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9114B1 - 미용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미용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114B1
KR102339114B1 KR1020190112255A KR20190112255A KR102339114B1 KR 102339114 B1 KR102339114 B1 KR 102339114B1 KR 1020190112255 A KR1020190112255 A KR 1020190112255A KR 20190112255 A KR20190112255 A KR 20190112255A KR 102339114 B1 KR102339114 B1 KR 10233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frame
electronic device
unit
cosmetic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735A (ko
Inventor
혁 원
김형진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1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건은 미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미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중에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미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미용 마스크 장치는 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광 조사를 수행하는 광 조사부와, 프레임에 형성된 화면 제공 개구부와, 프레임의 배면에서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는 보호부와, 프레임의 전면에서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면서 전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장착부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와, 광 조사부의 제어에 의한 광 조사 기능과, 접속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용 마스크 장치{FACIAL MASK APPARATUS}
본 건은 미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미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중에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미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장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피부 미용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피부 미용장치는 사용시 사용자 또는 미용관리사(이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미용장치를 쥔 채 안면에 접촉시키면서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된 피부미용 전용 광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종래 광 마스크는 하나 이상의 광원체를 갖추고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 간단히 실행됐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시간의 미용시행도 불편함 없이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은 광 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컨텐츠 제공 기능을 수행하여 미용 마스크 장치를 장시간의 이용 시에도 사용자의 지루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미용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미용 마스크 장치는 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광 조사를 수행하는 광 조사부와, 프레임의 배면에서 광 조사부가 배제되며 돌출 형성되어 광 조사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며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며 화면 제공 개구부가 형성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보호부와, 프레임의 전면에서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면서 전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장착부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와, 광 조사부의 제어에 의한 광 조사 기능과, 접속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보호부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광 조사부가 배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조사 기능에 대한 광 조사 옵션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광 조사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와 보호부는 프레임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 조사 기능의 수행 시간 동안 사용자의 가상/증강/복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여 기기 사용 시간 동안 사용자의 지루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 이용 중 VR 멀미가 발생할 수 있으나, 미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지 않기 때문에 VR 멀미 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 이용 중에는 미용 마스크 장치의 상태나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체를 움직이는 가상현실 컨텐츠 사용 중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으나, 미용 기기에 컨텐츠 재생 기능을 적용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마스크 장치의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2는 미용 마스크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마스크 장치의 배면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미용 마스크 장치는 전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사용자의 얼굴 형상이나 반구 형상의 프레임(10)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배면(10a)에는 사용자가 프레임(10)를 얼굴에 착용할 때 광소자에서의 광 조사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며 한 쌍의 화면 제공 개구부(14)가 형성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보호부(2)와,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홈부(4)와, 사용자의 입이 위치되는 개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부(2)는 광조사에 의한 (400nm ~ 1500nm 파장)의 가시광선, 적외선의 안구 침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황반변성, 백내장, 망막화상, 망막 손상 등의 안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배면(10a)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면에 해당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예를 들면, LED 소자 등)를 포함하는 광조사부(12)가 장착된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다양한 컨텐츠(예를 들면, VR 컨텐츠, AR 컨텐츠, MR 컨텐츠 등)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화면 제공 개구부(14)가 보호부(2)에 의해 둘러 싸인 상태로 설치된다.
보호부(2)에 의해 감싸진 영역(사용자의 눈 위치)에는 광소자가 배제되어 있고, 즉 장착되지 않고, 한 쌍의 화면 제공 개구부(14)가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전면(10b)은 외부를 향하는 면에 해당되며, 전자 디바이스의 표시부(24)의 적어도 일부분이 화면 제공 개구부(14)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착부(3)가 전자 디바이스의 케이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위해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3)는 한 쌍의 화면 제공 개구부(14)를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며, 장착부(3)와 보호부(2)는 프레임(10)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프레임(10)의 측면들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결합 장치(예를 들면, 벨크로 스트랩 등)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도 2는 미용 마스크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미용 마스트 장치의 제어 장치(20)와 전자 디바이스(30)는 유선 통신 방식이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디바이스(30)의 케이스는 장착부(3)의 수용 공간 내에 물리적으로 삽입 장착된다.
먼저, 미용 마스크 장치의 제어 장치(20)는 프레임(10) 내부 및/또는 외면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통신 연결 선택/통신 종료 선택, 광 조사 시작/종료 입력, 광 조사 옵션 선택, 전자 디바이스(30)에 대한 컨텐츠 재생 입력/재생 종료 입력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19)에 인가하는 입력부(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를 포함하며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광 조사 시간, 광도, 광의 색상, 광의 온/오프 주기 등을 조절하는 광조사부(12)와, 사용자의 입력 및 광조사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사용자에게 정보(예를 들면, 전원 상태, 전자 디바이스(30)와의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와, 전자 디바이스(30)의 접속부(25)와 전기적 및/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1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광 조사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 디바이스(30)와 연결된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30)가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로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11)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될 정도에 해당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광 조사부(12)는 프레임(10)의 배면(10a)에 장착된 광소자를 포함하며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광소자를 온/오프 시키며, 또한 그 온 및 오프 주기를 제어하여 광 조사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3)는 사용자의 입력들 중에서, 광 조사 옵션을 저장한다. 광 조사 옵션은 광 조사 시간, 광도, 광의 색상, 광의 온/오프 주기 등에 대한 선택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 조사 옵션 또는 기설정된 디폴트값에 따른 광조사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표시부(14)는 시각적 표시를 위한 소자(예를 들면, LED 장치 등)와, 청각적 표출을 위한 소자(예를 들면, 스피커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부(15)는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접속부(25)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WIFI 통신 등)을 수행하거나, 유선 케이블 등에 의해 접속부(25)와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부(19)와 전자 디바이스(3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19)는 광 조사 기능 및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MICROPROCESSOR, MCU 등)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제어부(19)의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기재된다.
전자 디바이스(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재생된 컨텐츠의 선택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29)에 인가하는 입력부(21)와, 다양한 컨텐츠의 재생 등을 위한 감지값(예를 들면, 가속도, 자이로값, 영상 및 오디오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29)에 인가하는 감지부(22)와, 재생될 컨텐츠, 감지값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3)와, 컨텐츠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4)와, 미용 마스크 장치(20)의 접속부(15)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2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되 미용 마스크 장치(2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19)에 제어에 의해 감지값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29)로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21)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될 정도에 해당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감지부(22)는 다양한 컨텐츠의 재생 등을 위한 위치 및 속도 등에 대한 감지값(예를 들면, 가속도, 자이로값, 영상 및 오디오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29)에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성된다.
표시부(24)는 시각적 표시를 위한 소자(예를 들면, LED 장치 등)와, 청각적 표출을 위한 소자(예를 들면, 스피커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부(25)는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접속부(15)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WIFI 통신 등)을 수행하거나, 유선 케이블 등에 의해 접속부(15)와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부(29)와 미용 마스크 장치(2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29)는 제어부(19)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3)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 및 표시를 표시부(24)를 통하여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MICROPROCESSOR, MCU 등)며, 보다 상세한 사항은 하기에서 기재된다.
먼저, 광 조사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어부(19)는 입력부(11)로부터의 광 조사 시작 입력을 획득하고, 광 조사 시작 입력에 따라 기저장된 광 조사 옵션의 디폴트값이나 입력부(11)로부터 선택된 광 조사 옵션을 이용하여 광 조사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제어부(19)는 광 조사 종료 입력에 따라 또는 광 조사 옵션에 포함된 광 조사 시간에 따라 광 조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컨텐츠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먼저, 통신 연결에 대하여 설명된다. 우선, 무선 통신의 경우, 제어부(19)는 입력부(11)로부터의 통신 연결 선택에 따라 접속부(15)를 제어하여, 접속부(15)와 접속부(25) 간의 무선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며,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 접속부(15)는 제어부(19)로 무선 통신이 연결됨을 알리며, 접속부(25)는 제어부(29)에 무선 통신이 연결됨을 알린다. 다음으로, 유선 통신의 경우, 사용자가 접속부(15)와 접속부(25)를 연결 케이블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나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면, 제어부(19) 및/또는 제어부(29)가 접속부(15)와 접속부(25)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확인한다.
위의 통신 연결이 확인된 이후에, 제어부(19)는 표시부(14)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는 것을 표시하고, 입력부(11)로부터 컨텐츠 재생 입력을 획득하면,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명령을 생성하여 접속부(15) 및 접속부(25)를 통하여 제어부(29)에 인가한다. 제어부(29)는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서 저장부(23)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부(24)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9)는 다수의 컨텐츠 데이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입력부(11)를 통하여 획득하면, 그에 따른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텐츠 선택 명령을 생성하여 접속부(15) 및 접속부(25)를 통하여 제어부(29)에 인가하고, 제어부(29)는 그 컨텐츠 선택 명령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의 판독 및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에, 제어부(19) 컨텐츠 재생 종료 입력을 입력부(11)로부터 획득한 경우에, 제어부(29)로 컨텐츠 재생 종료 명령을 인가하여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도록 한다.
제어부(19)는 광 조사 기능과 컨텐츠 재생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되,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각각 수행할 수도 있다.
광 조사 기능의 수행 시간(예를 들면, 5~30분) 동안 사용자의 행동이 제약되나, 이 제약 동안 제어부(19)가 가상/증강/복합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여 기기 사용 시간 동안 사용자의 지루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 이용 중 VR 멀미가 발생할 수 있으나, 미용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지 않기 때문에 VR 멀미 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 이용 중에는 미용 마스크 장치(10)의 상태나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체를 움직이는 가상현실 컨텐츠 사용 중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으나, 미용 기기에 컨텐츠 재생 기능을 적용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프레임 20: 제어 장치
30: 전자 디바이스

Claims (4)

  1. 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며 광 조사를 수행하는 광 조사부와;
    프레임에 형성된 화면 제공 개구부와;
    프레임의 배면에서 광 조사부가 배제되며 돌출 형성되어 광 조사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며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며 화면 제공 개구부가 형성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보호부와;
    프레임의 전면에서 화면 제공 개구부를 둘러싸면서 전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장착부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부와;
    광 조사부의 제어에 의한 광 조사 기능과, 접속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광 조사 기능에 대한 광 조사 옵션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광 조사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부와 보호부는 프레임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마스크 장치.
KR1020190112255A 2019-09-10 2019-09-10 미용 마스크 장치 Active KR10233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55A KR102339114B1 (ko) 2019-09-10 2019-09-10 미용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55A KR102339114B1 (ko) 2019-09-10 2019-09-10 미용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35A KR20210030735A (ko) 2021-03-18
KR102339114B1 true KR102339114B1 (ko) 2021-12-15

Family

ID=7523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55A Active KR102339114B1 (ko) 2019-09-10 2019-09-10 미용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9B1 (ko) 2015-08-13 2016-02-24 김종천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8-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92B1 (ko) * 2013-05-20 2015-02-13 (주)옵티스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101703923B1 (ko) * 2015-07-28 2017-02-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가상 현실 기반의 개인 맞춤용 캡슐형 힐링 장치
JP2017130190A (ja) * 2015-12-04 2017-07-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
KR102103640B1 (ko) * 2018-07-20 2020-04-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영상을 제공하는 마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9B1 (ko) 2015-08-13 2016-02-24 김종천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8-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35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82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CN110191652B (zh) 用于自动睫毛延长的眼睑覆盖和稳定
US100457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transparent system control using bio-input
CN111417919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KR1015503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CN107708802A (zh) 头发生长光治疗装置
KR20170037355A (ko) 밴드 연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2605B1 (ko) 홈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20190125528A (ko)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US12292577B2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2083650B1 (ko)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US10272259B1 (en) Hair growth using phototherapy treatment
KR101567946B1 (ko) 빛에너지를 이용하는 비염치료장치
US20190126060A1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KR102339114B1 (ko) 미용 마스크 장치
CN108124429A (zh) 光疗平台通用功率源和控制器
WO201111779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actilely imparting information
KR102461332B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
KR20210030734A (ko) 컨텐츠 제공 기능을 지닌 미용 마스크 장치
KR101127118B1 (ko) 얼굴주름 방지장치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102729908B1 (ko) 광 조사 스폿 어플리케이터
US20250082934A1 (en) Brain stimulation device and brain stimulation system
JP2001249307A (ja) 眼 鏡
JP5658840B1 (ja) アイメイクセーバー機能付きアイフェイス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