and the
또한, 브레이싱받침(131)은 제2 받침부(132)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의 상단 레벨을 조절 가능한 제2 레벨조절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벨조절부(113)와 마찬가지로, 제2 레벨조절부(133)는 거치되는 콘크리트 패널(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활용된다.In addition, the bracing
또한, 제2 레벨조절부(133)의 볼트 상단은 상기 볼트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가진 접촉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패널(120)과 면접촉이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olt of the second
탄성재(140)는 제1 받침부(112)와 제2 받침부(132)의 상부에 위치하며, 콘크리트 패널(120)의 하면과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구성이다. 탄성재(140)는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레벨조절부(113) 또는 제2 레벨조절부(133)의 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구비된다.The
탄성재(140)는 콘크리트 패널(120)과 받침면 사이에 생긴 틈을 밀폐하며, 수축과 팽창이 자유로워 콘크리트 패널(120)의 거치 높이가 조절되어도 효과적으로 틈을 막을 수 있다.The
지지대(134)는 일단이 브레이싱받침(13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거더(110)에 연결되며, 사선으로 구비된다. 또한, 지지대(134)는 교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상부플랜지(111)와 브레이싱받침(131)의 평판의 상면 즉, 철근홈(111a)에는 전단철근(160)이 연결된다. 전단철근(160)은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연결채널(150)에서 콘크리트 패널(120)과 거더의 일체화, 합성 거동을 증대한다.Meanwhile, the
도 4a 및 도 4b는 합성구조(100)에서 콘크리트 패널(120)의 건식조인트 단면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4A and 4B show dry joint cross-sectional embodiments of the
합성구조(100)는 프리캐스트 된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20)이 건식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건식조인트는 굳지 않은 몰탈이나 굳지 않은 그라우트를 사용하지 않으며,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120) 간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24,34)와 홈부(22,32)를 구비하여,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된 조인트이다.In the
건식조인트는 몰탈이나 그라우트의 양생이 없으므로 시공이 빠르고 편리한 반면, 콘크리트 패널(120) 간의 일체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합성구조(100)는 연결채널(150)을 형성하는 구조가 교량 슬래브의 일체성을 증대하므로 전술한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 건식조인트에서 콘크리트 패널(120) 간에 맞물리는 구조는 당업자가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Since the dry joint does not require curing of mortar or grout, construction is quick and convenien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tegrity between the
도 5a 및 5b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 합성구조에서 단위 콘크리트 패널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5a and 5b show several embodiments of a unit concrete panel in a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도 5a를 참조하면, 단위 콘크리트 패널(220)은 좌우 가장자리가 거더와 브레이싱받침에 각각 거치되도록 제작(프리캐스트)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패널(220)이 연결채널을 덮는 형상이 아니므로, 콘크리트 패널(220)에 연결채널 그라우트 주입용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Referring to FIG. 5A , the unit
도 5b를 참조하면, 단위 콘크리트 패널(320)은, 좌우 가장자리가 거더에 거치되고, 중앙 부분은 브레이싱받침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작된다. 콘크리트 패널(320)의 좌우 가장자리는 그라우트 주입용 개구부가 없으나, 콘크리트 패널(320)의 중앙 부분은 교축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개구부(322)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5B , the unit
단위 콘크리트 패널은 좌우 가장자리와 중앙이 모두 거더에 거치되도록 폭을 넓혀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단위 콘크리트 패널에서 연결채널이 형성되는 부분은 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당업자는 현장 장비의 리프팅 능력과 콘크리트 패널 제작장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패널의 사전 제작 계획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unit concrete panel can be manufactured by widening the width so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edges and the center are mounted on the girder. In this case, the part where the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in the unit concrete panel has an opening.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pre-production plan of the concrete panel in consideration of the lifting capacity of the field equipment and the conditions of the concrete panel production site.
합성구조(100)는 연결채널(150)이 형성되는 구조와 연결채널(150)에 주입되는 고 그라우트 또는 종철근(124)의 배치, 강선관통홀(125), 레벨조절부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일체성을 높이는 한편, 경제적이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게 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2,32: 건식조인트 홈부
24,34: 건식조인트 돌출부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 슬래브와 거더 합성구조
110: 거더
111: 상부플랜지 111a : 철근홈
112: 제1 받침부
113: 제1 레벨조절부
113a: 볼트
113b: 접촉부
120: 콘크리트 패널
220: 단위 콘크리트 패널
320: 단위 콘크리트 패널
121: 홈
122: 개구부
123: 횡철근
124: 종철근
125: 강선관통홀
130: 브레이싱부
131: 브레이싱받침
132: 제2 받침부
133: 제2 레벨조절부
134: 지지대
140: 탄성재
150: 연결채널
160: 전단철근22, 32: dry joint groove
24,34: dry joint protrusion
100: bridge slab and girder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girder
111:
112: first support part
113: first level control unit
113a: bolt
113b: contact
120: concrete panel
220: unit concrete panel
320: unit concrete panel
121: home
122: opening
123: transverse reinforcement
124: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5: steel wire through hole
130: bracing unit
131: bracing support
132: second support portion
133: second level control unit
134: support
140: elastic material
150: connection channel
160: shear reinforcement
Claims (8)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거더;
상기 거더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복수의 거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중을 상기 거더로 전달하는 브레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는,
상부플랜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플랜지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받치는 제1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홈과, 상기 홈의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싱부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브레이싱받침과, 상기 브레이싱받침에서 지지하는 하중을 상기 거더에 전달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거더 및 상기 브레이싱받침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더는,
상기 제1 받침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이 거치되는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레벨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싱받침은,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과,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평판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받치는 제2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벨조절부는,
상기 제1 받침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의 상단 레벨을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브레이싱받침은,
상기 제2 받침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의 상단 레벨을 조절 가능한 제2 레벨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레벨조절부는 상기 제2 받침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의 상단 레벨을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레벨조절부의 볼트 및 상기 제2 레벨조절부의 볼트 단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를 통과해 콘크리트 패널의 저면에 지지되는 접촉부가 구비되되, 상기 접촉부는 볼트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상부플랜지와 제1 받침부의 높이차로 인해 철근홈이 형성되되 상기 철근홈은 상기 홈에 대향되며, 상기 철근홈의 너비와 상기 홈의 너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합성구조.In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bridge slab and the girder,
a plurality of girders arranged at intervals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 precast concrete panel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girders and includes a brac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concrete panel to the girders,
The girder is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upper flange and supporting the concrete panel at a level higher than the upper flange,
The concrete panel,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panel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an opening penetrating the concrete panel in the interior of the groove;
The bracing unit,
and a bracing support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to support the concrete panel, and a support for transmitting the load supported by the bracing support to the girder,
The groov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panel mounted on the girder and the upper part of the bracing support,
The girder is
and a first level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unit to adjust the level at which the concrete panel is mounted,
The bracing support is
A flat plate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flat plate and supporting the concrete panel at a level higher than the flat plate,
and an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extending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 first level adjusting unit,
provided with a bolt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ovided so that the upper level of the bolt can be adjusted;
The bracing support is
A bolt penetrating the second support part is provided, and a second level adjustment part capable of adjusting an upper level of the bolt is provided, and the second level adjustment part has a bolt penetra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bolt is provided. provided that the level is adjustable,
Each of the bolt ends of the first level adjusting unit and the second level adjusting unit has a contact portion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panel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and the contact unit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bolt. It is formed to have a wide cross-section,
A reinforcing bar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lange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first supporting part, the reinforcing bar groove is opposite to the groove, and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bar groove and the width of the groove ar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girder.
상기 홈의 내부에 위치하며 교축 방향으로 연장된 종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합성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structure of a bridge slab and a gird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groove and includes longitudinal reinforcement extending in the bridge axis direction.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섬유보강 그라우트가 주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거더를 일체화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기 홈에 교축 방향 종철근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합성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ber-reinforced grout is injected through the opening to integrate the concrete panel and the girder,
A composite structure of a bridge slab and a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no longitudinal reinforcement is provided in the groove of the concrete panel.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내부에 교축 방향으로 강선관통홀을 구비하고, 프리캐스트 된 복수의 패널이 건식조인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와 거더의 합성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concrete panel,
A composite structure of a bridge slab and a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eel wire through hole inside it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and a plurality of precast panels are connected by a dry joi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414A KR102339400B1 (en) | 2020-12-07 | 2020-12-07 |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414A KR102339400B1 (en) | 2020-12-07 | 2020-12-07 |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400B1 true KR102339400B1 (en) | 2021-12-15 |
Family
ID=7886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9414A Active KR102339400B1 (en) | 2020-12-07 | 2020-12-07 |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4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9959A (en) * | 2022-01-14 | 2023-07-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fabricated deck-girder composite connection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KR20240016486A (en) * | 2022-07-29 | 2024-02-06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refabricated deck slab including a grouting connector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3726A (en) * | 2003-07-01 | 2005-01-27 | Taisei Corp | Girder and floor slab joining structure and girder and floor slab joining method |
JP2009281110A (en) * | 2008-05-26 | 2009-12-03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Fixing means for floor slab for railway track |
KR101889964B1 (en) | 2018-01-22 | 2018-08-21 | (주)효성 | Precast deck for bridge |
-
2020
- 2020-12-07 KR KR1020200169414A patent/KR1023394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3726A (en) * | 2003-07-01 | 2005-01-27 | Taisei Corp | Girder and floor slab joining structure and girder and floor slab joining method |
JP2009281110A (en) * | 2008-05-26 | 2009-12-03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Fixing means for floor slab for railway track |
KR101889964B1 (en) | 2018-01-22 | 2018-08-21 | (주)효성 | Precast deck for bridg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9959A (en) * | 2022-01-14 | 2023-07-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fabricated deck-girder composite connection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KR102655163B1 (en) * | 2022-01-14 | 2024-04-04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fabricated deck-girder composite connection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KR20240016486A (en) * | 2022-07-29 | 2024-02-06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refabricated deck slab including a grouting connector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816933B1 (en) * | 2022-07-29 | 2025-06-10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refabricated deck slab including a grouting connector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3861B1 (en) | Integral composite slab bridge without abutments, supports, and expansion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339400B1 (en) | Combined structure for slab and girder | |
KR101860512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cross section installation of ground and underwater structure using integral mold module | |
KR20170094615A (en) | Structure of connecting precast column and precast beam | |
KR102597084B1 (en) | Steel Ccomposite Rahmen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09339087B (en) | Infrastructure system of low-rise building | |
CN110409813A (en) | Exempt to split into type beam forms, formwork structure and construction process containing steel reinforcement cage | |
KR101127923B1 (en) |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03134B1 (en) | Prefabricated fish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90084712A (en) |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 |
KR101482523B1 (en) |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653283B1 (en) | Conne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KR10069387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deck and bridge girders with stepped corners and connection structure | |
KR20200004087A (en) | Method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to the minus moment of continuous girder | |
CN211923286U (en) | Assembled stair structure | |
KR100984247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rength connector detail joined with rebar of upper flange concrete | |
KR101752285B1 (en) | Hybrid beam with wide PSC lower flange and enlarged section upper flange and structure frame using the same | |
KR101674725B1 (en) | Precast segment unit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 |
JP6066981B2 (en) | Connection structure in bridges using reinforced concrete slabs and connection method in existing bridges using reinforced concrete slabs | |
JP7010709B2 (en) | How to build prefabricated and concrete structures | |
KR10155755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jointless bridge using wide PSC beam | |
KR102372473B1 (en) | Constuction Structure for Joint of PC-Colunm and PC-Girder Using Temporay Bracket | |
JP2019157550A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100860592B1 (en) | Temporary Structure for PC Block Lamination | |
KR101886744B1 (en) | Precast Half Deck for Road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