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254B1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도파관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254B1 KR102339254B1 KR1020190166606A KR20190166606A KR102339254B1 KR 102339254 B1 KR102339254 B1 KR 102339254B1 KR 1020190166606 A KR1020190166606 A KR 1020190166606A KR 20190166606 A KR20190166606 A KR 20190166606A KR 102339254 B1 KR102339254 B1 KR 102339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resonator
- dielectric waveguide
- group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9
- 108010001267 Protein Subunit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2—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1—Manufacturing waveguides or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6—Manufacturing dielectric wavegu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6—Dielectric waveguides, i.e. without a longitudinal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유형의 커플링이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복수 개의 커플링이 형성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커플링(coupling)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커플링 조합에 따른 주파수 감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너치(notch) 없이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을 지그재그(zig-zag)로 전환하는 꺾인 구조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 형태의 구조물(structure)을 이용하여 너치를 구현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 및 그에 따라 나타나는 주파수 감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원통 형태의 구조물의 지름 및 높이에 따른 주파수 감쇄와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실험예이다.
도 9는 제시된 규격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서 나타나는 주파수 감쇄 특성을 보여주는 실험예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너치를 구현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소개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치 및 경로 연장 구조가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1: 입력 포트
13: 출력 포트
21: 제 1 공진기 그룹
23: 제 2 공진기 그룹
25: 방향 전환 공진기 그룹
31: 제 1 커플링
32: 제 2 커플링
Claims (21)
- 복수 개의 유전체 각각이 공진기 서브-유닛(sub-unit)을 형성하여 연결되고 연결된 공진기 서브-유닛 간에 연속적으로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일체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 몸체; 및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port) 및 상기 전자기파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1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1 공진기 그룹(group);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의 일 측면과 접촉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2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2 공진기 그룹; 및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커플링(coupling)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향 전환 공진기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제 2 커플링을 형성함으로써 너치(notch)를 형성하고,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의 외벽으로부터 도파관의 내측 공간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물(structure)을 통해 상기 구조물의 말단과 대향하는 반대편 외벽 간의 간격(gap)을 이용하여 인접한 공진기 간에 커패시터(capacitor)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어퍼쳐(aperture)의 뚫린 공간을 통해 인접한 공진기 간에 인덕터(inductor)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원통(cylinder) 또는 육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주파수 감쇄 특성에 부합하도록 원통 형태의 상기 구조물의 직경 및 상기 간격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결정하되,
주파수 감쇄의 정도는 상기 구조물의 직경에 비례하고 상기 간격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플링은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이 접촉하는 접촉면이 존재하는 위치 중에서 공진기 서브-유닛들 간의 접촉면에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복수 개의 유전체 각각이 공진기 서브-유닛(sub-unit)을 형성하여 연결되고 연결된 공진기 서브-유닛 간에 연속적으로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일체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 몸체; 및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port) 및 상기 전자기파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1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1 공진기 그룹(group);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의 일 측면과 접촉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2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2 공진기 그룹; 및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커플링(coupling)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향 전환 공진기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제 2 커플링을 형성함으로써 너치(notch)를 형성하고,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의 외벽으로부터 도파관의 내측 공간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물(structure)을 통해 상기 구조물의 말단과 대향하는 반대편 외벽 간의 간격(gap)을 이용하여 인접한 공진기 간에 커패시터(capacitor) 결합을 형성하며,
각각의 공진기 서브-유닛마다 내측을 통해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통과 경로가 외측의 물리적인 직선 길이보다 더 길어지도록 경로 연장 구조가 구비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어퍼쳐(aperture)의 뚫린 공간을 통해 인접한 공진기 간에 인덕터(inductor)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주파수 감쇄 특성에 부합하도록 원통 형태의 상기 구조물의 직경 및 상기 간격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결정하되,
주파수 감쇄의 정도는 상기 구조물의 직경에 비례하고 상기 간격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플링은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이 접촉하는 접촉면이 존재하는 위치 중에서 공진기 서브-유닛들 간의 접촉면에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연장 구조는,
상기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도록 상기 공진기 서브-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벽면을 몸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되, 몸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벽면은 단층 또는 다층의 기저면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의 높이는 각각의 공진기 서브-유닛마다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연장 구조는,
도파관의 길이 방향을 가로 질러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벽면으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트렌치(trench) 구조 또는 계단 구조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연장 구조는,
외측 지지 영역을 남긴 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벽면의 중앙으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원통 또는 육면체 형태의 홀 구조를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복수 개의 유전체 각각이 공진기 서브-유닛(sub-unit)을 형성하여 연결되고 연결된 공진기 서브-유닛 간에 연속적으로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유전체 도파관 몸체 및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port) 및 상기 전자기파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장치가 요구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장치가 도파관의 단면을 고려하되 입력된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자기파가 직진하여 통과하는 경우를 가정한 목표 도파관의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장치가 산출된 상기 목표 도파관의 길이 및 요구되는 도파관의 물리적인 외부 길이를 고려하여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의 전환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장치가 결정된 상기 전환 횟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1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1 공진기 그룹(group),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의 일 측면과 접촉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서브-유닛을 포함하여 제 2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전달하는 제 2 공진기 그룹 및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커플링(coupling)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방향으로 전달하는 방향 전환 공진기 그룹의 구조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전체 도파관 몸체를 구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장치가 상기 제 1 공진기 그룹과 상기 제 2 공진기 그룹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너치(notch)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제 2 커플링의 위치 및 규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산출된 상기 목표 도파관의 길이를 요구되는 도파관의 물리적인 외부 길이로 제산하는 단계; 및
(c2) 제산된 값을 참조하여, 산출된 상기 목표 도파관의 길이가 요구되는 도파관의 물리적인 외부 길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자기파의 진행 경로를 'ㄷ'자로 꺾음으로써 방향의 전환이 발생하는 전환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 및 상기 제 2 커플링은,
어퍼쳐(aperture)의 뚫린 공간을 통해 인접한 공진기 간에 인덕터(inductor) 결합 및 외벽으로부터 도파관의 내측 공간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물(structure)을 통해 상기 구조물의 말단과 대향하는 반대편 외벽 간의 간격(gap)을 이용하여 인접한 공진기 간에 커패시터(capacitor) 결합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 1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 2 커플링은 커패시터 결합 및 인덕터 결합 중 상기 제 1 커플링과 상반되는 결합을 형성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요구되는 주파수 감쇄 특성에 부합하도록 원통 형태의 상기 구조물의 직경 및 상기 간격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e2) 도파관의 물리적인 크기 제약을 고려하되 산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제 2 커플링의 위치 및 규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설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606A KR102339254B1 (ko) | 2019-12-13 | 2019-12-13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606A KR102339254B1 (ko) | 2019-12-13 | 2019-12-13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5483A KR20210075483A (ko) | 2021-06-23 |
KR102339254B1 true KR102339254B1 (ko) | 2021-12-16 |
Family
ID=7659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6606A Active KR102339254B1 (ko) | 2019-12-13 | 2019-12-13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254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514B1 (ko) * | 2019-06-21 | 2019-11-06 |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세라믹 도파관 필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4984B1 (ko) * | 2016-07-29 | 2018-08-02 |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 세라믹 도파관 공진기 필터 |
-
2019
- 2019-12-13 KR KR1020190166606A patent/KR10233925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514B1 (ko) * | 2019-06-21 | 2019-11-06 |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세라믹 도파관 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5483A (ko) | 2021-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34551B1 (en) | Bandpass filter, high-frequency module using the sam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m | |
US8115569B2 (en) |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 |
CN101185193A (zh) | 包括端壁耦合的同轴谐振器的微波滤波器 | |
EP1760823B1 (en) | Coplanar resonator and filter using the same | |
EP3266062B1 (en) | Waveguide e-plane filter | |
KR20170048753A (ko) | 유전체 도파관 듀플렉서 및 그 설계 방법 | |
KR101919456B1 (ko) | 일체형 유전체 세라믹 도파관 듀플렉서 | |
JPH11284409A (ja) | 導波管型帯域通過フィルタ | |
CN110416669B (zh) | 介质滤波器、信号收发装置及基站 | |
US20140077893A1 (en) |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coupler | |
KR101431005B1 (ko) | 3차원 적층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 |
US6597263B2 (en) | Dielectric filter having notch pattern | |
JPH11186819A (ja) | 帯域阻止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 |
KR101616768B1 (ko) | 너치가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 필터 | |
KR19980081577A (ko) | 유전체필터와 송수신듀플렉서 및 통신기기 | |
JP2018191099A (ja) | デュアルバンド共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フィルタ | |
JPH10173407A (ja) | 導波管形分波器、および導波管形分波器の製造方法 | |
KR102339254B1 (ko)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
CN115997320A (zh) | 介质滤波器和具有该介质滤波器的au、ru或bs | |
CN106410334A (zh) | 一种滤波器及滤波方法 | |
EP3718165B1 (en) | High frequency selectivity filter for microwave signals | |
US20160043457A1 (en) | A Waveguide E-Plane Filter Structure | |
KR102315196B1 (ko)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
CN210182542U (zh) | 介质滤波器、信号收发装置及基站 | |
KR100297346B1 (ko) | 유전체필터및이를이용한통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